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127B1 - 화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127B1
KR102622127B1 KR1020220026237A KR20220026237A KR102622127B1 KR 102622127 B1 KR102622127 B1 KR 102622127B1 KR 1020220026237 A KR1020220026237 A KR 1020220026237A KR 20220026237 A KR20220026237 A KR 20220026237A KR 102622127 B1 KR102622127 B1 KR 102622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rgo
transfer
bottom plate
trans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8838A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몰드
Priority to KR102022002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127B1/ko
Publication of KR2023012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charge and discharge with push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럭 화물칸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상기 바닥판의 폭 방향을 따라 세워진 이송판; 및 상기 이송판을 상기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트럭의 화물칸 내에서 화물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화물 이송장치{Cargo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의 화물칸 내에서 화물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한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 이후 온라인 쇼핑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오프라인 쇼핑이 어려워지면서 온라인 쇼핑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화물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국내에서 화물의 배송은 대부분 트럭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트럭은 대부분 화물칸 후방에 문이 형성되어 후방의 문을 통해 화물을 싣고 내리기 때문에 화물칸 전단부의 화물을 내릴 때 작업자가 화물칸 내로 들어가 화물을 이동시켜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소비자에게 직접 화물을 배송하는 경우에는 화물을 자주 내리기 때문에 이러한 번거로움이 더 심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 공개번호 제20-1998-0061650호의 '화물차량의 적재화물 이송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컨베이어를 형성하여 적재함 내에서 화물을 이송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컨베이어에 작업자가 화물을 올려주어야 화물이 이송되기 때문에 적재함 전단부의 화물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적재함 내에 들어가 작업을 할 수 밖에 없다.
KR 20-1998-0061650 U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럭의 화물칸 내에서 화물을 보다 용이하게 이송하는 것이 가능한 화물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트럭 화물칸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상기 바닥판의 폭 방향을 따라 세워진 이송판; 및 상기 이송판을 상기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화물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는, 상기 이송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서 상기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이송판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맞물리는 형상의 레일홈을 구비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로 가이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홈의 내측면에는 구름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바닥판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서 상기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 가공된 축, 상기 축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이송판에 고정되는 너트, 및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축 상부로 이송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이송판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축과 타이밍벨트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송판은, 판 형상의 수직판, 상기 수직판에 덧대어지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단을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판의 하면에는 상기 바닥판에 접하는 롤러가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볼롤러가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물 이송장치에 의하면, 화물칸 전방에 위치하던 화물을 작업자가 화물칸 내로 들어가지 않고도 용이하게 이송하여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가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경우, 화물칸의 화물을 후방으로 미는 이송판이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면서 화물을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구동부에 대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이송판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1)의 전체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1)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1)는 기본적으로 바닥판(10), 이송판(20) 및 구동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닥판(10)은 전체적인 형상이 평평한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트럭의 화물칸 바닥 위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바닥판(10)의 트럭 바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송판(20)은 바닥판(10)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닥판(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송판(20)의 높이는 트럭 화물칸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이송판(20)을 바닥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1)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즉, 화물칸에 화물을 싣는 경우에는 구동부(30)가 트럭의 이송판(20)을 화물칸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화물 적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트럭의 화물칸에서 화물을 내리는 경우에는 구동부(30)가 이송판(20)을 화물칸의 후방으로 이동시켜 화물이 이송판(20)에 