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369A -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 Google Patents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369A
KR20020043369A KR1020000072979A KR20000072979A KR20020043369A KR 20020043369 A KR20020043369 A KR 20020043369A KR 1020000072979 A KR1020000072979 A KR 1020000072979A KR 20000072979 A KR20000072979 A KR 20000072979A KR 20020043369 A KR20020043369 A KR 20020043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unit
input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외수
Original Assignee
곽외수
(주)넷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외수, (주)넷캐스트 filed Critical 곽외수
Priority to KR102000007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3369A/ko
Publication of KR2002004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3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입력된 일반 음향신호는 중음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음향신호를 강조처리하고 마이크를 통한 음향신호에는 지연된 잔향음을 부가시켜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에 지연된 잔향음을 부가하고 고음 및 저음을 제어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음향신호 출력회로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역을 미분하고 제로 포인트를 중심으로 밸런싱하여 다시 적분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음의 수치적 제어로 음의 변조현상을 방지하고, 완벽한 제로 포인트의 확립으로 음량을 늘려도 음의 왜곡현상이 없다.
또한, 현존하는 음 재생의 두 가지 원리인 아날로그와 디지털 회로 모두를 하나의 칩에 구현하여 완벽한 음을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MIC SIGNAL AND SOUND SIGNAL OUTPUT CIRCUIT}
본 발명은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입력된 일반 음향신호는 중음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음향신호를 강조처리하고 마이크를 통한 음향신호에는 지연된 잔향음을 부가시켜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음을 보정하는 장치들은 이퀄라이저(EQUALIZER)의 개념으로서, 각 주파수별로 음역대를 쪼개서 그것을 부팅하여 다시 전체를 맞추어 스피커와 앰프로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이퀄라이저는 원음을 입력받아 출력하기까지 음이 거쳐야 하는 많은 단계의 기계적 특성을 살려서 음역대를 보정하는 것이어서 간단하지가 않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음향신호 처리 과정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가 음의 변조현상을 방지하도록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음향신호 강조처리방법의 일예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 1999-008471호(발명의 명칭 : 음향신호파형 강조처리장치 및 방법)에 기재된 것처럼, 수치적으로 음의 변조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선출원된 발명에 공개된 바와 같이, 음향신호파형 강조처리부에서는, 입력신호를 1 또는 복수의 우수차 적분기를 사용하여 우수차 적분함과 아울러 그 입력음향신호를 1 또는 복수의 우수차 미분기를 사용하여 우수차 미분하고, 그 우수차 적분한 우수차 적분신호 및 그 우수차 미분한 우수차 미분신호를 입력음향신호와 동위상 또는 역위상으로 그 입력음향신호에 가산하므로써, 그 입력음향신호의 특히, 중음역 및 그 중음역에 가까운 저음역 및 고음역의 주파수 성분 상호간의 위상관계를 깨뜨리지 않고 주파수-게인(GAIN) 특성을 얻음으로써 음질개선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3a는 종래의 음향신호 강조회로에서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일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의 주파수-게인 특성은 중음역에서의 플랫이다.
