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5663A -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 Google Patents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663A
KR20020035663A KR1020000065807A KR20000065807A KR20020035663A KR 20020035663 A KR20020035663 A KR 20020035663A KR 1020000065807 A KR1020000065807 A KR 1020000065807A KR 20000065807 A KR20000065807 A KR 20000065807A KR 20020035663 A KR20020035663 A KR 20020035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signal
input
uni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외수
Original Assignee
곽외수
(주)넷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외수, (주)넷캐스트 filed Critical 곽외수
Priority to KR102000006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5663A/ko
Publication of KR2002003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5/14Manually-operated control in frequency-selective amplifiers

Landscapes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일반 음향신호와 더불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음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음향신호를 강조처리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음향신호 강조회로부와, 상기 회로부에 적절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역을 미분하고 제로 포인트를 중심으로 밸런싱하여 다시 적분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음의 수치적 제어로 음의 변조현상을 방지하고, 완벽한 제로 포인트의 확립으로 음량을 늘려도 음의 왜곡현상이 없다.
또한, 현존하는 음 재생의 두 가지 원리인 아날로그와 디지털 회로 모두를 하나의 칩에 구현하여 완벽한 음을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ENHANCER CIRCUIT OF SOUND WITH MIC INPUT}
본 발명은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입력된 일반 음향신호와 더불어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중음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음향신호를 강조처리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원음을 보정하는 장치들은 이퀄라이저(EQUALIZER)의 개념으로서, 각 주파수별로 음역대를 쪼개서 그것을 부팅하여 다시 전체를 맞추어 스피커와 앰프로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이퀄라이저는 원음을 입력받아 출력하기까지 음이 거쳐야 하는 많은 단계의 기계적 특성을 살려서 음역대를 보정하는 것이어서 간단하지가 않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음향신호 처리 과정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가 음의 변조현상을 방지하도록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음향신호 강조처리방법의 일예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 1999-008471호(발명의 명칭 : 음향신호파형 강조처리장치 및 방법)에 기재된 것처럼, 수치적으로 음의 변조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선출원된 발명에 공개된 바와 같이, 음향신호파형 강조처리부에서는, 입력신호를 1 또는 복수의 우수차 적분기를 사용하여 우수차 적분함과 아울러 그 입력음향신호를 1 또는 복수의 우수차 미분기를 사용하여 우수차 미분하고, 그 우수차 적분한 우수차 적분신호 및 그 우수차 미분한 우수차 미분신호를 입력음향신호와 동위상 또는 역위상으로 그 입력음향신호에 가산하므로써, 그 입력음향신호의 특히, 중음역 및 그 중음역에 가까운 저음역 및 고음역의 주파수 성분 상호간의 위상관계를 깨뜨리지 않고 주파수-게인(GAIN) 특성을 얻음으로써 음질개선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3a는 종래의 음향신호 강조회로에서의 주파수-게인 특성을 일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의 주파수-게인 특성은 중음역에서의 플랫이다.
