KR0121891Y1 -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891Y1
KR0121891Y1 KR2019950040537U KR19950040537U KR0121891Y1 KR 0121891 Y1 KR0121891 Y1 KR 0121891Y1 KR 2019950040537 U KR2019950040537 U KR 2019950040537U KR 19950040537 U KR19950040537 U KR 19950040537U KR 0121891 Y1 KR0121891 Y1 KR 0121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locking
seat back
seat
re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726U (ko
Inventor
장성열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0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891Y1/ko
Publication of KR970031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7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891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시트에서 아암레스트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리어시트(2)의 시트백(6) 중간부에 하측을 힌지부로하여 상하절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아암레스트(4)에 있어서, 상기 아암레스트(4)의 내측 상단부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간(10)과; 상기 각 회동간(10)의 일단부를 아암레스트(4)의 통공(4a)을 통과하여 연결하면서 상기 시트백(6)의 상단 전면부 외측으로 걸쳐지는 띠상의 손잡이부재(12)와; 상기 아암레스트(4)의 힌지핀(18)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아암레스트(4)의 내측에 설치된 안내로울러(24)를 경유한 연결부재(14)에 의하여 상기 각 회동간(1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시트백(6)의 걸림공(6a)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돌기(16)와; 상기 걸림돌기(1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아암레스트(4)의 내부 측면에 고착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내에서 상기 걸림돌기(16)의 후측단을 탄발지지하는 스프링(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낸 리어시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장착상태를 보인 것으로, 아암레스트가 시트백에 잠입된 상태에서 제1도의 A-A방향으로 절취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리어시트 4:아암레스트
4a:통공 6:시트백
6a:걸림공 10:회동간
12:손잡이부재 14:연결부재
16:걸림돌기 18:힌지핀
20:하우징 22:스프링
24:안내로울러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배치되어 있는 아암레스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암레스트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같이, 고급 승용차량의 경우에 있어서는 제1도에서와 같이 리어시트(2)의 중간부에 아암레스트(4)가 배치되어 탑승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하 자세로 여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아암레스트(4)를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순히 리어시트(2)의 시트백(6) 중간부에 아암레스트(4)의 하측부를 힌지로하여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따라 탑승자가 아암레스트(4)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측으로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시트백(6)에 잠입되도록 접어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아암레스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아암레스트를 접어두었을 때,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바, 차량 급정거 시에는 그 관성에 의하여 아암레스트가 전측으로 회동되어 임의로 펼쳐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암레스트가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리어시트의 시트백 중간부에 하측을 힌지부로하여 상하 절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아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아암레스트의 내측 상단부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간과; 상기 각 회동간의 일단부를 아암레스트의 통공을 통과하여 연결하면서 상기 시트백의 상단 전면부 외측으로 걸쳐지는 띠상의 손잡이부재와; 상기 아암레스트의 힌지핀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아암레스트의 내측에 설치된 안내로울러를 경유한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각 회동간의 타단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시트백의 걸림공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아암레스트의 내부 측면에 고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걸림돌기의 후측단을 탄발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나타낸 리어시트의 사시도로서, 리어시트(2)는 시트쿠션(8)과, 이의 시트쿠션(8) 후측에 약간 경사진 형태로 세워지는 시트백(6)을 구비하여 벤취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아암레스트(4)는 상기 리어시트(2)의 시트백(6) 중간부에 하측을 힌지부로하여 상하 절첩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에따라 탑승자가 아암레스트(4)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시트백(6)에 접어두게 된다.
이와 같은 아암레스트(4)에 있어서, 본 고안은 아암레스트(4)의 임의적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장치를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록킹장치는 제2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아암레스트(4)의 내측 상단부 양측면에 회동간(1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양측 회동간(10)의 상단부는 아암레스트(4)의 양측방 통공(4a)을 통과한 띠상의 손잡이부재(1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부재(12)는 시트백(6)의 상단 전면부 외측으로 걸쳐져서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재(12)는 직물 또는 가죽 등과 같이 시트커버의 재질과 동일한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통공(4a)은 상기 회동간(10)의 회동시 손잡이부재(12)의 위치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방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함과 아울러 아암레스트(4)를 접었을 경우 외측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아암레스트(4)의 측방에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간(10)의 타단부 즉, 하단부는 일종의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14)에 의하여 걸림돌기(16)와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걸림돌기(16)는 아암레스트(4)의 힌지핀(18)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어 그의 선단부가 시트백(6)에 형성된 걸림공(6a)에 삽탈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6)는 하우징(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이 하우징(20)이 상기 아암레스트(4)의 내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2)에 수용된 걸림돌기(16) 후측에는 스프링(22)이 탄지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걸리돌기(16)는 항시 외측으로 밀려나는 탄발력을 받게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6) 근방의 아암레스트(4) 내부에는 안내로울러(24)가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재(14)가 이를 경유하도록 하고 있어, 연결부재(14)의 이동방향을 전화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아암레스트 록킹장치는 탑승자가 아암레스트(4)의 사용을 위하여 제1도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부재(12)를 앞으로 당기면, 회동간(10)이 제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연결부재(14)를 당겨 이에 연결된 걸림돌기(16)가 후퇴되도록 한다.
