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915A -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915A
KR20000029915A KR1019997001111A KR19997001111A KR20000029915A KR 20000029915 A KR20000029915 A KR 20000029915A KR 1019997001111 A KR1019997001111 A KR 1019997001111A KR 19997001111 A KR19997001111 A KR 19997001111A KR 20000029915 A KR20000029915 A KR 20000029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oor
side wall
displacement means
displa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홀다니엘죤
Original Assignee
존 다니엘 컨테이너즈(프로프라이어터리)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다니엘 컨테이너즈(프로프라이어터리)리미티드 filed Critical 존 다니엘 컨테이너즈(프로프라이어터리)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2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9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2Ramp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제품을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테이너(10)는 플로어(12)와 한쌍의 대향 측벽(14, 16)을 포함하며, 각각의 측벽은 그 상부 에지에 인접한 피봇축을 중심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지지된다. 또한, 컨테이너(10)는 힌지 수단(26)을 포함하며, 하나의 측벽(14)은 상기 힌지 수단(26)에 의해 플로어(12)에 하부 에지에 인접하여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제품을 컨테이너(10)내에 수납할 수 있는 고정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플로어(12)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 1 변위 수단을 더 포함한다. 측벽(14)이 힌지 수단(26)에 의해 플로어(12)에 연결되는 경우 측벽(14)은 플로어(12)와 함께 변위된다. 그러나, 플로어(12)는 힌지 수단(26)이 분리될 때 측벽(14)과 무관하게 변위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CONTAINER}
본 발명은 제품 운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컨테이너와 화물 운반 차량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을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테이너로서,
플로어와,
한쌍의 대향 측벽으로서, 측벽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부 에지에 인접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지지되는, 상기 한쌍의 대향 측벽과,
힌지 수단으로서, 상기 하나의 측벽은 상기 힌지 수단에 의해 그 하부 에지에 인접하여 플로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한, 상기 힌지 수단과,
제품을 컨테이너내에 수납할 수 있는 고정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플로어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 1 변위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을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테이너로서,
플로어와,
한쌍의 대향 측벽으로서, 각각의 측벽은 그 상부 에지에 인접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지지되는, 상기 한쌍의 대향 측벽과,
힌지 수단으로서, 상기 하나의 측벽은 상기 힌지 수단에 의해 그 하부 에지에 인접하여 플로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힌지 수단과,
고정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플로어 및 상기 하나의 측벽을 변위시키기 위한 제 1 변위 수단과,
한쌍의 단부 벽으로서, 단부 벽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상기 한쌍의 단부 벽을 포함하는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상기 힌지 수단은 상기 하나의 측벽이 플로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변위 수단은, 상기 플로어 및 상기 하나의 측벽이 함께 힌지식으로 연결될 때 그리고 상기 플로어가 고정 위치로부터 변위된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플로어는 외측 하방으로 경사운동되어 컨테이너로부터 목재 칩, 프라이애시 등의 입자 물질과 같은 유동가능한 제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어 및 상기 하나의 측벽이 분리되어 있을 때 플로어는 수평 형태로 횡방향으로 변위되어, 변위된 위치에서 플로어는 컨테이너로부터 돌출되어 팰릿운반형 제품과 같은 제품의 적재 및 하역을 지게차와 같은 것에 의해 용이하게 하는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시에 상기 하나의 측벽이 힌지 수단에 의해 플로어에 연결되고 플로어가 제 1 변위 수단에 의해 변위될 때, 상기 하나의 측벽은 플로어와 동시에 변위되지만, 상기 하나의 측벽이 플로어로부터 분리될 때 제 1 변위 수단에 의한 플로어의 변위는 상기 하나의 측벽과 무관하게 실행된다.
상기 제 1 변위 수단은 플로어 하부에 위치된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플로어에 구동식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다란 가요성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길다란 가요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체인은 구동 스프로켓과, 이 구동 스프로켓으로부터 이격된 종동 스프로켓 둘레로 신장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부재는 구동 스프로켓에 구동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변위 수단은 체인과 플로어 사이에 연결되고 그 사이로 신장되는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위 수단은 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부재는 윈치의 방법으로 길다란 가요성 요소를 변위시키고 그에 따라 플로어를 변위시키도록 풀리 장치에 구동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가압 유체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공압 또는 유압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기계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고정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 플로어를 용이하게 변위시키도록 플로어를 지지하기 위한 마찰 감소 지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 감소 플로어 지지 수단은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횡방향으로 신장된 다수의 트랙과, 상기 트랙상에서 이동하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롤러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롤러는 플로어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트랙은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트랙이 그 위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체는 컨테이너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부 프레임일 수 있다. 대신에, 지지체는 화물 운반 차량의 일부분일 수 있다. 각각의 롤러는 그내에 환형 리세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관련 트랙의 일부분은 트랙에 대해 횡방향으로 롤러를 위치시키도록 수납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상기 폐쇄된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다른 측벽을 변위시키기 위한 제 2 변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변위 수단은 측벽에 연결되고 측벽 사이로 신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길다란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측벽은 동시에 변위된다. 대신에, 또는 부가하여 상기 제 2 변위 수단은 플로어 및 상기 하나의 측벽과 무관하게 다른 측벽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변위 수단은 상기 폐쇄된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다른 측벽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가압 유체 작동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플로어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고정 위치로부터 외측으로부터, 즉 힌지 수단에 의해 플로어에 연결될 때 제 1 변위 수단에 의해 변위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상기 하나의 측벽을 변위시키기 위한 제 3 변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변위 수단은 개방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측벽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가압 유체 작동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개방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단부 벽을 변위시키기 위한 제 4 변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부 벽은 개방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그 하부 에지에 인접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 변위시키기 위해 힌지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 4 변위 수단은 가압 유체 작동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상기 하나의 측벽을 폐쇄된 위치에서 분리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의 운반시에 사용하기 위한 컨테이너로서,
제품 수납 격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접근 개구부로서, 이 개구부를 통해 제품 수납 격실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접근 개구부와,
접근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된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도록 장착된 폐쇄 부재와,
폐쇄된 위치에서 폐쇄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본체상에 그리고 도어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상보적인 로킹 부품과 협동하는 폐쇄 부재상에 장착된 상보적인 로킹 부품과, 상보적인 로킹 부품이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한 신장된 위치와, 로킹 부품이 연결되는 경우 신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까지 로킹 부품중 적어도 하나를 변위시켜 폐쇄 부재를 폐쇄된 위치로 변위시키는 신장된 위치 사이에서 로킹 부품중 적어도 하나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로킹 부품 변위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로킹 부품은 상기 로킹 부품중 적어도 하나가 신장된 위치에 있을 때만 연결가능하거나 분리가능할 수 있다.
