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610Y1 -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610Y1
KR200162610Y1 KR2019970021483U KR19970021483U KR200162610Y1 KR 200162610 Y1 KR200162610 Y1 KR 200162610Y1 KR 2019970021483 U KR2019970021483 U KR 2019970021483U KR 19970021483 U KR19970021483 U KR 19970021483U KR 200162610 Y1 KR200162610 Y1 KR 200162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ompartment
compartment
hood assembly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471U (ko
Inventor
최영도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70021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61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6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티리의 인출 및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차체(10)의 상부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면에 배터리(7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구(27)가 형성되는 배터리 격납실(20)과; 배터리 격납실(20)의 내부 바닥에 제공되어 배터리(70)를 받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32)를 갖춘 롤러 트레이(30)와; 배터리 격납실(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배터리 격납실(20)의 상부를 개폐하는 후드조립체(40)와; 후드조립체(40)에 고정되어 후드조립체(40)가 배터리 격납실(20)을 덮고 있을 때 배터리 격납실(20)에 수납된 배터리(70)의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바(50)로 이루어진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배터리의 인출 및 삽입작업을 간편하게 이루게 되는 것은 물론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본 고안은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지게차에서 주행 조향 그리고 작업기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의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하물(荷物)을 들어 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이것을 제한된 공간내에서 요구하는 위치로 운반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동력원에 따라 엔진지게차와 전동지게차로 구별된다. 전자의 엔진지게차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유압모터를 구동하고, 유압모터에서 발생되는 유압으로 조향 및 주행 그리고 작업기에 필요한 모든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배기가스가 발생되고, 소음이 크게 발생하여 주로 실외의 작업에서 이용된다. 그리고, 후자의 전동기게차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며 각각 주행 및 작업에 필요한 두 개의 모터를 구비하고, 그 하나는 주행시 구동바퀴를 회전시키게 되고, 다른 하나는 유압펌프를 작동시켜 유압을 발생토록 하여 작업 및 조향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배기가스가 없으며, 소음이 작으므로 실내의 작업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동지게차에 관련된 것으로, 전동지게차는 차체와, 스테이에 의해 차체에 지지되며 차체의 상부를 덮는 캐빈으로 이루어지며, 차체의 전방에는 2단 또는 3단으로 구성되어 리프트실린더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길이가변 하는 마스트조립체가 설치되고, 이 마스트조립체는 틸팅실린더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마스트조립체에는 마스트조립체를 따라 승강하는 캐리지가 설치되며, 캐리지에는 실제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오크가 상호간의 간격이 조정가능 하도록 고정된다. 차체의 하부에는 배터리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작업기 및 조향에 필요한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펌프구동모터 및 차량의 주행력을 제공하는 차량구동모터가 설치되는 동력실 및 상기 유압장치들이 설치되는 유압제어실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차체의 상부에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격납실이 형성되고, 이 배터리 격납실은 운전석이 설치되는 후드조립체에 의해 개폐된다.
배터리는 예컨대, 와이어 로우프 등을 걸수 있도록 걸림구멍을 갖는 배터리 케이스에 내장되어 격납실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지게차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동력원으로 전기를 이용하고 있고, 전원으로는 고정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관계로 일정한 전력을 보유하는 배터리를 이용하고 있다. 배터리는 재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일회 충전에 가능한 장시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대략 500kg 이상의 고중량으로 제작되어 진다.
