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886B1 -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886B1
KR101655886B1 KR1020150144162A KR20150144162A KR101655886B1 KR 101655886 B1 KR101655886 B1 KR 101655886B1 KR 1020150144162 A KR1020150144162 A KR 1020150144162A KR 20150144162 A KR20150144162 A KR 20150144162A KR 101655886 B1 KR101655886 B1 KR 10165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piece
button
pair
c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희
송순분
Original Assignee
김국희
송순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희, 송순분 filed Critical 김국희
Priority to KR102015014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10Hydraulic or pneuma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윙 바디나 사이드 게이트를 잠금 하는 것으로서 윙 바디와 사이드 게이트에 설치되는 삽입부에 삽입편을 자동으로 삽입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잠금할 수 있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LO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WING BODY TYP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윙 바디나 사이드 게이트를 잠금 하는 것으로서 윙 바디와 사이드 게이트에 설치되는 삽입부에 삽입편을 자동으로 삽입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잠금할 수 있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윙 바디를 구비하는 차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 형상을 가지는 윙 바디(W)와 상기 윙 바디(W)가 닫힌 상태에서 접하는 사이드 게이트(S)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사이드 게이트(S)는 센터 포스트(CP) 좌우 양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사이드 게이트(S)와 센터 포스트(CP)에 상기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하는 잠금 장치(1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잠금 장치(10)는 차량의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설치되는 제1잠금 장치(11)와 상기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는 제2잠금 장치(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잠금 장치(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장착부(C1)와 후방 장착부(C2)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윙 바디를 가압하여 잠금 하는 윙 바디 잠금 장치(11-1)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하는 사이드 게이트 잠금 장치(11-2)를 포함한다.
상기 윙 바디 잠금 장치(11-1)는 윙 바디(W)를 가압하는 가압판(11a)과 상기 가압판(11a)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잠금 돌기에 잠금 되는 본체(11b)및 상기 본체(11b)에 설치되는 핸들(H)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본체(11b)를 들어 올려 잠금 돌기에 잠금된 후 다시 내리면 상기 가압판(11a)이 윙 바디(W)를 가압하는 상태로 되어 상기 윙 바디(W)를 잠금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게이트 잠금 장치(11-2)의 경우는 상기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설치되는 걸림부(S1)가 상기 장착부(C)까지 연장된 후 잠금 돌기가 돌출된다. 이러한 잠금 돌기에 상기 본체(11b)가 걸림 되어 가압하게 되어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하게 된다.
한편, 센터 포스트(CP)에서는 이러한 윙 바디 잠금 장치(11-1)와 사이드 게이트 잠금 장치(11-2) 한 쌍의 좌우측 각각 설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윙 바디(W) 또는 사이트 게이트(S)를 잠금 하는 잠금 장치는 차량의 일 측에 6개가 배치되고 전체적으로 12개가 배치된다.
이러한 잠금 장치를 잠금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12개 모두의 잠금 장치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잠금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가 잠금 장치를 잠금하지 않아 사고로 이어지거나 윙 바디의 변형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윙 바디 또는 사이드 게이트 잠금 장치 자체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1999-170873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802346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082540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82730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983025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434979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110708호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8-000476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윙 바디와 사이드 게이트에 설치되는 삽입부에 삽입편을 자동으로 삽입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잠금할 수 있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일 측에 형성되는 장착부(C) 또는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어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각각 설치되는 제1잠금장치(100-1) 및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잠금장치(100-2)를 포함하되, 상기 각 잠금 장치는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되는 삽입편(114)과 상기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114)이 삽입되는 삽입부(I)를 포함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제1잠금장치(100-1)는 차량의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각각 설치되어 승하강 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111)와, 상기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편(114)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114)을 승하강시키는 작동 바아(113)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I)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서 상기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설치되는 제1삽입부(120)와, 상기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설치되되 상기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를 덮는 걸림부(S1)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장착되는 제2삽입부(130)와, 상기 윙 바디(W)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제3삽입부(14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잠금장치(100-2)는 차량의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어 승하강 동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111)와, 상기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편(114)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114)을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작동 