상기 로킹 부품 변위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부품과 협동하는 회전가능한 편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변위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을 포함하여, 컨테이너가 자체수납형이며 외부 동력원이 필요없이 변위 수단의 작동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화물 운반 차량상에 하역가능하게 장착가능하며, 상기 화물 운반 차량상의 상보적인 로킹 구조물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로킹 구조물을 포함하여 상기 차량상의 위치에 컨테이너를 분리가능하게 유지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로킹 구조물은 대형 운반 컨테이너에 현재 사용되는 종래의 트위스트 로크 구조물일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가 현재의 대형 컨테이너 취급 기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 운반 차량에 있어서,
섀시와,
상기 섀시상에 장착되며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 차량이 제공된다.
차량은 자동차 또는 자동차용 트레일러의 형태일 수 있다. 대신에, 자동차는 철도 웨건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식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예의 방식으로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부분으로서 특정 부분이 생략된 단부도,
도 2는 컨테이너의 일부분의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컨테이너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힌지 장치의 상세도,
도 4는 도 3의 힌지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간략함을 위해 특정 부분이 생략된 컨테이너의 측면도,
도 6은 루프의 부분 및 플로어의 부분이 생략된 컨테이너의 평면도,
도 7은 단부 벽이 생략된 것으로 도 5 및 도 6의 컨테이너의 단부도,
도 8은 고정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 플로어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 1 변위 수단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 1 변위 수단의 부분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X-X 선 단면도,
도 11은 컨테이너의 부분을 형성하는 롤러-트랙 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플로어와, 이 플로어와 연결되고 변위된 위치에 있는 측벽을 구비한 컨테이너의 단부도,
도 13은 플로어와, 이 플로어와 분리된 하나의 측벽 및 변위된 위치로 도시된 다른 측벽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로서 도 12와 유사한 단부도,
도 14는 측벽은 개방 위치로 변위되어 있고 플로어는 그 고정 위치로 유지되는 도 12 및 도 13과 유사한 단부도,
도 15는 플로어 및 벽이 생략된 다른 컨테이너로서 도 6과 유사한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로서 도 15와 유사한 평면도,
도 17은 도 1의 컨테이너의 골격 프레임의 3차원 분해도,
도 18은 화물 운반 차량상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의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컨테이너 및 차량의 배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 장치 부분의 3차원 도면,
도 21은 도 20의 로킹 장치의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롤러-트랙 장치의 측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롤러-트랙 장치로서 도 11과 유사한 단면도,
도 24는 고정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다른 컨테이너의 플로어를 변위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의 제 1 변위 수단의 부분의 측면도,
도 25는 도 24의 XXV-XXV 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 26은 힌지 장치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의 부분의 측면도,
도 27은 도 26의 힌지 장치의 단부도,
도 28은 로크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로킹 장치로서 도 21과 유사한 평면도,
도 29는 언로킹된 형상의 로킹 장치로서 도 28과 유사한 평면도,
도 30은 도 28 및 도 29의 로킹 장치의 측면도,
도 31은 도 28 내지 도 30의 로킹 장치의 작동기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의 제 3 변위 수단의 측면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운반용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가 참조부호(10)로 표시되어 있다.
컨테이너는 도 17에서 참조부호(200)로 표시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200)은 대체로 장방형인 기부 프레임(202)과 한쌍의 단부 프레임(204)을 포함하며, 프레임(204)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기부 프레임(202)의 대향 단부에 고정되어 기부 프레임(202)으로부터 상방 수직으로 신장되게 되어 있다.
기부 프레임(202)은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이격되고 종방향으로 신장되는 다수의 프레임 부재(206)와, 상기 프레임 부재(206)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신장되며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횡방향으로 신장되는 다수의 브레이싱 부재(208)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부 프레임(204)은 상부 프레임 부재(210)와, 바닥 프레임 부재(212)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210)와 바닥 프레임 부재(212) 사이에 연결되고 그 사이로 신장되는 다수의 수직으로 신장되는 보강 부재(214)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장착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컨테이너는 화물 운반 차량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가능하다.
컨테이너(10)는 장방형 플로어(12), 한쌍의 측벽(14, 16) 및 한쌍의 단부 벽(18, 20)을 포함한다.
도면중 도 17을 다시한번 참조하면, 각각의 측벽(14, 16)은 골격 프레임(216, 218)을 각기 포함하며, 골판금속 형태와 같은 외장재는 상기 골격 프레임(216, 218)에 부착된다.
측벽(14)은 피봇 연결부(22)(도 12)를 거쳐 그 상부 에지에 인접하게 지지 프레임(20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측벽(14)은 상부 에지와 인접하고 나란하게 신장되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변위가능하다. 유사하게, 측벽(16)은 피봇 연결부(24)(도 12)를 거쳐 지지 프레임(20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측벽(16)의 상부 에지에 인접하고 나란하게 신장되어 피봇 축을 중심으로 지지 프레임에 대해 피봇 변위시킨다.
또한, 컨테이너(10)는 참조부호(26)로 표시된 힌지 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측벽(14)은 그 하부 에지에 인접하여 플로어(12)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하다.