그리고, 저음역에 있어서는 주파수가 낮게 될수록 게인이 커지게 되고, 또한, 고음에 있어서는 주파수가 높게 될수록 게인이 커지게 된다.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서 적분, 미분, 가산 등의 구체적 방법에 대해서는 아날로그, 디지털 방식의 그 어느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느 시간구간의 임의의 음향신호는 실용상의 일반성을 잃지 않고, 푸리에 급수에의 우수차수의 적분, 우수차수의 미분을 적용시켜서 얻어지는 급수의 주파수 성분과 위상 성분은 원신호의 신호성분에 대하여 동상 또는 역상으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 푸리에 급수의 어느 항이 동상인지 역상인지는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것으로부터 필요한 대역에 있어서 우수차의 미분적분을 작용시켜서 얻어진 신호에 적당한 계수군을 곱하여서 얻어지는 주파수 성분을 가산하여서 원하는 주파수-게인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난 주파수-게인 특성을 실현한 경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서의 주파수-위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신호에 대한 출력신호의 위상왜곡은 유효한 주파수 범위에 있어서 0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음향신호 강조처리부를 수동소자와 능동소자를 조합시킨 경우의 구체적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음역 강조회로부(10), 고음역 강조회로부(20), 저음역 조정회로부(30), 고음역 조정회로부(40) 및 가산기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저음역 강조회로부(10)는 N개의 2중 적분회로(11-1, 11-2,....11-(N-1), 11-N)의 출력에 각각 접속된 N개의 계수기(12-1, 12-2,....12-(N-1), 12-N), 연산증폭기(13) 및 저항기(14)로 구성되어 상기 계수기의 출력을 가산하는 제 1반전증폭회로와, 저항기(15), 연산증폭기(16) 및 저항기(17)로 구성되어 상기 제 1의 반전증폭회로의 출력 및 계수기의 출력을 가산하는 제 2반전증폭회로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종래 마이크 신호 출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61)와, 상기 마이크(61)에서 변환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마이크 입력부(62)와, 상기 마이크 입력부(62)에서 증폭출력된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입력레벨 조정부(63)와 상기 입력레벨 조정부(63)에서 레벨조정되어 출력된 신호에 잔향음을 부가시키는 에코부(64)와, 씨디(CD), 씨디지(CDG) 및 비디오 씨디(Video CD)등에서 재생되는 배경음의 신호를 출력시키는 신호출력부(65)와, 상기 신호출력부(65)에서 출력된 배경음의 신호와 에코부(64)에서 출력된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부(66)와, 상기 합성부(66)에서 출력된 신호의 음색 및 볼륨을 조정하는 볼륨/톤 조정부(67)와, 상기 볼륨/톤 조정부(67)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69)로 출력하는 앰프부(68)와, 상기 앰프부(68)에서 증폭출력된 신호를 외부로 음성출력시키는 스피커(69)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61)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고, 마이크 입력부(62)에서 이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입력레벨 조정부(63)로 출력하면, 입력레벨 조정부(63)에서는 상기 마이크 입력부(62)에서 증폭 출력된 사용자의 음향신호와 신호출력부(65)에서 출력되는 배경음 신호의 크기와 비교하여 마이크(61)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하게 되고, 에코부(64)에서 입력레벨 조정부(63)에 의해 레벨조정된 사용자의 음향신호에 잔향음을 부가하여 합성부(66)에 출력한다.
이때 합성부(66)에서는 신호출력부(65)에서 출력되는 배경음의 신호와, 에코부(64)에서 잔향음이 부가되어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향신호를 합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합성부(66)에서 합성되어 출력된 합성신호를 볼륨/톤 조정부(67)에서 음색 및 볼륨을 조정하고, 상기 볼륨/톤 조정부(67)에서 음색 및 볼륨이 조정된 신호를 앰프부(68)에서 증폭하여 스피커(69)를 통하여 외부로 음성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이퀄라이저 기술은 각각의 음역대를 제어하는 저항 등의 기기가 완벽하게 물리적 특성이 같을 수 없으므로 다시 재조립할 때 연결부위가 완벽히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음역대마다 음향의 보정이 매끄럽지 못하여 음이 찌그러지는 왜곡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일례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는 종래 고음강조의 실측파형이고, 도 2b는 종래 저음강조의 실측파형이다.
