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061U - 도어체크링크 - Google Patents

도어체크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061U
KR19980067061U KR2019970011574U KR19970011574U KR19980067061U KR 19980067061 U KR19980067061 U KR 19980067061U KR 2019970011574 U KR2019970011574 U KR 2019970011574U KR 19970011574 U KR19970011574 U KR 19970011574U KR 19980067061 U KR19980067061 U KR 199800670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strap
plat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1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061U/ko
Publication of KR19980067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061U/ko

Link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도어의 도어체크링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체크링크의 댐핑부위를 2 단계 충격흡수 구조로 변경하여,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경우 하우징과 플레이트의 접촉충격을 감쇄하는 댐핑부위의 충격 흡수력 및 댐핑부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부착용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일단을 연결한 리벳을 축으로 일정한 각도로 원호 이동되는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의 타단이 삽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홀에 삽통된 스트랩 부위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트랩의 타단에 고정된 플레이트 및 핀과, 상기 플레이트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충격완충수단으로 구성된 도어 첵크 링크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스트랩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고무판과, 상기 고무판과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었다.

Description

도어체크링크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를 반쯤 열린 상태로 유지하며, 더욱 열었을 때 스토퍼(stoper) 역할을 하는 도어체크링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도어체크링크가 도어스토퍼 역활을 할 경우 소정의 개방위치에서 멈추게 되는 도어의 스톱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 도어체크링크의 구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착용 힌지(1)와, 상기 힌지(1)에 일단을 연결한 리벳(2)을 축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원호이동되는 스트랩(3)과, 상기 스트랩(3)이 삽통되는 가이드홀(4)이 형성된 하우징(5)과, 상기 하우징(5)의 가이드홀(4)에 삽입된 스트랩(3)이 이탈되지 않도록 스트랩(3)의 타단에 고정한 플레이트(7) 및 핀(6)과, 상기 플레이트(7)와 하우징(5) 사이에 설치된 충격완충수단으로 구성된 도어체크링크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하우징(5)과 접촉되는 플레이트(7)의 일면에 부착된 고무판(8)으로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체크링크는 도 2 와 도 3 에 도시한 바와같이 2개의 도어힌지(9),(9')로 연결된 자동차 도어(10)와 차체(11)에 장착되었다. 즉 상기 자동차 도어(10) 측에는 하우징(5)을 부착하였고, 상기 차체(11) 측에는 힌지(1)을 부착하였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도어(10)와 차체(11) 사이에 장착된 도어체크링크는 도어(10)를 열고 닫을 때, 상기 도어(10)에 부착된 하우징(5)은 도어(10)와 같이 도어힌지(9),(9')를 축으로 원호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의 가이드홀(4)에 삽통된 스트랩(3) 부위는 힌지(1)에 리벳팅된 일단을 축으로 상기 하우징(5)과 동일한 방향으로 원호이동하며, 동시에 상기 스트랩(3)은 가이드홀(4)을 통하여 도어(10)내부 및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되는 미끄럼 직선 왕복이동을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5)의 가이드홀(4)과 상기 가이드홀(4)에 삽통된 스트랩(3)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도어(10)가 반쯤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도어(10)를 더욱 열었을 때 도어(10)의 내부로 삽입된 스트랩(3)의 일단에 고정된 플레이트(7) 및 핀(6)에 의하여 도 4 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플레이트(7)가 고정된 위치에서 도어(10)가 더 이상 열리지 않게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7)는 스트랩(3)이 삽통되는 하우징(5)의 가이드홀(4)에 걸리므로 도어(10)가 더이상 열리지 않고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7)에 부착된 고무판(8)에 의하여 플레이트(7)와 하우징(5)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7)와 하우징(5)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이 완화되었다.
그러나 상기 고무판은 자체 탄성력 만으로 충격을 흡수하므로 도어의 빈번한 개폐작동으로 하우징이 충돌되는 부위가 경화되거나 찢어지게되어 완충력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어체크링크의 댐핑부위를 2단계 충격흡수 구조로 변경하므로서, 하우징과 직접접촉되는 부위가 경화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흡수력 및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도어체크링크의 구조 사시도.
도 2 는 종래 도어체크링크의 장착 상태 사시도.
도 3 은 종래 도어 체크 링크의 일부가 삽입된 도어의 일부 절취도.
도 4 는 도어 개방시 소정의 위치에서 도어스톱퍼 역활을 하는 도어체크링크의 단면도.
도 5 은 본 고안인 도어체크링크의 구조 사시도.
도 6 는 본 고안인 도어체크링크의 장착 상태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인 도어 체크 링크의 일부가 삽입된 도어의 일부 절취도.
도 8 는 도어 개방시 소정의 위치에서 도어스톱퍼 역활을 하는 도어체크링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힌지103 : 스트랩
104 : 가이드홀105 : 하우징
106 : 핀107 : 플레이트
108 : 고무판109 : 탄성부재
110 : 홀
본 고안인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착용 힌지(101)와, 상기 힌지(101)에 일단을 연결한 리벳(102)을 축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원호이동하는 스트랩(103)과, 상기 스트랩(103)의 타단이 삽통되 도록 가이드홀(104)이 형성된 하우징(105)과, 상기 하우징(105)의 가이드홀(104)에 삽통된 스트랩 부위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트랩(103)의 타단에 고정된 핀(106) 및 플레이트(107)와, 상기 플레이트(107)와 하우징(105) 사이에 설치된 충격완충수단으로 구성된 도어 첵크 링크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스트랩(103)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홀(110)이 형성된 고무판(108)과, 상기 고무판(108)과 플레이트(107)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트랩(103)의 주연부에 설치가 용이한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6 과 도 7 에 도시한 바와같이 2개의 도어힌지(111),(111')로 연결된 자동차 도어(112)와 차체(113)에 장착한다. 즉 상기 자동차 도어(112) 측에는 하우징(105)을 부착하고, 상기 차체(113) 측에는 힌지(101)을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도어체크링크는 도어(112)를 열고 닫을 때, 상기 도어(112)에 부착된 하우징(105)은 도어(112)와 같이 도어힌지(111),(111')를 축으로 원호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5)의 가이드홀(104)에 삽통된 스트랩(103)의 일부는 힌지(101)에 리벳팅된 일단을 축으로 하우징(105)과 동일한 방향으로 원호이동하며, 동시에 상기 스트랩(103)은 가이드홀(104)을 통하여 도어(110)내부 및 외부로 유입 및 유출되는 미끄럼 직선 왕복이동을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5)의 가이드홀(104)과 상기 가이드홀(104)에 삽통된 스크랩(103)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도어(112)가 반쯤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도어(112)를 더욱 열었을 때, 도어(112)의 내부로 삽입된 스트랩(103)의 끝단에 고정된 플레이트(107) 및 핀(106)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07)가 고정된 위치에서 도어(112)가 더 이상 열리지 않게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107)는 스트랩(103)이 삽통되는 하우징(105)의 가이드홀(104)에 걸리므로 도어(112)가 더이상 열리지 않고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07)와 하우징(105) 사이에는 도 8 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트랩(103)을 따라 이동하는 고무판(108) 및 상기 고무판(108)과 플레이트(107)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09)에 의하여 플레이트(107)와 하우징(105)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며, 동시에 플레이트(107)와 하우징(105)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은 상기 고무판(108)과 탄성부재(109)에서 2 단계로 감쇄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도어체크링크의 도어스토퍼작용시 도어의 스톱충격을 2 단계로 흡수하므로 댐핑효과가 증대되며, 따라서 하우징에 직접 접촉되는 고무판의 손상이 저감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부착용 힌지(101)와, 상기 힌지(101)에 일단을 연결한 리벳(102)을 축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원호이동하는 스트랩(103)과, 상기 스트랩(103)의 타단이 삽통되 도록 가이드홀(104)이 형성된 하우징(105)과, 상기 하우징(105)의 가이드홀(104)에 삽통된 스트랩 부위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트랩(103)의 타단에 고정된 핀(106) 및 플레이트(107)와, 상기 플레이트(107)와 하우징(105) 사이에 설치된 충격완충수단으로 구성된 도어 첵크 링크에 있어서,
    상기 상기 완충수단은 스트랩(103)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홀(110)이 형성된 고무판(108)과, 상기 고무판(108)과 플레이트(107)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09)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크링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09)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체크링크.
KR2019970011574U 1997-05-22 1997-05-22 도어체크링크 KR199800670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574U KR19980067061U (ko) 1997-05-22 1997-05-22 도어체크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574U KR19980067061U (ko) 1997-05-22 1997-05-22 도어체크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061U true KR19980067061U (ko) 1998-12-05

