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772B1 -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772B1
KR102463772B1 KR1020220088300A KR20220088300A KR102463772B1 KR 102463772 B1 KR102463772 B1 KR 102463772B1 KR 1020220088300 A KR1020220088300 A KR 1020220088300A KR 20220088300 A KR20220088300 A KR 20220088300A KR 102463772 B1 KR102463772 B1 KR 102463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iddle plate
base frame
cargo
cla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건산업
Priority to KR102022008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6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the chains or belts being fixed to a rigid pusher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60P1/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forming the main load-transporting element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는, 탑차 화물칸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과, 탑차 화물칸의 출입구 측에 해당하는 위치의 베이스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판(2)과, 상기 고정판(2)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채 베이스프레임(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중판(3)과, 상기 중판(3)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채 베이스프레임(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상판(4)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되, 일측이 상기 상판(4)과 연결되어 상판(4)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이송부재(10)와; 상기 화물칸의 출입구 측 방향의 이송부재(10) 측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판(4)의 전,후진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판(3)의 단부에 체결되어 중판(3)으로 하여금 상판(4)과 함께 소정의 거리만큼 전,후진시키는 제1걸쇠(20)와; 상기 화물칸의 내측 방향의 고정판(2)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2)의 상측까지 이동한 중판(3)의 단부에 체결되어 중판(3)으로 하여금 소정의 거리만큼 화물칸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2걸쇠(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하나의 구동수단만을 구비하고, 중판과 상판 이동을 기계적인 방식으로 순차 진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제어 장치나 프로그램 없이도 원할한 화물 승하차와,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중판과 상판의 이동을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달성함으로써 소요되는 구동장치의 수를 줄이고, 내부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본 발명은 택배 차량과 같은 화물차의 화물칸에 적재하는 화물의 상차 또는 하차를 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수단을 최소화하면서도 원할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에 사용되는 탑차는 비교적 소형 탑차로서 적재함의 크기가 작고, 대부분 후방 도어로만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지게차나 컨베이어 등을 이용하기에 부적합하여 작업자의 노동력에 의존하여 화물을 적재하고 있다.
또한 화물을 배출하는 경우에도 적재함 내부의 안쪽에 있는 화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반 복적으로 적재함을 오르내리면서 작업함에 따라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컨베이어는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휠이나 체인기어의 크기가 확보되어야 해서 적재함 내부 바닥이 높아져 화물 적재량의 감소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탑차용 상,하역 보조 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0767호, 특허문헌 1)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은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하판 조립체와, 하판 조립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중판 조립체와, 중판 조립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판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판 조립체, 중판 조립체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은 상판과 중판을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탑차 내 화물을 적재하는 순서로 치면 상판, 중판, 하판 순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판의 이동은 입구에서부터 상판, 중판 순으로 점차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반대로 화물을 하차하는 경우에는 하판, 중판, 상판 순으로 입구 측으로 이동시켜 하차하게 된다.
그런데, 상판과 중판을 각각 개별 제어하는 방식의 경우 자칫 조작자의 조작 미스로 인해 상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중판이 이동하거나, 중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판이 이동할 경우 자칫 전체 장치가 망가지거나 화물이 겹치면서 무너져 내려 작업자가 부상 당할 위험이 있다.
