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953A -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953A
KR20220062953A KR1020200148738A KR20200148738A KR20220062953A KR 20220062953 A KR20220062953 A KR 20220062953A KR 1020200148738 A KR1020200148738 A KR 1020200148738A KR 20200148738 A KR20200148738 A KR 20200148738A KR 20220062953 A KR20220062953 A KR 20220062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loading
support member
cargo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남호
Original Assignee
윤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남호 filed Critical 윤남호
Priority to KR102020014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2953A/ko
Publication of KR20220062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2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 B60P1/442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loading platform being carried in at least one vertical guide and pivotable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raising device, when not in use, being stored inside the load-transporting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화물트럭 후부에 적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적재부의 후면이 개방되어 적재물을 수용할 수 있는 화물트럭에 있어서, 상기 화물트럭 적재부의 후부에 배치되되,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회전력을 받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동에 의해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플레이트재; 상기 지지플레이트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관절 승하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다관절 승하강장치는, 하부프레임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재에 대해서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복수개의 관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재 단부에는 적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장치이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적재장치{A LOADING APPARATUS FOR FREIGHT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량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화물을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기구적 설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설치되는 적재장치를 지게차로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적재장치에 지게차 포크를 설치하여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구적 설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트럭적재공간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고자 인력에 의해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지게차에로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경우도 있지만, 화물차량 외에 별도의 지게차가 동반되어야 하고, 차량운전자와 함께 지게차운전자를 필요로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문헌의 종래기술이 고안되었고, 종래기술은 화물차의 적재함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의 후부에 개폐되는 판넬이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복동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판넬을 개폐시키는 판넬개폐수단과; 상기 판넬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상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승강 구동력을 인가시키는 단동실린더로 구성된 판넬승강수단과; 상기 제 1, 2복동실린더를 구동 및 제어시켜 판넬의 개폐와 판넬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압구동제어부가 포함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도 적재공간의 후부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이로부터 하역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화물을 적재공간의 안쪽으로부터 하역하거나 또는 적재공간의 안쪽으로 깊숙히 적재하고자 할때에는 인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서 지면과 트럭의 적재공간 사이에서 화물을 편리하게 하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가 강력하게 요구됨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화물적재를 트럭의 화물적재공간 안쪽까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지게차 포크가 구비된 적재장치를 고안하게 되었다.
선행발명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5124 (2004.06.24. 등록)
본원 발명은 화물을 트럭의 적재공간 전방으로 깊숙히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공간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하역하고자 할때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화물차량용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트럭 화물적재장치에 있어서, 포크를 이용하여 화물을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위치를 신축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화물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물트럭 후부에 바닥면, 양측면과 후면에 의해서 구획되는 화물적재부를 구비하되, 상기 화물적재부의 후면을 통해서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화물트럭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후면을 차단하는 개폐도어로서 작용하고 적재시에는 상기 바닥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펼쳐지는 지지플레이트(100);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 대해서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후방에 구비된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300), 상기 제1지지부재의 선단부에 후단부가 힌지결합되되, 선단부가 제1지지부재의 후단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부재(400)로 이루어진 다관절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400)에 대해서 힌지결합되는 적재부재(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00)에는 상기 적재부재(500)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재(500)는 적재패널(510)과 그 양측에는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보조패널(520)이 구비되고, 양 보조패널(520) 후면에 마련된 포크안착홈(521)에 삽입되거나 상기 포크안착홈(52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포크(522)를 구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부 후방도어에 일체로 결합되는 화물적재장치로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화물을 지상과 적재부 사이에서 하역(load and unload)를 수행함에 있어서, 그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원 발명은 지게차 기능이 부가되어 있어서 화물의 하역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본원 발명은 화물적재장치에 있어서, 다관절 승하강장치이 길이가 신축적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화물의 위치에 따라서 그 하역위치를 자유롭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액추에이터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하역상태와 지게차기능 활용도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적재부재 전개도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전개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원 발명에 따른 포크의 안착 및 돌출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부재의 일 실시예 평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적재함의 후부 도어로서 기능하면서 동시에 적재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본원 발명의 적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적재장치는 적재함의 후부 도어로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게 된다. 즉, 본원 발명의 적재장치는 적재함의 후부 도어를 대신하게 되므로 적재함의 후부도어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도 1(B)는 본원 발명의 지지플레이트(100)를 90°회동시켜 적재함의 바닥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기구적 작동은 수동 또는 일반적인 유압수단에 의해서 쉽게 가능하게 된다. 수동으로 지지플레이트(100)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평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하부프레임(20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에는 다관절부재(300, 400) 및 적재부재(500)가 안착된다.