하측은 입력파형이고, 상측은 출력파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파형이 임의점 9~16의 횡시간폭의 위치를 비교하면 꽤 많이 엇갈리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저음부와 고음부는 중음부와의 위상관계를 무시하고 강조하고 있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5에서처럼 레벨조정을 하게 되면 마이크를 통하여 과도한 입력이 들어올 때도 있기 때문에 앰프부와 스피커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반대로 배경음이 작게 되면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향신호의 레벨도 줄여주어야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음향신호에서 중음대역의 위상을 보상하면서 고음과 저음대역의 음향신호를 강조처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를 통해 과도한 입력이 있을 때 앰프부와 스피커를 보호할 수 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에 지연된 잔향음을 부가하고 고음 및 저음을 제어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음향신호 출력회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는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좌측과 우측 음향신호로 분리하여 입력받는 음향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우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RIGHT 버퍼링부 및 상기 입력된 좌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LEFT 버퍼링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미분기로 미분하는 미분부와,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적분기로 적분하는 적분부와, 상기 미분 및 적분된 신호성분을 입력신호와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원신호와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는 차동증폭부로 이루어진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와,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음향조절부와, 상기 조절된 음향신호를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로 출력해주는 LEFT 출력부 및 RIGHT 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마이크 음향신호 출력회로부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좌측과 우측신호를 일정이상으로 증폭하고 믹스해주는 증폭 믹스부와, 상기 증폭 믹스된 음향신호에 시간 지연된 잔향음을 부가하는 에코부와, 상기 에코된 신호를 증폭하는 에코 증폭부와, 상기 에코 앰프된 신호중 저음을 제어하는 저음 제어부와, 상기 에코 앰프된 신호중 고음을 제어하는 고음 제어부와, 상기 저음과 고음이 제어된 신호중 필요한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된 신호를 증폭하여 마이크 출력부로 출력하는 앰프부와, 상기 앰프부에서 증폭출력된 신호를 외부로 음성출력시키는 마이크 출력부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음향신호 처리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과정을 거쳤을 경우 입출력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의 주파수-게인 특성과 주파수-위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종래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의 구체적 회로를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도 5는 종래 마이크 신호 출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음향조절부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을 실시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고음역 및 저음역의 출력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B : 마이크 음향신호 출력회로부
A100 : 음향입력부A200,A200' : 버퍼링부
A300 : 전원스위칭부A400 : 음향신호 강조처리부
A410 : 미분부A420 : 적분부
A430 : 차동증폭부A500 : 음향조절부
A600,A600' : 음향출력부
B10 : 마이크 입력부B20 : 증폭 믹스부
B30 : 에코부B32 : 에코 딜레이타임 제어부
B34 : 딜레이타임 표시부B40 : 에코 앰프부
B50 : 저음 제어부 B60 : 고음 제어부
B70 : 필터부B80 : 앰프부
B90 : 마이크 출력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일예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오디오 등의 음향기기나 노래방기기및 전자악기 등으로 부터 음향신호를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A)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에 지연된 잔향음을 부가하고 고음 및 저음을 제어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음향신호 출력회로부(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A)는, 외부의 오디오 등의 음향기기나 노래방기기 및 전자악기 등으로 부터 음향신호를 좌측과 우측 음향신호로 분리하여 입력받는 음향입력부(A100)와,
상기 입력된 우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RIGHT 버퍼링부(A200) 및 상기 입력된 좌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LEFT 버퍼링부(A200')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미분기로 미분하는 미분부(A410)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적분기로 적분하는 적분부(A420)와, 상기 미분 및 적분된 신호성분을 입력신호와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원신호와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는 차동증폭부(A430)로 이루어진 음향신호 강조처리부(A400)와,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A400)에서 생성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음향조절부(A500)와,
상기 조절된 음향신호를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로 출력해주는 LEFT출력부(A600') 및 RIGHT 출력부(A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크 음향신호 출력회로부(B)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부(B10)와,
상기 입력된 좌측과 우측신호를 일정이상으로 증폭하고 믹스해주는 증폭 믹스부(B20)와,
상기 증폭 믹스된 음향신호에 시간 지연된 잔향음을 부가하는 에코부(B30)와,
상기 에코된 신호를 일정이상으로 증폭하는 에코 증폭부(B40)와,
상기 에코 앰프된 신호중 저음을 제어하는 저음 제어부(B50)와,
상기 에코 앰프된 신호중 고음을 제어하는 고음 제어부(B60)와,
상기 저음과 고음이 제어된 신호중 필요한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필터부(B70)와,
상기 필터된 신호를 일정이상으로 증폭하여 마이크 출력부(B90)로 출력하는 앰프부(B80)와,
상기 앰프부(B80)에서 증폭출력된 신호를 외부로 음성출력시키는 마이크 출력부(B90)로 구성된다.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A400)에서는, 입력신호를 다수의 적분기를 사용하여 적분함과 아울러 그 입력음향신호를 다수의 미분기를 사용하여 미분한다.