KR 10-2300767 (2021.09.06)
본 발명의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는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동수단만을 구비하고, 중판과 상판 이동을 기계적인 방식으로 순차 진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제어 장치나 프로그램 없이도 원할한 화물 승하차와,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중판과 상판의 이동을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달성함으로써 소요되는 구동장치의 수를 줄이고, 내부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탑차 화물칸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과, 탑차 화물칸의 출입구 측에 해당하는 위치의 베이스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판(2)과, 상기 고정판(2)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채 베이스프레임(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중판(3)과, 상기 중판(3)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채 베이스프레임(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상판(4)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되, 일측이 상기 상판(4)과 연결되어 상판(4)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이송부재(10)와; 상기 화물칸의 출입구 측 방향의 이송부재(10) 측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판(4)의 전,후진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판(3)의 단부에 체결되어 중판(3)으로 하여금 상판(4)과 함께 소정의 거리만큼 전,후진시키는 제1걸쇠(20)와; 상기 화물칸의 내측 방향의 고정판(2)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2)의 상측까지 이동한 중판(3)의 단부에 체결되어 중판(3)으로 하여금 소정의 거리만큼 화물칸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2걸쇠(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걸쇠(20)의 일측에는 제1체결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상판(4)이 화물칸의 출입구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중판(3)의 단부에 제1체결홈(21)이 결합되어 중판(3)을 상판(4)과 함께 이동시키도록 하고, 타측에는 화물칸의 출입구 측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고정판(2)의 단부와 접할 때 중판(3) 단부가 제1체결홈(21)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회전할 수 있게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걸쇠(30)의 일측에는 제2체결홈(31)이 형성되어 있어 이동하는 중판(3)의 단부에 제2체결홈(31)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상판(4)이 화물칸의 내측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할 때 중판(3)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걸쇠(30)의 일 측벽면에는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이루어진 가이드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재(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35)를 향해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동하면서 가이드부(35)를 가압하여 제2걸쇠(30)를 회전시키는 가압부재(1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걸쇠(20)는 이송부재(10)의 양 측벽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두 제1걸쇠(20)를 연결하는 연결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재(10)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2)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상부지지부(1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상부지지부(12)는 상기 제1걸쇠(2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부(25)의 단부가 접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12a)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제1걸쇠(20)의 하방 회전 각도를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걸쇠(30)는 베이스프레임(1)과 연결된 링크부재(1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2걸쇠(30)의 일측면에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홀(3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36)은 제2회전축(33)을 기준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2회전축(33)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홀(36)의 양 단부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상기 링크부재(1c)에는 상기 가이드홀(36)에 끼워지는 원형 단면의 각도제한핀(1d)이 설치되어, 제2걸쇠(30)의 일측 및 타측 방향 회전시 가이드홀(36)의 양 단부에 각도제한핀(1d)이 걸려 회전 각도를 제한해주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하나의 구동수단만을 구비하고, 중판과 상판 이동을 기계적인 방식으로 순차 진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제어 장치나 프로그램 없이도 원할한 화물 승하차와,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중판과 상판의 이동을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달성함으로써 소요되는 구동장치의 수를 줄이고, 내부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판 및 상판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송부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1걸쇠 및 제2걸쇠의 설치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1걸쇠의 설치 상태 및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2걸쇠의 설치 상태 및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상판 및 중판이 화물칸 출입구 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상판 및 중판이 화물칸 내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본 발명은 탑차 화물칸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과, 탑차 화물칸의 출입구 측에 해당하는 위치의 베이스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판(2)과, 상기 고정판(2)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채 베이스프레임(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중판(3)과, 상기 중판(3)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채 베이스프레임(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상판(4)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4를 살펴보면 베이스프레임(1)에 고정판(2), 중판(3) 및 상판(4)이 설치된 상태에서 중판(2)과 상판(4)이 동시에 화물칸의 출입구 측으로 동시에 움직이다가 일정 지점이 지난 후 상판(4)만 화물칸의 출입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가 화물칸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화물칸의 출입구 측에서 화물의 하차 또는 상차를 하도록 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되, 일측이 상기 상판(4)과 연결되어 상판(4)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이송부재(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를 화물칸 내부측에서 나타낸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 일측에 구동모터(4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40)의 축에 제1스프라켓(41)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1스프레켓(41)과 이격된 위치에 제2스프라켓(42)이 설치되어 있고, 두 스프라켓(41,42)을 체인(42)이 감싸 연결되어 있고, 제2스프라켓(42)에는 이송스크류(44)가 설치되어 있고, 이송스크류(44)에 이송부재(10)의 후방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이송부재(10)의 상부는 상판(4)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부재(10)와 상판(4)은 함께 베이스프레임(1)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더하여 베이스스페임(1)에는 상기 이송부재(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길이부재(1a)가 구비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은 이송부재(10)의 이송을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송부재(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물칸의 출입구 측 방향의 이송부재(10) 측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판(4)의 전,후진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판(3)의 단부에 체결되어 중판(3)으로 하여금 상판(4)과 함께 소정의 거리만큼 전,후진시키는 제1걸쇠(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상기 이송부재(10)의 전방측을 나타낸 것으로, 이송부재(10)의 양측 벽면에는 제1걸쇠(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이송부재(10)의 이동에 따라 제1걸쇠(20)가 회전하여 중판(3)의 하부로 감춰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이러한 제1걸쇠(20)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이송부재(10)의 일측 벽면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이송부재(10)의 일측이 고정판(2) 하부에 위치할 때 이송부재(10)가 고정판(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지지부(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상부지지부(12)에는 제1걸쇠(20)를 이송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켜주는 제1회전축(23)이 설치되어 있다.
