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586B1 - 화물 운반용 트럭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용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586B1
KR950003586B1 KR1019930003394A KR930003394A KR950003586B1 KR 950003586 B1 KR950003586 B1 KR 950003586B1 KR 1019930003394 A KR1019930003394 A KR 1019930003394A KR 930003394 A KR930003394 A KR 930003394A KR 950003586 B1 KR950003586 B1 KR 95000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argo
rods
hydraulic cylind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석
Original Assignee
송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화석 filed Critical 송화석
Priority to KR101993000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586B1/ko
Priority to DE4335456A priority patent/DE4335456C2/de
Priority to US08/139,931 priority patent/US5391042A/en
Priority to JP5332434A priority patent/JP2615357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moveable base
    • B60P1/54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moveable base attach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60S9/1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of telescop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Jib Cran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물 운반용 트럭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받침부재의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받침부재와 측면부재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지지부재와 받침부재 및 측면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받침부재와 측면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부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크레인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밑판
3 : 볼트공 4 : 받침부재
5, 6 : 로커 12∼15 : 기둥
12a∼15a : 지지간 16 : 고정봉
17 : 상측 고정봉 18 : 하측 고정봉
19 : 지지부재
본 발명은 화물운반용 트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된 화물을 보다 큰 화물운송수단의 적재위치에 안정된 상태로 옮겨 실을 수 있도록 한 화물운반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운반용 트럭은 사람이 직접 또는 크레인, 지게차등을 이용하여 화물적재부에 실은 짐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운반하거나 더 큰 화물운반용 차량이나 기차등에 옮겨 싣도록 하는데 이용하고 있음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물운반용 트럭은 일부 특수한 차량을 제외하고는 다른 기계의 도움을 받아야만 무겁거나 부피가 큰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으며, 부피가 적고 가벼운 짐은 사람이 하나씩 운반하여야 하였다.
그리고, 화물적재부가 유압실린더에 의해 얼마간 승하강 하도록 한 화물운반용 트럭의 경우에도 내릴때 화물이 질서없이 쏟아져 내리므로 모래나 자갈과 같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화물이 파손되기 때문에 이용할 수 없었다.
특히, 소형의 화물운반용 트럭에 실은 화물을 다른 큰 화물운반용 트럭이나 화물열차등에 옮겨 실을때에는 기계를 이용하거나 사람이 일일이 운반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적재된 화물을 큰 화물운송수단의 화물적재부에 안정된 상태로 옮겨 실을 수 있도록 한 화물운반용 트럭을 제공하는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겁거나 부피가 큰 화물을 간단히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측의 밑판위에 설치되어 너트공에 끼워진 볼트봉의 정·역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는 받침부재의 뒤쪽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받는 로커를 장착하고, 상기 받침부재의 앞쪽 양측에 돌출 형성한 돌기에 측면이 지지되어 같이 후진하는 측면부재의 도어는 상기 로커에 의해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트럭본체에 일측이 회전자재하게 고정된 안내봉을 따라 후크가 전후진하는 크레인부재의 작동봉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진하면서 상기 측면부재를 원상태로 전진시키고, 상기 크레인부재가 지지되는 고정봉을 받쳐주는 4개의 기둥과 뒤쪽고정봉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부재의 유압실린더들은 뒤쪽 두기둥의 사이를 벌려주면서 트럭본체를 4개의 지지간에 의해 받쳐주거나 상향이동하면서 받쳐주도록 함으로써 무거운 물건의 운반은 물론 실린 상태의 화물을 안정된 상태로 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는 전체적인 구성을 외형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차량의 구동을 위한 동력발생수단이 구비되고 상기의 동력을 절환 공급하기 위한 동려공급수단을 구비한 화물운반용 차량에 있어서, 본체(1)의 밑판(2)위에 설치되어 기어(3a)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볼트봉(3)의 회전에 의해 받침부재(4)가 전,후진 하도록 하고, 상기 받침부재(4)의 후진시에만 같이 후진 이동하는 측면부재(9)의 끝단에는 로커핀(10c)에 의해 로킹되며 힌지(10a)(11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어(10)(11)를 설치하며, 상기 받침부재(4)의 후단에는 외부 돌출부(5b)(6b)가 상기 측면부재(9)의 내면과 접하면서 전진할때 스프링(7)(8)을 압축시키면서 밀편(5c)(6c)이 상기 도어(10)(11)의 걸림편(10b)(11b)을 로킹하던 상태에서 해제하는 로커(5)(6)를 대칭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밑판(2)의 4개의 모서리의 앞뒤쪽에는 각각 지지간(12a)(13a)14a)(15a)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내장된 유압실린더의 의해 승하강하는 4개의 기둥(12)(13)(14)(15)을 위치시키되, 상기 앞쪽의 2개의 기둥(12)(13)은 상단의 고정봉(16)과 함께 고정설치하면서 뒤쪽의 2개의 기둥(14)(15)은 상측 고정봉(17)과 하측 고정봉(18)에 의해 외부로 벌려질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고정봉(16)에 일측이 축(21)으로 고정되어 통상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크레인부재(20)의 안내봉(22)은 측면부재(9)의 전면판(9e)의 상면에 형성한 받침로울러(9f)에 얹혀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상측 고정봉(17)의 걸림돌기(17c)에 타측의 걸림턱(22c)이 지지되는 상기 안내봉(22)의 내부에는 유압실린더(23)(제6도에 도시하였음)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작동봉(22a)을 설치하면서 외부에는 후크(24)가 로울러(24a)에 의해 원활히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작동봉(22a)의 끝단에서는 상기 측면부재(9)의 연결봉(9g)에 일측이 고정된 연결간(9h)과의 사이에 고정편(22d)를 볼트 또는 연결핀에 의해 해체가 가능하도록 연결고정한 것이다.