바아(113)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I)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서 상기 센터 포스트(CP)의 양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120)와, 양측의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센터 포스트(CP)를 덮는 한 쌍의 걸림부(S1)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130)와, 상기 윙 바디(W)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3삽입부(14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잠금장치(100-2)는 차량의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어 승하강 동력을 발생하는 1개의 액츄에이터(111)와, 상기 액츄에이터(111)에 설치되는 1개의 작동 바아(113)와 상기 작동 바아(113)에 의해 승하강되는 한 쌍의 삽입편(114)과, 상기 한 쌍의 작동 바아(113)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작동 바아(113)가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바아(115)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I)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서 상기 센터 포스트(CP)의 양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120)와, 양측의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센터 포스트(CP)를 덮는 한 쌍의 걸림부(S1)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130)와, 상기 윙 바디(W)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3삽입부(14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잠금 장치는 상기 액츄에이터(111)를 내장하는 하우징(112)과, 상기 하우징(112) 내부에 설치되는 전동기(M) 및 상기 전동기(M)에 의해 구동되는 볼 스크류(111-1)와, 상기 하우징(112)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 스크류(111-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 스크류(111-1)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삽입편(114)이 설치되는 무빙 너트(111-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111)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윙 바디를 잠금 하는 방법으로서, 제어부(CON)에 의해 액츄에이터(111)를 구동하여 삽입편(114)을 삽입부(I)에 삽입하여 윙 바디와 사이드 게이트를 잠금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편(114)은 제1삽입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승하여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어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하고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윙 바디(W)를 잠금 하는 한편, 상기 삽입편(114)은 제3삽입부(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하여 사이드 게이트(S)의 잠금을 해제하고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하여 윙 바디(W)의 잠금을 해제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는 업 버튼(CON-1)과 다운 버튼(CON-2)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업 버튼(CON-1)을 누를 시 삽입편(114)을 상승시켜 제3삽입부(140) 내부에 삽입되게 하여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하고, 사용자가 다운 버튼(CON-2)을 누를 시 삽입편(114)을 제1삽입부(12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강시켜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삽입편(114)이 제1삽입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 버튼(CON-1)을 누를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삽입부(I) 중 제2삽입부(130)에 삽입된 후 정지하되 사용자가 상기 업 버튼(CON-1)을 추가로 누른 경우 상기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게 하고, 삽입편(114)이 제3삽입부(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운 버튼(CON-2)을 누를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삽입부(I) 중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한 후 정지하되 사용자가 상기 다운 버튼(CON-2)을 추가로 누른 경우 상기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는 업 버튼(UP)과 다운 버튼(DOWN)을 구비하되, 상기 업 버튼(UP)은 상기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편(114)을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상승시키는 제1단 업 버튼(UP-1)과, 상기 제2삽입부(130)에 삽입된 삽입편(114)을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상승시키는 제2단 업 버튼(UP-2)을 구비하고, 상기 다운 버튼(DOWN)은 상기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편(1124)을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하강시키는 제1단 다운 버튼(DOWN-1)과, 상기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편(114)을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하강시키는 제2단 다운 버튼(DOWN-2)을 구비하여, 삽입편(114)이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단 업 버튼(UP-1) 또는 제2단 업 버튼(UP-2)을 누르는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제어부(CON)가 액츄에이터(111)를 구동하고, 삽입편(114)이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단 다운 버튼(UP-1) 또는 제2단 다운 버튼(UP-2)을 누르는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제어부(CON)가 액츄에이터(111)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윙 바디와 사이드 게이트에 설치되는 삽입부에 삽입편을 자동으로 삽입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잠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윙 바디 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잠금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로서 사이드 게이트가 오픈된 상태에서 제2삽입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로서 제1잠금 장치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로서 윙 바디가 오픈된 상태에서 제3삽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로서 액츄에이터와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로서 사이드 게이트가 오픈된 상태에서 제2삽입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로서 제1잠금 장치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로서 윙 바디가 오픈된 상태에서 제3삽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로서 액츄에이터와 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C) 또는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어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각각 설치되는 제1잠금장치(100-1) 및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잠금장치(100-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각 잠금 장치 즉, 제1잠금 장치(100-1)와 제2잠금 장치(100-2)는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되는 삽입편(114)과 상기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114)이 삽입되는 삽입부(I)를 포함한다.
