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999B1 -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 Google Patents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999B1
KR102409999B1 KR1020220041249A KR20220041249A KR102409999B1 KR 102409999 B1 KR102409999 B1 KR 102409999B1 KR 1020220041249 A KR1020220041249 A KR 1020220041249A KR 20220041249 A KR20220041249 A KR 20220041249A KR 102409999 B1 KR102409999 B1 KR 102409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loading
inclination
shock
loa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이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런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런모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런모터스
Priority to KR102022004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stored under the loading floor when not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9Movable platforms, Load ramps, e.g.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공간으로 운송대상장비를 상차하기 위한 사다리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으며 사다리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은 적재대 상면에 운반 대상 장비 상차 후, 사다리가 적재대 내로 수납될 수 있어, 적재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은 고정 적재부에 대해 기울기 가변 적재부가 하향 회동될 수 있어, 지면과 접하는 사다리의 기울기가 고정적재부와 기울기 가변적재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했을 때보다 완만해 질수 있어, 화물을 운반하는 장비나, 트랙터, 콤바인 및 일반 차량 등 자주식 장비를 포함하는 운반 대상 장비의 상하자 작업이 용이하며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Truck with ladder that can be drawing in and drawing out}
본 발명은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공간으로 운송대상장비를 상차하기 위한 사다리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으며 사다리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에 관한 것이다.
고장차량 또는 사고차량 등과 같이 주행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차량, 불법으로 주차된 차량 등을 정비공장이나 특정 장소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트럭은 크게 견인트럭과 운송트럭의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견인트럭은, 이송대상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 중의 일측을 견인장치로 들어올린 후 차량을 끌고가는 트럭으로서, 차량을 끌고가기 때문에 주행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이송과정에서 차량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운송트럭은 대한민국 등록특호공보 제10-1681933호에 개시된 트럭용 접이식 발판장치와 같이 펼침과 접힘 작동동하는 발판 형태의 자동발판이 지면에서 트럭의 적재함으로 경사로를 제공한다.
자동발판의 기울기는 트럭의 적재함의 높이에 결정되는데, 기울기가 클 경우 상차하는데 큰 힘을 필요로하며 지상고가 낮은 장비를 상차 시 장비의 하부가 적재함과 자동발판이 이루는 모서리에 걸리거나 긁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송트럭의 적재함에 운송대상 장비 상치 시 자동발판은 수직으로 세워져 전후방향으로 길이연장되는 적재공간의 후방 측이 폐쇄되어 적재공간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긴 장비를 상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6672에는 트럭의 후방에 배치되는 주적재부와, 주적재부에 대해 회동하여 기울기 각도가 가변되는 경사적재부를 구비하여 발판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트럭은 발판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나, 운송대상차량을 적재공간에 적재 후 발판부가 수직하게 세워지는 구조를 그대로 가지고 있어 적재공간을 넓게 확보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56672호 :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다리가 상방으로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적재대 내로 인입 및 인출가능하고, 적재대의 전방측의 일측에 대해 후방을 향하는 타측이 하방으로 회동가능하여 사다리의 기울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은 차량 프레임에 지지되는 고정 적재부와, 상기 고정적재부와 함께 운송 대상 장비가 적재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 적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적재부에 대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기울기 가변 적재부를 포함하는 적재대와; 상기 고정적재부와 상기 기울기 가변적재부가 상호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 시상기 고정적재부와 상기 기울기 가변적재부 내로 수납가능한 사다리와, 상기 기울기 가변적재부가 상기 고정적재부와 나란한 상태에서 상기 사다리를 상기 적재대에 대해 후방으로 인출하거나 상기 적재대 내로 수납시키는 사다리 인출입 구동부와, 상기 차량프레임의 후단측에서 상기 기울기 가변 적재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되되 길이신축에 따라 상기 기울기가변적재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조절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다리 인출입구동부는 상기 고정 적재부의 후방으로 개방된 제1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이신축 가능한 인출입 