더하여, 제1걸쇠(20)의 상부 일측에는 제1체결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중판(3) 단부의 하방으로 꺾인 절곡부(3a)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판(3) 단부의 절곡부(3a)가 제1체결홈(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중판(3)은 이송부재(10)와 함께 거동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제1체결홈(21)으로부터 내측으로는 곡선형으로 만곡된 곡선부(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곡선부(24)의 단부는 중판(3)의 저부에 맞닿아 중판(3)을 지지하고, 불필요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곡선부(24)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꺾인 걸림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22)는 상기 제1체결홈(21)과 비교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걸쇠(20)로 하여금 제1체결홈(21)이 상방을 향하는 탄성을 받도록 제1회전축(23) 등에 미도시된 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22)의 하단으로부터 일 단부측까지는 점차 하향되게 둥글게 형성되어 제1걸쇠(20)의 회전시 고정판(2) 저부와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걸쇠(20)는 이송부재(10)의 양 측벽면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으나, 연결부(25)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중판(3)과의 연결이 여러 지점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거동의 직진성을 보다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송부재(10)의 상부지지부(12)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부지지부(12)의 상부 일측에 상기 제1걸쇠(2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부(25)의 단부가 접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12a)이 단턱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걸쇠(20)의 하방 회전 각도를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걸쇠(20)가 고정판(2)의 저부와 길이부재(1a) 사이에 위치할 때 불필요한 회전을 억제하여 제1걸쇠(20)의 하부와 길이부재(1a)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이송부재(10)의 이동에 따른 제1걸쇠(20)의 회전 작동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첫번째 도면은 우선 제1체결홈(21)에 중판(3)의 단부의 절곡부(3a)가 끼워져 이송부재(10)의 이동에 의해 상판(4)과 중판(3)이 함께 이동하는 상태이다.
두번째 도면은 첫번째 도면에서 이송부재(10)가 고정판(2) 측으로 이동하는 상태이며, 세번째 도면은 고정판(2)의 단부가 걸림부(22)에 맞닿아 가압함에 따라 제1회전축(23)을 기준으로 제1걸쇠(20)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절곡부(3a)가 제1체결홈(2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중판(3)이 상판(4)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가 된다.
네번재와 다섯번째 도면은 고정판(2)의 단부가 걸림부(22)에 맞닿아 가압함에 따라 제1회전축(23)을 기준으로 제1걸쇠(20)가 하방으로 더 회전하면서 결국 제1걸쇠(20)가 고정판(2)의 저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연결부(25)가 상부지지부(12)의 걸림턱(12a)에 걸려 더이상의 회전이 억제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1걸쇠(20)는 상판(4)이 화물칸의 출입구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중판(3)의 단부에 제1체결홈(21)이 결합됨으로써 중판(3)을 상판(4)과 함께 이동시키도록 하고, 화물칸의 출입구 측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고정판(2)의 단부와 접할 때 중판(3) 단부가 제1체결홈(21)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상판(4)과 중판(3)의 동반 이동을 해제시켜주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물칸의 내측 방향의 고정판(2)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2)의 상측까지 이동한 중판(3)의 단부에 체결되어 중판(3)으로 하여금 소정의 거리만큼 화물칸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2걸쇠(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물칸의 내측 방향의 고정판(2)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길이부재(1a)에는 지지부재(1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재(1b)의 상부에는 링크부재(1c)가 설치되어 있다.
