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124Y1 -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124Y1
KR200355124Y1 KR20-2004-0009082U KR20040009082U KR200355124Y1 KR 200355124 Y1 KR200355124 Y1 KR 200355124Y1 KR 20040009082 U KR20040009082 U KR 20040009082U KR 200355124 Y1 KR200355124 Y1 KR 200355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oading
cargo
rotatably coupled
ac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현대휴먼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휴먼텍(주) filed Critical 현대휴먼텍(주)
Priority to KR20-2004-0009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량의 적재함 후부에 형성된 도어용 판넬을 이용하여 상하 이동되는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를 구성하여 별도의 적재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면서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화물을 적재,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 적재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도록 하기 위해, 적재함의 후부에 개폐되는 판넬(10)이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복동실린더(22)로 구성되어 상기 판넬을 개폐시키는 판넬개폐수단(20)과; 상기 판넬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상하이동부재(32)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32)의 상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32)에 승강 구동력을 인가시키는 단동실린더(34)로 구성된 판넬승강수단(30)과; 상기 제 1, 2복동실린더(22)(34)를 구동 및 제어시켜 판넬의 개폐와 판넬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압구동제어부(40)가 포함 구성된다.

Description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Lifting apparatus for loading a truck with goods using door panel of truck}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후부에 형성된 판넬을 이용하여 상하 이동되는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를 구성하여 별도의 적재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면서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은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재함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화물을 들어올려야만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다. 물론 물류센터와 같이 주로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하는 장소에는 화물 적재를 위한 높이로 화물 적재 또는 하치장이 설치되어 있어서 들어올리지 않고도 밀어서 적재할 수는 있다.
그렇지만 통상 화물 적재 구조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화물차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 사람이 직접 들어올리거나 지게차등을 이용해야 한다.
그리고,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적재함 판넬의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판넬을 회동 개방시키게 되면 화물의 적재가 가능하게 되며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다시 판넬을 회동시켜 닫은 다음 잠금장치를 조작 록킹시켜 화물의 안전하게 보관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적재함에 고중량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지게차와 같은 리프팅장치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이를 들어 올려 적재함 상에 적재하게 된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해 판넬의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개방시킨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하는 방식은 모든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많은 적재시간이 요구되는 등 물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과 물류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이 중량물일 경우 지게차와 같은 별도의 적재장비와 이 적재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요구되므로 적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적재공간이 밀폐되도록 컨테이너 박스화한 화물차량은 그 후부에 형성된 판넬의 크기가 크고 한정된 개구부를 통해 수작업에 의해 판넬을 개폐시키면서 화물을 적재해야 하므로 화물의 적재비용 및 적재시간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박스형 적재공간이 마련된 차량에 지게차와 같은 적재장비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할 경우 박스형 적재함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후부에 형성된 판넬을 이용하여 상하 이동되는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를 구성하여 별도의 적재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면서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화물을 적재,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 적재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도록 한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의 제 1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의 제 2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판넬 20:판넬개폐수단
22:복동실린더 30:판넬승강수단
32:상하이동부재 34:단동실린더
36:횡부재 40:유압구동제어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재함의 후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개폐되는 판넬이 구비된 화물차량의 후부에 구성되는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양측 하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복동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판넬을 개폐시키는 판넬개폐수단과; 상기 복동실린더와 근접된 위치에 해당되는 판넬의 양측 하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판넬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승강 구동력을 인가시키는 단동실린더로 구성된 판넬승강수단과; 상기 복동실린더 및 단동실린더를 구동 및 제어시켜 판넬의 개폐와 판넬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압펌프 및 방향제어밸브가 구비된 유압구동 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그 상부가 판넬개폐수단의 내측에 해당되는 판넬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턱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브라켓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가 형성되는 상단부에는 상기 판넬개폐수단에 의해 판넬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턱의 저면에밀착 지지되는 