Family

ID=6968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574U KR19980067061U (ko) 1997-05-22 1997-05-22 도어체크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0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066B1 (ko) * 2001-06-26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066B1 (ko) * 2001-06-26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2680A (ko) 해제가능한 자동차 도어 제동기관
KR100867707B1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힌지유닛
KR19980067061U (ko) 도어체크링크
US20040060150A1 (en) Door jig assembly for use during manufacture of a vehicle
KR100527142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100597383B1 (ko) 버스의 스윙도어
KR200361241Y1 (ko) 도어 완충기
KR200148181Y1 (ko) 상용차량용 리어도어의 스토퍼
KR100368405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KR200143965Y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일체형 도어힌지구조
KR102659240B1 (ko) 팝업형 웨더스트립 장치
KR200158553Y1 (ko) 테일게이트의 댐핑 유동방지장치
KR100482632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KR100527115B1 (ko) 자동차의 엔진 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100380366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KR100376453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20070059376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9990005104A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KR100422880B1 (ko) 버스의 플랩도어용 스테이댐퍼 장착구조
KR0132607Y1 (ko) 완충용 클립을 구비한 콘솔 박스
KR100217664B1 (ko) 자동차 도어의 완충식 잠금장치
KR100197016B1 (ko) 자동차의 도어 체크 링크
KR200324654Y1 (ko) 끼임 방지용 도어체크
KR100394960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