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066B1 -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 Google Patents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066B1
KR100448066B1 KR10-2001-0036668A KR20010036668A KR100448066B1 KR 100448066 B1 KR100448066 B1 KR 100448066B1 KR 20010036668 A KR20010036668 A KR 20010036668A KR 100448066 B1 KR100448066 B1 KR 100448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r
door
stopper
vehicl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628A (ko
Inventor
최우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0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6Mechanical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완전히 개방시킬 때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이 차체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굴곡부(32)를 갖는 체커 몸체부(30)와, 상기 체커 몸체부(30)의 타측에 구비되어 도어의 내부에 위치된 스토퍼부 및 상기 체커 몸체부(30)의 굴곡부(32)에 밀착된 상태로 구르도록 탄력지지된 롤러(52)를 내장시켜 도어에 고정된 체커부(5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40)는 상기 체커부(50)쪽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 신축성 벨로우즈체(4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Door checker with vibration prevention function i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완전히 개방시킬 때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도어 힌지를 매개로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경우에 상기 도어 힌지는 도어의 개폐 및 지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어 체커가 설치됨으로써 도어가 급격하게 개폐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도어 체커는 도어가 2∼3 단계의 개폐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대개 도어가 조금만 열려 있도록 하는 홀드기능과 완전히 열렸을 때 멈추게 하는 스톱기능을 포함한다.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 도어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어(101)의 상, 하단이 도어 힌지(110)를 매개로 차체(102)에 연결되고, 이들 도어 힌지(110) 사이에 도어 체커(120)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도2는 종래의 도어 체커를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3a 및 도3b는 도2의 도어 체커 일측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 및 측면도로서, 상기 도어 체커(120)는 일측 단부가 핀(134)을 매개로 차체(102)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굴곡부(132)를 갖는 길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체커 몸체부(130)와, 상기 체커 몸체부(13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도어(101)의 내부에 위치되는 스토퍼부(140) 및, 상기 체커 몸체부(130)가 관통되도록 그 체커 몸체부(130)에 끼워지고 상기 굴곡부(132)의 외 표면을 따라 구를 수 있도록 된 롤러(152)와 이 롤러(152)가 상기굴곡부(132)의 외 표면에 밀착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4)을 갖는 체커부(1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140)는 상기 체커 몸체부(130)에 고정된 스토퍼 판(142)과 상기 스토퍼 판(142)에 대하여 상기 체커부(150)쪽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고무재질의 완충패드(144)로 이루어진다.
즉, 도어(101)를 개폐시킬 때 체커 몸체부(130)와 체커부(150)가 서로 상대 이동되고, 이러한 동작은 상기 체커부(150)의 롤러(152)가 상기 체커 몸체부(130)의 굴곡부(132)를 따라 이동되게 하며, 따라서 도어(101)가 순차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상기 도어(101)가 설정된 최대 각도로 개방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체커 몸체부(130)의 일단에 구비된 스토퍼부(140)에 의해 상기 체커 몸체부(130)와 체커부(150)의 상대 이동이 종료됨으로써 도어(101)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 체커(120)는 도어(101)가 최대로 개방되어 멈추어질 때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바, 이는 체커부(150)가 스토퍼부(140)의 완충패드(144)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이 상기 완충패드(144)에서 충분히 흡수되지 못한데서 기인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진동은 상기 도어 체커(120)를 도어(101)와 차체(102)에 연결하는 부위에도 전달되어 그러한 부분을 이루는 부품들을 마모시켜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진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140)의 완충패드(144)가 스토퍼판(142)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를 완전히 개방시킬 때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시켜 진동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 도어의 장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도어 체커를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3a 및 도3b는 도2의 도어 체커 일측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 및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체커를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5a 및 도5b는 도4의 도어 체커 일측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체커 몸체부 32 : 굴곡부
40 : 스토퍼부 42 : 스토퍼 판
43 : 공기통로 44 : 벨로우즈체
50 : 체커부 52 : 롤러
54 :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일측이 차체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굴곡부를 갖는 체커 몸체부와, 상기 체커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도어의 내부에 위치된 스토퍼부 및 상기 체커 몸체부의 굴곡부에 밀착된 상태로 구르도록 탄력지지된 롤러를 내장시켜 도어에 고정된 체커부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체커부쪽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 신축성 벨로우즈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체커(20)를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로서, 체커 몸체부(30), 스토퍼부(40) 및 체커부(50)로 이루어진 대략의 구성은 종래와 유사하다.