그리고, 저음역에 있어서는 주파수가 낮게 될수록 게인이 커지게 되고, 또한, 고음에 있어서는 주파수가 높게 될수록 게인이 커지게 된다.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서 적분, 미분, 가산 등의 구체적 방법에 대해서는 아날로그, 디지털 방식의 그 어느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느 시간구간의 임의의 음향신호는 실용상의 일반성을 잃지 않고, 푸리에 급수에의 우수차수의 적분, 우수차수의 미분을 적용시켜서 얻어지는 급수의 주파수 성분과 위상 성분은 원신호의 신호성분에 대하여 동상 또는 역상으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 푸리에 급수의 어느 항이 동상인지 역상인지는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것으로부터 필요한 대역에 있어서 우수차의 미분적분을 작용시켜서 얻어진 신호에 적당한 계수군을 곱하여서 얻어지는 주파수 성분을 가산하여서 원하는 주파수-게인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난 주파수-게인 특성을 실현한 경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서의 주파수-위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신호에 대한 출력신호의 위상왜곡은 유효한 주파수 범위에 있어서 0도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음향신호 강조처리부를 수동소자와 능동소자를 조합시킨 경우의 구체적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음역 강조회로부(10), 고음역 강조회로부(20), 저음역 조정회로부(30), 고음역 조정회로부(40) 및 가산기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저음역 강조회로부(10)는 N개의 2중 적분회로(11-1, 11-2,....11-(N-1), 11-N)의 출력에 각각 접속된 N개의 계수기(12-1, 12-2,....12-(N-1), 12-N), 연산증폭기(13) 및 저항기(14)로 구성되어 상기 계수기의 출력을 가산하는 제 1반전증폭회로와, 저항기(15), 연산증폭기(16) 및 저항기(17)로 구성되어 상기 제1의 반전증폭회로의 출력 및 계수기의 출력을 가산하는 제 2반전증폭회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이퀄라이저 기술은 각각의 음역대를 제어하는 저항 등의 기기의 물리적 특성이 완벽하게 같지 않으므로 다시 재조립할 때 연결부위가 완벽히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음역대마다 음향의 보정이 매끄럽지 못하여 음이 찌그러지는 왜곡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일례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는 종래 고음강조의 실측파형이고 도 2b는 종래 저음강조의 실측파형으로, 하측은 입력파형이고 상측은 출력파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파형이 임의점 9~16의 횡시간폭의 위치를 비교하면 꽤 많이 엇갈리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저음부와 고음부는 중음부와의 위상관계를 무시하고 강조하고 있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중음대역의 위상을 보상하면서 고음과 저음대역의 음향신호를 강조처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음향신호 강조회로부와, 상기 회로부에 적절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는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좌측과 우측 음향신호로 분리하여 입력받는 음향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우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RIGHT 버퍼링부 및 상기 입력된 좌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LEFT 버퍼링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미분기로 미분하는 미분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적분기로 적분하는 적분부와, 상기 미분 및 적분된 신호성분을 입력신호와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원신호와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는 차동증폭부로 이루어진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와,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음향조절부와, 상기 조절된 음향신호를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로 출력해주는 LEFT 출력부 및 RIGHT 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마이크 음향신호 강조회로부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좌측과 우측신호를 일정이상으로 증폭해주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우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RIGHT 버퍼링부 및 상기 증폭된 좌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LEFT 버퍼링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미분기로 미분하는 미분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적분기로 적분하는 적분부와, 상기 미분 및 적분된 신호성분을 입력신호와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원신호와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는 차동증폭부로 이루어진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와,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미리정해진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음향조절부와, 상기 조절된 음향신호를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로 출력해주는 LEFT 출력부 및 RIGHT 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음향신호 처리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과정을 거쳤을 경우 입출력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의 주파수-게인 특성과 주파수-위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종래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의 구체적 회로를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강조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음향조절부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을 실시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고음역 및 저음역의 출력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B : 마이크 음향신호 강조회로부
C : 전원공급부A100 : 음향입력부
A200,A200',B200,B200' : 버퍼링부
A300,B3000 : 전원스위칭부A400,B400 : 음향신호 강조처리부
A410,B410 : 미분부A420,B420 : 적분부
A430,B430 : 차동증폭부A500,B500 : 음향조절부
A600,A600',B600,B600' : 음향출력부
B10 : 마이크 입력부B20,B20' : 증폭부