액츄에이터와, 후방을 향하는 상기 인출입 액츄에이터의 입출입 구동로드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인출입 구동로드와 함께 상기 기울기 가변 적재부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제2내부공간으로 진입가능하며 타측에 상기 사다리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다리는 상기 고정 적재부와 상기 기울기 가변 적재부의 내주면과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 또는 측면에 대해 돌출되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마찰저감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기 조절 액츄에이터는 상기 차량프레임과 연결된 일측에 길이신장 방향으로 상기 사다리 및 상기 기울기 가변 적재부에 가해지는 운반대상장비의 하중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는 충격완충부와, 일측이 상기 기울기 가변 적재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진퇴로드와, 일측으로 상기 진퇴로드의 타측이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며 타측에 상기 충격완충부가 연결되는 기울기조절실린더를 포함하는 길이신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은 적재대 상면에 운반 대상 장비 상차 후, 사다리가 적재대 내로 수납될 수 있어, 적재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은 고정 적재부에 대해 기울기 가변 적재부가 하향 회동될 수 있어, 지면과 접하는 사다리의 기울기가 고정적재부와 기울기 가변적재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했을 때보다 완만해 질수 있어, 화물을 운반하는 장비나, 트랙터, 콤바인 및 일반 차량 등 자주식 장비를 포함하는 운반 대상 장비의 상하자 작업이 용이하며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은 인출입 액츄에이터의 길이 신장 정도에 따라 기울기 가변적재부와 함께 링크부의 회동 여부를 제한하거나 제한 해제하여 사다리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에 대한 일부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다리가 적재대에 대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트럭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적재대에 대해 인출된 사다리가 하향 경사지게 적재대 일측이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트럭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에 대한 일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트럭의 사다리 인출입 구동부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의 기울기 조절 액츄에이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1)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1)은 차량프레임(5)의 후방측 상면에 지지대는 적재대(10)와, 적재대(10) 내 수납되거나 인출가능한 사다리(20)와, 사다리(20)를 적재대(10)에 대해 후방측으로 인출시키거나 적재대(10) 내로 수납시키는 사다리 인출입 구동부(30)와, 차량프레임(5)의 후단측에서 적재대(10)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에 대해 회동가능한 타측을 지지하며 길이신축 가능한 기울기 조절 액츄에이터(45)를 구비한다.
적재대(10)는 차량 프레임(5)의 상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 적재부(11)와, 고정적재부(11)와 함께 운송 대상 장비(미도시)가 적재될 수 있는 적재공간(10a)을 형성하도록 고정 적재부(11)의 후단부에 연결되되 고정적재부(11)에 대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기울기 가변 적재부(15)와, 고정적재부(11)에 기울기 가변적재부(15)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결합수단을 구비한다.
고정 적재부(11)는 일정한 폭으로 차량프레임(5)의 길이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방으로 개방된 제1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기울기가변적재부(15)는 고정적재부(11)와 동일한 폭을 갖되, 고정적재부(11) 보다 짧은 길이로 전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기울기 가변적재부(15)는 고정적재부(11)에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 시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제2내부공간(16)이 형성된다.
회동결합수단은 고정적재부(11)의 후단 하면 측에 돌출되며 고정적재부(11)에 대해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제1힌지결합편(17)과, 기울기가변적재부(15)의 전단측 하면에 돌출되며 제1힌지결합편(17)과 겹쳐지게 기울기가변적재부(15)에 대해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제2힌지결합편(18)과, 제1 및 제2힌지결합편(17,18)을 관통하는 제1회동지지축(19)을 구비한다.
사다리(20)는 일정한 폭으로, 고정적재부(11)와 기울기 가변적재부(15)가 상호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 시 고정적재부(11)와 기울기 가변적재부(15) 내로 수납가능하게 형성된 사다리본체(21)와, 사다리본체(21)의 전단 측에 상호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며 사다리본체(21)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3힌지결합편(22)을 구비한다.
사다리 인출입구동부(30)는 적재대(10) 내에서 기울기 가변적재부(15)가 고정적재부(11)와 나란한 상태에서 사다리(20)를 적재대(10)에 대해 후방으로 인출하거나 적재대(10) 내로 수납시키는 것으로서, 인출입 액츄에이터(32)와, 링크부(38)를 구비한다.
인출입 액츄에이터(32)는 제1내부공간(12)에 수용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내부공간(12)의 폭 중심측에 위치되게 일측이 고정적재부(11)의 내측에 고정되는 인출입 구동 실린더(33)와, 후방을 향하는 인출입구동실린더(33)의 타측에 일측이 인출입구동실린더(33)에 대해 후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커지거나 작아지게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는 인출입 구동로드(34)를 구비한다.