제3도와 제4도는 받침부재와 측면부재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밑판(2)의 구멍(2a)(2b)에 결합된 볼트봉(3)은 일측의 기어(3a)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양측의 스프링(3b)(3c)에 의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볼트봉(3)이 하단의 너트부(4a)에 나사조임으로 결합되어 전후진하는 받침부재(4)는 상기 밑판(2)의 안내홈(2c∼2h)에 안내돌조(4b)(4c)가 끼워진채 받침부재의 로울러(4d) 및 밑판의 로울러(2i)에 의해 원활히 전후로 왕복이동하도록 하며, 안쪽 양측에 돌기(4e)(4f)가 돌출형성된 상기 받침부재(4)의 후단에는 두개의 로커(5)(6)를 대칭되게 설치하여 양측의 돌출부(5b)(6b)가 상기의 측면부재(9)에 의해 후방으로 밀릴때 작동편(5a)(6a) 스프링(7)(8)의 탄성을 받으면서 밀편(5c)(6c)의 양쪽으로 벌려지면서 도어(10)(11)의 걸림편(10b)(11b)을 로킹하던 상태에서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받침부재(4)의 돌기(4e)(4f)가 안내홈(9a)(9b)의 선단부(9c)(9d)에 지지되어 같이 후진하는 측면부재는 밑면이 없는 상태의 적재함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측면부재(9)의 끝단에는 힌지(10a)(11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어(10)(11)를 설치하며 로커(5)(6)와 로커핀(10c)에 의해 로킹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측면부재(9)와 받침부재(4)는 밑판(2)에서 원활히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로울러 외에 다른 부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측면부재(9)는 기존의 트럭과 같이 그 일부가 절첩식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화물운반용 트럭은 사람이 직접 싣거나 크레인 부재(20)를 이용하여 실은 화물을 더 큰 화물운송수단의 화물적재부에 안정된 상태로 이동적재시키도록 한 것으로, 소형트럭이나 경운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받침부재(4)와 측면부재(9)에 의해 제한되는 적재공간에 적재된 화물을 더 큰 화물운송수단의 적재위치에 옮겨싣는 경우에는 차량본체(1)를 적재위치에 근접되게 정차시킨 후, 제5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부재(19)의 하측 고정봉(18)에 내설한 유압실린더를 구동시켜 두 실린더봉(18a)(18b)이 양쪽으로 얼마간 벌려지도록 함으로써 뒤쪽의 두 기둥(14)(15)이 상측 고정봉(17)의 두 슬라이드봉(17a)(17b)도 벌려지도록 하면서 도어(10)(11)의 폭보다 넓게 벌려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에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4개의 기둥(12)∼(15)에 각각 내설된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2a)∼(15a)들이 하강하도록 하여 적재위치의 높이에 따라 본체(1)만 고정시키는 상태 또는 본체(1)를 소정의 높이까지 올려주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받침부재(4)의 기어(3a)를 나사풀림의 방향으로(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3a)와 일체로 회전하는 볼트봉(3)도 회전하게 되고, 이에따라 볼트봉(3)에 결합된 너트부(4a)가 나사풀림의 상태인 본체(1)의 뒤쪽, 즉 적재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너트부(4a)가 하단에 설치된 받침부재(4)도 적재위치인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는 볼트봉(3)의 스프링(3b)(3c)에 의해 무리하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면서 스프링(3b)(3c)의 탄성에 의해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초기에 탄성력을 얻게 된다.