그리고, 적분신호 및 그 미분신호를 입력음향신호와 동위상 또는 역위상으로 그 입력음향신호에 가산하므로써, 그 입력음향신호의 특히, 중음역 및 그 중음역에 가까운 저음역 및 고음역의 주파수 성분 상호간의 위상관계를 깨뜨리지 않고 특성을 얻는다.
즉, 어느 시간구간의 임의의 음향신호는 실용상의 일반성을 잃지 않고, 푸리에 급수에의 우수차수의 적분, 우수차수의 미분을 적용시켜서 얻어지는 급수의 주파수 성분과 위상 성분은 원신호의 신호성분에 대하여 동상 또는 역상으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 푸리에 급수의 어느 항이 동상인지 역상인지는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것으로부터 필요한 대역에 있어서 우수차의 미분적분을 작용시켜서 얻어진 신호에 적당한 계수군을 곱하여서 얻어지는 주파수 성분을 가산하여서 원하는 주파수-게인 특성을 얻는다.
상기 마이크 음향신호 출력회로부(B)를 살펴보면, 마이크 입력부(B1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고, 증폭 믹스부(B20)에서 이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좌우의 음향신호를 믹스하여 에코부(B30)로 출력한다.
에코부(B30)에서 증폭 믹스된 사용자의 음향신호에 시간 지연된 잔향음을 부가하여 에코 앰프부(B40)에 출력한다.
이때 잔향음은 에코 딜레이타임 제어부(B32)에 의해 일정시간 지연되고, 그 지연된 시간은 딜레이타임 표시부(B34)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딜레이타임 표시부(B34)를 보고 잔향음의 시간 지연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에코 앰프부(B40)는 잔향음이 부가된 음향신호를 일정크기 이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며 출력된 신호는 저음 제어부(B50)를 거쳐 저음이 제어되고 고음 제어부(B60)를 거쳐 고음이 제어된다.
이후 고음 및 저음이 제어된 음향신호중 필요한 대역의 신호만 필터부(B70)를 통해 통과되어 앰프부(B80)에서 증폭하여 마이크 출력부(B90)를 통하여 외부로음성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향신호가 크거나 작은 것에 관계없이 에코 효과가 있는 양질의 소리를 듣을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음향조절부(A5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음향신호의 고음역 조절부(LEFT HIGH)와, 우측음향신호의 고음역 조절부(RIGHT HIGH)와, 좌측음향신호의 저음역 조절부(LEFT LOW)와, 우측음향신호의 저음역 조절부(RIGHT LOW)로 이루어지며, 좌측과 우측의 음향신호 조절부(LEFT VOLUME, RIGHT VOLUME)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좌측음향신호의 고음역 조절부(LEFT HIGH)와 우측음향신호의 고음역 조절부(RIGHT HIGH)와 좌측음향신호의 저음역 조절부(LEFT LOW)와 우측음향신호의 저음역 조절부(RIGHT LOW)에 일단이 연결된 고정저항과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조절부에는 일반적으로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각 가변저항값을 조절하여 정해진 범위 내에서 각 음향신호의 크기를 이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신호 조절부(LEFT VOLUME)에 접속된 가변저항의 가변부분이 고음역 조절부(LEFT HIGH)와 저음역 조절부(LEFT LOW)에 접속되어 있어서 이용자가 회로외부에 노출된 가변저항을 조정하여서 좌측의 음향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음향신호 조절부(RIGHT VOLUME)에 접속된 가변저항의 가변부분이 고음역 조절부(RIGHT HIGH)와 저음역 조절부(RIGHT LOW)에 접속되어 있어서 이용자가 회로외부에 노출된 가변저항을 조정하여서 좌측의 음향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가변저항의 일단은 모두 접지(EARTH)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음향신호 강조처리부(A400)의 구성을 일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가해지는 원신호에 대하여 고음역과 저음역에 관한 파형을 행하는 파형강조회로(800)와, 입력단자와 접지단자의 사이에 가해지는 원신호와 파형강조회로(800)에서 파형강조가 행해진 파형강조신호를 가산하는 가산회로(900)로 이루어진다.
