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37B1 -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37B1
KR900007737B1 KR1019870009505A KR870009505A KR900007737B1 KR 900007737 B1 KR900007737 B1 KR 900007737B1 KR 1019870009505 A KR1019870009505 A KR 1019870009505A KR 870009505 A KR870009505 A KR 870009505A KR 900007737 B1 KR900007737 B1 KR 900007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data
input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308A (ko
Inventor
이흥성
김학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737B1/ko
Publication of KR89000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0 : 마이크로 컴퓨터 21,22,23 :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
30 :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 4l,42 : 버퍼
50 : 디멀티플렉서 61,62 : 저역통과 필터
VR1-VR3 : 가변저항 XC1 : 수정발진자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조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신호원을 디지탈 데이타로 갖고 이를 처리하여 음을 재생하는 디지탈 처리 앰프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 바이어스 조정회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콤팩트 디스크에서와 같은 디지탈 데이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음성신호 출력이 연산증폭기(OP)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어 증폭 출력함에 있어서, 연산증폭기(OP)의 출력신호를 궤환하여 원하는 음질을 얻도록 하는 것으로, 연산증폭기(OP)의 출력신호가 콘덴서(C4)를 통하여 저항(R2), 콘덴서(C2), 가변저항(VR1) 및 콘덴서(C3)로 이루어진 트래블 궤환회로에 인가되고, 동시에 저항(R3)를 통해 가변저항(VR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콘덴서(C5),(C6)로 이루어진 베이스 궤환회로에 인가되어 고음, 중음, 저음의 음질조절을 가변저항(VRl,VR2)으로 조정하여 음성신호 출력의 일정음 신호 레벨을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에 인가함으로써 부궤환 정도를 바꾸어 원하는 음질을 얻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재 음향기술의 추세가 음성의 녹음과 재생을 디지탈방식으로 하여 음질의 고급화되어 있고 안정되어 있으므로, 일단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진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에 있어서 주파수별로 나누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증폭정도를 다르게 조절하는 프리 앰프단에서 주파수 별로 나누어 주는 필터 특성의 비정교함과, 출력을 일부 입력으로 역 바이어스를 가해 줌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등으로 인하여 음질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디지탈 데이타간의 차관계를 이용하여 현재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대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바이어스전압을 발생시켜 증폭기로 인가함으로써 개선된 음질효과를 얻도록 하는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탈 음성신호원을 처리하여 음을 재생하는 디지탈프로세싱 앰프 회로에 있어서, 직렬로 입력되는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버퍼에서 병렬로 바꾸어 마이크로 컴퓨터로 인가하고,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한 버퍼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2회 추출하여 2차를 가변저항으로 부터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대응신호와 비교하여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로 출력하며,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은 버퍼를 통하여 디멀티플렉서로 인가되어 분리되고, 각각의 저역통과 필터를 통하여 음성신호 증폭용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에 인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상세회로도로서, 직렬로 입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병렬로 바꾸어 마이크로 컴퓨터로 인가하는 버퍼(41)와, 제3도의 플로우 챠트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0)와, 가변저항(VR1-VR3)으로 부터의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0)로 인가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21-23)와, 고음과 저음 및 기준주파수에 따른 진폭 가변을 위한 가변저항(VR1-VR3)과, 마이크로 컴퓨터(10)의 디지탈 츨력을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30)와,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30)의 출력을 디멀티플렉서(50)로 인가하는 버퍼(42)와, 디멀티플렉서(5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해 출력신호를 각각 연산증폭기(OP1,OP2)로 인가하는 저역통과 필터(61,62)와, 저역통과 필터(61,62)의 출력신호를 반전단자의 입력으로하고 디지탈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 오디오 신호의 입력신호를 비반전단자의 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저역통과 필터(61,62)에서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서 부바이어스를 통해 감쇄정도를 행하는 연산증폭기(OP1,OP2)로서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회로에 동작을 첨부된 제3도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온됨과 동시에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제3도에 도시한 플로우 챠트와 같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디지탈 데이타 입력신호는 버퍼(41)에서 직렬신호에서 병렬신호로 바뀌어 마이크로 컴퓨터(10)의 포트a로 입력되고, 상기한 입력 데이타는 마이크로 컴퓨터(10)내의 메모리의 N번지에 저장되며, 마이크로 컴퓨터(10)는 두번째 입력데이타를 버퍼(41)로 부터 받아들여 N+1번지에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두개의 정보에 의하여 현재 순간의 아날로그적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 원리를 설명하면, 디지탈 데이타를 포함하는 프로세싱은 모두 일정한 샘플링 주파수를 갖고 있으므로 일징신호가 시간축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되어 진다. 따라서 샘플링되는 일정한 시간간격을 ΔT로 두고 이 시간동안 신호의 진폭변화율만 알게되면 신호의 주파수성분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먼저 입력된 데이타 정보를 D1, 두번째 입력된 데이타 정보를 D2라고 하면 주파수 성분 Δf는
Figure kpo00002