링크부(38)는 후방을 향하는 인출입 구동로드(34)의 단부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출입구동로드(34)와 함께 기울기 가변적재부(15)의 제2내부공간(16)으로 진입 가능하며 타측에 사다리(20)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부(38)는 제1 및 제2링크(39,4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링크(39,40)는 인출입구동로드(34)를 사이에 두고 적재대(10)의 폭 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인출입구동로드(34)의 후단에 상호 대향되는 일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제2회동지지축(36)이 관통결합된다.
제1 및 제2링크(39,40)는 후방으로 갈수록 인출입구동로드(34) 중심 선상에 대해 상호 멀어지게 연장되어 각 후단이 사다리본체(21)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3힌지결합편(22)에 각각 제3회동지지축(41)에 의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링크(39)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인출입구동로드(34)의 단부 일측면에 나란한 제1연장부(39a)와, 제1연장부(39a)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인출입구동로드(34)의 연장선상에 멀어지는 제2연장부(39b)와, 제2연장부(39b)의 후단에서 제1연장부(39a)와 나란하게 후단으로 연장되며 사다리(20)의 폭방향 일측의 제3힌지결합편(22)과 겹쳐져 제3회동지지축(41)이 관통되는 제3연장부(39c)를 구비한다.
제2링크(40)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인출입구동로드(34)의 단부 타측면에 나란한 제4연장부(40a)와, 제4연장부(40a)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인출입구동로드(34)의 연장선상에 멀어지는 제5연장부(40b)와, 제5연장부(40b)의 후단에서 제4연장부(40a)와 나란하게 후단으로 연장되며 사다리(20)의 폭방향 타측의 제3힌지결합편(22)과 겹쳐져 제3회동지지축(41)이 관통되는 제6연장부(40c)를 구비한다.
기울기조절 액츄에이터(45)는 차량프레임(5)의 후단측에서 기울기 가변 적재부(15)를 지지하도록 연장되되 길이신축에 따라 기울기 가변적재부(15)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차량프레임(5)의 후단 측과 기울기 가변적재부(15)의 하면에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울기조절 액츄에이터(45)는 일측이 기울기 가변 적재부(15)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진퇴로드(48)와, 일측으로 진퇴로드(48)의 타측이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며 타측에 차량프레임(5)의 후단측이 연결되는 기울기조절실린더(47)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1)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출입 액츄에이터(32)와, 기울기조절 액츄에이터(45)의 길이신축 조절을 위한 유압공급수단과, 조작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유체공급수단은 인출입 구동 실린더(33)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며 인출입 구동 실린더(33) 내로 유체를 공급하여 인출입 구동로드(34)가 인출입 구동 실린더(33)에 대해 진퇴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유체공급라인(35,37)과; 기울기조절실린더(47)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며 기울기조절실린더(47) 내로 유체를 공급하여 인출입 진퇴로드(48)가 인출입 기울기조절실린더(47) 에 대해 진퇴되도록 하는 제3 및 제4유체공급라인(49,50)과; 제 1 내지 제4유체공급라인(35,37,49,50)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탱크와; 유체저장탱크에서 연장된 메인유체공급라인과; 메인유체공급라인과 제1 내지 제4유체공급라인(35,37,49,50)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 내지 제4유체공급라인(35,37,49,50)이 개별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컨트롤밸브와; 메인유체공급라인 일측에 마련되어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펌핑하며 제어부와 연결된 유체공급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유체저장탱크, 컨트롤밸브, 제어부 및 조작부는 차량프레임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컨트롤밸브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일반적인 전자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는 유체공급펌프의 구동과 컨트롤벨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프레임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조작부의 명령에 따라, 유체공급펌프의 구동과 제1 내지 제4유체공급라인(35,37,49,50)의 개폐를 위하여 컨트롤 밸브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1)은 적재대(10) 상면에 운반 대상 장비 상차 후, 사다리가 적재대(10) 내로 수납될 수 있어, 적재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1)은 고정 적재부(11)에 대해 기울기 가변 적재부(15)가 하향 회동될 수 있어, 지면과 접하는 사다리(20)의 기울기가 고정적재(11)와 기울기 가변적재부(15)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했을 때보다 완만해 질수 있어, 화물을 운반하는 장비나, 트랙터, 콤바인 및 일반 차량 등 자주식 장비를 포함하는 운반 대상 장비의 상하자 작업이 용이하며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1)은 인출입 액츄에이터(32)의 길이 신장 정도에 따라, 기울기 가변적재부(15)와 함께 링크부(38)의 회동 여부를 제한하거나 제한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1)은 지면의 높이나 운반 대상 장비의 하중이나 전후방향 길이에 따라 지면에 대한 사다리(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2)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2)은 다수의 제1마찰저감롤러(61)를 더 구비한다.