측면부재(9)의 안내홈(9a)(9b)에 끼워진 받침부재(4)는 그 돌기(4e)(4f)가 선단부(9c)(9d)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받침부재(4)의 이동에 따라 측면부재(9)도 이동하게 되고, 이때에는 후방 연결봉(9g)에 연결간(9d)을 통해 고정편(22b)이 연결된 크레인부재(20)의 작동봉(22a)도 유압실린더(23)에 의해 안내봉(22)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받침부재(4)와 측면부재(9)에 의해 형성되는 적재공간에 적재된 화물도 같이 적재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받침로울러(2i)와 안내홈(2d)에 의해 밑판(2)위에서 받침부재(4)가 원활히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적재위치까지 완전히 이동한 상태에서 화물을 이동시킬 때에는 전술한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기어(3a)를 나사조임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볼트봉(3)도 회전시켜 받침부재(4)만 원상태인 앞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받침부재(4)의 받침부재 로울러(4d)와 밑판(2)의 받침로울러(2i)에 의해 안정된 전진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는 안내봉(22) 내부의 유압실린더(23)에 의해 작동봉(22a)이 당겨지는 것이 저지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작동봉(22a)의 고정편(22b)에 연결간(9h)을 통하여 연결된 측면부재(9)는 제위치에 그냥 머물면서 받침부재(4)만 원상태로 환원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받침부재(4)에 얹혀진 상태에서 측면부재(9)에 의해 옆으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던 화물들은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화물이 규격화된 것이어서 작층된 상태 그대로 옮겨지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도어(10)(11)의 걸림편(10b)(11b)들을 로커핀(10c)으로 체결하여 열리지 않도록 하여 적재된 그대로 하향 이동하도록 하는 한편, 화물이 빨리 옮겨지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걸림편(10b)(11b)의 로커핀(10c)을 해제하면, 받침부재(4)가 원상태로 이동하는 중에 양측면 외부 돌출부(5b)(6b)가 측면부재(9)의 양측벽에 걸리면서 로커(5)(6)의 밑편(5c)(6c)이 스프링(7)(8)에 의해 탄지된 상태를 해지시킴으로써 도어(10)(11)가 힌지(10a)(11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도록 한다.
상기 도어(10), (11)의 개폐여부에 상관없이 받침부재(4)의 이동에 따라 화물들이 적재위치에 거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화물을 원하는 높이의 적재의 층으로 쌓을 수도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4)만 원상태로 환원되면서 화물을 다른 적재위치에 완전히 부린 상태에서는 안내봉(22)의 유압실린더(23)를 동작시켜 작동봉(22a)과 함께 측면부재(9)도 당겨주면서 원상태로 환원되도록 한다.
다음에 4기둥의 유압실린더를 역구동시켜 지지간(12a)(13a)(14a)(15a)들을 다시 상향 이동시키면서 원래의 위치까지 환원시킨 뒤, 하측 고정봉(18)의 유압실린더를 역구동시켜 두 실린더봉(18a)(18b)에 의해 뒤쪽의 두기둥(14)(15)도 도어(10)(11)의 위치까지 당겨주도록 한다.
한편, 무거운 화물을 싣거나 내릴 경우에는 연결간(9h)과 고정편(22b)을 연결하는 볼트나 연결핀을 제거한 후 유압실린더(23)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작동봉(22a)에 후크(24)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뒤쪽의 무거운 짐을 들어 올린 후 직접 싣거나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받침부재(4)를 이동시켜 그위에 실은 다음 원상태로 환원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측면의 무거운 짐을 싣는 경우에는 작동봉(22a)과 고정편(22b)의 연결상태를 해제하여 작동봉(22a)과 안내봉(22)이 일측의 축(21)을 중심으로 얼마간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이의 회전반경에 있는 무거운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는 필요에 따라 절첩식의 측면을 개방시켰다가 작업이 끝난 후 다시 조립하면 작업이 용이해지게 된다.