더하여 제2걸쇠(30)는 상기 링크부재(1c)의 일측에 제2회전축(33)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제2걸쇠(30)는 상부 일측에 제2체결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체결홈(31)을 기준으로 단부측으로는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진 경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제2회전축(33)을 기준으로 제2체결홈(31)의 반대편에는 상기 지지부재(1b)와 연결되는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34)은 상기 경사부(32)로 하여금 상방향의 탄성을 갖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32)의 측벽면에는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이루어진 가이드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이송부재(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35)를 향해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부(35)를 가압하여 제2걸쇠(30)를 회전시키는 가압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걸쇠(30)의 일측면에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홀(3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36)은 제2회전축(33)을 기준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2회전축(33)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홀(36)의 양 단부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상기 링크부재(1c)에는 상기 가이드홀(36)에 끼워지는 원형 단면의 각도제한핀(1d)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2걸쇠(30)의 일측 및 타측 방향 회전시 가이드홀(36)의 양 단부에 각도제한핀(1d)이 걸려 회전 각도를 제한해주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제2걸쇠(30)는 도 8의 첫번째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해 경사부(32)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으면서도 각도제한핀(1d)에 의해 경사부(32)가 중판(3)의 상부에 닿지 않도록 회전이 억제된 상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재(10)가 중판(3)을 끌고 화물칸의 출입구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고정판(2)의 단부측에 도달하여 제1걸쇠(20)가 회전하여 제1체결홈(21)이 중판(3)의 절곡부(3a)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중판(3)은 이동이 중지된다.
동시에 중판(3)은 정지 직전에 절곡부(3a)에 의해 경사부(32)에 밀려 제2회전축(33)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다가 제2체결홈(31)에 절곡부(3a)가 끼워짐으로써 완전히 정지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재(10)가 계속 화물칸의 출입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판(4)은 중판(3)과의 연결 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이루므로 상판(4)만이 화물칸의 출입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판(4)을 화물칸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소정의 거리 만큼 상판(4)만이 단독으로 이동하다가 이송부재(10)의 가압부재(11)가 상기 가이드부(35)와 접촉하게 되면 가압부재(11)가 상기 가이드부(35)를 눌러 제2걸쇠(3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중판(3)과 제2걸쇠(30)의 고정을 해제시킴과 더불어 전술한 제1걸쇠(20)가 회전하면서 제1체결홈(21)이 절곡부(3a)에 끼워져 중판(3)과 이송부재(10)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재(10)가 화물칸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중판(3)이 함께 이동하게 되는 바, 결국 상판(4)과 중판(3)이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4)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화물지지부재(3b)가 설치되어 상판(4)의 이동 중 화물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 베이스프레임 1a : 길이부재
1b : 지지부재 1c : 링크부재
1d : 각도제한핀 2 : 고정판
3 : 중판 3a : 절곡부
4 : 상판 10 : 이송부재
11 : 가압부재 12 : 상부지지부
12a : 걸림턱 20 : 제1걸쇠
21 : 제1체결홈 22 : 걸림부
23 : 제1회전축 24 : 곡선부
25 : 연결부 30 : 제2걸쇠
31 : 제2체결홈 32 : 경사부
33 : 제2회전축 34 : 스프링
35 : 가이드부 36 : 가이드홀
40 : 구동모터 41 : 제1스프라켓
42 : 제2스프라켓 43 : 체인
44 : 이송스크류

Claims (5)

  1. 탑차 화물칸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과, 탑차 화물칸의 출입구 측에 해당하는 위치의 베이스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판(2)과, 상기 고정판(2)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채 베이스프레임(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중판(3)과, 상기 중판(3)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채 베이스프레임(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상판(4)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되, 일측이 상기 상판(4)과 연결되어 상판(4)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이송부재(10)와;
    상기 화물칸의 출입구 측 방향의 이송부재(10) 측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판(4)의 전,후진에 따라 선택적으로 중판(3)의 단부에 체결되어 중판(3)으로 하여금 상판(4)과 함께 소정의 거리만큼 전,후진시키는 제1걸쇠(20)와;