C710 : 전원입력부C711 : 스위치
C713 : 트랜스퍼머C720 : 정류부
C730 : 정전압부C740 : 동작표시부
C750 : 전원출력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을 일예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오디오 등의 음향기기나 노래방기기 및 전자악기 등으로 부터 음향신호를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A)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음향신호 강조회로부(B)와,
상기 회로부(A,B)에 적절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A)는, 외부의 오디오 등의 음향기기나 노래방기기 및 전자악기 등으로 부터 음향신호를 좌측과 우측 음향신호로 분리하여 입력받는 음향입력부(A100)와,
상기 입력된 우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RIGHT 버퍼링부(A200) 및 상기 입력된 좌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LEFT 버퍼링부(A200')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미분기로 미분하는 미분부(A410)와,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적분기로 적분하는 적분부(A420)와, 상기 미분 및 적분된 신호성분을 입력신호와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원신호와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는 차동증폭부(A430)로 이루어진 음향신호 강조처리부(A400)와,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A400)에서 생성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음향조절부(A500)와,
상기 조절된 음향신호를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로 출력해주는 LEFT출력부(A600') 및 RIGHT 출력부(A6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이크 음향신호 강조회로부(B)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부(B10)와,
상기 입력된 좌측과 우측신호를 일정이상으로 증폭해주는 증폭부(B20,B20')와,
상기 증폭된 우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RIGHT 버퍼링부(B200) 및 상기 증폭된 좌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LEFT 버퍼링부(B200')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미분기로 미분하는 미분부(B410)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적분기로 적분하는 적분부(B420)와, 상기 미분 및 적분된 신호성분을 입력신호와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원신호와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는 차동증폭부(B430)로 이루어진 음향신호 강조처리부(B400)와,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B400)에서 생성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음향조절부(B500)와,
상기 조절된 음향신호를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로 출력해주는 LEFT출력부(B600') 및 RIGHT 출력부(B6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C)는, 상기 회로(A,B)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전원이나 배터리 등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C710)와,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C711)와,
입력된 전압을 직류로 변환해주는 트랜스퍼머(C713)와,
직류로 변환된 전압의 리플성분을 제거해주고 정류해주는 정류부(C720)와,
상기 정류된 전압을 각각 공급되는 전원 크기의 정전압으로 만들어주는 정전압부(C730)와,
상기 정전압을 회로에 공급해주는 출력부(C750)와,
전원공급회로의 동작여부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C7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A400, B400)에서는, 입력신호를 다수의 적분기를 사용하여 적분함과 아울러 그 입력음향신호를 다수의 미분기를 사용하여 미분한다.
그리고, 적분신호 및 그 미분신호를 입력음향신호와 동위상 또는 역위상으로 그 입력음향신호에 가산하므로써, 그 입력음향신호의 특히, 중음역 및 그 중음역에 가까운 저음역 및 고음역의 주파수 성분 상호간의 위상관계를 깨뜨리지 않고 특성을 얻는다.
즉, 어느 시간구간의 임의의 음향신호는 실용상의 일반성을 잃지 않고, 푸리에 급수에의 우수차수의 적분, 우수차수의 미분을 적용시켜서 얻어지는 급수의 주파수 성분과 위상 성분은 원신호의 신호성분에 대하여 동상 또는 역상으로 된다.
여기에서 상기 푸리에 급수의 어느 항이 동상인지 역상인지는 이미 알려져있기 때문에 이것으로부터 필요한 대역에 있어서 우수차의 미분적분을 작용시켜서 얻어진 신호에 적당한 계수군을 곱하여서 얻어지는 주파수 성분을 가산하여서 원하는 주파수-게인 특성을 얻는다.
상기 전원공급부(C)의 정류부(C720)에는 정류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정전압부(C730)에는 정전압IC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음향조절부(A500,B50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음향신호의 고음역 조절부(LEFT HIGH)와, 우측음향신호의 고음역 조절부(RIGHT HIGH)와, 좌측음향신호의 저음역 조절부(LEFT LOW)와, 우측음향신호의 저음역 조절부(RIGHT LOW)로 이루어지며, 좌측과 우측의 음향신호 조절부(LEFT VOLUME, RIGHT VOLUME)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좌측음향신호의 고음역 조절부(LEFT HIGH)와 우측음향신호의 고음역 조절부(RIGHT HIGH)와 좌측음향신호의 저음역 조절부(LEFT LOW)와 우측음향신호의 저음역 조절부(RIGHT LOW)에 일단이 연결된 고정저항과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조절부에는 일반적으로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각 가변저항값을 조절하여 정해진 범위 내에서 각 음향신호의 크기를 이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신호 조절부(LEFT VOLUME)에 접속된 가변저항의 가변부분이 고음역 조절부(LEFT HIGH)와 저음역 조절부(LEFT LOW)에 접속되어 있어서 이용자가 회로외부에 노출된 가변저항을 조정하여서 좌측의 음향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음향신호 조절부(RIGHT VOLUME)에 접속된 가변저항의 가변부분이 고음역 조절부(RIGHT HIGH)와 저음역 조절부(RIGHT LOW)에 접속되어 있어서 이용자가 회로외부에 노출된 가변저항을 조정하여서 좌측의 음향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가변저항의 일단은 모두 접지(EARTH)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음향신호 강조처리부(400)의 구성을 일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가해지는 원신호에 대하여 고음역과 저음역에 관한 파형을 행하는 파형강조회로(800)와, 입력단자와 접지단자의 사이에 가해지는 원신호와 파형강조회로(800)에서 파형강조가 행해진 파형강조신호를 가산하는 가산회로(900)로 이루어진다.