그리고 적재위치에 따라 한번에 운반해야 하는 양을 조절해야 할 경우에는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분해와 조립이 간단한 중간격벽(25)을 설치하여 한번에 적재위치의 바닥부터 차례로 층을 이루도록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열려진 상태의 도어(10)(11)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뒤쪽의 두기둥(14)(15)의 지지간(14a)(15a)을 얼마간 승강시키거나, 앞쪽의 두기둥(12)(13)의 지지간(12a)(13a)을 얼마간 하강시켜 본체(1)의 앞쪽으로 경사를 주어 도어(10)(11)의 무게에 의해 저절로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11)의 로커핀(10c)을 해제하거나, 힌지(10a)(11a)를 해제한 상태에서 앞쪽의 두기둥(12)(13)의 지지간(12a)(13a)만 하강시켜 뒤쪽으로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면 덤프트럭같이 짐을 부릴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물운반용 차량에 의하여서는 밑판부재(4)에 측면부재(9)가 같이 뒤쪽으로 이동하도록 한후(이때에는 안내봉내의 유압실린더를 해제시켜 준다), 밑판부재(4)만 원상태로 이동하면서 화물을 원하는 적재위치에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내봉(22)이나 작동봉(22a)에 후크를 설치하여 무거운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본체(1)의 밑판(2)위에 설치되여 볼트봉(3)에 너트부(4a)가 끼워져 전후로 왕복이동하는 받침부재(4)와, 상기 받침부재(4)의 후단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스프링(7)(8)의 탄성을 받는 작동편(5a)(6a)의 외부 돌출부(5b)(6b)에 의해 로킹상태를 해제하는 두로커(5), (6)와, 상기 받침부재(4)의 앞쪽 양측에 형성한 돌기(4e)(4f)가 선단부(9c)(9d)에 지지되며 양측벽의 끝단에 힌지(10a)(11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어(10)(11)의 걸림편(10b)(11b)이 상기 로커(5), (6)에 의해 로킹되는 측면부재(9)와, 상기 밑판(2)의 앞쪽에 고정봉(16)을 통해 고정설치되며 유압실린더에 의해 지지간(12a)(13a)을 승하강시키는 두기둥(12)(13)과, 상기 밑판의 뒤쪽에서 상측 고정봉(17)의 두슬라이드봉(17a)(17b) 및 하측 고정봉(18)의 두실린더봉(18a)(18b)에 의해 가변지지되며 내부의 지지간(14a)(15a)을 승하강시키는 두기둥(14)(15)과, 상기 고정봉(17)의 상면에 얹혀지는 안내봉(22)의 내부에서 유압실린더(23)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봉(22a)의 끝단에 형성한 고정편(22b)을 상기 측면부재(9)의 후방 연결봉(9b)에 연결간(9h)을 통해 해체가 가능하도록 연결한 크레인 부재(20)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럭.
KR1019930003394A 1993-03-06 1993-03-06 화물 운반용 트럭 KR95000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394A KR950003586B1 (ko) 1993-03-06 1993-03-06 화물 운반용 트럭
DE4335456A DE4335456C2 (de) 1993-03-06 1993-10-19 Lastkraftwagen für den Transport von Gütern
US08/139,931 US5391042A (en) 1993-03-06 1993-10-20 Truck for carrying goods
JP5332434A JP2615357B2 (ja) 1993-03-06 1993-12-27 貨物運搬用トラッ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394A KR950003586B1 (ko) 1993-03-06 1993-03-06 화물 운반용 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86B1 true KR950003586B1 (ko) 1995-04-14

Family

ID=1935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394A KR950003586B1 (ko) 1993-03-06 1993-03-06 화물 운반용 트럭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91042A (ko)
JP (1) JP2615357B2 (ko)
KR (1) KR950003586B1 (ko)
DE (1) DE4335456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767A (en) * 1994-08-23 1996-10-15 Strepek; John E. Motorized extendible drawer apparatus for a vehicle
US5799930A (en) * 1997-01-30 1998-09-01 Means Industries, Inc. Body mount assembly
US7128356B2 (en) * 2005-03-01 2006-10-31 Bassett Brenda J Cargo box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141609B2 (en) * 2009-10-12 2012-03-27 Miller Weldmaster Corporation Extendable welding machine
KR101026436B1 (ko) * 2011-01-17 2011-04-07 김성수 물품 판매를 위한 적재함 분리형 탑차
CN103010065A (zh) * 2012-12-13 2013-04-03 薛琳琳 一种方便装卸货物的汽车
US10384590B2 (en) * 2013-12-27 2019-08-20 Jerome Puchkoff Utility cargo system for vehicle
USD748565S1 (en) 2014-01-08 2016-02-02 Stacy Lee Brown Lift for utility vehicle
CN104386040A (zh) * 2014-11-25 2015-03-04 广西大学 一种车载吸盘式防倾覆加固装置
CN104773109B (zh) * 2015-03-14 2017-05-03 青岛市市立医院 一种医疗设备专用运输车厢
CN105966292B (zh) * 2016-06-29 2018-11-06 广西大学 一种货物搬运机
CN106044281B (zh) * 2016-07-08 2019-05-10 长沙理工大学 一种包装箱自动装车系统及装车方法
KR101981261B1 (ko) *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차량
CN109572518B (zh) * 2018-10-31 2021-08-31 芜湖市海洋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配送专用货车
CN110422098A (zh) * 2019-06-21 2019-11-08 江苏宇腾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运输车车厢
CN110884403A (zh) * 2019-11-18 2020-03-17 利辛县凯盛汽车有限公司 一种半挂车自装卸装置