따라서, 배터리를 인출할 경우에는 상기 후드조립체를 개방한 상태에서 크레인등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상부로 둘어올려 인출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는 배터리의 인출이 매우 어려운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종래에는 배터리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크레인에 연결된 훅크체인이나 와이어 로우프를 배터리 케이스에 형성되는 걸림구멍에 걸은 후에 크레인을 작동시켜 배터리케이스를 상부로 들어올리고, 배터리박스가 일정높이에 이르면 크레인을 이동시켜 차량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인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배터리 삽입시에도 상기와 같은 동작을 역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크레인을 배터리 케이스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므로 인해 배터리 인출작업이 지연되는 것은 물론 고중량의 배터리를 들어올려야 하므로 작업중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게 되고, 필히 크레인등의 인출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으므로 차량을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티리의 인출 및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지게차의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를 지게차의 정면에서 도시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부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차체 20: 배터리 격납실
22: 스토퍼 24: 가이드바
26: 완충부재 30: 롤러트레이
32: 가이드롤러 40: 후드조립체
50: 이탈방지바 70: 배터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체의 상부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면에 배터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는 배터리 격납실과 배터리 격납실의 내부 바닥에 제공되어 배터리를 받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를 갖춘 롤러 트레이와; 배터리 격납실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배터리 격납실의 상부를 개폐하는 후드조립체와 후드조립체에 고정되어 후드조립체가 배터리 격납실을 덮고 있을 때 배터리 격납실에 수납된 배터리의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바로 이루어진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트레이는 복수의 가이드롤러가 배터리의 출입방향으로 구름운동하도록 정렬되어 배터리의 출입을 허용토록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격납실의 내벽중 전방측 벽면에는 배터리의 유동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배터리를 배터리 격납실로 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배터리가 결합된 상태를 지게차의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차체(10)의 상부후방에 배터리 격납실(20)이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 격납실(20)은 일측면에 배터리(7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구(27)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대응면은 개방되어 하단에 배터리 격납실(20)로 진입하는 배터리(70)의 진입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22)가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배터리 격납실(20)의 내부 바닥에는 배터리(70)를 받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32)를 갖춘 롤러 트레이(30)가 설치된다. 출입구(27)의 하단에는 배터리 격납실(20)로 진입하는 배터리(70)가 롤러트레이(30)의 상부로 용이하게 올라가게 하기위하여 가이드롤러(32)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가이드바(24)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격납실(20)의 상부에는 운전석(46)이 설치되는 후드조립체(4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후드조립체(40)는 배터리 격납실(20)에 힌지(42)결합되는 것으로서, 개방시에 배터리 격납실(20)의 상부를 개방하게 된다. 후드조립체(40)의 전방에는 개방시 캐빈스테이(60)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편(62)의 걸림구멍(62a)에 걸게되는 고리(44)가 형성되어 후드조립체(40)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후드조립체(40)에는 배터리 격납실(20)에 수납된 배터리(70)의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바(50)가 설치된다. 이탈방지바(50)는 고중량의 배터리(70)의 이탈을 제한하여야 하므로 비교적 높은 굽힘강도를 갖는 예컨대, 사각중공단면을 갖는 사각봉등의 각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따르면, 이탈방지바(50)는 후드조립체(40)의 일측, 상세하게는 출입구(27)측에 전후방향으로 고정되어 후드조립체(40)가 배터리 격납실(20)을 개방하고 있을 때에는 배터리(70)가 배터리 격납실(20)로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고, 닫은 상태에서는 배터리 격납실(20)로의 출입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32)는 격자상으로 정렬되는 것으로 각각 배터리(70)의 출입방향으로 구름운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다시, 도 2를 보면 상기 배터리 격납실(20)의 내벽중 전방측 벽면에는 배터리(70)의 유동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26)가 제공된다. 이 완충부재(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격납실(20)의 전방벽면상에 2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완충부재(26)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 격납실(20)에 볼트등에 의해 힌지(42)와 함께 고정되는 것으로 차량의 급정지시에 고중량의 배터리(70)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 격납실(20)의 파손 및 운전자의 부상등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배터리의 인출시에는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후드조립체(40)를 개방하여 고리(44)를 걸림구멍(62a)에 걸어 캐빈스테이(60)에 지지시킨다. 