이때 강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저항(VRg)은 저항(Rg)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가산회로(900)는 저항(VRg, Ri, Rf, Rg), 콘덴서(Cg), 연산증폭기(OP1)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저항의 값이 같게(Ri = Rf) 설정되어 있으므로 연산증폭기(OP1)의 게인은 1인 반전증폭기로서 동작한다.
즉,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은 크기가 그 입력과 같고, 위상이 역상이다.
또한 저항(Rg)이 회로의 입출력 게인에 주는 영향은 거의 없다.
또한, 상기 가산회로(900)에 있어서의 고음역과 저음역의 강조 정도는 저항값이 Rg《Ri이기 때문에 저항(Ri)의 영향은 무시될 수 있어서 저항(Rg)와 저항(Rf)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콘덴서(Cg)는 실제 동작회로에서 필요한 콘덴서이고, 연산증폭기(OP1)의 직류 오프셋을 경감하는 역할과 저주파수역의 불필요한 신호성분을 제거하는 역할로 동작한다.
도 7에 있어서, 가변저항(VRg)를 조정하면 저항(VRg + Rg)과 저항(Rf)의 관계가 변화하고 이것에 의하여 원신호에 의한 저음역과 고음역의 강조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파형강조회로(800)는 다수의 저항과 콘덴서들로 구성되는 적분회로(저역통과 필터회로)와, 또한 다수의 저항과 콘덴서들로 구성되는 미분회로(고역통과 필터회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형강조회로(800)에서는 미분회로를 구성하는 콘덴서의 저음역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절대치는 적분회로를 구성하는 저항과 콘덴서의 임피던스의 절대치와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파형강조회로(800)에서는 적분회로를 구성하는 콘덴서의 고음역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절대치는 미분회로를 구성하는 저항과 콘덴서의 임피던스의 절대치와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값으로 설정된다.
도 8a는 본 발명을 실시하였을 경우의 고음역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저음역의 출력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하측 파형은 입력파형, 상측 파형은 출력파형을 나타내며, 점 1,2,3,...7,8은 임의의 시간에서 고음역과 저음역에서의 입력과 출력파형에 대한 위상을 체크한 것을 나타낸다.
