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099Y1 -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099Y1
KR200149099Y1 KR2019960046332U KR19960046332U KR200149099Y1 KR 200149099 Y1 KR200149099 Y1 KR 200149099Y1 KR 2019960046332 U KR2019960046332 U KR 2019960046332U KR 19960046332 U KR19960046332 U KR 19960046332U KR 200149099 Y1 KR200149099 Y1 KR 200149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 rubber
shock absorbing
door frame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423U (ko
Inventor
박동순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60046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09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3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에 관한 것으로,특히 도어 선단(2b)에 설치되게 되어 있고, 도어프레임(3)과 맞닿아 압축변형되면서 그 도어프레임(3)에 도어(2)가 부딪힐 때 그 충격을 흡수완충하게 되는 완충부(11)를 구비하며,그 완충부(11)의 외벽에 주름부(13)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에 도어(2)가 부딪히면서 상기 완충부(11)가 충격을 받을 때 상기 주름부(13)가 압축변형되면서 그 충격을 흡수완충하도록 함으로써 완충력이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A damping rubber for a sliding door of a railroad car)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에 관한 것으로,특히 도어를 닫을 때 도어 선단과 도어레임과의 충격을 완충하여 도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도어프레임과 도어와의 충돌소음을 줄여주는 도어 멈춤고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출입문용 도어는 슬라이딩 개폐구조로 되어 있고 빈번하게 개폐되면서 도어프레임과 충돌하게 되므로, 도어의 선단에 완충수단을 설치하여 도어프레임과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도어 멈춤고무(50)는 도어프레임(3)과 접촉하면서 도어프레임(3)과 충돌시 그 충격을 완충해주는 완충부(51)가 구비되어 있고,이 도어 멈춤고무(50)를 도어 선단(2b)에 고정해주는 체결보울트의 시트(52)가 상기 완충부(51)의 상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도어 멈춤고무(50)의 완충부(51)는 고무재로 되어, 도어프레임(3)과 접촉할 때 압축변형되면서 도어프레임(3)과의 충격을 흡수완충하도록 되어 있지만,완충부(51)가 솔리드(solid)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의 압축변형량이 크지 않아 충분한 완충효과를 이루어 낼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완충부의 돌출높이를 높여서 압축변형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완충력을 높일 수는 있지만,돌출높이를 높일 경우에는 비압축시 또는 최대압축시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게되어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프레임과 도어 선단과의 틈새가 커지거나 도어가 열렸을 때 도어 선단에서 지나치게 돌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따라서 돌출높이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가 가진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길이방향 압축변형량을 증대시켜 완충력을 높인 철도차량의 멈춤고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어가 닫히면서 도어와 도어프레임과의 충격을 완충하게 되는 완충부가 외주면에 주름부를 구비하여 길이방향 압축변형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완충력을 증대시켜주는 구조로 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의 도어 멈춤에 따르면,도어가 닫히면서 선단면이 도어프레임과 접촉할 때 상기 멈춤고무의 완충부가 길이방향으로 수축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완충하게 됨으로써 도어와 도어프레임과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도어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고무가 설치된 철도차량 도어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정 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멈춤고무가 도어의 선단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3 은 도 2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멈춤고무의 제 2 실시예가 도어의 선단에 설치된 상태의 결합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멈춤고무의 제 3 실시예가 도어의 선단에 설치된 상태의 결합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멈춤고무의 제 4 실시예가 도어의 선단에 설치된 상태의 결합단면도,
도 7 은 종래 멈춤고무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멈춤고무 2: 도어
2a: 닫힘위치에 있는 도어2b: 도어 선단
3: 도어프레임 4: 도어행거
5: 상부 가이드채널 6: 체결보울트
11: 완충부12: 체결보울트 시트
13: 주름부14: 공간부
20: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멈춤고무의 제 2 실시예
21: 완충부23: 체결보울트 시트
30: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멈춤고무의 제 3 실시예
31: 제 1 완충부32: 제 2 완충부
40: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멈춤고무의 제 4 실시예
41: 제 1 완충부42: 제 2 완충부
50: 종래 도어 멈춤고무51: 완충부
52: 체결보울트 시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멈춤고무가 설치된 철도차량 도어의 정면도이고,도 2 는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멈춤고무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1)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외측벽에 둘레를 따라 요철이 형성된 주름부(13)가 구비되고,이 주름부(13) 내부에는 공간부(14)가 형성되어 도어프레임(3)과 도어 멈춤고무(1)를 상호 체결해주는 체결보울트(6)가 상기 공간부(14)를 통하여 도어 선단에 결합되면서 멈춤고무(1)를 체결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도어 멈춤고무(1)를 철도차량의 도어(2)의 상하 선단(2b)에 부착설치한다.여기서 상기 주름부(13)의 공간부(14)를 통하여 체결보울트(6)를 삽입하여 도어 선단(2b)에 멈춤고무(1)를 부착설치한다.