후드조립체(40)의 개방에 의해 이탈방지바(50)가 출입구(27)로부터 벗어나 배터리의 인출을 허용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압구(28)를 통해 배터리(70)를 화살포 B방향으로 밀게되면, 배터리(70)는 가이드 롤러(32)의 회전에 의해 출입구(27)를 통해 배출되므로 배터리 격납실(20)로 부터의 인출이 이루어진다. 이때 출입구(27)상에는 인출되는 배터리(70)를 받치는 별도의 이동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한편, 배터리(70)를 삽입할 경우에는 배터리(70)의 선단을 출입구(27)로 삽입하여 가장 앞측의 가이드 롤러(32)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배터리(70)를 배터리 격납실(20)내로 밀게되면, 역시 가이드 롤러(32)에 의해 손쉽게 진입이 이루어지고, 배터리(70)는 가압구(28)하단에 제공되는 스토퍼(22)에 의해 진입이 제한되어 배터리 격납실(20)내의 예정된 위치에 수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드조립체(40)를 닫게 되면 이탈방지바(50)가 배터리(70)의 인출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크레인등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고중량의 배터리를 손쉽게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는 배터리 격납실의 저면에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갖춘 롤러트레이를 설치하고, 이 롤러트레이상에 배터리가 올려지도록 하여 커버를 개방한 후 배터리를 롤러의 구름바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므로 배터리의 인출 및 삽입작업을 간편하게 이루게 되는 것은 물론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차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배터리(7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구(27)와,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70)를 출입구(27)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구(28)가 형성되는 배터리 격납실(20)과;
    배터리 격납실(20)의 내부 바닥에 제공되어 배터리(70)를 받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32)를 갖춘 롤러 트레이(30)와;
    가압구(28)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배터리 격납실(20)로 진입하는 배터리(70)의 진입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22)와;
    배터리 격납실(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배터리 격납실(20)의 상부를 개폐하는 후드조립체(40)와;
    후드조립체(40)에 고정되어 후드조립체(40)가 배터리 격납실(20)을 덮고 있을 때 배터리 격납실(20)에 수납된 배터리(70)의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바(50)로 이루어진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트레이(30)는 복수의 가이드롤러(32)가 배터리(70)의 출입방향으로 구름운동하도록 정렬되어 배터리의 출입을 허용토록 하는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격납실(20)의 내벽중 전방측 벽면에는 배터리(70)의 유동으로 인한 충격을 완충하는 복수의 완충부재(26)가 고정된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KR2019970021483U 1997-08-05 1997-08-05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KR200162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483U KR200162610Y1 (ko) 1997-08-05 1997-08-05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483U KR200162610Y1 (ko) 1997-08-05 1997-08-05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471U KR19990008471U (ko) 1999-03-05
KR200162610Y1 true KR200162610Y1 (ko) 2000-01-15

Family

ID=1950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483U KR200162610Y1 (ko) 1997-08-05 1997-08-05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6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664A (ko) * 2000-11-07 2002-05-15 곽외수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KR20020043369A (ko) * 2000-12-04 2002-06-10 곽외수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KR200481754Y1 (ko) * 2015-08-27 2016-11-08 김중광 차량용 배터리를 장착하는 전동지게차의 배터리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471U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2491A (en) Material lift platform
US4087007A (en) Cargo platform system
JP3537803B2 (ja) 特装車両のリフト装置
KR200162610Y1 (ko)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AU2004276114B2 (en) Cab slide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US3563401A (en) Hinged overhead guard for truck
US6736587B2 (en) Battery-electrically operated industrial truck, particularly counterweighted fork-lift truck
US6189673B1 (en) Floor for passenger conveyor
JP3550020B2 (ja) コンテナ搬送車の箱型荷台に備わる左右開閉扉に設けた連動式複数段プラットフォーム防護壁
JP3294970B2 (ja) 車両用荷崩れ防止装置
GB2375095A (en) Goods handling apparatus
KR200154765Y1 (ko) 세이프티로더의 자동리어스텝장치
KR100344715B1 (ko) 화물반송차량의엔진룸출입장치
KR102409999B1 (ko)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RU2216462C2 (ru) Погрузчик бортовой
KR100350898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높이 증설장치
KR950005123Y1 (ko) 덤프트럭의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JPH0881195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装置
KR100286159B1 (ko) 운반대 인입식 승강기
KR100229269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적재물 승하강 장치
JPH0535201Y2 (ko)
EP3078618B1 (en) Goods movement apparatus
KR100950667B1 (ko) 전동지게차 축전지 교환장치
KR100472140B1 (ko) 트럭의 수납형 사다리
KR200177162Y1 (ko)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