즉, 삽입부(I)가 사이드 게이트(S)와 윙 바디(W)에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삽입부(I)에 삽입편(114)이 승하강하여 윙 바디(W)나 사이드 게이트(S)가 잠금 되거나 혹은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편(114)은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삽입편(114)이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하여 상기 삽입부(I)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므로 자동으로 상기 윙 바디(W)나 사이드 게이트(W)가 잠금 되거나 혹은 잠금이 해제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윙 바디(W) 또는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 그리고 센터 포스트(CP) 자체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잠금장치(100-1)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각각 설치되어 승하강 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111)와, 상기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편(114)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114)을 승하강시키는 작동 바아(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I)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서 상기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설치되는 제1삽입부(120)와, 상기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설치되되 상기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를 덮는 걸림부(S1)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장착되는 제2삽입부(130)와, 상기 윙 바디(W)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제3삽입부(140)를 포함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삽입편(114)은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편(114)이 설치되는 작동 바아(11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I)는 형상이 동일한 3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설치되는 제1삽입부(120)를 우선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120)는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삽입부(120) 내부에 상기 삽입편(114)이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I) 중 제2삽입부(130)는 상기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설치되되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를 덮는 걸림부(S1)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장착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삽입부(130)는 걸림부(S1)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설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게이트(S)를 오픈하면 나타나게 된다.
이는 상기 제3삽입부(140)의 경우도 동일하다. 즉, 상기 제3삽입부(140)는 상기 윙 바디(W)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윙 바디(W)가 들려지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잠금 장치(100-1)는 차량의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잠금부(I)가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와 걸림부(S1) 그리고 윙 바디(W)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장치(100-1)에 의하면 1개의 잠금 장치로 상기 사이드 게이트(S) 및 윙 바디(W)를 잠금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종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 바디(W)를 잠금 하기 위한 잠금 장치(11-1)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하기 위한 잠금 장치(11-2)가 별도로 필요해서 구성이 복잡하고 원가가 많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1개의 잠금 장치로서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잠금장치(10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어 승하강 동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111)와, 상기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편(114)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114)을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작동 바아(11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잠금 장치(10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 포스트(CP)에서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센터 포스트(CP)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게이트(S)를 각각 잠금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I)는 제1잠금 장치(100-1)와 유사하게 제1삽입부(120), 제2삽입부(130) 그리고 제3삽입부(14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제2잠금 장치(100-2)에서 제1삽입부(120)는 상기 센터 포스트(CP)의 양 측에 설치되는 점이 상이하며 그 형상은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서 제1잠금 장치의 삽입부와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이하 설명되는 제2삽입부(130) 및 제3삽입부(14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삽입부(130)는 양측의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센터 포스트(CP)를 덮는 한 쌍의 걸림부(S1)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각각 장착된다.
즉, 사이드 게이트(S)는 센터 포스트(CP)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부(C1) 역시 상기 좌우측 사이드 게이트(S)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센터 포스트(CP)에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삽입부(130)는 이러한 걸림부(C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방향은 상술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3삽입부(140)는 제1잠금 장치(100-1)와 동일하게 상기 윙 바디(W)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2잠금장치(100-2)의 구성은 도 2개의 액츄에이터(111)와 작동 바아(113) 그리고 상기 작동 바아(113)에 장치되는 2개의 삽입편(114)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삽입부(120,130,140) 역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잠금 장치(100-2)에 의해 상기 삽입편(114)이 승하강하면서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2잠금 장치(10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어 승하강 동력을 발생하는 1개의 액츄에이터(111)와, 상기 액츄에이터(111)에 설치되는 1개의 작동 바아(113)와 상기 작동 바아(113)에 의해 승하강되는 한 쌍의 삽입편(114)과, 상기 한 쌍의 작동 바아(113)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작동 바아(113)가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바아(1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경우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제2잠금 장치(100-2)는 1개의 액츄에이터(111)에 1개의 작동 바아(113)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 바아(113)는 연결 바아(115)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 바아(115)는 2개의 삽입편(114)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 측, 도 3에 도시된 경우 저면에 상기 작동 바아(113)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작동 바아(113)가 승하강 하면 연결 바아(115)가 승하강하고 이에 의해 한 쌍의 삽입편(114)이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도 삽입부(I)는 도 2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하다. 즉, 상기 삽입부(I)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서 상기 센터 포스트(CP)의 양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120)와, 양측의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센터 포스트(CP)를 덮는 한 쌍의 걸림부(S1)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130)와, 상기 윙 바디(W)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3삽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은 제1잠금 장치(100-1)와 제2잠금 장치(100-2)에 의해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보다 용이하게 잠금 하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잠금 장치(100-1,100-2)의 삽입편(114)은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된다.