즉, 상기 체커 몸체부(30)는 일측 단부가 핀(34)을 매개로 차체에 연결되며 다수개의 굴곡부(32)를 갖는 길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32)는체커 몸체부(30)를 따라 골과 산이 연속된 형태이며 산을 2개소에 형성하여 골을 3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40)는 상기 체커 몸체부(3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도어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체커부(50)는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체커 몸체부(30)가 관통되도록 그 체커 몸체부(30)에 끼워지고 상기 굴곡부(32)의 외표면을 따라 구를 수 있도록 된 롤러(52)와 이 롤러(52)가 상기 굴곡부(32)의 외표면에 밀착될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4)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부(40)에서 도어를 완전히 개방시킬 때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바, 상기 스토퍼부(40)는 도5a 및 도5b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커 몸체부(30)의 끝부분에 고정된 스토퍼 판(42)과, 상기 스토퍼 판(42)에 고정되어 체커부(50)쪽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벨로우즈체(44)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 판(42)은 사각판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체커 몸체부(30)가 상기 스토퍼 판(42)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스토퍼 판(42)이 상기 체커 몸체부(30)에 고정되며, 상기 스토퍼 판(42)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통로(43)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통로(43)를 상기 체커 몸체부(30)가 관통되는 구멍에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벨로우즈체(44)는 상기 스토퍼판(42)을 기준으로 하여 체커부(50)쪽으로 체커 몸체부(30)의 소정 길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체커 몸체부(3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통상의 벨로우즈관 형태를 가진다.
상기 벨로우즈체(44)는 상기 스토퍼판(42)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스토퍼판(42)에 고정 지지되며, 이때 상기 스토퍼판(42)의 공기통로(43)를 차단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체(44)가 체커 몸체부(30)를 감싸는 정도, 즉 상기 벨로우즈체(44)의 내표면과 체커 몸체부(30)의 외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와, 상기 스토퍼판(42)의 공기통로(43)의 크기 및 상기 벨로우즈체(44)의 탄성계수는 도어가 개방될 때 발생되는 회전력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벨로우즈체(44)의 내표면과 체커 몸체부(30)의 외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가 크면 그 공간에 충전되는 공기의 량이 많아 공기의 압축에 의한 충격 흡수능력이 큰 반면 이들 공기가 상기 스토퍼 판(42)의 공기통로(43)를 통해 배출되는 양이 한정될 수밖에 없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못하고 진동이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여전히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벨로우즈체(44)의 내 표면과 체커 몸체부(30)의 외 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를 적정하게 설정하여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려고 할 때 그 공간에 충전되어 있던 공기가 스토퍼 판(42)의 공기통로(43)를 통해 충분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충격 흡수 효과 및 진동 방지 효과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판(42)의 공기통로(43)의 크기가 너무 크면 상기 벨로우즈체(44)의 내 표면과 체커 몸체부(30)의 외 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에 충전되어 있던 공기의 배출속도가 너무 크게 됨으로써 이들 공기의 압축에 의한 충격 흡수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반면, 상기 스토퍼 판(42)의 공기통로(43)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상기 벨로우즈체(44)의 내 표면과 체커 몸체부(30)의 외 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에 충전되어 있던 공기의 배출속도가 너무 작게 됨으로써 공기의 압축에 의한 충격 흡수효과는 크지만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못하고 진동이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여전히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스토퍼 판(42)의 공기통로(43)의 크기를 적정하게 설정하여 상기 벨로우즈체(44)의 내 표면과 체커 몸체부(30)의 외 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에 충전되어 있던 공기에 의한 충격 흡수 효과 및 진동 방지 효과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벨로우즈체(44)의 탄성계수가 너무 크면 도어가 개방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이 체커부(50)를 통해 도어에 직접 전달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어 체커(20)가 구비된 자동차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경우, 차체에 핀(34)을 매개로 설치된 체커 몸체부(30)와 도어에 설치된 체커부(50)가 서로 상대 이동하며, 이 경우 스프링(54)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상기 체커부(50)에 내장된 롤러(52)가 상기 체커 몸체부(30)의 굴곡부(32)를 따라 이동됨에 의해 상기 체커 몸체부(30)와 체커부(50)의 상대 이동속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는 시점에 상기 체커 몸체부(30)의 일단에 구비된 스토퍼부(40)가 상기 체커부(50)에 접촉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40)의 벨로우즈체(44) 일단이 상기 체커부(50)에 밀착되고, 계속하여 상기 벨로우즈체(44)가 수축된다.
즉, 상기 벨로우즈체(44)가 수축되면서 상기 벨로우즈체(44) 자체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도어의 회전력이 감소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벨로우즈체(44)의 내 표면과 체커 몸체부(30)의 외 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에 충전되어 있던 공기가 압축되면서 도어의 회전력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체(44)의 내 표면과 체커 몸체부(30)의 외 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에 충전되어 있던 공기는 스토퍼부(40)의 스토퍼 판(42)에 형성된 공기통로(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도어의 회전력이 충분히 감소되는 순간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며, 또한 이 상태는 상기 체커부(50)의 롤러(52)가 체커 몸체부(30)의 끝부분에 형성된 굴곡부(32)의 골에 놓여져 도어의 복원을 방지한다.