지지면이 형성되어 판넬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판넬의 회동이 차단되어 평면상태가 유지되면서 승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면에 근접한 상하이동부재의 상단 내측면에는 좌우 상하이동부재에 연결되는 횡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내부에 단동실린더가 수용되도록 하부측으로 개방 형성된 'ㄷ' 형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의 제 1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의 제 2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의 후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개폐되는 판넬(10)과, 상기 판넬(10)의 양측 하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복동실린더(22)로 구성되어 상기 판넬을 개폐시키는 판넬개폐수단(20)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복동실린더(22)와 근접된 위치에 해당되는 판넬(10)의 양측 하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판넬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상하이동부재(32)와, 상기 상하이동부재(32)의 상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32)에 승강 구동력을 인가시키는 단동실린더(34)로 구성된 판넬승강수단(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동실린더(22) 및 단동실린더(22)(34)를 구동 및 제어시켜 판넬의 개폐와 판넬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압구동제어부(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가 판넬개폐수단 (20)의 내측에 해당되는 판넬(10)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턱(12)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브라켓(14)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부(32a)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32a)가 형성되는 상단부에는 상기 판넬개폐수단(20)에 의해 판넬(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턱(12)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면(32b)이 형성되어 판넬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판넬의 회동이 차단되어 판넬의 평면상태가 유지되면서 승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면(32b)에 근접한 상하이동부재(32)의 상단 내측면에는 좌우측 상하이동부재(32)에 연결되는 횡부재(36)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2)는 내부에 단동실린더(34)가 수용되도록 하부측으로 개방되게 설치되는 'ㄷ' 형강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동실린더(22)의 상하 단부, 상하이동부재(32) 및 단동실린더(34)의 하단부는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한 쌍의 힌지판이 이격 형성된고정브라켓(3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유압구동제어부(40)는 실린더 내부에 주입 및 배출되면서 구동력의 전달을 매개하는 유압오일이 채워지는 오일탱크가 구비되고, 모터의 구동에 따라 오일탱크 내부의 오일을 흡인하는 유압펌프가 설치되며, 그 유압펌프의 토출측으로 배출된 오일의 압력이 정해진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되게 조절하는 2개의 압력조절밸브를 구비하여 유압구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판넬개폐수단(20)의 복동실린더(2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방향제어밸브와, 판넬승강수단(30)의 단동실린더(3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2방향제어밸브가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후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방향제어밸브는 각각 유체의 흐름방향이 6포트이고 밸브실이 3개인 6/3-웨이 밸브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조절밸브와 제2방향제어밸브 사이에는 복동실린더와 단동실린더의 작동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방향제어밸브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유압구동제어부(40)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의 작동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유압구동모터와 방향제어밸브 등등을 구비하여 다양하게 변형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 후부의 판넬(10)을 개방시키고자 할 때는 판넬개폐수단(20)의 복동실린더(22)를 후진시키면 판넬이 개방되게 되는 데, 즉 예컨대 조작스위치(미도시)를 작동하여 유압펌프를 작동시키게 되면 압력조절밸브에 의해 유압오일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으로 조정되어 토출측으로 압송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제 1방향제어밸브의 'b'측에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복동실린더(22)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유압오일이 압송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복동실린더(22)의 로드(22a)가 당겨지면서 판넬(10)에 개방력이 작용되므로 상기 판넬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방된 판넬(10)을 다시 원위치 시켜 닫으려면 제 1방향제어밸브의 'a'측에 전기신호를 인가시키게 되면 복동실린더(22)가 전진 이동되므로 돌출되는 로드(22a)에 의해 판넬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닫혀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판넬개폐수단(20)의 동작에 의해 판넬(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지면상에 위치된 화물을 탑재하여 적재함에 적재하고자 할 때는 제 3방향제어밸브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유압오일을 유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제 2 방향제어밸브의 'd'측에 전기신호를 인가하면 단동실린더(34)가 후진되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단동실린더(34)의 로드(34a)가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면서 그 수축력이 로드힌지(34b)를 매개로 상하이동부재(32)에 전달되므로 이 상하이동부재(32)의 힌지부(32a)에 결합된 판넬이 하방을 향해 하강되는 작동이 수행되게 되고 횡부재(36)에 의해 좌우 단동실린더(34)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안정된 하강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판넬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하게 되며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다시 단동실린더(34)의 로드(34a)가 전진 이동되도록 작동시키게 되면 로드의 가압력이 상하이동부재(32)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회동되면서 판넬(1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상승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함 내부로 이동시키고 판넬을 닫게 되면 화물의 적재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에 의하면, 판넬이 수작업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동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판넬 