도면중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4)은 측벽 패널(28)을 포함하며, 다수의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평행한 브레이스 또는 지지체(30)는 상기 측벽 패널(28)에 부착된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지지체(30)는 그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패널(28)에 용접된 채널 또는 박스 부분 형태이다.
힌지 수단(26)은 다수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힌지 핀(32)을 포함하며, 각각의 핀(32)은 로킹된 위치(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됨)와 분리된 위치(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사이에서 화살표(36)(도 3)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변위시키기 위한 핀 가이드(34)에 활주식으로 장착된다. 연결 로드(38)는 각각의 힌지 핀(32)에 연결되며, 핀 가이드(34)내의 종방향으로 신장되는 슬롯(40)을 통해 이로부터 돌출된다. 컨테이너(10)의 하나의 반부상에 위치된 힌지 핀(32)의 연결 로드(38)는 연결 바아(42)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다. 유사하게, 연결 바아(44)는 컨테이너(10)의 다른 반부상에 위치된 힌지 핀(32)의 연결 로드(38)를 함께 연결한다. 연결 바아(42, 44)의 최내측 단부는 전형적으로 유압식인 유체 작동식 이중 작동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46)에 연결된다.
힌지 수단(26)은 지지체에 연결된 다수의 새들 부재(48)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새들 부재(48)는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돌출부는 이를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다수의 돌출부는 힌지 핀(32)에 표시된 구멍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핀이 로킹된 위치에 있는 경우, 측벽(14)은 플로어(12)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힌지 핀(32)이 해제된 위치에 있는 경우, 측벽(14) 및 플로어(12)는 분리되며 독립적인 변위로 될 수 있다.
연결 바아(42, 44)의 변위는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46)의 신장 또는 수축으로 인해서 대향된 방향으로 이뤄질 수 있다. 더욱이, 단일 연결 바아가 사용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다수의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가 사용되어 연결 바아를 변위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참조부호(300)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의 부분을 가리키며, 달리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것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컨테이너(300)의 힌지 수단(26)과 컨테이너(10)의 힌지 수단(26) 사이의 하나의 차이점은, 컨테이너(300)의 경우에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46)가 각기 러그(302, 304)를 연결함으로써 연결 바아(42, 44)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또한, 연결 바아(42, 44)는 부시(306)에 지지된다.
마지막으로, 새들 부재(48)를 사용하는 대신에, 컨테이너(300)의 경우에는 핀 가이드(34)가 서로 이격되고 다수의 관형 부재(308)가 종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도어(14)에 연결되며, 상기 관형 요소(308)는 도어(14)가 폐쇄된 위치에 있는 경우 핀 가이드(34) 사이에 꼭맞게 수납될 수 있다. 힌지 수단(26)의 작동은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힌지 핀(32)은 관형 요소(308)내로 그리고 분리되어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측벽(14)이 플로어(12)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모든 다른 힌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측벽(14)을 변위시키기 위한 제 2 변위 수단을 포함한다. 제 2 변위 수단은 측벽(14, 16)에 연결되고 측벽(14, 16) 사이로 신장되는 다수의 길다란 지주(50(그중 하나가 도 1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음)를 포함한다. 각각의 지주는 각기 그 단부에서 측벽(14, 16)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플로어(12) 및 측벽(14)이 힌지 수단(26)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것에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변위된 위치중 하나와 고정 위치(도 1에 도시되어 있음) 사이에서 플로어(12)를 횡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 1 변위 수단(52)을 포함한다.
또한, 컨테이너(10)는 플로어(12)가 고정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의 변위가 용이하도록 플로어(12)를 지지하기 위한 마찰 감소 플로어 지지 수단(54)을 포함한다.
플로어 지지 수단(54)은 기부 프레임(202)에 연결된 다수의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횡방향으로 신장된 트랙(56)을 포함한다. 도 1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랙(56)은 로드(60)가 연결되는 반전된 T자형 부분(58)을 포함한다. 플로어 지지 수단(54)은 종방향으로 이격된 롤러(62)의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62)는 플로어(12)의 하부에 연결되며 트랙(56)상에서 이동한다. 다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롤러(62)는 그 내에 환형 리세스를 구비하며, 관련된 트랙의 일부분은 상기 리세스내에 수납될 수 있어서 롤러가 트랙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플로어 지지 수단은 도 12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7개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에지 롤러(63)를 구비하여, 플로어(12)가 측벽(14)에 연결되고 고정 위치로부터 변위된 위치로 변위되는 경우 플로어(12)를 지지한다. 에지 롤러(63)의 개수는 컨테이너의 길이에 따라 좌우되며, 그 전체 길이에 걸쳐 플로어에 지지체를 제공하도록 위치될 것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달리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가리키며, 플로어 지지 수단(54)은 각각의 트랙(56)과 관련된 한쌍의 플로어 지지 휠(310)을 포함한다. 휠(310)은 축(312)상에 장착되며, 축(312)은 T자형 부분(58)상에 장착된 한쌍의 브래킷(314)에 지지된다. 롤러(62)는 플로어 지지 휠(310)상에서 이동하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318)를 구비하는 길다란 상부 모자형 부분(316)에 의해 플로어(12)의 하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플로어 지지 휠(310)은 플로어(12)에 부가적인 지지체를 제공하여 부드러운 작동을 보장하고 잼밍될 위험을 감소시킨다.
도 7 내지 도 9를 또 참조하면, 제 1 변위 수단(52)은 참조부호(64)로 표시된 다수의 가이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가이드(64)는 평행하게 이격된 내측으로 접한 다수의 채널 부재(66)를 포함한다. 단부 캡(68)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서 채널(66)의 한 단부에 연결된다. 다수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연결 부재(70)는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채널 부재(66)의 작동식으로 하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소망하는 위치에 부재(70)를 유지한다. 슬라이드(72)는 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채널 부재(66)의 최상부 플랜지상에 그리고 플랜지 사이에 활주식으로 장착된다. 푸시 로드(74)는 슬라이드에 그 단부가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슬라이드(72)와 플로어(12) 사이로 신장된다.