이러한 상기 잠금 장치(100-1,100-2)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111)를 내장하는 하우징(112)과, 상기 하우징(112) 내부에 설치되는 전동기(M) 및 상기 전동기(M)에 의해 구동되는 볼 스크류(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12)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 스크류(111-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 스크류(111-1)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삽입편(114)이 설치되는 무빙 너트(111-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볼 스크류(111-1)가 전동기(M)에 의해 회전하면 하우징(11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무빙 너트(111-2)는 회전하지 못하므로 상기 볼 스크류(111-1)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승하강 하는 무빙 너트(111-2)에 상기 작동 바아(113)가 설치되어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 바아(113)는 상기 전동부(M)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하므로 상기 전동부(M)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111)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CON)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제어부(CON)를 차량의 양 측면 앞부분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윙 바디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서 상기 제어부(CON)를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동기(M)에 널리 알려진 감속기를 설치하여 구동 토크를 증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편(114)은 상술된 바와 같이 삽입부(I)에 삽입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를 수행할 수 있는 한 상기 삽입편(114)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편(114)의 상단부를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두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삽입부(I)의 경우 윙 바디(W) 또는 사이드 게이트(S)의 진동이나 설치 오차 등에 의해 설계된 위치에 있지 못하고 위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삽입편(114)이 삽입부(I)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편(114)의 상단부를 상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게 형성되거나 두께가 감속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도 7의 확대도는 상기 삽입편(114)의 평면도로서 상기 삽입편(114)의 상단부가 폭 방향 그리고 두께 방향으로 감소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윙 바디(W)의 경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삽입편(114)과 제3삽입부(140)가 상호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3삽입부(140)의 중공 부분의 길이 중 차량의 전후 방향 길이를 특정 치수만큼 증가시켜 공차를 형성해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I)의 경우 사각형 단면의 박스 형상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어 상기 삽입편(114)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6참조)
다만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상술된 바와 같이 삽입편(114)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인 한 상기 삽입편(114)이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삽입부(I)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형성되어 윙 바디(W)나 사이드 게이트(S) 또는 차량 장착부(C)에 고정되는 고정판(PL)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판(PL)에 고정구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PL)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7과 도 8 및 상술한 본 발명의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하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CON)에 의해 액츄에이터(111)를 구동하여 삽입편(114)을 삽입부(I)에 삽입하여 윙 바디와 사이드 게이트를 잠금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제1삽입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편(114)은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어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하고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윙 바디(W)를 잠금 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삽입편(114)은 제3삽입부(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하여 사이드 게이트(S)의 잠금을 해제하고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하여 윙 바디(W)의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CON)는 업 버튼(CON-1)과 다운 버튼(CON-2)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업 버튼(CON-1)을 누를 시 삽입편(114)을 상승시켜 제3삽입부(140) 내부에 삽입되게 하여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하고, 사용자가 다운 버튼(CON-2)을 누를 시 삽입편(114)을 제1삽입부(12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강시켜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삽입편(114)이 제1삽입부(120)에서 제3삽입부(140)까지 일시에 상승하여 삽입되면 안정적인 구동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삽입편(114)이 제2삽입부(130)에서 일시 정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삽입편(114)이 제1삽입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 버튼(CON-1)을 누를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삽입부(I) 중 제2삽입부(130)에 삽입된 후 정지하되 사용자가 상기 업 버튼(CON-1)을 추가로 누른 경우 상기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삽입편(114)이 제3삽입부(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운 버튼(CON-2)을 누를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삽입부(I) 중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한 후 정지하되 사용자가 상기 다운 버튼(CON-2)을 추가로 누른 경우 상기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삽입편(114)을 제1삽입부(120)에서 제3삽입부(140)까지 상승시켜 사이드 게이트(S)와 윙 바디(M)를 모두 잠금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제2삽입부(130)에서 일시 정시시킨 후 추가적인 업 버튼(CON1)의 누름이 있는 경우에만 제3삽입부(140)까지 상승시켜 보다 안정적인 구동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는 반대의 경우도 동일하다. 