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778Y1 -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778Y1
KR0138778Y1 KR2019960036481U KR19960036481U KR0138778Y1 KR 0138778 Y1 KR0138778 Y1 KR 0138778Y1 KR 2019960036481 U KR2019960036481 U KR 2019960036481U KR 19960036481 U KR19960036481 U KR 19960036481U KR 0138778 Y1 KR0138778 Y1 KR 0138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support plate
clip
cover
cli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106U (ko
Inventor
주길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6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77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1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트림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클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내측 트림(12)에 체결되는 클립 부재(22)와 ; 상기 클립 부재(22) 상에서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커버와 ; 상기 커버(24)에 장착되어 외측 트림(10)에 밀착되는 고무부(32)와 ; 상기 커버(24)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지지판(30)과 ; 상기 지지판(30)과 상기 클립 부재(22)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연결시켜 주는 2차 스프링(28) ; 및 상기 고무부(32)와 상기 지지판(30) 사이에 개재되는 1차 스프링(2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본 고안은 차량에 이용되는 트림 장착용 클립에 관한 것이고, 특히 트림과 트림의 마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clip structure for absorbing the impact)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트림은 차실 내부에 제공되는 내장을 말하고, 차실 내부에서 탑승자가 접촉되는 부분은 충격에 대해 쿠션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패드재 등으로 충진되며 몰딩도 되어 있다.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는 트림을 도어 트림이라 하고, 바닥 부분에 제공되는 트림을 플로어 트림이라 하며, 필러 부분에 제공되는 트림을 필러 트림이라 한다.
이러한 트림과 트림 사이의 구조를 도 1에 도시하였으며, 외측 트림인 제 1 트림(10)과 내측 트림인 제 2 트림(12) 사이에는 클립(14)이 개재된다. 상기 클립(14)은 상기 제 2 트림(12)과 체결되고, 상기 제 1 트림(10)과는 밀착되어 상기 트림들(10,12)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착 구조는 트림과 트림간의 간격 유지가 일정치 않게 되며, 또한 결합력이 감소되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고 나면 소음이 발생될 뿐 아니라, 충격에 약하게 되어 차량 충돌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상해치는 증대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림들 사이에 개재되는 클립 내부에 2단의 스프링을 설치시켜 진동과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클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로 상기 목적은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은, 내측 트림에 체결되는 클립 부재와; 상기 클립 부재상에서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에 개방된 커버와 ; 상기 커버에 장착되어 외측 트림에 밀착되는 고무부와 ; 상기 커버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 상기 지지판과 상기 클립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연결시켜 주는 2차 스프링 ; 및 상기 고무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는 1차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장착된 클립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장착된 클립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트림, 12 : 제 2 트림, 14 : 클립, 20 : 클립 구조물, 22 : 클립 부재, 24 : 커버, 26 ; 1차 스프링, 28 ; 2차 스프링, 30 : 지지판, 32 : 고무부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특징에 따라, 외측 트림이 충격을 받으면 고무부가 어느 정도의 힘을 흡수한 다음 상기 1차 스프링이 흡수를 하며, 최종적으로 2차 스프링이 힘을 흡수하므로써 힘의 분산이 다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장착된 클립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클립 구조물(10)은 클립 부재(22), 커버(24), 지지판(30), 1차 및 2차 스프링(26,28)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클립 부재(22)는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상기 제 2 트림(12)에 체결되며, 상기 클립 부재(22)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커버(24)가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24)의 중간 부부에는 지지판(30)이 장착되고, 상기 개방부에는 탄성부재인 고무부(32)가 끼워 맞춤된다.
상기 1차 스프링(26)은 상기 고무부(32)와 상기 지지판(3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2차 스프링(28)은 상기 지지판(30)과 상기 클립 부재(22)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연결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외측 트림인 제 1 트림(10)에 어떤 힘이 작용되면, 상기 트림(10)에 밀착된 고무부(32)에서 일차적으로 상기 힘을 흡수하고, 상기 제 1 차 스프링(26)이 그 다음 힘을 흡수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2차 스프링(28)이 힘을 흡수하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라, 트림과 트림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진동에 따른 마찰 소음이 방지되고, 또한 차량 충돌시에도 가해진 충격량을 다단계에 걸쳐 흡수되어 분산시키므로 탑승자의 상해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내측 트림에 체결되는 클립 부재와 ; 상기 클립 부재상에서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커버와 ; 상기 커버에 장착되어 외측 트림에 밀착되는 고무부와 ; 상기 커버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 상기 지지판과 상기 클립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연결시켜 주는 2차 스프링; 및 상기 고무부와 상기 지지판 사이에 개재되는 1차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2019960036481U 1996-10-30 1996-10-30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0138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481U KR0138778Y1 (ko) 1996-10-30 1996-10-30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481U KR0138778Y1 (ko) 1996-10-30 1996-10-30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06U KR19980023106U (ko) 1998-07-25
KR0138778Y1 true KR0138778Y1 (ko) 1999-04-01

Family

ID=1947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481U KR0138778Y1 (ko) 1996-10-30 1996-10-30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7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06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4689A (en) Vibration absorbing apparatus for steering wheel with an airbag
JP2785669B2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0138778Y1 (ko)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100445176B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KR100237862B1 (ko) 자동차의 도어벨트부 패딩구조
KR100424745B1 (ko) 사이드도어의 충격흡수구조
KR19990006282U (ko) 자동차용 엔진후드 댐핑구조
KR100189491B1 (ko) 차량의 충격 흡수용 클립 구조물
KR200156078Y1 (ko) 자동차 휀더의 완충러버 체결구조
KR200161611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100381088B1 (ko) 자동차 후드의 충격 흡수장치
KR100197801B1 (ko) 자동차의 후드 오버슬램범퍼 완충장치
KR200162532Y1 (ko) 버스 손잡이의 완충장치
KR100368397B1 (ko) 자동차의 후드힌지 구조
KR970020864A (ko) 자동차의 오버슬램 범퍼
KR19980035756U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완충용 스토퍼
KR200149099Y1 (ko) 철도차량의 도어 멈춤고무
KR200149305Y1 (ko) 룸밀러의 충돌완화 장치
KR920003623Y1 (ko) 자동차도어의 충격 흡수장치
KR19990007667U (ko) 자동차의 도어 록 버튼 요동 방지장치
KR0118616Y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의 캐리어스토퍼
KR19980038285U (ko) 자동차 도어의 충격흡수빔구조
KR19980038588A (ko) 자동차용 사이드 프로텍션 몰딩의 완충구조
KR19990026989U (ko) 도어의 충격흡수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