구동 스프로켓(76)은 채널 부재(66) 사이에서 샤프트(78)상에 장착된다. 전기 모터(80)는 샤프트(78)에 구동식으로 연결된다. 아이들 스프로켓(82)은 채널(66) 사이에 위치된 샤프트(84)상에 장착된다. 무단 체인(86)은 구동 스프로켓(76) 둘레로 신장되며, 최상부 체인과 함께 아이들 스프로켓(82)은 채널 부재(66)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되며, 하부 체인은 채널 부재(66) 아래에 위치되어 이동된다. 가이드 스프로켓(도시하지 않음)은 구동 스프로켓(76) 바로 아래에서 샤프트(88)상에 장착되어 체인(86)을 안내한다. 조정 스프로켓(90)은 채널 부재(66) 사이에 위치되어 체인(86)을 연결하고 그 장력이 조정될 수 있게 한다. 슬라이드(72) 및 푸시 로드(74)는 함께 체인(86)을 플로어(12)에 구동식으로 연결한다.
참조부호(94)(도 12)로 표시된 제 2 변위 수단은 기부 프레임과 측벽(16)에 연결된 가압 유체, 전형적으로 유압식인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95)를 포함한다.
필요하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는 기부 프레임 및 측벽(14)에 연결된 가압 유체 작동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의 형태와 같은 유형이고 참조부호(100)로 표시된 제 3 변위 수단을 포함하여 측벽(14)을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로 변위시킨다.
사용시에, 컨테이너(10)내에 목재 칩, 프라이애시 등과 같은 입자 물질을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지주(50)는 측벽(14, 16)에 연결되고,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94, 100)는 분리되거나 비작동상태로 된다.
컨테이너내에 수용된 제품을 하역하고자 할 경우, 전기 모터(80)가 기동되어 스프로켓(76)을 구동시키고 화살표(102)의 방향으로의 체인 및 슬라이드(72)의 상방 이동을 변위시키며, 이에 의해 플로어(12) 및 측벽(14, 16)을 그 변위된 위치(도 12에 도시되어 있음)로 변위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4) 및 플로어(12)의 변위에 위치에서, 측벽 및 플로어는 컨테이너로부터 입자 물질을 하역하기가 용이하도록 대체로 평평한 경사진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플로어(12) 및 측벽(14)을 그 고정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 전기 모터(80)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슬라이드(72)가 화살표(102)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위되며, 이에 의해 컨테이너의 다양한 부품이 그 고정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나, 컨테이너(10)가 예를 들면 팰릿운반형 제품과 같은 다른 제품을 운반하고자 하고, 컨테이너(10)에 제품을 적재하고 하역하고자 하는 경우, 힌지 핀(32)은 그 해제된 위치로 변위되며, 지주(50)는 측벽(14, 16)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양 측벽(14, 16)으로부터 분리되며,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94, 100)(적용가능하다면)는 각기 측벽(16, 14)에 연결된다.
따라서, 컨테이너(10)의 플로어(12)상에 제품을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 측벽(14, 16)중 하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를 작동시켜서 개방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더우기, 필요하다면 컨테이너(10)가 장착되는 차량이 적재 플랫폼(104)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으며, 측벽(16)은 그 개방 위치(도 13에 도시되어 있음)로 변위될 수 있다. 다음에, 제 1 변위 수단(52)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플로어를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어서, 플로어는 컨테이너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며, 플로어(12)의 돌출부에 연결된 롤러(62)는 지지 플랫폼(104)의 표면상에서 작동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품은 예를 들면 지게차와 같은 것에 의해 쉽게 플로어(12)상에 적재하거나 플로어로부터 하역할 수 있다. 일단 플로어(12)가 완전히 적재되면, 제 1 변위 수단(52)은 플로어(12)를 그 고정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다음에 측벽(16)은 폐쇄될 수 있다. 플로어는 힌지 핀(32)이 그 로킹된 위치까지 변위시킴으로써 그 고정 위치에 로킹될 수 있으며, 측벽(16)은 로킹 장치(106)에 의해 그 폐쇄된 위치에 로킹될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적당한 측벽(14, 16)을 그 개방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한쪽 측면으로 적재되거나 하역될 수 있다.
이제 도 32를 참조하면,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100)를 연결하기 위한 다른 선택적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100)의 일 단부는 피봇 핀(420)에 의해 도어(14)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100)의 타 단부는 피봇 핀(424)에 의해 브래킷(422)에 연결되어 있다. 피봇 핀(424)은 브래킷(422)내의 길다란 구멍(426)을 통해 신장되어 구멍(426)내에서 활주가능하다. 길다란 구멍(426)을 제공하는 것은 플로어와 함께 측벽(14)을 변위시키고자 하는 경우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100)를 분리할 필요가 없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길다란 구멍(426)을 제공함으로써 플로어(12)와 함께 변위되는 경우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100)가 측벽(14)과 함께 변위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측벽(14)을 그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고자 한다면, 힌지 수단은 분리되고,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100)는 신장된다.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100)의 초기 신장은 피봇 핀(424)이 구멍(426)내에서 측벽(14)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까지 변위되게 한다.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100)를 더 신장시키면 측벽(14)이 개방 위치쪽으로 변위되게 한다(도 14에서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음).
측벽(14)을 그 폐쇄된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100)는 완전히 수축된 위치로 수축되며, 이 위치에서 피봇 핀(424)은 측벽(14)에 가장 근접한 구멍(426)의 단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자는 구멍(426)을 제공함으로써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100)를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도면중 도 17,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로킹 장치는 측벽(16)상에 장착된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로킹 요소 또는 부품(22)과, 기부 프레임(202)상에 장착된 상보적인 로킹 장치 또는 부품(222)을 포함한다.