그러면 이의 걸림돌기(16)가 후퇴하여 시트백(6)의 걸림공(6a)으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상태가 해지됨으로써 아암레스트(4)를 전측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아암레스트(4)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부재(12)를 놓은 상태에서 아암레스트(4)를 시트백(6)으로 접어두면 걸림돌기(16)가 스프링(22)에 의하여 자동으로 시트백(6)에 형성된 걸림공(6a)에 삽입되면서 록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아암레스트(4)가 접힌 경우에는 시트백(6)에 록킹이 이루어짐으로써, 차량 급정거시의 관성 등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는 시트백에 아암레스트를 간단하게 록킹 및 해제할 수 있는 구조로서, 아암레스트가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리어시트(2)의 시트백(6) 중간부에 하측을 힌지부로하여 상하 절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아암레스트(4)에 있어서, 상기 아암레스트(4)의 내측 상단부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간(10)과; 상기 각 회동간(10)의 일단부를 아암레스트(4)의 통공(4a)을 통과하여 연결하면서 상기 시트백(6)의 상단 전면부 외측으로 걸쳐지는 띠상의 손잡이부재(12)와; 상기 아암레스트(4)의 힌지핀(18)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아암레스트(4)의 내측에 설치된 안내로울러(24)를 경유한 연결부재(14)에 의하여 상기 각 회동간(1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서 상기 시트백(6)의 걸림공(6a)에 해제 가능하게 삽입되는 걸림돌기(16)와; 상기 걸림돌기(1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아암레스트(4)의 내부 측면에 고착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내에서 상기 걸림돌기(16)의 후측단을 탄발지지하는 스프링(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
KR2019950040537U 1995-12-13 1995-12-13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 KR0121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537U KR0121891Y1 (ko) 1995-12-13 1995-12-13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537U KR0121891Y1 (ko) 1995-12-13 1995-12-13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726U KR970031726U (ko) 1997-07-24
KR0121891Y1 true KR0121891Y1 (ko) 1998-08-01

Family

ID=1943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537U KR0121891Y1 (ko) 1995-12-13 1995-12-13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8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726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4222B2 (ja) アームレスト用引き出し装置
US7044550B2 (en) Rear seat having a backrest implemented with a back board
RU2702386C2 (ru) Узел инерционного фиксатора для подлокотни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узел подлокотника, узел сиденья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JPH0262417B2 (ko)
KR0121891Y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아암레스트 록킹장치
KR100456515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JPH10272934A (ja) オープンカーの風の巻き込み防止装置
JP2874855B2 (ja) 車両用折り畳み式シートのロッキング装置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KR100448117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KR0117327Y1 (ko) 자동차용 보조거울
KR100216287B1 (ko) 헤드레스트 조작장치
KR200174496Y1 (ko) 콘솔 내장형 보조 테이블
KR200161530Y1 (ko) 컵 홀더
KR19980037453A (ko) 자동차용 뒷좌석의 발판구조
KR200151720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KR0129274Y1 (ko) 암레스트의 드링크 홀더
KR200369656Y1 (ko)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KR20030006652A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 장치
KR0161573B1 (ko) 회전식 자동개폐 옷걸이 고정구
KR100520350B1 (ko) 자동차 시트백의 테이블폼용 리클라이너 고정구조
KR100287375B1 (ko) 차량의 리어시트용 암 레스트 설치구조
KR19980026114U (ko) 차량의 암 레스트 일체형 컵홀더
JPH114745A (ja) 車両用ハンガー
KR20070004299A (ko) 자동차용 접이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