도 1(C)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 상에 구비된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 상에서 수평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수평회전시에 트럭의 적재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지지플레이트(100)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0)이 지지플레이트(100)에 대해서 수평회전되는 것은 중심부에 구비된 웜과 웜휠(미도시)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관절부재는 하부프레임(200) 상에서 펼쳐지되, 제1지지부재(300)는 지면을 향하여 수직이 되도록, 제2지지부재(400)와 적재부재(500)는 지면에 대해서 수평상태로 펼쳐지게 된다.
도 1(E)는 제2지지부재(400)에 내장된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적재부재(500)가 수직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F)는 적재부재(500) 후면의 포크안착홈(521)으로부터 포크(522)가 수평위치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구동축(301)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302)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구동축(301)과 일체로 형성된 제1지지부재가 하부프레임(200) 상에서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축(301)은 제1지지부재(300)의 측면에 고정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301)은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제1지지부재(300)를 하부프레임(200)의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축(301)은 상기 고정축(210)에 대해서 동심(同心)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구동축(301)이 회전하면서 일체로 된 제1지지부재(300)가 상기 고정축(210)에 대해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엑추에이터는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구동되는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 2와 같이 유압실린더(302)와 크랭크(30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지지플레이트(100)에 구비된 하부프레임(200), 그리고 하부프레임(200)에서 펼쳐진 다관절부재(300, 400) 및 적재부재(500), 그리고 포크(522)가 도시되어 있다. 즉, 하부프레임(200)으로부터 전개되는 제1지지부재(300)는 지면을 향하여 하향 수직상태로 된다. 제2지지부재(400)는 상기 제1지지부재(300)의 단부에서 회동하도록 구비되되 최종단계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400)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적재패널(510)은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수평위치에서 수직위치로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적재패널(510)의 양측에는 보조패널(5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패널(520)는 힌지수단(530)에 의해서 양측으로 펼쳐지며, 펼쳐진 보조패널(520)의 후면에는 포크가 포크안착홈(미도시)에 안착되어 구비된다.
특히, 제1지지부재(30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여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작업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적재작업에 있어서 다양한 적재위치에 따라서 제1지지부재(300)의 신축을 조절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지지부재(400)는 제1지지부재(30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단부에는 연장부(410)이 구비되어 상기 적재패널(510)의 양측을 패널회전축(420)에 의해서 힌지결합한다. 제2지지부재(400)는 제1지지부재(300)의 회전에 따라서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적재패널(510) 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지지부재(40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적재패널(510)이 구비되되, 양측에 힌지결합된 보조패널(520)이 구비된다. 적재패널(510)는 포크리프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포크(522)가 전방을 향하도록 구성해야 하므로, 적재패널(510)를 제2지지부재와 직각이 되도록 상기 패널회전축(420)을 중심으로 들어올려 회전되어 제1지지부재(300)와 평행하게 된다. 제2지지부재(400)에 고정된 유압실린더(430)의 신축작용에 의해서 상기 적재패널(510)에 일체로 고정된 회전크랭크(440)를 작동시켜 상기 패널회전축(420)을 중심으로 상기 적재패널(51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 보조패널(520)의 후면에 포크(522)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도 4에서는 포크와 포크안착홈이 보이지 않는다.
도 5는 다관절부재와 적재부재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에 안착된 초기상태에서 제1지지부재가 펼쳐짐에 따라서 적재부재가 회동하는 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1지지부재(300)가 0°에서 270°까지 회전하면서 제2지지부재는 항시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2지지부재(400)에 안착된 적재부재(500) 역시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최종적으로 다관절부재가 하역(load and unload)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보조패널(520)가 양측으로 펼쳐지게 되며, 지게차 기능이 필요한 경우 보조패널(520)는 수직위치로 올려지고 보조패널(520) 후면의 포크안착홈(521)으로부터 인출되는 포크(522)가 수평상태로 펼쳐지면서 지게차 기능을 하게 된다.