각각의 로킹 요소(220)는 원형의 원통형 로드(224)를 포함하며, 로드(224)는 수직으로 신장되는 축에 배치되며, 연결판(226)에 의해 측벽(16)에 연결된다.
각각의 로킹 장치(222)는 기부 프레임(202)상에 장착된 하우징(228)과, 이 하우징(228)에 피봇 핀(232)을 거쳐 피봇식으로 장착된 한쌍의 파지 부재(230)를 포함한다. 파지 부재(230)는 외부 단부를 구비하며, 이 외부 단부는 도면중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로킹 요소(220)의 적어도 로드(224)를 로킹 장치(222)내로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모따기되어 있다. 대향된 오목한 리세스(234)는 그 외부 단부에 바로 인접한 파지 부재(230)에 제공되며, 상기 리세스(234)는 그 형상이 로드(224)와 상보적이다.
파지 부재(230)의 내부 단부는 테이퍼져 있어서, 그 내부 표면은 파지 부재(230)의 선단 또는 외부 단부로부터 수렴한다.
로킹 장치(106)는 로킹 장치(222)와 서로 관련된 로킹 부재(236)를 더 포함한다. 로킹 부재(236)는 샤프트(240)상에 동심으로 장착된 원형 웨지(238)의 형태이다. 샤프트(240)는 웨지(238)가 파지 부재(230)의 후단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로킹된 상태(도면중 도 21에 도시됨)와, 웨지(238)가 파지 부재(230)에서 제거된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전기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변위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시에 측벽(16)이 그 폐쇄된 위치쪽으로 변위되는 경우 샤프트(240)는 그 해제된 위치에 있으며, 로드(224)가 관련 파지 부재(230)의 선단 단부에 접촉하는 경우 파지 부재(230)는 로드(224)가 리세스(234)와 위치가 동일해질 때까지 외측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샤프트(240)는 회전되어 파지 부재(230)의 내부 표면과 협동하는 폐쇄된 위치(도 21에 도시됨)로 웨지(238)를 변위시켜서 파지 부재(230)를 로드(224)가 그 사이에 고정되어 유지되는 로킹된 위치(도면중 도 21에 도시됨)내로 변위되게 한다. 필요하다면, 로킹 장치의 작동은 예를 들면로킹 장치를 언로킹시키기 위해 키패드를 거쳐 코드 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이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면중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참조부호(330)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로킹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가리키며, 달리 표시하지 않으면 상술한 것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로킹 장치(330)는 로킹 장치(106)와 유사하지만,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몇몇 차이점이 있다. 로킹 장치(330)의 경우에, 로킹 부품 또는 파지 부재(230)는 도면중 도 28에 도시된 수축된 또는 로킹된 위치와 도면중 도 29에 도시된 신장된 또는 언로킹된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228)내에서 활주식으로 변위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 또는 핀(332)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파지 부재(230)중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스페이서 핀(332)은 파지 부재(230)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을 이격시킨다. 로킹 장치(330)는 참조부호(334)로 표시된 로킹 부품 변위 수단을 더 포함하며, 파지 부재(230)는 신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다. 로킹 부품 변위 수단(334)은 브래킷(338)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샤프트(336)를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은 기부 프레임(202)상에 장착된다. 샤프트(336)는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편심 요소(342)는 샤프트상에 장착되며, 파지 부재(230)내의 상보적인 구멍(334)에 위치되어,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샤프트(336)가 회전되면 편심 요소(342)의 회전이 야기되며, 다음에 그 결과 그 신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파지 부재(230)가 변위된다.
도면중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품 변위 수단(334)은 유압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346)를 더 포함하며, 조립체(346)의 일 단부는 기부 프레임(202)에 연결되어 있다. 치형 랙(348)은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346)의 피스톤의 단부에 그 일 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브래킷(338)상에 장착된 슬라이드(350)에 활주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352)은 샤프트(336)상에 장착되며, 랙(348)은 피니언(352)과 구동식으로 연결되어, 샤프트(336)의 회전은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346)의 신장 또는 수축에 의해 실행된다.
사용시에, 파지 부재(230)가 그 신장된 위치에 있으면(도면중 도 29에 도시되어 있음), 측벽(16)은 그 폐쇄된 위치, 즉 화살표(354)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로드(224)가 관련 파지 부재(230)의 선단 단부에 접촉하는 경우, 즉 로드(224)가 리세스(234)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346)는 수축된다. 다음에, 이것은 피니언(352)과 협동하는 랙(348)을 변위시켜서 샤프트(336)를 회전시킨다. 샤프트(336)의 회전과, 그에 따른 편심 요소(342)의 회전은 파지 부재(230)가 하우징(228)내로 수축되게 한다. 처음에, 파지 부재(230)의 수축은 파지 부재가 로드(224)를 폐쇄 및 파지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파지 부재(230)는 그 수축된 위치(도면중 도 28에 도시됨)로 당겨지며, 다음에 도어(16)를 폐쇄된 위치의 내측으로 당긴다.
로드(224) 및 파지 부재(234)는 이 파지 부재가 그 신장된 위치에 있을 때만 연결 및 분리가능하여, 그 수축된 위치에 있는 경우(도면중 도 28 참조) 도어는 그 폐쇄된 위치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시에 도어(16)가 휘어지거나 굽었다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있기 전에 로드(224) 및 파지 부재(234)가 연결되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로드(224) 및 이와 관련된 파지 부재(234) 모두가 연결되게 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다음에, 샤프트는 파지 부재(230)를 그 수축된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회전되며, 도어(16)를 고정 유지되는 전체 폐쇄된 위치로 마지막으로 당기며, 이에 의해 도어의 약간의 변형도 보상한다.