자체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므로 화물의 적재를 단시간내에 적은 인력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적재시간 등이 단축되어 적재 효율이 향상되고 물류비용의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수작업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장치는 판넬개폐수단 및 판넬승강수단이 모두 복동실린더에 의해 작동(판넬 개폐 및 화물의 승강이 모두 유압에 의해 이루어짐)되므로 그 작동시간이 신속하여 화물의 처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이 중량물일 경우 지게차와 같은 별도의 적재장비와 이 적재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적재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상기 적재장비가 화물의 적재과정에서 화물차량에 입히는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적재함의 후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개폐되는 판넬이 구비된 화물차량의 후부에 구성되는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양측 하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복동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판넬을 개폐시키는 판넬개폐수단과;
    상기 복동실린더와 근접된 위치에 해당되는 판넬의 양측 하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판넬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승강 구동력을 인가시키는 단동실린더로 구성된 판넬승강수단과;
    상기 제 1 및 단동실린더를 구동 및 제어시켜 판넬의 개폐와 판넬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압펌프 및 방향제어 밸브가 구비된 유압구동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그 상부가 판넬개폐수단의 내측에 해당되는 판넬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턱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브라켓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가 형성되는 상단부에는 상기 판넬개폐수단에 의해 판넬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턱의 저면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면이 형성되어 판넬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판넬의 회동이 차단되어 평면상태가 유지되면서 승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면에 근접한 상하이동부재의 상단 내측면에는 좌우 상하이동부재에 연결되는 횡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내부에 단동실린더가 수용되도록 하부측으로 개방 형성된 'ㄷ' 형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KR20-2004-0009082U 2004-04-01 2004-04-01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KR200355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082U KR200355124Y1 (ko) 2004-04-01 2004-04-01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082U KR200355124Y1 (ko) 2004-04-01 2004-04-01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124Y1 true KR200355124Y1 (ko) 2004-07-03

Family

ID=4943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082U KR200355124Y1 (ko) 2004-04-01 2004-04-01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124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39B1 (ko) * 2007-09-27 2008-12-08 김성욱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200483976Y1 (ko) 2017-02-16 2017-07-14 문상현 상하차용 받침대
CN110422499A (zh) * 2019-09-05 2019-11-08 八时物流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摆渡式货仓
KR102189488B1 (ko) 2020-01-23 2020-12-11 윤남호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KR102301226B1 (ko) 2020-03-11 2021-09-10 대경특장주식회사 화물차량용 적재함 도어 리프팅장치
KR20210126930A (ko) 2020-04-13 2021-10-21 윤남호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KR20220000099A (ko) 2020-06-25 2022-01-03 송준복 상하차용 등반대
KR20220062953A (ko) 2020-11-09 2022-05-17 윤남호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39B1 (ko) * 2007-09-27 2008-12-08 김성욱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200483976Y1 (ko) 2017-02-16 2017-07-14 문상현 상하차용 받침대
CN110422499A (zh) * 2019-09-05 2019-11-08 八时物流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摆渡式货仓
KR102189488B1 (ko) 2020-01-23 2020-12-11 윤남호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KR20210095538A (ko) 2020-01-23 2021-08-02 윤남호 화물차량 화물적재장치
KR102301226B1 (ko) 2020-03-11 2021-09-10 대경특장주식회사 화물차량용 적재함 도어 리프팅장치
KR20210126930A (ko) 2020-04-13 2021-10-21 윤남호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KR20220000099A (ko) 2020-06-25 2022-01-03 송준복 상하차용 등반대
KR20220062953A (ko) 2020-11-09 2022-05-17 윤남호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36673A1 (en) Container or vehicle body with side door and a side door drive unit
US20140202089A1 (en) Deployment shelter
KR101495261B1 (ko)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KR200355124Y1 (ko)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KR950003586B1 (ko) 화물 운반용 트럭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CN111204594A (zh) 集装箱的箱门开关装置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CN207809549U (zh) 一种叉车
KR102329784B1 (ko) 다양한 형태로 적재함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윙바디 트레일러
KR200238660Y1 (ko) 화물차량에 일체로 구성된 화물적재용 리프팅장치
KR20140101137A (ko) 덤프형 적재함의 도어 자동개폐-잠금구조
KR200231145Y1 (ko)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KR102541581B1 (ko) 루프 개폐가 이루어지는 화물 운송용 윙바디 적재함
GB2375095A (en) Goods handling apparatus
KR100207223B1 (ko) 트럭용 덱크의 3방향 덤핑장치
KR102576976B1 (ko) 후크 암에 다단 언로딩 실린더가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CN215108263U (zh) 一种挂车自动箱门及含有该箱门的挂车
CN220315140U (zh) 一种边板可升降式载货车
CN211733175U (zh) 集装箱的箱门开关装置
CN216331663U (zh) 一种自卸车
KR102608940B1 (ko) 암롤박스 잔류콘크리트 회수차량
CN216406513U (zh) 车辆车门开闭装置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