    상기 화물칸의 내측 방향의 고정판(2)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2)의 상측까지 이동한 중판(3)의 단부에 체결되어 중판(3)으로 하여금 소정의 거리만큼 화물칸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2걸쇠(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쇠(20)의 일측에는 제1체결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상판(4)이 화물칸의 출입구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중판(3)의 단부에 제1체결홈(21)이 결합되어 중판(3)을 상판(4)과 함께 이동시키도록 하고, 타측에는 화물칸의 출입구 측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고정판(2)의 단부와 접할 때 중판(3) 단부가 제1체결홈(21)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회전할 수 있게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걸쇠(30)의 일측에는 제2체결홈(31)이 형성되어 있어 이동하는 중판(3)의 단부에 제2체결홈(31)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상판(4)이 화물칸의 내측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할 때 중판(3)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쇠(30)의 일 측벽면에는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이루어진 가이드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재(10)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부(35)를 향해 베이스프레임(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동하면서 가이드부(35)를 가압하여 제2걸쇠(30)를 회전시키는 가압부재(1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쇠(20)는 이송부재(10)의 양 측벽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두 제1걸쇠(20)를 연결하는 연결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재(10)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2)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상부지지부(1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상부지지부(12)는 상기 제1걸쇠(2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부(25)의 단부가 접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12a)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제1걸쇠(20)의 하방 회전 각도를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제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쇠(30)는 베이스프레임(1)과 연결된 링크부재(1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2걸쇠(30)의 일측면에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홀(3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36)은 제2회전축(33)을 기준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2회전축(33)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홀(36)의 양 단부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상기 링크부재(1c)에는 상기 가이드홀(36)에 끼워지는 원형 단면의 각도제한핀(1d)이 설치되어,
    제2걸쇠(30)의 일측 및 타측 방향 회전시 가이드홀(36)의 양 단부에 각도제한핀(1d)이 걸려 회전 각도를 제한해주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KR1020220088300A 2022-07-18 2022-07-18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KR102463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300A KR102463772B1 (ko) 2022-07-18 2022-07-18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300A KR102463772B1 (ko) 2022-07-18 2022-07-18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772B1 true KR102463772B1 (ko) 2022-11-07

Family

ID=8404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300A KR102463772B1 (ko) 2022-07-18 2022-07-18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7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958A (ko) * 2015-05-14 2016-11-24 (주)세고스 순차적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한 서랍용 슬라이드 유닛
KR102144256B1 (ko) * 2020-04-17 2020-08-12 김인빈 이동식 다목적 타이어 정비장치
KR102182560B1 (ko) * 2019-04-11 2020-11-24 고인영 차량용 적재장치
KR20210004467A (ko) * 2019-07-04 2021-01-13 김병열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
KR102300767B1 (ko) 2021-06-28 2021-09-10 유한회사 수테크 탑차용 상,하역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958A (ko) * 2015-05-14 2016-11-24 (주)세고스 순차적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한 서랍용 슬라이드 유닛
KR102182560B1 (ko) * 2019-04-11 2020-11-24 고인영 차량용 적재장치
KR20210004467A (ko) * 2019-07-04 2021-01-13 김병열 픽업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슬라이딩 베드의 처짐 방지 레일구조
KR102144256B1 (ko) * 2020-04-17 2020-08-12 김인빈 이동식 다목적 타이어 정비장치
KR102300767B1 (ko) 2021-06-28 2021-09-10 유한회사 수테크 탑차용 상,하역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409B2 (ja) トレーラ
JP6903768B2 (ja) 貨物積載システム
EP1707505A1 (en) Container
KR102463772B1 (ko) 차량용 화물 상하차 보조 장치
US20030077157A1 (en) Truck operated transfer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4743157A (en) Vehicle with goods loading/unloading apparatus
WO2001056835A1 (en) Flat goods clamp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US20070292250A1 (en) System For Load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EP0002056B1 (en) Vehicles with demountable bodies
JP2015116855A (ja) 小型車両運搬車
CS199582B2 (en) Equipment for lifting,eventually lowering of interchangeable body
JP2012232703A (ja) 車載式昇降装置
JP2002347505A (ja) 床上貨物運搬装置
JP3925251B2 (ja) 荷移載装置を有するスタッカクレーン
KR20000029915A (ko) 컨테이너
JP2009018878A (ja) スライドパレットユニット及び貨物車
KR100586323B1 (ko) 자동 적재 시스템
JP3219967B2 (ja) 貨物車等における長尺物荷役装置
JPH0717580Y2 (ja) 荷役車両のコンテナ積卸装置
JP2007191109A (ja) 貨物自動車の荷箱構造
KR102622127B1 (ko) 화물 이송장치
NL1004671C2 (nl) Voertuig omvattende een laad- en losinrichting.
JPH054434Y2 (ko)
KR200164528Y1 (ko) 화물 운반용 윙바디(wing body) 차량의 양측면 자동개폐장치
SU1039780A1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а транспортна тележ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