의해 화물칸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화물칸 전방에 위치하던 화물을 작업자가 화물칸 내로 들어가지 않고도 용이하게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화물칸의 전방은 운전석이 위치하는 차량의 앞부분 방향을 가리키고, 화물칸의 후방은 그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구동부(30)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컨트롤러를 제어함으로써 이송판(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30)의 전원은 차량에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장치(1)는 가이드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0)는 바닥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이송판(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부(40)에 의해 이송판(20)은 바닥판(10)의 폭 방향과 평행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부(40)는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41)와 슬라이딩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41)은 바닥판(10)의 하부에서 바닥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부(42)는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이동하는 부재로서, 가이드레일(41)과 맞물리는 형상의 레일홈(42a)을 구비하여 가이드레일(41)의 상단부가 레일홈(42a)에 끼워져 가이드레일(41)에 결합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42)는 이송판(20)의 하단에 고정되어 이송판(20)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슬라이딩부(42)는 가이드레일(41) 하나에 대해 2개 이상 형성되어 이송판(20)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부(40)가 가이드레일(41)과 슬라이딩부(42)를 구비하는 경우, 바닥판(10)에는 가이드레일(41) 상부로 위치하는 가이드 구멍(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구멍(11)은 가이드레일(41)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구멍(11)에 의해 바닥판(10) 상부의 이송판(20)과 바닥판(10) 하부의 슬라이딩부(42)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41)이 바닥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가이드레일(41)에 결합하여 이동하는 이송판(20)은 바닥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부(40)는 바닥판(10)의 폭 방향 상에서 다수 개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2개의 가이드부(40)가 바닥판(10)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이송판(20)의 양 단부가 바닥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판(20)이 바닥판(10)의 폭 방향과 평행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41)과 슬라이딩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이드부(40)는 이송판(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 외에도 이송판(20)을 여러 개소에서 지지하여 이송판(2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레일홈(42a)의 내측면에는 구름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름부재는 레일홈(42a)의 내측면에서 구르면서 가이드레일(41)과 슬라이딩부(42)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42)가 이송판(20)의 이동에 맞추어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함으로써, 이송판(20)이 이동하면서 바닥판(10)의 폭 방향에 대해 기울어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름부재는 예를 들어, 원통형의 롤러 또는 구형상의 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30)는 볼 스크류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3에는 이러한 구동부(3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볼 스크류 방식의 구동부(30)는 구체적으로 축(31), 너트(32) 및 모터(33)를 구비할 수 있다.
축(31)은 바닥판(10)의 하부에서 바닥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표면이 스크류 가공된 것을 사용한다. 축(31)은 바닥판(10)의 폭 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너트(32)는 축(31)에 결합된 상태로 이송판(2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축(31)이 회전함에 따라 축(3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너트(32)의 이동에 의해 너트(32)에 결합된 이송판(20)이 축(31)의 길이 방향, 즉 바닥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터(33)는 축(3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터(33)는 축(31)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축(31)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축(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30)는 이송판(20)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송판(20)의 하단을 지지하며, 축(31)이 바닥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이송판(20)을 바닥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30)가 축(31), 너트(32) 및 모터(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 바닥판(10)에는 축(31)의 상부 위치로 이송 구멍(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 구멍(12)은 축(31)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송 구멍(12)에 의해 바닥판(10) 상부의 이송판(20)과 바닥판(10) 하부의 너트(32)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정지시 이송판(20)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터(33)로는 브레이크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30)를 구성하는 모터(33)는 이송판(20)의 전방에서 바닥판(10)의 상부 높이에 위치하며, 축(31)과 타이밍벨트(34)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모터(33)를 축(31)과 직접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모터(33)의 크기에 의해 축(31)이 트럭 화물칸의 바닥에서 상부로 더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바닥판(10) 또한 트럭 화물칸의 바닥에서 상부로 더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트럭 화물칸의 화물 적재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그런데 모터(33)와 축(31)을 타이밍벨트(34)를 통해 결합시키면 모터(33)의 크기에 관계 없이 축(31)의 높이를 정할 수 있으므로 트럭 화물칸의 화물 적재 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최대한 방지해줄 수 있다.