즉, 상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회전될 때 그 도어의 회전력이 상기와 같이 충분하게 흡수됨으로써 도어가 부드럽게 개방됨과 동시에 도어의 진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의하면, 스토퍼부에 벨로우즈체를 설치하여 도어를 완전히 개방시킬 때 도어의 회전력을 충분히 흡수함으로써 도어의 진동을 방지시켜 진동에 의한 부품의 손상이방지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일측이 차체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굴곡부(32)를 갖는 체커 몸체부(30)와, 상기 체커 몸체부(30)의 타측에 구비되어 도어의 내부에 위치된 스토퍼부 및 상기 체커 몸체부(30)의 굴곡부(32)에 밀착된 상태로 구르도록 탄력지지된 롤러(52)를 내장시켜 도어에 고정된 체커부(5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40)는 상기 체커부(50)쪽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 신축성 벨로우즈체(44)와, 상기 벨로우즈체(44)가 신축될 때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공기통로(43)를 형성하여 상기 체커 몸체부(30)에 고정되며 상기 벨로우즈체(44)를 고정 지지하는 스토퍼 판(4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2. 삭제
KR10-2001-0036668A 2001-06-26 2001-06-26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0448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668A KR100448066B1 (ko) 2001-06-26 2001-06-26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668A KR100448066B1 (ko) 2001-06-26 2001-06-26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628A KR20030000628A (ko) 2003-01-06
KR100448066B1 true KR100448066B1 (ko) 2004-09-10

Family

ID=2771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668A KR100448066B1 (ko) 2001-06-26 2001-06-26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06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5741U (ko) * 1976-09-23 1978-04-19
JPH0311783A (ja) * 1989-06-09 1991-01-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面入出力双安定半導体レーザおよび半導体レーザアレイ
JPH0482276U (ko) * 1990-11-28 1992-07-17
KR960023012U (ko) * 1994-12-30 1996-07-20 버스용 회전문의 수동개방시 안전멈춤장치
KR970017678U (ko) * 1995-10-11 1997-05-23 충격완충용 본넷트의 스톱퍼구조
KR970043938A (ko) * 1995-12-31 1997-07-26 전성원 글로브 박스의 개폐속도 제어장치
KR970039807U (ko) * 1995-12-21 1997-07-29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KR19980031314A (ko) * 1996-10-31 1998-07-25 김영귀 스윙 타입용 테일게이트의 체커구조
KR19980067061U (ko) * 1997-05-22 1998-12-05 양재신 도어체크링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5741U (ko) * 1976-09-23 1978-04-19
JPH0311783A (ja) * 1989-06-09 1991-01-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面入出力双安定半導体レーザおよび半導体レーザアレイ
JPH0482276U (ko) * 1990-11-28 1992-07-17
KR960023012U (ko) * 1994-12-30 1996-07-20 버스용 회전문의 수동개방시 안전멈춤장치
KR970017678U (ko) * 1995-10-11 1997-05-23 충격완충용 본넷트의 스톱퍼구조
KR970039807U (ko) * 1995-12-21 1997-07-29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의 개폐장치
KR970043938A (ko) * 1995-12-31 1997-07-26 전성원 글로브 박스의 개폐속도 제어장치
KR19980031314A (ko) * 1996-10-31 1998-07-25 김영귀 스윙 타입용 테일게이트의 체커구조
KR19980067061U (ko) * 1997-05-22 1998-12-05 양재신 도어체크링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628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066B1 (ko)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2031286B1 (ko) 충격 및 진동 흡수 장치
US10253534B2 (en) Door handle device
KR100623413B1 (ko) 건축문틀 충격방지대
JPS5828139Y2 (ja) 自動車用ドアチエツク装置
KR200497275Y1 (ko) 도어용 완충 구조
KR100520764B1 (ko) 차량의 도어 체커
KR950011736A (ko) 세탁기의 도어 완충장치
KR20070059376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200149099Y1 (ko)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KR100366506B1 (ko)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CN211115354U (zh) 一种移门防回弹装置及相关的防回弹房门
KR100389419B1 (ko) 상자형 냉장고 도어 댐핑 구조
JPH0754532Y2 (ja) グラブドア用緩衝装置
KR200152972Y1 (ko) 버스의 자동문 충격 완화장치
KR950005948Y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완충장치
KR970003325Y1 (ko) 자동차 후드 완충장치
KR200314300Y1 (ko) 회동덮개 닫힘 충격 방지장치
KR200222837Y1 (ko) 김치 냉장고 도어의 완충장치
JPH0849468A (ja) 衝突緩和横引き戸
KR100376458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66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200266493Y1 (ko)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KR200267214Y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서
KR101180807B1 (ko) 쓰로틀 바디용 샤프트의 고착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