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521Y1 -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521Y1
KR910000521Y1 KR2019870022329U KR870022329U KR910000521Y1 KR 910000521 Y1 KR910000521 Y1 KR 910000521Y1 KR 2019870022329 U KR2019870022329 U KR 2019870022329U KR 870022329 U KR870022329 U KR 870022329U KR 910000521 Y1 KR910000521 Y1 KR 910000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resistor
impedance
variable
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598U (ko
Inventor
라광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2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521Y1/ko
Publication of KR890014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being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궤환증폭회로 2 : 배전압정류회로
3 : 임피던스가변회로 4 : 공진회로
OP1: 전치증폭기 R1-R13: 저항
Q1Q2: 트랜지스터 C1-C2: 콘덴서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기기에서 가변저항을 통하여 임의로 설정되어 입력되는 음의 주파수 크기에 따라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청감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인간의 청각기능을 자연음을 들을 때 가장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가 되는데, 특히 연주회나 음악회에 참가하여 직접 청취하면서 감동을 전달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연주회나 음악회에 가지 않고도 현장감을 살린 연주음을 들을 수 있는 전기 응용기기들이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녹음기를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기계적인 기록재생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고, 특히 자연음을 재생하는데에는 그 한계가 있어 왔던 것도 사실이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가장 자연스러운 음을 청취하기 위하여서는 일반적으로 전기응용기기의 녹음재생능력에 따라 주파수응답 특성을 부여하므로, 청취감을 보편성있게 시뮬레이션되게 하였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응용기기에서는 인간이 청취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범위에 걸쳐있는 주파수대의 신호를 발생시키지 못하였던 것이며, 이에 의하여 녹음재생시 심하면 청취하기가 어려울 때도 있었다.
특히 청취하는 음향이 클 경우 응용기기가 갖는 전기적 주파수 응답 특성에서의 왜율이 컸으며, 또 음량이 작을 경우에는 낮은 주파수대와 높은 주파수 대의 신호를 거의 들을 수 없으므로 청취감이 좋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음량이 크거나 작을 경우에도 고충실도 즉 전기적 주파수 응답특성에서의 변화를 최소로 하는 동시에, 낮은 주파수 대와 높은 주파수 대의 신호를 최대로 재생하면서 신호 이득을 높이므로 청감을 좋게한 청감 보정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 볼륨조절용 가변저항과 메인증폭기의 사이에 전치증폭기와 이 전치증폭기의 이들을 조정할 수 있는 상기 볼륨조정용 가변저항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배전압정류하는 배전압 정류회로와 이 배전압 정류회로를 통하여 입력 배전압정류된 음량의 크기나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 구동되면서 저항의 임피던스 값을 조정하는 임피던스 가변회로와, 상기 전치증폭기로 입력되는 입력신호가 높은 음이나, 낮은 음의 높은 주파수일 경우에 전치증폭기의 부궤환 이득을 조절하여 신호이득을 높여주고, 낮은음의 낮은 주파수일 경우에는 공진시키면서 부궤환이득에 의한 신호이득을 높여주는 공진회로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단(IN)으로부터 입력신호가 가변저항(VR)을 통해서 가변 설정한 후 콘덴서(C6)를 거쳐 