이와 같이 도어 멈춤고무(1)가 설치된 철도차량 도어(2)를 닫으면 도어 선단(2b)이 도어프레임(3)과 맞닿기 전에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멈춤고무(1)가 먼저 도어프레임(3)과 맞닿으면서 도어프레임(3)과의 충격을 흡수완충하게 된다.즉 상기 멈춤고무(1)가 도어(2)에 의해 도어프레임(3)에 압착되면 상기 멈춤고무(1)의 주름부(13)는 오무러드는 변형을 하면서 도어(2)와 도어프레임(3)과의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본 고안에 따른 도어 멈춤고무의 제 2 실시예(20)는,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어프레임(3)과 접촉하여 도어프레임(3)에 의해 압축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완충하는 완충부(21)가 체결보울트 시트(23)와는 별도로 구비되도록 한 구조로 된 것이다.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은 구조로 되어 체결보울트(6)를 체결하기 편리하게 함과 아울러 완충력도 향상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멈춤고무의 제 3 실시예(30)는,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다수개의 완충부(31,32)가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형성되고 이들 각각의 완충부에(31,32)는 외벽에 주름부(13)가 구비됨과 아울러 내부에 체결보울트(6)의 시트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완충력을 분배하게 함으로써 각 완충부의 돌출높이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도어 멈춤고무의 제 4 실시예(40)는,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높이가 서로 다른 제 1완충부(41)와 제 2완충부(42)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면서 상하측에 구비된 구조로 되어 도어(2)와 도어프레임(3)과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완충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즉,돌출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 1완충부(41)가 1차로 도어프레임(3)과 접촉하면서 도어(2)의 관성력을 흡수하여 도어(2)의 속도를 줄인 다음,돌출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 2 완충부(42)가 최종적으로 도어(2)와 도어프레임(3)과의 충격을 흡수완충함으로써 도어(2)가 닫힘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1)는 외력을 받으면 그 외벽의 주름부(13)가 오무러들면서 압축변형되면서 도어(2)와 도어프레임(3)과의 충격을 흡수완충하므로 도어 완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철도차량의 도어 선단(2b)에 설치되어 도어(2)와 도어프레임(3)과의 충격을 흡수완충하도록 된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에 있어서,도어프레임(3)과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완충하는 완충부(11)와 ,몸체를 도어 선단(2b)에 체결시켜주는 고정보울트의 시트(12)로 이루어지고,상기 완충부(11)는 외벽에 주름부(13)가 구비되어 압축변형량이 증대됨으로써 흡수완충력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완충부가 다수개 구비되고 이들 각 완충부는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형성되어 완충력을 배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완충부는 돌출높이를 다르게하여 도어프레임(3)과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완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완충부는 힘을 받는 방향으로 공간부(14)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14)를 통하여 체결보울트(6)가 도어(2)에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KR2019960046332U 1996-12-07 1996-12-07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KR200149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332U KR200149099Y1 (ko) 1996-12-07 1996-12-07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332U KR200149099Y1 (ko) 1996-12-07 1996-12-07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423U KR19980033423U (ko) 1998-09-05
KR200149099Y1 true KR200149099Y1 (ko) 1999-06-15

Family

ID=1947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332U KR200149099Y1 (ko) 1996-12-07 1996-12-07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0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423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886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JP4087632B2 (ja) フードストッパ構造
KR200149099Y1 (ko)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KR200402501Y1 (ko) 도어의 개폐장치
JPS5828139Y2 (ja) 自動車用ドアチエツク装置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100380362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9990047824A (ko)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스토퍼 댐핑장치
KR100376458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81088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 흡수장치
KR200144267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바 완충장치
KR920002869Y1 (ko) 문의 완충용 패킹
KR0138778Y1 (ko)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100380361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52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80356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970020864A (ko) 자동차의 오버슬램 범퍼
KR200158553Y1 (ko) 테일게이트의 댐핑 유동방지장치
KR100376450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448066B1 (ko) 진동방지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체커
KR100376453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63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9990019860U (ko)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KR100217664B1 (ko) 자동차 도어의 완충식 잠금장치
KR19980051739U (ko) 도어 충격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