도면중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6)은 연결편(108)에 의해 피봇 연결부(24)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편(108)은 측벽(16)에 직교하며, 측벽(16)이 그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 기부 프레임의 상부 에지상에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여,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제 1 변위 수단은 윈치 장치 또는 가압 유체 작동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에 의해 작동되어, 측벽(14)에 연결될 때 경사운동에 의해 또는 측벽(14)으로부터 분리될 때 수평으로 플로어를 변위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중 도 15를 참조하면 참조부호(150)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의 부분을 가리키며, 달리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동일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부품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부 프레임은 장방형 기부 프레임(154)을 포함한다. 제 1 변위 수단(52)은 프레임(154)상에 장착되고 샤프트(162)에 구동식으로 연결된 전기 모터(80)의 형태인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3개의 제 1 풀리(164) 및 2개의 제 2 풀리(166)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샤프트(164)상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띠의 길이부 형태인 길다란 가요성 부재(168)는 제 1 풀리(614)의 각각 둘레에 권선되며, 가요성 요소(168)의 자유 단부는 플로어(12)와 측벽(14)의 피봇식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컨테이너(150)의 플로어(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띠의 길이부 형태인 길다란 가요성 요소(170)는 제 2 풀리(166)의 각각 둘레에 권선되며, 상기 가요성 요소(170)는 프레임(154)의 대향 측면에 장착된 프레임(154)을 가로질러 제 2 풀리(166)로부터 제 2 풀리(166)까지 돌출되어 있으며, 그 자유 단부는 피봇 연결부로부터 측벽(14)까지 이격된 위치에서 플로어(12)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시에, 컨테이너(150)는 트럭의 적재대와 같은 화물 운반 차량상에 장착된다. 컨테이너(150)는 대형 운반 컨테이너의 표준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를 가지며, 상보적인 장착 및/또는 로킹 대형(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면, 이에 의해 컨테이너(150)는 컨테이너 운반 차량의 적재대상에 분리가능하게 로킹할 수 있다.
컨테이너(150)내에 실려진 화물은 도면중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동일한 형태로 컨테이너로부터 하역된다. 따라서, 전기 모터(80)를 기동시키고 한방향으로 샤프트(162)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요성 요소(168)는 제 1 풀리(164)상에 권선되어 플로어(12)를 횡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플로어(12)가 측벽(14)에 연결되어 있는냐 그렇지 않는냐에 따라서, 플로어는 수평방향에서 횡방향으로 변위되거나, 선택적으로 경사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으로 샤프트(162)가 회전되면 가요성 요소(170)가 제 2 풀리(166)로부터 풀려진다. 컨테이너(150)의 부품을 그 폐쇄된 또는 화물 운반 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 전기 모터(80)는 기동되고, 샤프트(162)는 대향 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요성 요소(170)는 제 2 풀리(166)상으로 권선되고 가요성 요소(168)는 제 1 풀리(164)로부터 풀려진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중 도 16을 참조하면 참조부호(180)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의 부분을 가리키며, 달리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동일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부품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 모터(80)를 사용하는 대신에, 하나 이상의 가압 유체 작동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176)를 이용하며, 이 조립체의 각각은 예를 들면 풀리(179) 둘레로 신장되는 띠(177)의 길이부와 같은 가요성 요소를 거쳐 플로어(12)에 구동식으로 연결되어, 플로어(12)가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고정된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 변위되게 한다.
전형적으로, 컨테이너(180)는 유압 유체의 용기와 유체를 용기로부터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까지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 펌프는 전기 모터, 내연 기관 등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면중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작동식 제 1 변위 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달리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에서 사용한 동일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변위 수단(52)은 참조부호(360)로 표시된 다수의 평행하고 종방향으로 이격된 횡방향 신장 가이드를 포함한다. 각각의 가이드(360)는 평행하게 이격되고 내측으로 접한 다수의 채널 부재(362)를 포함하며, 이 부재(362)는 기부 프레임(202)상에 장착된다. 채널 부재(362)의 각 쌍 사이의 기부 프레임상에는 유압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364)가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366)로 표시된 구동 헤드는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364)의 피스톤의 자유 단부에 장착된다. 도면중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헤드(366)는 피스톤(364)의 단부상에 장착된 샤프트(368)를 포함한다. 롤러(370)는 샤프트(368)의 단부상에 베어링(372)을 거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롤러(370)는 이들이 채널 부재(362)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크기로 되고 위치되어 있다. 3개의 치형 스프로켓(374, 376, 378)은 부시(380)를 거쳐 샤프트(368)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3개의 이격 링(382)은 상기 스프로켓(374, 376, 378)을 소망하는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샤프트(368)상에 장착된다.
신장 체인(384)의 일 단부는 피봇 핀(386)을 거쳐 기부 프레임(20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신장 체인은 중앙 스프로켓(376) 둘레로 신장되며, 타단부는 연결 장치(388)에 의해 플로어(12)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장치(388)는 플로어(12)의 하부에 장착된 채널형 부재(390)와, 연결 핀(39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핀(392)은 채널형 부재(390)내의 표시 구멍을 통해 신장되며, 신장 체인(384)의 단부는 피봇 핀(394)에 의해 연결 핀에 연결된다. 피봇 핀(394)으로부터 먼 연결 핀(392)의 단부는 나사체결되며, 한쌍의 로크 너트(396)는 그 위에 장착된다. 코일 스프링(398)은 로크 너트(396)와 채널형 부재(390) 사이에 압축되어 연결 핀(392) 둘레에 장착된다. 따라서, 연결 핀(392)상의 로크 너트(396)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신장 체인(384)에 가해진 장력이 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한쌍의 수축 체인(400)(도 24에는 그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음)은 기부 프레임(202)에 그리고 상술한 방법으로 플로어(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축 체인은 스프로켓(374, 378) 둘레로 신장되어, 도면중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체인(384) 및 수축 체인(400)은 반대로 배치된다. 수축 체인(400)은 피봇 핀(402)에 의해 기부 프레임에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장치(38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결 장치(404)에 의해 플로어(12)에 연결되어 있으며, 달리 표시하지는 않지만, 연결 장치(404)의 유사한 부품은 연결 장치(388)의 부품에 대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사용시에, 플로어(12)를 고정된 위치로부터 변위된 위치쪽으로 변위시키기 위해서,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364)는 신장된다. 이것은 신장 체인(384)에 장력을 가하여 플로어(12)가 화살표(406) 방향으로 변위되게 한다. 측벽(14)이 플로어(12)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든지 그렇지 않든지에 따라서 플로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변위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방법으로 경사운동할 것이다.
