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467A -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 - Google Patents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467A
KR20210004467A KR1020190080935A KR20190080935A KR20210004467A KR 20210004467 A KR20210004467 A KR 20210004467A KR 1020190080935 A KR1020190080935 A KR 1020190080935A KR 20190080935 A KR20190080935 A KR 20190080935A KR 20210004467 A KR20210004467 A KR 20210004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pull
sliding bed
moving
movem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601B1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102019008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6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1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extensible externally of the vehicle body, e.g. to create an open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방지 레일구조는, 차량의 적재함을 개폐하는 적재함 도어에 이격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적재함 바닥면에 설치되어 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며, 최선단에 장착된 인출식 적재함 또는 슬라이딩 베드의 인출시 다단 중 일부가 상기 레일부에 의재 지지되는 인출길이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업트럭 등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으로부터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를 처짐을 방지시키면서 인출시킬 수 있으므로 적재함 길이에 상관없이 화물을 용이하게 싣고 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 {RAIL STRUCTURE TO PREVENTING DROOP OF PICK-UP TRUCK DRAWER CARGO BOX OR SLIDING BED}
본 발명은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인출식 적재함 또는 슬라이딩 베드를 인출 가능한 레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트럭은 후방에 작은 적재함이 구비된 소형 트럭으로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레저용 차량에도 적재함이 마련되기도 한다.
즉, 픽업트럭은 소정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수납공간인 적재함이 구비된다.
기존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경우 적재함 입구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재물을 밀어 넣어 적재하므로 큰 문제가 없었으나, 적재물을 인출할 때에는 상당한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수화물을 인출하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0727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탑재판의 양측에서만 지지하므로 탑재판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단부에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0727호(2005.11.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픽업트럭 등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으로부터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를 처짐을 방지시키면서 인출시킬 수 있게 한 처짐 방지 레일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는, 차량의 적재함을 개폐하는 적재함 도어에 이격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적재함 바닥면에 설치되어 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며, 최선단에 장착된 인출식 적재함 또는 슬라이딩 베드의 인출시 다단 중 일부가 상기 레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인출길이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길이 조절부재는, 상기 적재함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안내부; 및 상기 제1 이동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안내부의 내, 외측벽에 제1, 2 이동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롤러가 상기 고정부의 대향된 내벽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2 이동롤러가 상기 제2 이동안내부의 대향된 외벽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인출길이 조절부재의 인출시 상기 제2 이동안내부의 후단이 상기 고정부의 선단 위치까지 인출되고, 상기 제1 이동안내부가 상기 제2 이동안내부와 상기 고정부를 중첩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출길이 조절부재는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업트럭 등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으로부터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를 처짐을 방지시키면서 인출시킬 수 있으므로 적재함 길이에 상관없이 화물을 용이하게 싣고 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가 차량 적재함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의 길이가 신장된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의 길이가 신장된 상태를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가 적용된 슬라이딩 베드가 차량 적재함에서 인입 및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방지 레일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가 차량 적재함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의 길이가 신장된 상태를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의 길이가 신장된 상태를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가 적용된 슬라이딩 베드가 차량 적재함에서 인입 및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100)는 레일부(32) 및 인출길이 조절부재(110)를 포함한다.
레일부(32)는 차량(10)의 적재함(20)을 개폐하는 적재함 도어(30)의 양쪽에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레일부(32)는 적재함 도어(3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인출길이 조절부재(110)에 설치된 슬라이딩 베드(40)의 인출시 제1 이동안내부(130)의 제1 이동롤러(134a)가 구름 접촉되면서 제2 이동안내부(140)를 처짐 없이 지지하게 된다.
이때, 레일부(32)는 인출길이 조절부재(110)와 인접한 후단 안쪽에 경사면(32a)이 형성되어 인출길이 조절부재(110)의 작동시 제1 이동롤러(134a)가 경사면(32a)을 타고 부드럽게 이동하여 표면에 위치되게 한다.
인출길이 조절부재(110)는 적재함(20) 바닥면에 설치되어 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며, 최선단에 장착된 인출식 적재함 또는 슬라이딩 베드의 인출시 다단 중 일부가 레일부(32)에 의재 지지된다.
한편, 인출길이 조절부재(110)는 고정부(120), 제1 이동안내부(130) 및 제2 이동안내부(140)를 포함한다. 더욱이, 제2 이동안내부(140)에 고정되는 대상물은 슬라이딩 베드(40)인 것으로 예시한다.
그리고 인출길이 조절부재(110)는 알루미늄재 등으로 압출 성형되어 가볍고 얇으면서 강도를 유지 가능하다.
그리고 고정부(120)의 저면이 제1 이동안내부(130)의 저면과 일치하도록 연결되고, 제2 이동안내부(140)의 상면이 제2 이동안내부(140)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연결되어 슬라이딩 베드(40)의 저면 전체가 제2 이동안내부(140)와 제2 이동안내부(140)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인출길이 조절부재(110)는 인출시 제2 이동안내부(140)의 후단이 고정부(120)의 선단 위치까지 인출되고, 제1 이동안내부(130)가 제2 이동안내부(140)와 고정부(120)를 중첩된 상태로 겹치게 연결하여 제2 이동안내부(140)의 처짐을 방지한다.