사다리본체(21)는 상판(21a)과, 상판(21a)의 폭 방향 양단에서 하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복수의 측판(21b)으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제1마찰저감롤러(61)는 축(62) 양단이 복수의 측판(21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사다리본체(2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되, 사다리 본체(21)에 대해 일부 하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2)은 제1 마찰저감롤러(61)에 의해 적재대(10)에 대해 사다리(20)가 진퇴 이동 시 적재대(10)와의 마찰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의 사다리인출입구동부(30)와 사다리(20)에 대한 일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은 의 사다리본체(21)의 양측부를 따라 연장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롤러지지틀(165)과, 각 롤러지지틀(165)에 롤러지지틀(165)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롤러지지틀(165)에 대해 측방으로 일부 돌출되는 다수의 제2마찰저감롤러(161)를 더 구비한다.
한 쌍의 롤러지지틀(165)은 길이방향 양측과 폭 방향 일측부가 개방된 'ㄷ' 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사다리본체(2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장착되어 개방된 일측부가 사다리본체(21)에 대해 외측을 향한다.
제2마찰저감롤러(161)는 축(163)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롤러지지틀(165)의 상단과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은 사다리본체(21)의 양측에 마련된 제2 마찰저감롤러(161)들에 의해 적재대(10)에 대해 사다리(20)가 진퇴 이동 시 적재대(10)와의 마찰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의 기울기조절액츄에이터(245)가 도시되어 있다.
기울기조절액츄에이터(245)는 차량프레임(5)과 연결된 일측에 길이신장 방향으로 사다리(20) 및 기울기 가변 적재부(15)에 가해지는 운반대상장비의 하중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는 충격완충부(256)와, 일측이 기울기 가변 적재부(15)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퇴로드(248)와, 일측으로 진퇴로드(248)의 타측이 진퇴 가능하게 수용되며 타측에 충격완충부(256)가 연결되는 기울기조절실린더(247)를 포함하는 길이신장부(246)를 구비한다.
충격완충부(256)는 기울기조절실린더(247)의 타단에서 기울기조절실린더(247)에 나란하게 기울기조절실린더(247)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충격완충실린더(257)와, 충격완충실린더(257)에 일측이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일측에 폭 방향으로 관통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진퇴가이드공(260)이 형성되는 충격 완충로드(259)와, 기울기조절실린더(247)의 타단에 인접한 충격완충실린더(257)의 일단 내에 수용되는 부쉬(262)와, 충격완충실린더(257)에 수용되어 일측이 부쉬(262)에 지지되고 타측이 충격완충로드(259)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64)와, 진퇴가이드공(260)에 관통되게 충격완충실린더(257)를 관통하여 충격완충로드(259)의 진퇴행정거리를 제한하며 충격완충실린더(257)로부터 충격완충로드(259)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볼트(266)를 구비한다.
충격완충실린더(257)에 돌출된 이탈방지볼트(266)의 일단에는 너트(268)가 결합된다.