로 되어 기울기(Δf)는 주파수의 고음, 중음, 저음으로 표기되며, 기울기가 클수록 고음이고, 기울기가 적을수륵 저음이 된다. 따라서 상기한 두개의 데이타 차이를 알게되면 현재 입력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Dl-D2는 각종 오디오 소오스(source)에서 발생하는 디지탈 데이타로 오디오 신호레벨의 디지탈 상태를 표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두 데이타의 차에 의해 얻어진 정보는 마이크로 컴퓨터(10)의 포트 b,c,d에 각각 입력되어지는 외부에서 조절 가능한 데이타 정보와 비교하게 되는데, 우선 포트 a에서 입력되어진 두개의 데이타 정보의 차에서 얻어진 정보 데이타가 포트 b,c,d의 각각 정보 데이타의 어느 부내에 속하는지를 파악한 후 상기한 포트(b,c,d중의 하나)의 정보 데이타와의 차를 얻어 새로운 정보 데이타로 포트 e로 출력한다. 이때 포트 b,c,d에 각각 입력되어진 정보는 전원(VD)으로 부터의 전압이 각각의 가변저항(VR1-VR3)애 의해 고음, 중음, 저음 및 기준주파수에 따른 진폭가변으로 형성된 특정 분배전압을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21-23)에서 각각 디지탈 신호로 번환하여 얻어진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새로운 정보의 데이타가 포트 e를 통하여 출력하게 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0)는 다시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하여 초기상태로 되돌아가고, 포트 e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30)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전압으로 바뀌어 버퍼(42)를 통하여 디멀티플렉서(50)로 입력된다. 디멀티플렉서(50)에서는 상기한 입력신호를 우(R)신호와 좌(L)신호로 분리 출력하여 각각 저역통과 필터(6l,62)를 통하여 연산증폭기(OP1,OP2)의 반전단자로 입력시킨다. 이때 저역통과 필터(61,62)는 디지탈 신호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연산증폭기(OP1,OP2)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는, 디지탈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된 디지탈 데이타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되는 것으로 저역통과 필터(61,62)에서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서 부 바이어스를 통해 감쇄되어 원하는 음질을 출력하는 것이다. 즉, 연산증폭기(OP1,OP2)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음향신호 입력성분을 증폭함에 있어 출력단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부 바이어스 신호를 인가받게 되며, 또한 주파수 성분별로 나누는 것도 필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보다 완전한 음향신호 증폭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을 디지탈 오디오 기기에 적용함으로써 음향신호의 증폭개선으로 인하여 고급화된 음향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회로구성에 있어서도 기존의 필터구성을 배제함으써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디지탈 음향신호원을 처리하여 음을 재생하는 디지탈 프로세싱 앰프회로에 있어서,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버퍼(41)에서 병렬로 마이크로 컴퓨터(10)로 인가하고,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상기한 버퍼(41)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2회 추출하여 그 차를 가변저항(VR1-VR3)으로 부터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2l-23)를 통하여 입력되는 대응신호와 비교하여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30)로 출력하며,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30)의 출력은 버퍼(42)를 통하여 디멀티플렉서(50)로 인가되어 분리되고 각각의 저역통과 필터(61,62)를 통하여 음성신호 증폭용 연산증폭기(OPl,OP2)의 반전단자로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
KR1019870009505A 1987-08-29 1987-08-29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 KR900007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505A KR900007737B1 (ko) 1987-08-29 1987-08-29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505A KR900007737B1 (ko) 1987-08-29 1987-08-29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308A KR890004308A (ko) 1989-04-21
KR900007737B1 true KR900007737B1 (ko) 1990-10-19

Family

ID=1926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505A KR900007737B1 (ko) 1987-08-29 1987-08-29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801B1 (ko) * 2002-08-06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디바이스의 동작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308A (ko) 198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lf Small signal audio design
US8565448B2 (en) Dynamic bass equalization with modified Sallen-Key high pass filter
US2835814A (en)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s
US3725583A (en) Volume and tone control for multi-channel audio systems
US4055818A (en) Tone control circuit
US4066976A (en) Amplifier with variable gain
US5530769A (en) Equalizer and audio device using the same
KR900007737B1 (ko) 디지탈 신호 데이타에 의한 주파수별 부 바이어스 회로
US2822430A (en) Transistor amplifier circuit
EP1675258A1 (en) Three-channel state-variable compressor circuit
US3223937A (en) Multi-channel expression control for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s
US7388959B2 (en) Harmonic generator and pre-amp
RU2279758C2 (ru) Адаптивный эквалайзер (варианты)
US6141425A (en) Sound quality adjustment circuit
JPH05347563A (ja) D/a変換装置
US4466118A (en) Dual range audio level control
RU226595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частотных искажени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эквалайзер)
JP3318446B2 (ja) イコライザおよびこれを用いるオーディオ装置
US3911370A (en) Audio frequency amplitude compensator
SU46748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здани объемного звучани
JP2767389B2 (ja) イコライザおよびこれを用いるオーディオ装置
KR0149324B1 (ko)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오토 밸런스 회로
KR890005820Y1 (ko) 하이파이 브이티알의 오디오 스위칭 회로
RU2300171C2 (ru) Способ настройки тракт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сигналограмм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H0644176Y2 (ja) 音量および音質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