고정부(120)는 차량(10)의 적재함(20) 바닥면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평면 형상이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몸체(122), 제1 가이드홈(124) 및 제1 연결부(126)로 구성된다.
고정몸체(122)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몸체로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가이드홈(124)은 이격 배치된 고정몸체(122)의 마주보는 내측면 전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내부에 제1 이동롤러(134a)가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한다.
제1 연결부(126)는 이격 배치된 고정몸체(122)의 이웃한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제1 이동안내부(130)는 고정부(120)의 안쪽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평면 형상이 "
Figure pat00002
"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이동안내몸체(132), 제1, 2 이동롤러(134a, 134b) 및 제2 연결부(136)로 구성된다.
제1 이동안내몸체(132)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몸체로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이동롤러(134a)는 제1 이동안내몸체(132)의 대향된 외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고정몸체(122)의 제1 가이드홈(124) 내에 위치된다.
이때, 제1 이동롤러(134a)는 제1 가이드홈(124)의 바닥면에 구름 접촉한 상태로 위치되어 제1 이동안내부(130)가 고정부(120)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이동이 원할케 한다.
제2 이동롤러(134b)는 제2 이동안내몸체(142)의 대향된 내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제2 이동안내몸체(142)의 제2 가이드홈(144) 내에 위치된다.
제2 이동롤러(134b)도 제1 이동롤러(134a)와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홈(144)의 바닥면에 구름 접촉한 상태로 위치되어 제2 이동안내부(140)가 제1 이동안내부(130)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이동이 원할케 한다.
제2 연결부(136)는 이격 배치된 제1 이동안내몸체(132)의 이웃한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제2 이동안내부(140)는 제1 이동안내부(130)의 안쪽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평면 형상이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이동안내몸체(142), 제2 가이드홈(144) 및 제3 연결부(146)로 구성된다.
제2 이동안내몸체(142)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몸체로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 가이드홈(144)은 이격 배치된 제2 이동안내몸체(142)의 대향된 외측면 전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내부에 제2 이동롤러(134b)가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한다.
제3 연결부(146)는 이격 배치된 제2 이동안내몸체(142)의 이웃한 대향면을 서로 복수 연결한다.
더욱이, 제2 이동안내부(140)에는 상면에 슬라이딩 베드(40)가 고정되어 가장 많이 인출되는 제2 이동안내부(140)를 통해 슬라이딩 베드(40)가 적재함(20)에서 인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10)의 적재함 도어(30)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차량(10)의 적재함(20) 바닥면과 동일 선상을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베드(40)를 적재함(20)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슬라이딩 베드(40)가 인출길이 조절부재(110)에 따라 적재함(20)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슬라이딩 베드(40)가 고정된 제2 이동안내부(140)를 적재함(20) 외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2 이동안내몸체(14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144)은 제2 이동롤러(134b)의 안내에 의해 제1 이동안내부(130)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이동안내부(140)가 제1 이동안내부(130) 일정거리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 이동안내부(140)의 제2 이동안내몸체(142) 후단이 제1 이동안내부(130)의 제1 이동안내몸체(132) 선단을 연동시키고, 제1 이동안내부(130)의 제1 이동롤러(134a)가 고정부(120)의 제1 가이드홈(124)을 따라 일정거리 전방으로 이동한 후, 제1 이동안내부(130)의 제1 이동안내몸체(132) 후단이 고정부(120)의 고정몸체(122) 선단에 걸리면서 이동을 정지하게 된다.
이때, 제1 이동안내부(130)에 구비된 제1 이동롤러(134a)는 제1 가이드홈(124)의 바닥면에서 적재함 도어(30)에 이격 배치된 레일부(32)로 이동하면서 접촉하므로 슬라이딩 베드(4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이동안내부(140) 및 제1 이동안내부(130)가 고정부(120)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면, 제2 이동안내부(140)에 고정된 슬라이딩 베드(40)가 적재함(20)의 외부로 이동하므로 슬라이딩 베드(40)에 화물을 용이하게 싣고 내릴 수 있다.
그 후, 슬라이딩 베드(40)에 화물을 적재하면, 슬라이딩 베드(40)를 적재함(20) 방향으로 밀게 된다.
