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656Y1 -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656Y1
KR200369656Y1 KR20-2004-0025468U KR20040025468U KR200369656Y1 KR 200369656 Y1 KR200369656 Y1 KR 200369656Y1 KR 20040025468 U KR20040025468 U KR 20040025468U KR 200369656 Y1 KR200369656 Y1 KR 200369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eat
seat cushion
main bracket
bracke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정원석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5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6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47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at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어시트 쿠션의 록킹 해제를 전/후방에서 자유롭게 실시하고, 록킹이 해제된 시트쿠션이 자동으로 틸트되어 조작성이 편리해진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리어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메인브래킷부와, 상기 메인브래킷부에 중간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걸림홈을 구비하는 작동레버부와, 상기 작동레버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메인브래킷에 연결설치되며 작동레버부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작동스프링부와, 상기 작동레버부의 걸림홈내로 제 1,2 걸림봉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회전브래킷부와, 상기 회전브래킷부의 상부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메인브래킷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메인브래킷을 관통하여 돌출된 회전축의 끝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메인브래킷의 지지봉에 연결되는 스파이럴 스프링부으로 구성된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Rear seat cushion titling assembly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어시트의 전방 및 후방에서 리어시트쿠션의 록킹을 해제하여 자동으로 틸팅할 수 있는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실내에 장착되는 시트(seat)는 탑승자 한사람 한사람을 위한 버킷 시트(bucket seat)와, 두명이상의 탑승자가 동시에 앉을 수 있는 벤치 시트(bench seat)로 대별되고 있다.
상기 버킷 시트는 탑승자 한사람 한사람을 위하여 탑승자의 몸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쿠션 시트를 일컫으며 자동차의 프런트 시트는 대부분 이러한 버킷 시트를 채택하여 장착하고 있다. 또한 코너링시 안정감을 높인 시트는 스포츠 시트라고 하는 표현을 할 때도 있으며, 탑승자 한사람 한사람을 위한 시트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세퍼레이트 시트라고도 한다.
상기 벤치 시트는 벤치 모양의 시트로서 버킷 시트나 세퍼레이트 시트와는 대조적으로 쓰이는 시트를 말하고, 자동차의 경우 프론트 시트는 대부분 버킷 시트인 반면 리어시트는 벤치 시트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리어시트는 자동차 트렁크 공간의 확대활용을 위하여 폴딩 또는 틸팅후 슬라이딩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리어시트에 폴딩장치 또는 틸팅장치를 설치하여 트렁크 공간을 확대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폴딩장치 또는 틸팅장치를 이용하여 리어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리어시트쿠션을 틸팅시킨 후, 차체바닥에 설치된 슬라이딩 수단을 통해 프론트시트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확보된 공간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리어시트의 틸트장치는 단순히 시트쿠션의 위치를 록킹 및 해제하도록 되어 있으며, 시트쿠션의 전방부분에서만 시트쿠션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즉, 리어시트쿠션은 시트백에 근접하는 일측단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리어시트 틸트장치는 전방부분에서 리어시트 쿠션의 록킹을 해제한 후, 수작업에 의해 리어시트 쿠션을 리어시트백 방향으로 상승 회전시키고, 회전된 리어시트쿠션을 별도의 록킹수단에 의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리어시트 틸트장치는 수작업에 의해 시트쿠션을 틸트시켜야 하고, 록킹 해제후 쿠션의 회전 및 회전된 쿠션을 고정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양손이 모두 사용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조작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리어시트쿠션의 록킹을 해제하는 수단이 쿠션의 전방부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화물공간 확보를 위해 자동차 후부 즉, 리어시트 후부방향에서 리어시트 쿠션의 록킹을 해제하기 곤란하며, 이로 인해 리어시트 전방부로 다시 가서 록킹을 해제하고 리어시트 전체를 당기거나, 다시 후방부로 돌아가 리어시트 전체를 프론트시트 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딩 시켜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리어시트 쿠션의 록킹 해제를 전/후방에서 자유롭게 실시하고, 록킹이 해제된 시트쿠션이 자동으로 틸트되어 조작성이 편리해진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측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스파이럴 스프링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리어시트 쿠션의 틸트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브래킷부 (11) : 고정돌기
(12) : 스프링 걸림돌기 (20) : 작동레버부
(21) : 걸림대 (22) : 작동대
(23) : 전방작동 손잡이 (24) : 후방작동 손잡이
(25) : 걸림홈 (26) : 스프링 걸림대
(30) : 작동스프링부 (40) : 회전브래킷부
(41) : 제 1 걸림봉 (42) : 제 2 걸림봉
(43) : 고정대 (50) : 회전축
(60) : 스파이럴 스프링 (100) : 리어시트