즉, 삽입편(114)이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있는 경우 다운 버튼(CON-2)을 눌러 사이드 게이트(S)와 윙 바디(W)를 일거에 잠금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만 하강한 후 추가적인 다운 버튼(CON-2)이 눌러지는 경우에만 제1삽입부(120)의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CON)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편(114)을 상승시키는 업 버튼(UP)과 삽입편(114)을 하강시키는 다운 버튼(DOWN)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업 버튼(UP)은 상기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편(114)을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상승시키는 제1단 업 버튼(UP-1)과, 상기 제2삽입부(130)에 삽입된 삽입편(114)을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상승시키는 제2단 업 버튼(UP-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단 업 버튼(UP-1)에 의해 삽입 편(114)이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제어부(CON)가 액츄에이터(111)를 구동하여 상기 삽입편(114)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또한, 제2단 업 버튼(UP-2)은 삽입편(114)이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추가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유사하게 상기 다운 버튼(DOWN)은 상기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편(1124)을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하강시키는 제1단 다운 버튼(DOWN-1)과, 상기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편(114)을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하강시키는 제2단 다운 버튼(DOWN-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편(114)이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단 업 버튼(UP-1) 또는 제2단 업 버튼(UP-2)을 누르는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제어부(CON)가 액츄에이터(111)를 구동한다.
즉, 삽입편(114)이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삽입편(114)이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1단 업 버튼(UP-1)을 눌러야 하나 실수로 사용자가 제2단 업 버튼(UP-2)을 누르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삽입편(114)은 제1단 업 버튼(UP-1)을 누르는 경우와 동일하게 삽입편(114)은 제2삽입부(130) 삽입되도록 상승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삽입편(114)이 제2삽입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단 업 버튼(UP-2)을 누르면 삽입편(114)은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도록 상승된다.
이는 다운 버튼(DOWN)을 누르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즉, 삽입편(114)이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단 다운 버튼(UP-1) 또는 제2단 다운 버튼(UP-2)을 누르는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제어부(CON)가 액츄에이터(111)를 구동한다.
즉, 삽입편(114)이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삽입편(114)이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1단 다운 버튼(DOWN-1)을 눌러야 하나 실수로 사용자가 제2단 다운 버튼(DOWN-2)을 누르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삽입편(114)은 제1단 다운 버튼(DOWN-1)을 누르는 경우와 동일하게 삽입편(114)은 제2삽입부(130) 삽입되도록 하강되는 것이다.
또한, 유사하게 상기 삽입편(114)이 제2삽입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단 다운 버튼(DOWN-2)을 누르면 삽입편(114)은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도록 하강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잠금 장치 111 : 액츄에이터
111-1 : 볼 스크류 111-2 : 무빙 너트
112 : 하우징 113 : 작동 바아
114 : 삽입편 120 : 제1삽입부
130 : 제2삽입부 140 : 제3삽입부
CON : 제어부 CON1 : 업 버튼
CON2 : 다운 버튼

Claims (10)

  1. 차량 일 측에 형성되는 장착부(C) 또는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어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 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각각 설치되는 제1잠금장치(100-1) 및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잠금장치(100-2)를 포함하되,
    상기 각 잠금 장치는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되는 삽입편(114)과 상기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114)이 삽입되는 삽입부(I)를 포함하되,
    상기 제1잠금장치(100-1)는 차량의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각각 설치되어 승하강 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111)와, 상기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편(114)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114)을 승하강시키는 작동 바아(113)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I)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서 상기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에 설치되는 제1삽입부(120)와, 상기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설치되되 상기 전방 장착부(C1) 및 후방 장착부(C2)를 덮는 걸림부(S1)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장착되는 제2삽입부(130)와, 상기 윙 바디(W)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제3삽입부(140)를 포함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장치(100-2)는 