플로어(12)를 그 고정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364)는 수축되고, 그 결과 장력이 수축 체인(400)에 가해진 다음 플로어(12)에서 화살표(406)의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변위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장치가 비교적 적은 수의 부품을 이동시키며, 그 결과 상대적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신뢰할 수 있게 사용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또한, 스프링(398)을 제공하면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고 충격 전달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면중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참조부호(250)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컨테이너를 가리키며, 달리 표시하지 않으면 상술한 것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컨테이너(250)와 상술한 컨테이너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폐쇄된 위치(도면중 도 18도에 실선으로 표시됨)와, 개방된 위치(도면중 도 18에 파선으로 표시됨)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다는 것이다.
도면중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벽(20)은 힌지(252)를 거쳐 기부 프레임(20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단부 벽(20)을 변위시키는 것은 한쌍의 유압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254)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조립체(254)는 컨테이너가 장착되는 차량(256)과 단부 벽(20) 사이에 연결된다.
본 발명자는 컨테이너(250)가 상술한 컨테이너의 모든 장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그 단부로부터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믿고 있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가 특히 종래의 측면 하역 컨테이너로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이 다양하다고 믿으며, 또는 선택적으로 힌지 장치(26)를 분리함으로써 플로어(12)가 측벽(14)과 무관하게 변위될 수 있어서 팰릿운반형 제품과 같은 다른 제품의 적재 및 하역을 용이하게 한다고 믿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가 자체 수납될 수 있다는 사실은 컨테이너가 차량으로부터 하역되고 적당하게 소망하는 지지체상에 지지될 수 있는 소망하는 위치로 운반될 수 있게 한다. 다음에, 컨테이너는 그 자체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적재 또는 하역될 수 있게 하며,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차량이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차량은 특정 물질의 화물을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빈채로 출발 지점으로 복귀하는 대신에 모든 다른 형태의 화물을 복귀하는 동안에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는 컨테이너의 특정 구조가 매우 가벼운 구조로 구성될 수 있게 하여 그 중량을 최소화하며, 운반할 수 있는 유료하중과, 제품을 운반하는 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으로 믿고 있다. 특히, 본 발명자는 롤러 및 트랙의 특정 구성은 플로어의 길이부를 따라 그리고 플로어의 폭에 걸쳐 플로어에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믿고 있다. 이것은 플로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때조차도 상대적으로 가벼운 구조로 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길이가 9m인 플로어를 구비한 컨테이너가 만족스럽게 작업할 수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 또한, 롤러 및 트랙의 특정 구성은 플로어의 비틀림 및 잼밍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Claims (30)

  1. 제품을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테이너에 있어서,
    플로어와,
    한쌍의 대향 측벽으로서, 측벽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부 에지에 인접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지지되는, 상기 한쌍의 대향 측벽과,
    힌지 수단으로서, 상기 하나의 측벽은 상기 힌지 수단에 의해 그 하부 에지에 인접하여 플로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한, 상기 힌지 수단과,
    제품을 컨테이너내에 수납할 수 있는 고정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플로어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 1 변위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2. 제품을 운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컨테이너에 있어서,
    플로어와,
    한쌍의 대향 측벽으로서, 각각의 측벽은 그 상부 에지에 인접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지지되는, 상기 한쌍의 대향 측벽과,
    힌지 수단으로서, 상기 하나의 측벽은 상기 힌지 수단에 의해 그 하부 에지에 인접하여 플로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힌지 수단과,
    고정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플로어 및 상기 하나의 측벽을 변위시키기 위한 제 1 변위 수단과,
    한쌍의 단부 벽으로서, 단부 벽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상기 한쌍의 단부 벽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단은 상기 하나의 측벽이 플로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컨테이너.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위 수단은, 상기 플로어 및 상기 하나의 측벽이 함께 힌지식으로 연결될 때 그리고 상기 플로어가 고정 위치로부터 변위된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플로어는 외측 하방으로 경사운동되어 컨테이너로부터 유동가능한 제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로어 및 상기 하나의 측벽이 분리되어 있을 때 플로어는 수평 형태로 횡방향으로 변위되어, 변위된 위치에서 플로어는 컨테이너로부터 돌출되어 제품의 적재 및 하역을 용이하게 하는
    컨테이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위 수단은 플로어 하부에 위치된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플로어에 구동식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다란 가요성 요소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길다란 가요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가압 유체에 의해 작동되는
    컨테이너.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컨테이너.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컨테이너.
  10.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외측으로 멀리 플로어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하나의 측벽을 변위시키기 위한 제 3 변위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변위 수단은 개방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측벽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가압 유체 작동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위치와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의 변위를 용이하게 하도록 플로어를 지지하기 위한 마찰 감소 플로어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감소 플로어 지지 수단은 종방향으로 이격되고 횡방향으로 신장된 다수의 트랙과, 상기 트랙상에서 이동하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롤러 세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플로어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트랙은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는
    컨테이너.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롤러는 그내에 환형 리세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관련 트랙의 일부분은 트랙에 대해 횡방향으로 롤러를 위치시키도록 수납가능한
    컨테이너.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다른 측벽을 변위시키기 위한 제 2 변위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위 수단은 측벽에 연결되고 측벽 사이로 신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길다란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측벽은 동시에 변위되는
    컨테이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위 수단은 플로어 및 상기 하나의 측벽과 무관하게 다른 측벽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컨테이너.