이때 강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저항(VRg)은 저항(Rg)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가산회로(900)는 저항(VRg, Ri, Rf, Rg), 콘덴서(Cg), 연산증폭기(OP1)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저항의 값이 같게(Ri = Rf) 설정되어 있으므로 연산증폭기(OP1)의 게인은 1인 반전증폭기로서 동작한다.
즉,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은 크기가 그 입력과 같고, 위상이 역상이다.
또한 저항(Rg)이 회로의 입출력 게인에 주는 영향은 거의 없다.
또한, 상기 가산회로(900)에 있어서의 고음역과 저음역의 강조 정도는 저항값이 Rg《Ri이기 때문에 저항(Ri)의 영향은 무시될 수 있어서 저항(Rg)와 저항(Rf)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콘덴서(Cg)는 실제 동작회로에서 필요한 콘덴서이고, 연산증폭기(OP1)의 직류 오프셋을 경감하는 역할과 저주파수역의 불필요한 신호성분을 제거하는 역할로 동작한다.
도 8에 있어서, 가변저항(VRg)를 조정하면 저항(VRg + Rg)과 저항(Rf)의 관계가 변화하고 이것에 의하여 원신호에 의한 저음역과 고음역의 강조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파형강조회로(800)는 다수의 저항과 콘덴서들로 구성되는 적분회로(저역통과 필터회로)와, 또한 다수의 저항과 콘덴서들로 구성되는 미분회로(고역통과 필터회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형강조회로(800)에서는 미분회로를 구성하는 콘덴서의 저음역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절대치는 적분회로를 구성하는 저항과 콘덴서의 임피던스의 절대치와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파형강조회로(800)에서는 적분회로를 구성하는 콘덴서의 고음역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절대치는 미분회로를 구성하는 저항과 콘덴서의 임피던스의 절대치와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값으로 설정된다.
도 9a는 본 발명을 실시하였을 경우의 고음역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것이며, 도 9b는 저음역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하측 파형은 입력파형, 상측 파형은 출력파형을 나타내며, 점 1,2,3,...7,8은 임의의 시간에서 고음역과 저음역에서의 입력과 출력파형에 대한 위상을 체크한 것을 나타낸다.
우선, 도 9a에서 나타낸 것처럼, 고음역의 입력시의 파형과 출력시의 파형을 비교해 보면, 입력시의 신호를 임의의 시간마다 체크한 위상을 나타낸 점 1,2,3,4와 출력시의 신호를 임의의 시간마다 체크한 위상을 나타낸 점 1,2,3,4의 시간상의 위치와 위상을 비교해보면 동위상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음역시에도 입력시의 신호를 임의의 시간마다 체크한 위상을 나타낸 점 5,6,7,8과, 출력시의 신호를 임의의 시간마다 체크한 위상을 나타낸 점 5,6,7,8의 시간상의 위치와 위상을 비교해보면 동위상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 2a 및 도 2b와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은 저음부와 고음부를 중음부와의 위상관계를 무너뜨리지 않고 강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역을 미분, 제로 포인트를 중심으로 밸런싱하여 다시 적분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음의 수치적 제어로 음의 변조현상을 방지하고, 제로 포인트의 확립으로 음량을 늘려도 음의 왜곡현상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존하는 음 재생의 두 가지 원리인 아날로그와 디지털 회로 모두를 하나의 칩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 원음에 가까운 음향을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를 통하여 과도한 입력이 들어올 때도 있기 때문에 앰프부와 스피커가 파손될 우려가 없고 잔향음이 부가된 양질의 소리를 청취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에 지연된 잔향음을 부가하고 고음 및 저음을 제어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음향신호 출력회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는,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좌측과 우측 음향신호로 분리하여 입력받는 음향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우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RIGHT 버퍼링부 및 상기 입력된 좌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LEFT 버퍼링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미분기로 미분하는 미분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적분기로 적분하는 적분부와, 상기 미분 및 적분된 신호성분을 입력신호와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원신호와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는 차동증폭부로 이루어진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와,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음향조절부와,
    상기 조절된 음향신호를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로 출력해주는 LEFT 출력부 및 RIGHT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음향신호 출력회로부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좌측과 우측신호를 일정이상으로 증폭하고 믹스해주는 증폭 믹스부와,