메인증폭기(OP2)로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증폭된 음을 출력으로 된 음향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VR)에서 설정된 입력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부궤환 증폭시키는 콘덴서(C1), 궤환 저항(R12), 전치증폭기(OP1)으로 구성된 부궤환 증폭회로(1)와, 상기 가변저항(VR)에서 설정된 입력신호를 배전압 정류하는 저항(R2)(R3), 콘덴서(C2)(C3), 다이오드(D1)(D2)로 구성된 배전압 정류회로(2)와, 상기 배전압정류회로(2)에서 정류된 저항(R4-R6), 트랜지스터(Q1)으로 구성된 임피던스 가변 회로(3)와, 가변저항(VR)에서 설정된 입력신호를 공진시키면서 상기 임피던스 가변회로(3)에 임피던스가 가감하여 상기 부궤환증폭회로(1)의 부궤환이득을 높여주는 트랜지스터(Q2)와 (R7-R11), 콘덴서(C4), (C5)로 구성된 공진회로(4)를 구성시켜서 된 것으로, 미설명된 R13, R14는 저항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시켜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향기기에서 가변저항(VR)을 통해서 입력신호가 부궤환증폭회로(1)의 콘덴서(C1)와 저항(R1)을 거치고 저항(R12)으로 부궤환되는 전치증폭기(OP1)을 통하여 메인증폭기(OP2)로 입력되면서 증폭되고 이 증폭된 신호는 스피커(SP)를 동작시켜 음을 출력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변저항(VR)을 통해서 입력되는 입력신호는 공진회로(4)의 트랜지스터(Q2)와 저항(R10),(R11) 및 콘덴서(C4), (C5)에 의한 공진주파수에 대한 임피던스와, 상기 가변저항(VR)을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배전압정류회로(2)에 의하여 정류된 배전압이 임피던스 가변회로(3)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입력되는 신호크기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면서 저항(R4) 및 저항(R5)의 임피던스가 부궤환증폭회로(1)의 전치증폭기(OP1)로 부궤환되는 부궤환저항(R12)의 임피던스에 영향을 주어 부궤환이득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바, 따라서 가변저항(VR)으로부터 입력신호가 높은 음이나 낮은 음의 높은 주파수일 경우, 이 높은 주파수의 입력신호는 저항(R2),(R3)과 콘덴서(C2), (C3) 및 다이오드(D1), (D2)로 구성한 배전압 정류 회로(1)를 거치면서 배전압 정류된 신호를 임피던스 가변회로(3)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를 도통 구동시키므로 이의 콜렉터와 에미터가 도통되어 이 사이에 연결된 저항(R4)의 임피던스 값이 ″0″에 가까워 진다.
한편, 궤환증폭회로(1)의 전치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상기 높은 주파수의 입력신호가 공진회로(4)의 저항(R7) 및 (R8)을 거쳐 트랜지스터(Q2)를 도통 구동시켜 주게 되므로 전원전압(B′)이 트랜지스터(Q2) 및 저항(R10), (R11)과 콘덴서(C1), (C5)통과하면서 높은 주파수의 신호되므로 공진효과는 갖지 않게 되고 이 높은 주파수는 상기 임피던스 가변회로(3)의 저항(R5)과 상기 저항(R4)을 거쳐 상기 전치증폭기(OP1)의 반전 입력단으로 입력되어 전치증폭기(OP1)로 부궤환되는 저항(R12)에 영향을 둔다.
따라서 임피던스 값이 ″0″에 가까운 임피던스 가변회로(3)의 저항(R4)을 뺀 저항(R5), (R10), (R11) 및 (R12)의 임피던스에 의해 전치증폭기(OP1)의 부궤환이득을 저하되나 신호이득이 향상된 출력신호가 메인증폭기(OP2)를 통하여 스피커(SP)를 구동시켜 청감이 좋아진 음을 들을 수 있다.
한편, 입력신호가 낮은음의 낮은 주파수가 입력될 경우에는 저항(R2), (R3)과 콘덴서(C2), (C3) 및 다이오드(D1), (D1)로 구성된 배전압 정류회로(1)를 거친 입력신호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를 제대로 인가하지 못하므로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지 않아 콜렉터와 에미터의 사이에 연결된 저항(R4)의 임피던스가 커지게 되고, 그리고 궤환증폭회로(1)의 전치증폭기(OP1)로도 입력되는 입력신호중 일부는 저항(R7) 및 (R8)을 거치고 트랜지스터(Q2)와 저항(R10), (R11) 및 콘덴서(C4), (C5)로 구성된 공진회로(4)를 통과하면서 상기 콘덴서(C4)에 의하여 공진주파수가 결정되고 이 결정된 공진주파수에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이 증가된 임피던스가 저항(R5) 및 (R1)을 거쳐 전치증폭기(OP1)로 부궤환되는 저항(R12)에 영향을 준다.