충격완충로드(259)의 타단에는 차량프레임(5)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4힌지결합편(6)을 관통하는 제4회동지지축(7)에 대해 상하 회동가능하게 결합을 위한 링 형상의 고리(261)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은 충격완충부(256)에 의해 길이신장부(246)에 전달되는 운반 대상 장비의 하중에 대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어 내구성 향상 및 화물 운반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10 : 적재대 11 : 고정 적재부
15 : 기울기 가변 적재부 20 : 사다리
30 : 사다리 인출입구동부 45 : 기울기 조절 액츄에이터

Claims (5)

  1. 차량 프레임에 지지되는 고정 적재부와, 상기 고정적재부와 함께 상방으로 운송 대상 장비가 적재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 적재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적재부에 대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기울기 가변 적재부를 포함하는 적재대와;
    상기 고정적재부와 상기 기울기 가변적재부가 상호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 시상기 고정적재부와 상기 기울기 가변적재부 내로 수납가능한 사다리와,
    상기 기울기 가변적재부가 상기 고정적재부와 나란한 상태에서 상기 사다리를 상기 적재대에 대해 후방으로 인출하거나 상기 적재대 내로 수납시키는 사다리 인출입 구동부와,
    상기 차량프레임의 후단측에서 상기 차량프레임보다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기울기 가변 적재부를 지지하도록 연장되되 길이신축에 따라 상기 기울기가변적재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조절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기울기 조절 액츄에이터는
    상기 차량프레임과 연결된 일측에 길이신장 방향으로 상기 사다리 및 상기 기울기 가변 적재부에 가해지는 운반대상장비의 하중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는 충격완충부와,
    일측이 상기 기울기 가변 적재부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진퇴로드와, 일측으로 상기 진퇴로드의 타측이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며 타측에 상기 충격완충부가 연결되는 기울기조절실린더를 포함하는 길이신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완충부는
    상기 기울기조절실린더의 타단에서 상기 기울기조절실린더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충격완충실린더와, 상기 충격완충실린더에 일측이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는 충격완충로드와, 상기 충격완충실린더 내에 수용되어 상기 충격완충로드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완충로드는 상기 충격완충실린더에 수용되는 일측에 폭 방향으로 관통되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의 진퇴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충격완충부는 상기 진퇴가이드공에 관통되게 상기 충격완충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충격완충로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며 상기 충격완충실린더로부터 상기 충격완충로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 인출입구동부는
    상기 고정 적재부의 후방으로 개방된 제1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이신축 가능한 인출입 액츄에이터와,
    후방을 향하는 상기 인출입 액츄에이터의 인출입 구동로드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인출입 구동로드와 함께 상기 기울기 가변 적재부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제2내부공간으로 진입가능하며 타측에 상기 사다리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는
    상기 고정 적재부와 상기 기울기 가변 적재부의 내주면과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 또는 측면에 대해 돌출되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마찰저감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4. 삭제
  5. 삭제
KR1020220041249A 2022-04-01 2022-04-01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KR102409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249A KR102409999B1 (ko) 2022-04-01 2022-04-01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249A KR102409999B1 (ko) 2022-04-01 2022-04-01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999B1 true KR102409999B1 (ko) 2022-06-16

Family

ID=8221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249A KR102409999B1 (ko) 2022-04-01 2022-04-01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9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65U (ja) * 1993-07-14 1995-02-03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トラックのリヤゲート装置
JP2005014826A (ja) * 2003-06-27 2005-01-20 Shin Meiwa Ind Co Ltd 格納式荷受台昇降装置
KR200475578Y1 (ko) * 2013-08-26 2014-12-10 김상용 트럭의 사다리 인출입장치
KR20210004467A (ko) * 2019-07-04 2021-01-13 김병열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
KR102256672B1 (ko) 2019-04-03 2021-05-28 주식회사 태건특장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65U (ja) * 1993-07-14 1995-02-03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トラックのリヤゲート装置
JP2005014826A (ja) * 2003-06-27 2005-01-20 Shin Meiwa Ind Co Ltd 格納式荷受台昇降装置
KR200475578Y1 (ko) * 2013-08-26 2014-12-10 김상용 트럭의 사다리 인출입장치
KR102256672B1 (ko) 2019-04-03 2021-05-28 주식회사 태건특장 가변 경사로가 구비된 적재함을 갖는 트럭
KR20210004467A (ko) * 2019-07-04 2021-01-13 김병열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4043C2 (ru) Складная интермодаль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платформа
US6071062A (en) Apparatus for lift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a container
CN103832310B (zh) 车轮支撑悬置组件
US9845646B2 (en) Pipe handler
US5360311A (en) Car catcher for a roll-off hoist
CA2874150C (en) System for adjusting over-axle weight of a vacuum tank truck
US20040013504A1 (en) Straddle carrier
US20090272953A1 (en) Lift apparatus
KR20070012774A (ko) 화물용 래크
US20090115238A1 (en) Truck Bed Lifting Device and Method
KR102409999B1 (ko)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KR200429036Y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CA2740189A1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EP0906241B1 (en) A straddle carrier
US3981408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one vehicle by another
KR100749520B1 (ko) 크레인 차량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US3841509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one vehicle by another
US20190291624A1 (en) Hydraulic truck bed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935431B1 (ko) 광폭이면서 장축인 화물의 트레일러 적재장치
AU711683B2 (en) A straddle carrier
US20230146867A1 (en) Lifting device for the rail-guided transportation of a vehicle
KR102144592B1 (ko) 오토바이 적재장치
CN213322815U (zh) 一种可升降式载货汽车
RU2725847C1 (ru) Эвакуатор-автово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