즉, 슬라이딩 베드(40)의 후진에 의해 슬라이딩 베드(40)에 고정된 제2 이동안내부(140)가 이동하면서 제2 이동안내몸체(142)의 후단을 연결한 제3 연결부(146)가 제1 이동안내부(130)의 제2 연결부(136)에 밀착되면 제1 이동안내부(130)가 제2 이동안내부(140)를 인입시키고 제1 이동안내부(130)의 제2 연결부(136)가 이동하면서 고정부(120)의 제1 연결부(126)에 밀착되면 제2 이동안내부(140)와 제1 이동안내부(130)가 고정부(120)에 인입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슬라이딩 베드(40)가 적재함(20) 내부에 위치되면 차량(10)의 적재함 도어(30)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닫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 20: 적재함
30: 적재함 도어 32: 레일부
40: 슬라이딩 베드 100: 처짐방지 레일구조
110: 인출길이 조절부재 120: 고정부
122: 고정몸체 124: 제1 가이드홈
124: 제1 연결부 130: 제1 이동안내부
132: 제1 이동안내몸체 134a, 134b: 제1, 2 이동롤러
136: 제2 연결부 140: 제2 이동안내부
142: 제2 이동안내몸체 144: 제2 가이드홈
146: 제3 연결부

Claims (5)

  1. 차량의 적재함을 개폐하는 적재함 도어에 이격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적재함 바닥면에 설치되어 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며, 최선단에 장착된 인출식 적재함 또는 슬라이딩 베드의 인출시 다단 중 일부가 상기 레일부에 의재 지지되는 인출길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길이 조절부재는,
    상기 적재함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안내부; 및
    상기 제1 이동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안내부의 내, 외측벽에 제1, 2 이동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이동롤러가 상기 고정부의 대향된 내벽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2 이동롤러가 상기 제2 이동안내부의 대향된 외벽면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길이 조절부재의 인출시 상기 제2 이동안내부의 후단이 상기 고정부의 선단 위치까지 인출되고, 상기 제1 이동안내부가 상기 제2 이동안내부와 상기 고정부를 중첩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길이 조절부재는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KR1020190080935A 2019-07-04 2019-07-04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KR10230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935A KR102300601B1 (ko) 2019-07-04 2019-07-04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935A KR102300601B1 (ko) 2019-07-04 2019-07-04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467A true KR20210004467A (ko) 2021-01-13
KR102300601B1 KR102300601B1 (ko) 2021-09-08

Family

ID=74143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935A KR102300601B1 (ko) 2019-07-04 2019-07-04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6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67B1 (ko) * 2021-06-28 2021-09-10 유한회사 수테크 탑차용 상,하역 보조 장치
KR102409999B1 (ko) * 2022-04-01 2022-06-16 주식회사 뉴런모터스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KR20220128115A (ko) * 2021-03-12 2022-09-20 김병열 차량의 인출식 적재시스템의 처짐방지 구조
KR102463772B1 (ko) * 2022-07-18 2022-11-07 주식회사 세건산업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878A (en) * 1989-08-04 1991-10-01 Donald Volhard Retractable bed for truck
KR100400727B1 (ko) 1999-09-09 200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과부하 처리 방법
US20180118077A1 (en) * 2016-10-31 2018-05-03 Martin P. Ferkul Extendable tilt assembly system
KR101951855B1 (ko) * 2018-07-17 2019-02-25 안광빈 차량용 인출식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878A (en) * 1989-08-04 1991-10-01 Donald Volhard Retractable bed for truck
KR100400727B1 (ko) 1999-09-09 200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과부하 처리 방법
US20180118077A1 (en) * 2016-10-31 2018-05-03 Martin P. Ferkul Extendable tilt assembly system
KR101951855B1 (ko) * 2018-07-17 2019-02-25 안광빈 차량용 인출식 적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115A (ko) * 2021-03-12 2022-09-20 김병열 차량의 인출식 적재시스템의 처짐방지 구조
KR102300767B1 (ko) * 2021-06-28 2021-09-10 유한회사 수테크 탑차용 상,하역 보조 장치
KR102409999B1 (ko) * 2022-04-01 2022-06-16 주식회사 뉴런모터스 인출입 가능한 사다리가 마련된 트럭
KR102463772B1 (ko) * 2022-07-18 2022-11-07 주식회사 세건산업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601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4467A (ko)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
US7083219B1 (en) Retractable storage system for trucks
CN104773115B (zh) 用于车辆中心地板控制台中储存仓的滑动门
US5253914A (en) Tarpaulin cover system for trucks
US6257638B1 (en) Travel trailer with rear wall slide-out room
US6467830B1 (en) Self contained storage device for trucks
US9950673B2 (en) Drawer arrangements
US20170096108A1 (en) Storage bin double track system
US10787128B2 (en) Cargo management system
US7249794B2 (en) Opposed drawer assembly for vehicles
US8844996B2 (en) Extendable bed assembly for a vehicle
US6331026B1 (en) Roof storage compartment assembly for vehicles
CN111098775B (zh) 用于皮卡车的后箱盖组件
KR200496134Y1 (ko) 적재함용 인출입장치
CN102353222A (zh) 冰箱
US11034279B2 (en) Slide out ramp
CN104344672A (zh) 冰箱
US8075239B2 (en) Cargo handling device for vehicle
KR20200072919A (ko)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
KR102607241B1 (ko) 차량의 인출식 적재시스템의 처짐방지 구조
KR20100008662A (ko) 버스의 화물 인출장치
JP7132577B1 (ja) 車両用荷室
KR100456936B1 (ko) 적재함 구조
KR102132723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상부지지장치
KR19980023985U (ko) 차량의 러기지 룸에 설치된 러기지 수납함취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