(110) : 리어시트 프레임 (120) : 리어시트 쿠션
(130) : 리어시트 백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측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고안의 스파이럴 스프링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리어시트 쿠션의 틸트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메인브래킷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작동레버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브래킷부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회전브래킷부가 스파이럴 스프링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회전된 회전브래킷부를 작동레버부에 의해 다시 고정하여 리어시트 쿠션을 자동 틸트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리어시트프레임에 고정되는 메인브래킷부(10)와, 상기 메인브래킷부(10)에 중간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레버부(20)와, 상기 작동레버부(20)와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메인브래킷부(10)에 연결설치되는 작동스프링부(30)와, 상기 작동레버부(20)에 일측이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회전브래킷부(40)와, 상기 회전브래킷부(40)의 상부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메인브래킷부(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50)과, 상기 메인브래킷부(10)를 관통하여 돌출된 회전축(50)의 끝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메인브래킷부의 고정돌기(11)에 연결되는 스파이럴 스프링부(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브래킷부(10)는 리어시트 프레임(11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작동스프링부(30)가 연결되는 스프링 걸림돌기(12) 및 스파이럴 스프링(60)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고정돌기(1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부(20)는 리벳 또는 힌지결합에 의해 메인 브래킷부(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에 전방작동 손잡이(23)가 설치되는 걸림대(21)와, 끝단에 후방작동 손잡이(24)가 설치되는 작동대(22)가 회전부위를 중심으로 시소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걸림대(21)와 작동대(2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대(21)에는 회전브래킷부(40)의 일측이 삽입되는 걸림홈(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대(22)의 일측에는 작동스프링부(30)의 일측이 연결되는 스프링 걸림대(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걸림홈(25)은 걸림대(21)의 상부방향으로, 스프링 걸림대(26)는 작동대(22)의 하부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스프링부(30)는 작동레버부(20)의 위치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켜 회전브래킷부(40)의 일측이 작동레버부(20)의 걸림홈(25)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단이 작동레버부의 스프링 걸림대(26)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메인브래킷부의 스프링 걸림돌기(12)에 연결되도록 되어, 작동레버부(20)의 작동시 이완되고작동레버부(2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할 경우 탄력에 의해 작동레버부(20)를 원위치시킨다.
상기 회전브래킷부(40)는 리어시트 쿠션(120)이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작동레버부의 걸림홈(25)내로 삽입되는 제 1,2 걸림봉(41,42)과, 상기 리어시트 쿠션(120)이 설치되고 회전축(5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대(43)와, 상기 고정대(43)에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형성되어 작동레버부의 걸림홈(25)내로 삽입되는 제 1,2 걸림봉(41,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2 걸림봉(41,42)은 회전축(50)을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반경에 위치하도록 회전브래킷부(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2 걸림봉(41,42)의 간격은 리어시트 쿠션(120)의 틸트각도와 동일하다. 즉, 상기 제 1,2 걸림봉(41,42)은 회전축(50)을 중심으로 동일한 회전반경을 구비하며, 리어시트 쿠션(120)의 착석시에는 제 1 걸림봉(41)과 걸림홈(25)이 결합되고, 리어시트 쿠션(120)의 틸트시에는 제 2 걸림봉(42)과 걸림홈(25)이 결합되어 리어시트 쿠션(12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50)은 회전브래킷부(4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스파이럴 스프링부(60)의 작동력을 회전브래킷부(40)에 전달한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부(60)는 록킹이 해지된 회전브래킷부(40)를 회전시켜 리어시트 쿠션(120)을 자동 틸트시키는 것으로, 일측단이 메인브래킷부의 고정돌기(11)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메인브래킷부(10)를 관통하여 돌출된 회전축(5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메인브래킷부(10)를 중심으로 회전축(50)에 의해 일측에는 회전브래킷부(40)가, 또다른 일측에는 스파이럴 스프링부(60)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브래킷부(40)와 메인브래킷부(10) 사이에 걸림대(21)가 위치하도록 작동레버부(20)가 메인브래킷부(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방작동 손잡이를 이용하여 리어시트 쿠션을 틸트시키고자 할 경우, 작동레버부의 전방작동 손잡이를 하부방향(자동차 차체바닥방향)으로 밀면 작동레버부가 힌지(리벳)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전방작동 손잡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걸림대는 하부방향으로 회전되고, 후방작동 손잡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작동대는 상부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걸림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걸림홈 역시 하부방향으로 작동되므로, 회전브래킷부의 제 1 걸림봉으로부터 걸림홈이 빠져나오게 된다. 