도 6에는 보조패널(520)의 후면에 구비된 포크안착홈(521)과 포크(522)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즉, 적재패널(510)의 양측에 힌지수단(530)에 의해 결합되는 보조패널(5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패널(520)의 후면에는 포크안착홈(521)이 형성되어 포크(522)가 안착 및 인출되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포크(522)는 포크회전축(524)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포크회전축(524)은 상기 포크브라켓(523)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포크회전축(524)의 회전각에 따라서 포크(522)의 회전각이 조절되도록 상기 포크회전축(524)의 일측에 회전구동기어(524a)가 구비되고 구동기어는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된다.
상기 포크안착홈(521) 내에 안착 고정된 포크브라켓(523)은 상기 포크회전축(524)의 축방향 이동, 즉 포크(522)의 횡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포크회전축(524)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이송스크류(525)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스크류(525)에는 포크(522) 또는 포크브라켓(523)에 일체로 형성된 이송너트(526)가 구비되고, 이송스크류에는 이송구동기어(525a)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구동기어는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로써, 이송스크류(525)의 회전과 함께 이송스크류의 나사산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송너트(526)로 인해서 상기 포크브라켓(523)은 이송스크류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보조패널(520) 각각에 구비된 포크(522)의 폭방향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하부프레임(200)으로부터 회전되는 제1지지부재(300)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해서 소정각도 회전되는 제2지지부재(400),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재부재(500)의 상호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5에서 도시된 작동단계를 따라서 각 구성요소들이 회전하기 위한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1지지부재의 내부구조, 상기 제1지지부재와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의 내부구조, 그리고 각 구성의 동력전달을 위한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제1지지부재(300)는 이중관으로 된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20)은 상기 고정축(210)과 회전축(330)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축(301)으로 인해서 일체로 결합된 제1지지부재(300)의 케이스(310)가 고정축(210)에 대해서 회전된다. 이에 따라서 제1지지부재(300)의 회전력은 동력전달수단(320)에 의해서 회전축(330)으로 전달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20)은 바람직하게 고정축(210)과 회전축(330) 사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동력전달축(321)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축(210)의 베벨기어 a' 와 동력전달축(321) 후방의 베벨기어 a가 상호 치합되며, 동력전달축(321)의 전방의 베벨기어 b와 회전축(330)의 베벨기어 b'가 상호 치합된다.
상기 회전축(330)은 제2지지부재와 고정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330)과 제2지지부재(300)는 함께 회전된다. 제2지지부재는 상기 회전축(330)에 일체로 결합된 연장부(410), 상기 연장부(4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회전축(420), 그리고 패널회전축(420)과 일체로 결합된 회전크랭크(440)과 상기 회전크랭크를 진퇴시키는 유압실린더(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회전축(420)은 적재패널(510)과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410)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가 하역위치로 회전되게 되면, 유압실린더(430)를 이용하여 적재부재(500)와 일체로 결합된 패널회전축(42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압실린더(430)는 상기 패널회전축(420)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크랭크(440)를 진퇴시킴으로써 패널회전축(420)과 함께 적재부재(500)을 회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지지부재(300)는 바람직하게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지지부재(300)가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됨으로 화물을 적재부에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또는 지게차 기능을 위해 포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제1지지부재(300)가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 케이스(310)는 바람직하게는 신축가능한 이중관으로 구성하되 내부관과 외부관의 일부가 상호 중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20)은 동력전달축(321)의 양단에 각각 베벨기어가 구비되되, 동력전달축(321)은 이중의 스플라인관(321a, 321b)으로 구성된다. 즉, 내스플라인(321a)과 외스플라인(321b)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구비되는 돌기와 요홈(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또한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내스플라인과 외스플라인의 이중 스플라인관의 내부에는 길이 신축을 위한 작동수단으로서 유압실린더(321c)가 내장된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동력전달축(321)과 상기 회전축(330) 사이에 동력전달구조를 달리 설계한 것이다. 