우선, 도 8a에서 나타낸 것처럼, 고음역의 입력시의 파형과 출력시의 파형을 비교해 보면, 입력시의 신호를 임의의 시간마다 체크한 위상을 나타낸 점 1,2,3,4와 출력시의 신호를 임의의 시간마다 체크한 위상을 나타낸 점 1,2,3,4의 시간상의 위치와 위상을 비교해보면 동위상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음역시에도 입력시의 신호를 임의의 시간마다 체크한 위상을 나타낸 점 5,6,7,8과, 출력시의 신호를 임의의 시간마다 체크한 위상을 나타낸 점 5,6,7,8의 시간상의 위치와 위상을 비교해보면 동위상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 2a 및 도 2b와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은 저음부와 고음부를 중음부와의 위상관계를 무너뜨리지 않고 강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역을 미분, 제로 포인트를 중심으로 밸런싱하여 다시 적분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음의 수치적 제어로 음의 변조현상을 방지하고, 제로 포인트의 확립으로 음량을 늘려도 음의 왜곡현상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존하는 음 재생의 두 가지 원리인 아날로그와 디지털 회로 모두를 하나의 칩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 원음에 가까운 음향을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중음대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중음역을 강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마이크 음향신호 강조회로부와,
    상기 회로부에 적절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 강조회로부는, 외부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좌측과 우측 음향신호로 분리하여 입력받는 음향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우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RIGHT 버퍼링부 및 상기 입력된 좌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LEFT 버퍼링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미분기로 미분하는 미분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적분기로 적분하는 적분부와, 상기 미분 및 적분된 신호성분을 입력신호와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원신호와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는 차동증폭부로 이루어진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와,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음향조절부와,
    상기 조절된 음향신호를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로 출력해주는 LEFT 출력부 및 RIGHT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음향신호 강조회로부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좌측과 우측신호를 일정이상으로 증폭해주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우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RIGHT 버퍼링부 및 상기 증폭된 좌측 음향신호를 버퍼링하는 LEFT 버퍼링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미분기로 미분하는 미분부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다수의 적분기로 적분하는 적분부와, 상기 미분 및 적분된 신호성분을 입력신호와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원신호와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증폭하는 차동증폭부로 이루어진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와,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서 조절하는 음향조절부와,
    상기 조절된 음향신호를 좌측음향신호와 우측음향신호로 출력해주는 LEFT 출력부 및 RIGHT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전원이나 배터리 등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입력받는 전원입력부와,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입력된 전압을 직류로 변환해주는 트랜스퍼머와,
    직류로 변환된 전압의 리플성분을 제거해주고 정류해주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전압을 각각 공급되는 전원 크기의 정전압으로 만들어주는 정전압부와,
    상기 정전압을 회로에 공급해주는 출력부와,
    전원공급회로의 동작여부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음향신호 강조처리부에 입력신호를 다수의 적분기를 사용하여 적분하고 다수의 미분기를 사용하여 미분하여, 상기 적분 및 미분된 신호를 입력음향신호와 동위상 또는 역위상으로 그 입력음향신호에 가산하는 가산회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신호 강조회로.
KR1020000065807A 2000-11-07 2000-11-07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KR20020035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807A KR20020035663A (ko) 2000-11-07 2000-11-07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807A KR20020035663A (ko) 2000-11-07 2000-11-07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663A true KR20020035663A (ko) 2002-05-15

Family

ID=1969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807A KR20020035663A (ko) 2000-11-07 2000-11-07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56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5448B2 (en) Dynamic bass equalization with modified Sallen-Key high pass filter
US4405832A (en) Circuit for distorting an audio signal
US7741905B2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20020126861A1 (en) Audio expander
US4899115A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ynamic range of electric musical instruments
EP0050067A1 (en) Audio system
KR20020035663A (ko)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KR20020035662A (ko) 음향신호 강조회로
KR20020035665A (ko) 음향신호 강조회로
KR20020035664A (ko) 마이크 입력부를 구비한 음향신호 강조회로
US8159292B2 (en) Amplifying circuit
EP1668776A1 (en) Audio pre-amp and mid-band compressor circuit
KR20020035661A (ko) 카 오디오용 음향신호 강조회로
KR20020043369A (ko) 마이크신호 및 음향신호 출력회로
JP3176322B2 (ja) 高減衰率を有する増幅回路
JPH0145192Y2 (ko)
WO2000002418A1 (en) Hearing instrument
JPH07226992A (ja) 低音域成分補償方法
KR900007737B1 (ko)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
US200201969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n audio signal
KR910000521Y1 (ko)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
JPH0513055Y2 (ko)
JPH1093365A (ja) オーディオ用電力増幅回路
US9398371B2 (en) Analog signal transfer system, variable compressor, and variable expander
JPH1075138A (ja) 状態変数前置増幅器を有する低入力信号帯域幅圧縮器・増幅器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