걸림홈과 제 1 걸림봉이 분리되면, 스파이럴 스프링부에 의해 회전브래킷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브래킷부와 연결된 리어시트 쿠션이 틸트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잔방작동 손잡이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작동스프링에 의해 작동레버부는 다시 원위치하게 되고, 회전브래킷의 제 2 걸림봉이 작동레버부의 걸림홈내로 삽입되어 회전브래킷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후방작동 손잡이를 이용하여 리어시트 쿠션을 틸트시키고자 할 경우, 후방작동 손잡이를 상부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작동레버부가 힌지(리벳)를 중심으로회전되고 상기 전방작동 손잡이의 작동시와 동일하게 작동되어 리어시트 쿠션이 틸트되고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리어시트의 전/후방에서 리어시트 쿠션을 자유롭게 틸트시키고,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리어시트 쿠션이 자동으로 틸트되므로, 한손 작업이 가능하고, 조작이 편리하며, 화물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리어시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메인브래킷부와,
    상기 메인브래킷부에 중간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걸림홈을 구비하는 작동레버부와,
    상기 작동레버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메인브래킷에 연결설치되며 작동레버부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작동스프링부와,
    상기 작동레버부의 걸림홈내로 제 1,2 걸림봉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회전브래킷부와,
    상기 회전브래킷부의 상부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메인브래킷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메인브래킷을 관통하여 돌출된 회전축의 끝단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메인브래킷의 지지봉에 연결되는 스파이럴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부는 일측 끝단에 전방작동 손잡이가 설치되고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개방되는 걸림홈을 구비한 걸림대와, 끝단에 후방작동손잡이가 설치되고 작동스프링부에 연결되는 스프링 걸림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작동대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대와 작동대는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KR20-2004-0025468U 2004-09-06 2004-09-06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KR200369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68U KR200369656Y1 (ko) 2004-09-06 2004-09-06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468U KR200369656Y1 (ko) 2004-09-06 2004-09-06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656Y1 true KR200369656Y1 (ko) 2004-12-09

Family

ID=4935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468U KR200369656Y1 (ko) 2004-09-06 2004-09-06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6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2622A (zh) * 2015-08-27 2015-12-23 富卓汽车内饰(安徽)有限公司 用于实现汽车前排座椅位置调节的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2622A (zh) * 2015-08-27 2015-12-23 富卓汽车内饰(安徽)有限公司 用于实现汽车前排座椅位置调节的装置及方法
CN105172622B (zh) * 2015-08-27 2018-03-30 富卓汽车内饰(安徽)有限公司 用于实现汽车前排座椅位置调节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903B1 (en) Portable automobile partition
JP3990364B2 (ja) 折り畳みシートおよびこのようなシートを含む乗物
US7552972B2 (en) Power assist fold and tumble vehicle seat
RU2357877C2 (ru) Сиденье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с переворачиваем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для сидения
JP4216147B2 (ja) 車両用シート
US7914061B2 (en) Apparatus for locking double-folding seat for vehicles
JP6381126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569945B1 (ko)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JP6174315B2 (ja) 車両座席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200369656Y1 (ko)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JP5112188B2 (ja) 車両用格納式シート
KR10202390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맵 포켓을 이용한 레그레스트 장치
JPS59149833A (ja) 車輛用のリヤシ−トにおけるロツク装置
JP4062752B2 (ja) 車両用脱着式シートのロック機構
KR200415314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JPH0512263U (ja) 車両用シート
JP2013001175A (ja) 車両用シート
KR100520770B1 (ko) 차량의 탈착식 더블폴딩 시트
JP2013001177A (ja) 車両用シート
JP2013001176A (ja) 車両用シート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JP7099301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1030814A (ja) 折り畳みリアシート
JP5777945B2 (ja) 車両用シート
JP6765948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