    상기 증폭 믹스된 음향신호에 시간 지연된 잔향음을 부가하는 에코부와,
    상기 에코된 신호를 일정이상으로 증폭하는 에코 증폭부와,
    상기 에코 앰프된 신호중 저음을 제어하는 저음 제어부와,
    상기 에코 앰프된 신호중 고음을 제어하는 고음 제어부와,
    상기 저음과 고음이 제어된 신호중 필요한 대역의 신호만 통과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된 신호를 일정이상으로 증폭하여 마이크 출력부로 출력하는 앰프부와,
    상기 앰프부에서 증폭출력된 신호를 외부로 음성출력시키는 마이크 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KR1020000072979A 2000-12-04 2000-12-04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KR20020043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979A KR20020043369A (ko) 2000-12-04 2000-12-04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979A KR20020043369A (ko) 2000-12-04 2000-12-04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369A true KR20020043369A (ko) 2002-06-10

Family

ID=2767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979A KR20020043369A (ko) 2000-12-04 2000-12-04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336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100A (ja) * 1991-10-22 1993-05-07 Sony Corp 音声強調回路
KR970058321A (ko) * 1997-04-17 1997-07-31 최평 주파수 선택적 공간감 향상 및 대역 보강 시스템
KR980011284A (ko) * 1996-07-31 1998-04-30 배순훈 가라오케시스템의 이중음향 출력장치
KR19990008471U (ko) * 1997-08-05 1999-03-05 추호석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JPH11298998A (ja) * 1998-04-10 1999-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音増強回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100A (ja) * 1991-10-22 1993-05-07 Sony Corp 音声強調回路
KR980011284A (ko) * 1996-07-31 1998-04-30 배순훈 가라오케시스템의 이중음향 출력장치
KR970058321A (ko) * 1997-04-17 1997-07-31 최평 주파수 선택적 공간감 향상 및 대역 보강 시스템
KR19990008471U (ko) * 1997-08-05 1999-03-05 추호석 지게차의 배터리 수납장치
JPH11298998A (ja) * 1998-04-10 1999-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音増強回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0022A (en) Low frequency compensating circuit for audio signals
US5649019A (en) Digital apparatus for reducing acoustic feedback
US7181034B2 (en) Inter-channel communication in a multi-channel digital hearing instrument
US8565448B2 (en) Dynamic bass equalization with modified Sallen-Key high pass filter
EP1448022A1 (en) Dynamic Compression in a hearing aid
US201002151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tension of low frequency output from a loudspeaker
US20110235826A1 (en) Procedure and device for linearizing the characteristic curve of a vibration signal transducer such as a microphone
US116380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ffective signal-to-noise ratio of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for multi-band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KR20020043369A (ko)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KR20020035664A (ko)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KR20020035661A (ko) 카 오디오용 음향신호 강조회로
JP2000022469A (ja) 音声処理装置
JP2946884B2 (ja) 低音域特性補正回路
EP0871287A1 (en) Acoustic signal waveform intensifier and intensifying method
KR20020035663A (ko)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KR20020035662A (ko) 음향신호 강조회로
JPH05199576A (ja) アンプ内蔵スピーカ
KR20020035665A (ko) 음향신호 강조회로
JPH07226992A (ja) 低音域成分補償方法
KR0178677B1 (ko) 하이 엔드 오디오 기기의 밸런스 입력레벨 자동 조절회로
US200201969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n audio signal
JPH062397Y2 (ja) 拡声装置
NO34573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US9398371B2 (en) Analog signal transfer system, variable compressor, and variable expander
JPH04109799A (ja) 音響信号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