차량의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어 승하강 동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액츄에이터(111)와, 상기 액츄에이터(111)에 의해 승하강 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편(114)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114)을 승하강시키는 한 쌍의 작동 바아(113)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I)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서 상기 센터 포스트(CP)의 양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120)와, 양측의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센터 포스트(CP)를 덮는 한 쌍의 걸림부(S1)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130)와, 상기 윙 바디(W)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3삽입부(140)를 포함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장치(100-2)는 차량의 센터 포스트(CP)에 설치되어 승하강 동력을 발생하는 1개의 액츄에이터(111)와, 상기 액츄에이터(111)에 설치되는 1개의 작동 바아(113)와 상기 작동 바아(113)에 의해 승하강되는 한 쌍의 삽입편(114)과, 상기 한 쌍의 작동 바아(113)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되 상기 작동 바아(113)가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 바아(115)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I)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서 상기 센터 포스트(CP)의 양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삽입부(120)와, 양측의 사이드 게이트(S) 일 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센터 포스트(CP)를 덮는 한 쌍의 걸림부(S1)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130)와, 상기 윙 바디(W)의 내측면(차량 내부 방향 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제3삽입부(140)를 포함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잠금 장치는 상기 액츄에이터(111)를 내장하는 하우징(112)과,
    상기 하우징(112) 내부에 설치되는 전동기(M) 및 상기 전동기(M)에 의해 구동되는 볼 스크류(111-1)와,
    상기 하우징(112)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 스크류(111-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 스크류(111-1)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하며 상기 삽입편(114)이 설치되는 무빙 너트(111-2)를 포함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11)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더 포함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윙 바디를 잠금 하는 방법으로서,
    제어부(CON)에 의해 액츄에이터(111)를 구동하여 삽입편(114)을 삽입부(I)에 삽입하여 윙 바디와 사이드 게이트를 잠금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편(114)은 제1삽입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승하여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어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하고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윙 바디(W)를 잠금 하는 한편,
    상기 삽입편(114)은 제3삽입부(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하여 사이드 게이트(S)의 잠금을 해제하고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하여 윙 바디(W)의 잠금을 해제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CON)는 업 버튼(CON-1)과 다운 버튼(CON-2)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업 버튼(CON-1)을 누를 시 삽입편(114)을 상승시켜 제3삽입부(140) 내부에 삽입되게 하여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를 잠금하고,
    사용자가 다운 버튼(CON-2)을 누를 시 삽입편(114)을 제1삽입부(120)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강시켜 윙 바디(W)와 사이드 게이트(S)의 잠금을 해제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삽입편(114)이 제1삽입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업 버튼(CON-1)을 누를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삽입부(I) 중 제2삽입부(130)에 삽입된 후 정지하되 사용자가 상기 업 버튼(CON-1)을 추가로 누른 경우 상기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게 하고,
    삽입편(114)이 제3삽입부(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운 버튼(CON-2)을 누를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삽입부(I) 중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한 후 정지하되 사용자가 상기 다운 버튼(CON-2)을 추가로 누른 경우 상기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CON)는 업 버튼(UP)과 다운 버튼(DOWN)을 구비하되,
    상기 업 버튼(UP)은 상기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편(114)을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상승시키는 제1단 업 버튼(UP-1)과, 상기 제2삽입부(130)에 삽입된 삽입편(114)을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상승시키는 제2단 업 버튼(UP-2)을 구비하고,
    상기 다운 버튼(DOWN)은 상기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편(1124)을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하강시키는 제1단 다운 버튼(DOWN-1)과, 상기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편(114)을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편(114)을 하강시키는 제2단 다운 버튼(DOWN-2)을 구비하여,
    삽입편(114)이 제1삽입부(12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단 업 버튼(UP-1) 또는 제2단 업 버튼(UP-2)을 누르는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제어부(CON)가 액츄에이터(111)를 구동하고,
    삽입편(114)이 제3삽입부(14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단 다운 버튼(UP-1) 또는 제2단 다운 버튼(UP-2)을 누르는 경우 상기 삽입편(114)은 제2삽입부(130)에 삽입되도록 제어부(CON)가 액츄에이터(111)를 구동하는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방법.