  19. 제 16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위 수단은 상기 폐쇄된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다른 측벽을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가압 유체 작동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단부를 변위시키기 위한 제 4 변위 수단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부 벽은 개방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그 하부 에지에 인접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 변위시키기 위해 힌지식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변위 수단은 가압 유체 작동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측벽을 폐쇄된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23. 제품의 운반시에 사용하기 위한 컨테이너에 있어서,
    제품 수납 격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접근 개구부로서, 이 개구부를 통해 제품 수납 격실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접근 개구부와,
    접근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된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도록 장착된 폐쇄 부재와,
    폐쇄된 위치에서 폐쇄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본체상에 그리고 도어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상보적인 로킹 부품과 협동하는 폐쇄 부재상에 장착된 상보적인 로킹 부품과, 상보적인 로킹 부품이 분리가능하게 연결가능한 신장된 위치와, 로킹 부품이 연결되는 경우 신장된 위치로부터 수축된 위치가지 로킹 부품중 적어도 하나를 변위시켜 폐쇄 부재를 폐쇄된 위치로 변위시키는 신장된 위치 사이에서 로킹 부품중 적어도 하나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로킹 부품 변위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품은 상기 로킹 부품중 적어도 하나가 신장된 위치에 있을 때만 연결가능하거나 분리가능한
    컨테이너.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품 변위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킹 부품과 협동하는 회전가능한 편심 요소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위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을 포함하여, 컨테이너가 자체수납형이며 외부 동력원이 필요없이 변위 수단의 작동을 허용하는
    컨테이너.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물 운반 차량상에 하역가능하게 장착가능하며, 상기 화물 운반 차량상의 상보적인 로킹 구조물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로킹 구조물을 포함하여 상기 차량상의 위치에 컨테이너를 분리가능하게 유지하는
    컨테이너.
  28.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
  29. 화물 운반 차량에 있어서,
    섀시와,
    상기 섀시상에 장착되며 제 1 항 내지 제 2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 차량.
  30.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화물 운반 차량.
KR1019997001111A 1996-08-13 1997-08-11 컨테이너 KR200000299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ZA96/6839 1996-08-13
ZA966839 1996-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915A true KR20000029915A (ko) 2000-05-25

Family

ID=2558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111A KR20000029915A (ko) 1996-08-13 1997-08-11 컨테이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21998A4 (ko)
KR (1) KR20000029915A (ko)
CN (1) CN1078864C (ko)
AU (1) AU723984B2 (ko)
CA (1) CA2263403A1 (ko)
RU (1) RU2182108C2 (ko)
WO (1) WO19980066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2832B4 (de) * 2010-07-30 2021-02-11 Cooper Crouse-Hinds Gmbh Abdrückvorrichtung und Behältnis mit einer solchen
CN105984672B (zh) * 2015-02-13 2021-04-09 南通中集特种运输设备制造有限公司 侧壁可自动上翻开启的集装箱
CN109760962A (zh) * 2019-02-19 2019-05-17 北京鸿通供应链管理有限公司 一种集装箱
RU200139U1 (ru) * 2020-04-15 2020-10-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транспортных технологий" (ООО "ВНИЦТТ") Контейнер-цистерна
RU200223U1 (ru) * 2020-04-27 2020-10-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латфор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дистанционно управляемых назем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CN117068592B (zh) * 2023-10-12 2023-12-22 长治市潞安合力机械有限责任公司 运煤集装箱底部自缷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1874A (en) * 1945-08-22 1949-05-31 Lockheed Aircraft Corp Dump car
US4995522A (en) * 1989-04-24 1991-02-26 Barr Fraser M Bottom dumping bulk container apparatus
US5263601A (en) * 1989-09-29 1993-11-23 Transbor Systems, Inc. Cargo container
DE69021592T2 (de) * 1989-11-29 1996-03-21 Ladislav Stephan Karpisek Seitliche entnahmeklappe eines behälters.
CA2091824A1 (en) * 1992-03-18 1993-09-19 Martin Clive-Smith Freight container
CA2144705C (en) * 1994-03-16 2000-02-29 Daniel John Hall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979397A (en) 1998-03-06
CA2263403A1 (en) 1998-02-19
EP0921998A2 (en) 1999-06-16
WO1998006630A2 (en) 1998-02-19
RU2182108C2 (ru) 2002-05-10
CN1078864C (zh) 2002-02-06
CN1228062A (zh) 1999-09-08
EP0921998A4 (en) 2000-09-13
WO1998006630A3 (en) 1998-05-14
AU723984B2 (en) 200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0829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cargo from cargo spaces of vehicles
US4544319A (en) Cargo transfer system
US7588406B2 (en) Loading assembly for transport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 of use
US9056577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cargo from cargo spaces of vehicles
US7172382B2 (en) Loading assembly for transport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 of use
JP6903768B2 (ja) 貨物積載システム
US6450753B1 (en) Cargo transfer system
KR950003586B1 (ko) 화물 운반용 트럭
US20080277390A1 (en) Container
KR20000029915A (ko) 컨테이너
US5267779A (en) Pick up truck conversion dumping body
US6269963B1 (en) Transport container
JP6657271B2 (ja) コンテナ運送用の移動式リフト装置
WO1998006630A9 (en) Transport container
KR200396854Y1 (ko)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US3999671A (en) Article handling system
US4298304A (en) Vehicles with demountable bodies
US7896603B2 (en) Transport trailer
US6491484B2 (en) Multipurpose freight vehicle
JP2571943Y2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積荷の搬送装置
JP3294970B2 (ja) 車両用荷崩れ防止装置
KR910007882Y1 (ko) 화물 차량의 적재함 설치 구조
JP3011534U (ja) 積載物運搬車輌の積載装置
KR19980033048U (ko) 화물자동차 적재함 구조
KR200200639Y1 (ko) 자동차의 적재함용 승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