이에따라 임피던스값이 커진 임피던스가변회로(3) 저항(R4)을 포함한 저항(R5) (R10), (R11), (R12)의 임피던스에 의해 전치증폭기(OP1)의 부궤환 이득을 높여주어 공진효과에 의해 전류가 높아지고 신호이득이 높아진 출력신호가 메인증폭기(OP2)를 거치고 스피커(SP)를 통하여 청감이 좋아진 음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가변저항을 통한 입력신호가 배전압 정류회로를 거쳐 임피던스가 변화로를 구동 제어하여 임피던스를 조절하고, 전치증폭회로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공진회로를 거치면서 낮은음의 낮은 주파수일 때만 공진효과를 갖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전치증폭 회로의 부궤환 임피던스 값을 조절하여 입력되는 음의 크고 작음이나 주파수의 크고 작음에 따라 신호이득을 높여 주도록 함으로써 항상 청감이 좋은 음을 들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입력단(IN)으로부터 입력신호가 가변저항(VR)을 통해서 가변설정된 후 콘덴서(C6)를 거쳐 메인증폭기(OP2)로 증폭되어 스피커(SP)로 증폭된 음을 출력토록된 음향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VR)에서 설정된 입력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부궤환증폭시키는 콘덴서(C1), 저항(R1), 궤환저항(R12), 전치증폭기(OP1)으로 구성된 부궤환 증폭회로(1)와, 상기 가변저항(VR)에서 설정된 입력신호를 배전압 정류하는 저항 (C2), (C3), 콘덴서(C2), (C3),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 배전압정류회로(2)에서 정류된 배전압에 의하여 상기 임피던스를 가감하여 상기 부궤환증폭회로(1)의 증폭도를 조절하는 저항(R4-R6), 트랜지스터(Q1)으로 구성된 임피던스 가변회로(3)와, 상기 가변저항(VR)에서 설정된 입력신호를 공전시키면서 상기 임피던스가변회로(3)에 임피던스 증가와 상기 부궤환 증폭회로(1)의 부궤환 이득을 높여주는 트랜지스터(Q2), 저항(R7-R11), 콘덴서(C1)(C5)로 구성된 공진회로(4)를 구성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
KR2019870022329U 1987-12-18 1987-12-18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 KR910000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329U KR910000521Y1 (ko) 1987-12-18 1987-12-18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329U KR910000521Y1 (ko) 1987-12-18 1987-12-18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598U KR890014598U (ko) 1989-08-11
KR910000521Y1 true KR910000521Y1 (ko) 1991-01-25

Family

ID=1927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329U KR910000521Y1 (ko) 1987-12-18 1987-12-18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5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29U (ko) * 2020-05-20 2021-11-29 강성기 방역마스크보관과 높이 조절 가능한 위생가림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629U (ko) * 2020-05-20 2021-11-29 강성기 방역마스크보관과 높이 조절 가능한 위생가림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598U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0931A (en) Hearing aid amplifiers employing selective gain control circuits
JPS62242500A (ja) 補聴器および補聴器用回路
US4345502A (en)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mplifier
US3995114A (en) Ultra low current amplifier
US3231686A (en) Acoustic apparatus
JP2001258090A (ja) スピーカ駆動回路
KR910000521Y1 (ko) 음향기기의 자동청감 보정회로
US2006001242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ariable harmonic distortion
JPH0145192Y2 (ko)
JPH0546094Y2 (ko)
JPS60233917A (ja) 補聴器用能動音質調整回路
KR910002994Y1 (ko) 저음출력레벨 강조회로
JPS6250002B2 (ko)
KR910003440B1 (ko) 스피커의 음량자동조절 시스템
JPS59146300A (ja) 補聴器用自動利得調整装置
JPH05344583A (ja) 小型電子機器
KR20030096847A (ko) 포켓형 보청기 회로
JPS6281109A (ja) ラウドネスコントロ−ル回路
JPS5824494Y2 (ja) 音響装置
JP2571054Y2 (ja) ワーブルトーン発生器
JPH0712134B2 (ja) スピ−カの増幅回路
JPS6114238Y2 (ko)
KR890000591Y1 (ko) 자동음량 조절회로
KR970068733A (ko) 다 기능을 구비한 보청기
Tate The hearing ai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