그리고 이송판(20)의 전방으로 위치하는 모터(33)는 이송판(20)에 의해 화물이 있는 공간과 격리되므로, 모터(33)가 화물의 적재를 방해하거나 화물에 의해 모터(33)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송판(20)은 수직판(21), 수직 프레임(22), 수평 프레임(23) 및 브라켓(2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는 이러한 이송판(2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수직판(21)은 평평한 판 형상의 부재이며, 이송판(20)의 후단면을 형성하여 트럭의 화물칸에 적재된 화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 프레임(22)은 수직판(21)에 덧대어지는 부재로서, 전체적인 형상이 수직판(21)과 동일한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수직 프레임(22)은 사각 단면의 각관을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2)은 수직판(21)을 지지하여 수직판(21)이 화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수평 프레임(23)은 수직 프레임(22)의 전방에서 수직 프레임(22)의 하단에 연결된다. 수평 프레임(23)은 수직 프레임(22)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인 형상이 수직판(2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수평 프레임(23)은 수직 프레임(22)과 마찬가지로 사각 단면의 각관을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3)은 구동부(30) 및 가이드부(40)에 연결된다. 수평 프레임(23)은 구동부(30) 및 가이드부(4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수평 프레임(23)의 하부에 고정되는 수평판(24)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브라켓(25)은 수직 프레임(22)의 상단과 수평 프레임(23)의 전단을 연결한다. 브라켓(25)에 의해 수직판(21)과 수직 프레임(22)은 화물의 하중에 의해 전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송판(20)의 하면에는 다수 개의 롤러(26)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26)는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판(24)에 고정되어 수평판(24)의 하면 아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26)는 바닥판(10)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이송판(20)이 바닥판(10)을 따라 이동할 때 이송판(20)과 바닥판(10)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송판(20)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바닥판(10)의 상면에는 볼롤러(미도시)가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볼롤러는 구름 동작을 하면서 바닥판(10) 위에 적재된 화물과 바닥판(1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환다. 이에 따라, 이송판(20)이 화물을 밀면서 이송할 때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화물을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화물 이송장치
10 : 바닥판 11 : 가이드 구멍
12 : 이송 구멍 20 : 이송판
21 : 수직판 22 : 수직 프레임
23 : 수평 프레임 25 : 브라켓
26 : 롤러 30 : 구동부
31 : 축 32 : 너트
33 : 모터 34 : 타이밍벨트
40 : 가이드부 41 : 가이드레일
42 : 슬라이딩부 42a : 레일홈

Claims (10)

  1. 트럭 화물칸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상기 바닥판의 폭 방향을 따라 세워진 이송판; 및
    상기 이송판을 상기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서 상기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크류 가공된 축,
    상기 축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이송판에 고정되는 너트, 및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축 상부로 이송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이송판의 전방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부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축과 타이밍벨트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볼롤러가 분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서 상기 바닥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이송판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맞물리는 형상의 레일홈을 구비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상부로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의 내측면에는 구름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바닥판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은,
    판 형상의 수직판,
    상기 수직판에 덧대어지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단을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의 하면에는 상기 바닥판에 접하는 롤러가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장치.
  10. 삭제
KR1020220026237A 2022-02-28 2022-02-28 화물 이송장치 KR102622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237A KR102622127B1 (ko) 2022-02-28 2022-02-28 화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237A KR102622127B1 (ko) 2022-02-28 2022-02-28 화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838A KR20230128838A (ko) 2023-09-05
KR102622127B1 true KR102622127B1 (ko) 2024-01-09

Family

ID=8797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237A KR102622127B1 (ko) 2022-02-28 2022-02-28 화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1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67B1 (ko) * 2021-06-28 2021-09-10 유한회사 수테크 탑차용 상,하역 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178B1 (ko) * 1996-12-30 1999-06-15 양재신 화물고정 장치가 설치된 적재함
KR19980061650U (ko) 1997-03-27 1998-11-16 김영귀 화물차량의 적재화물 이송장치
KR100859752B1 (ko) * 2006-09-07 2008-09-24 조용권 디스플레이용 특장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67B1 (ko) * 2021-06-28 2021-09-10 유한회사 수테크 탑차용 상,하역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838A (ko)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798B2 (en) System for moving loads
US3337066A (en)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US8424669B2 (en) Work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US11440752B2 (en) Vehicle loading system
US10086943B2 (en) System for moving loads comprising a driven transport vehicle
US5525025A (en) Loading/unloading apparatus on a vehicle and method therefor
CN213621665U (zh) 货架及搬运机器人
KR102622127B1 (ko) 화물 이송장치
JP4464174B2 (ja) トレー送り機構
JP4660253B2 (ja) トレー送り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物品格納装置
US6913431B2 (en) Container unloading apparatus
JP5635940B2 (ja) 荷送り込み装置
KR102436306B1 (ko) 컨베이어 시스템
JP2003306209A (ja) トレー送り機構
JPH0379206B2 (ko)
JPH11227948A (ja) トラックローダ及びそれを用いた荷積み方法
KR1012894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롤러 스탠드
CN214775588U (zh) 一种用于轮胎运输的装置
CN218465015U (zh) 一种厢内输送装置
CN219238654U (zh) 一种物流仓储货物转运平台
CN216069738U (zh) 一种滚道型物料周转车
CN215478499U (zh) 一种物流运输装载箱的卸货机构
JP2602381Y2 (ja) トラックの荷台コンベア
JP4650680B2 (ja) 搬送設備
JPH08324710A (ja) フォーク送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