EP4052962B1 (de) * 2021-03-03 2023-07-26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Lager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9849A (en) * 1932-04-22 1933-02-28 Carl F Burck Transfer safety device
US2088122A (en) * 1936-02-21 1937-07-27 Morris P Taylor Transfer apparatus for transport vehicles
US2177525A (en) * 1938-07-20 1939-10-24 William P Witherow Material handling apparatus
GB678269A (en) * 1948-05-01 1952-09-03 Thomas Dugher Improvements in vehicles for transporting animals
GB679285A (en) * 1950-06-06 1952-09-17 Wallace Blac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ravans and like vehicles
US2778512A (en) * 1955-02-28 1957-01-22 Secondo B Strona Portable truck crane
SU130171A1 (ru) * 1959-10-24 1959-11-3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механизации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ВИМ Всесоюзный Подвижное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FR1421478A (fr) * 1964-10-26 1965-12-17 Madeleine Atel Dispositif de chargement pour véhicule utilitaire fermé
GB1345986A (en) * 1972-01-27 1974-02-06 Bomford Evershed Ltd Attachment of transferxe arms to vehicles
US4187927A (en) * 1977-08-12 1980-02-12 UEC Manufacturing Company Remotely actuated auxiliary pressurization system
US4187048A (en) * 1978-02-22 1980-02-05 Bohlmann Orville R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a van
US4239440A (en) * 1979-02-01 1980-12-16 James Larry R Retractable load lifting and moving apparatus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on motor vehicles
GB2105294B (en) * 1981-06-13 1984-08-01 Jonathan James Pratt Extensible and retractable gantry for mounting in a vehicle
SU1049289A1 (ru) * 1981-12-23 1983-10-23 Воронежский лес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P0171396B1 (en) * 1984-02-06 1988-12-07 OSTERMEYER, Bernd Self loading system
DE3920632C2 (de) * 1989-06-23 1996-03-28 Heide Balzer Aufbau, insbesondere Kastenaufbau, für ein Transportfahrzeug
US5062760A (en) * 1990-04-16 1991-11-05 Transport Technology Corporation Material hand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335456C2 (de) 1995-10-12
JP2615357B2 (ja) 1997-05-28
JPH06316236A (ja) 1994-11-15
US5391042A (en) 1995-02-21
DE4335456A1 (de) 199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586B1 (ko) 화물 운반용 트럭
US5403024A (en) Foldable lightweight pallet carrier
US9896263B2 (en) Collapsible containers
US7588406B2 (en) Loading assembly for transport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 of use
US7172382B2 (en) Loading assembly for transport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 of use
JP2002530250A (ja) 非屈曲上壁を備えた組立式コンテナ
US6382731B1 (en) Load hauling vehicle with sidewall raising and lowering mechanism
AU2014286597B2 (en) A hand-operated and rolling device for lifting and moving pallets with lifting effect by wheel camber change
WO1995000419A1 (en) A container and a vehicle and container system
KR200355124Y1 (ko)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RU2182108C2 (ru) Контейнер (варианты)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контейнером
KR101202064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EP0953478B1 (en) An arrangement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ation of goods in a truck-carried container
CN219860403U (zh) 一种叉车过载防倾倒装置
KR200348362Y1 (ko) 소금운반대차구조
KR0139700Y1 (ko)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KR101196553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AU2006100271B4 (en) Trailer support posts
KR20170109991A (ko) 컨테이너 내용물 하역기계
JPH09323550A (ja) ウイング車
SU13500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в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боковым дверным проемом
KR910007882Y1 (ko) 화물 차량의 적재함 설치 구조
JP2955660B1 (ja) コンテナ自動車及びコンテナ
RU1801814C (ru) Самосва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