KR1020150144162A 2015-10-15 2015-10-15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 KR101655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162A KR101655886B1 (ko) 2015-10-15 2015-10-15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162A KR101655886B1 (ko) 2015-10-15 2015-10-15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886B1 true KR101655886B1 (ko) 2016-09-08

Family

ID=5695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162A KR101655886B1 (ko) 2015-10-15 2015-10-15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88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0708Y1 (en) 1994-08-06 1997-12-06 Jindo Co Ltd Wing body
JPH11170873A (ja) 1997-12-09 1999-06-29 Maruyasu Kk ウイング開閉駆動用油圧装置の取付構造
KR100434979B1 (ko) 2001-11-27 2004-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과 와이어를 이용한 적재함 테일 게이트 잠금 장치
KR100802346B1 (ko) 2007-10-23 2008-02-13 한민구 윙바디 차량
KR100827309B1 (ko) 2007-10-09 2008-05-06 (주)탑월드특장차 윙바디용 개폐 보조장치
KR20080004766U (ko) 2007-04-17 2008-10-22 유근수 윙바디의 윙 및 측방 도아 잠금 장치
KR100983025B1 (ko) 2010-04-08 2010-09-17 형제산업(주) 윙바디 잠금장치
KR101082540B1 (ko) 2009-07-20 2011-11-10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JP2015518439A (ja) * 2012-01-25 2015-07-02 イ, スン チェLEE, SoonChae ウイングボディー車両のウイング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0708Y1 (en) 1994-08-06 1997-12-06 Jindo Co Ltd Wing body
JPH11170873A (ja) 1997-12-09 1999-06-29 Maruyasu Kk ウイング開閉駆動用油圧装置の取付構造
KR100434979B1 (ko) 2001-11-27 2004-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과 와이어를 이용한 적재함 테일 게이트 잠금 장치
KR20080004766U (ko) 2007-04-17 2008-10-22 유근수 윙바디의 윙 및 측방 도아 잠금 장치
KR100827309B1 (ko) 2007-10-09 2008-05-06 (주)탑월드특장차 윙바디용 개폐 보조장치
KR100802346B1 (ko) 2007-10-23 2008-02-13 한민구 윙바디 차량
KR101082540B1 (ko) 2009-07-20 2011-11-10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KR100983025B1 (ko) 2010-04-08 2010-09-17 형제산업(주) 윙바디 잠금장치
JP2015518439A (ja) * 2012-01-25 2015-07-02 イ, スン チェLEE, SoonChae ウイングボディー車両のウイング開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37465A1 (en) Motor Vehicle
WO2018024405A1 (de) Türgriff mit einem bewegbaren notöffnungselement
EP2206859A1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CN104417328B (zh) 用于具有盖的车顶的组件
DE102015226148A1 (de) Integration eines mobilen Geräts in ein Kraftfahrzeug mittels eines Adapterrahmens
JP2007177421A (ja) ウインドウガラスの昇降装置
JP5418451B2 (ja) 電動スライド装置
DE102011086423B4 (de) Trägersystem für eine medizinische Versorgungseinheit
KR101655886B1 (ko) 윙 바디 방식 차량의 잠금 장치 및 방법
WO2005053981A1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06518016A (ja) 自動車両のためのエンジンフードロック
CN108005493A (zh) 一种箱包锁及箱包
CN207749937U (zh) 一种箱包锁及箱包
EP1762435A1 (en) Lid apparatus
CN108454595A (zh) 一种自动驻车装置及其控制方法
EP2381055B1 (de) Schloss für ein verschliessteil
JP2002509214A (ja) 車両ドア用ラッチ
CN206170485U (zh) 一种门体发泡模架机械手开启系统
DE20104221U1 (de) Einstieg für Schienenfahrzeuge
CN104343297A (zh) 一种皮卡车箱后挡板的远程解闩系统
DE19802477A1 (de) Türmodul mit außenliegendem Seil-Fensterheber
JP2018001982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4168294A (ja) 自動車のための取外し可能なルーフ
CN211923873U (zh) 一种客车内摆乘客门自动锁及车辆
CN114450189A (zh) 用于机动车的充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