즉, 상기 베벨기어 b와 베벨기어 b' 가 상호 치합되되, 상기 베벨기어 b'는 평기어 c가 일체로 결합된 중간기어(331)로서, 상기 평기어 c는 평기어 c'와 치합되며, 상기 평기어 c'는 상기 회전축(330)과 일체로 결합되어 제2지지부재(400)를 회동시키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300)는 선단부가 ㄱ 자형으로 형성되되, ㄱ 자형으로 절곡된 상기 제1지지부재(300)의 선단부에 회전축(33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330)은 제2지지부재(40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동력전달축(321)의 회전력을 회전축(330)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동력전달축(321) 선단에 구비된 베벨기어 b는 베벨기어 b'와 평기어 c가 일체로 결합된 중간기어(331)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이어서 회전축(330)의 평기어 c'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서 회전축(330)이 회전하게 되고, 일체로 결합된 제2지지부재(40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300)의 선단부가 ㄱ자형으로 굽어진 형태를 가지고 그 굽어진 선단부에 회전축(330)이 구비됨으로 인해서 도 5에서와 같이 제2지지부재(400)가 하역위치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 차량 적재함 바닥 또는 지면에 밀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지지플레이트
200 : 하부프레임
210 : 고정축
300 : 제1지지부재
301 : 구동축
310 : 케이스
320 : 동력전달수단
330 : 회전축
400 : 제2지지부재
410 : 연장부
420 : 패널회전축
430 : 유압실린더
440 : 회전크랭크
500 : 적재부재
510 : 적재패널
520 : 보조패널

Claims (5)

  1. 화물트럭 후부에 바닥면, 양측면과 후면에 의해서 구획되는 화물적재부를 구비하되, 상기 화물적재부의 후면을 통해서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화물트럭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후면을 차단하는 개폐도어로서 작용하고 적재시에는 회동하면서 상기 바닥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펼쳐지는 지지플레이트(100);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 대해서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후방에 구비된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300)와, 상기 제1지지부재(3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300)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된 회전축에 후단부가 직결되되 선단부가 상기 제1지지부재(300)의 후단부를 향하는 제2지지부재(400)로 이루어진 다관절부재;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지지부재의 회전력을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300) 내부에 구비된 동력전달수단(320);
    상기 제2지지부재(400)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적재부재(500); 를
    포함하는 화물트럭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00)는
    선단부가 ㄱ자형으로 돌출 형성된 이중관의 케이스(310);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동력전달축(321);을 구비하되,
    상기 동력전달축(321)은
    상기 제1지지부재(300)의 회전력을 회전축(330)에 전달하도록 일단부에 베벨기어 a를 구비하되 고정축(210)의 베벨기어 a'와 치합되고, 타단부에는 베벨기어 b를 구비하되 회전축(330)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0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튜브형의 이중스플라인(321a, 321b)이 구비되며, 상기 이중스플라인 내부에는 유압실린더(321c)가 구비됨으로 인해서 유압실린더(321c)의 작동에 따라서 케이스(310) 및 이중스플라인(321a, 321b)의 신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400)에는 상기 적재부재(500)를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43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적재부재(500)는 적재패널(510)과 그 양측에는 힌지수단(530)에 의해서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패널(520)이 구비되고, 양 보조패널(520) 후면에 마련된 포크안착홈(521)에 삽입되거나 상기 포크안착홈(52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포크(5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522)가 안착되도록 보조패널(52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포크안착홈(521)에는 포크(522)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포크브라켓(523)이 삽입 안착되고, 상기 포크브라켓(523) 또는 상기 포크(522)에 결합된 이송너트(526)는 상기 포크안착홈(521)의 양측벽에 의해서 지지되는 이송스크류(525)를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포크(522)에 일체로 결합된 포크회전축(524)의 회전각에 따라서 상기 포크(522)가 회전하면서 상기 포크안착홈(521)에 안착되거나 상기 포크안착홈(521)에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장치.
KR1020200148738A 2020-11-09 2020-11-09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KR20220062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38A KR20220062953A (ko) 2020-11-09 2020-11-09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38A KR20220062953A (ko) 2020-11-09 2020-11-09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953A true KR20220062953A (ko) 2022-05-17

Family

ID=8180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738A KR20220062953A (ko) 2020-11-09 2020-11-09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29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124Y1 (ko) 2004-04-01 2004-07-03 현대휴먼텍(주)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124Y1 (ko) 2004-04-01 2004-07-03 현대휴먼텍(주)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689B1 (ko)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US44484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both roof and side walls of a recreational vehicle
US1109135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mproved all-terrain telehandler
US4799556A (en) Drilling boom
CN111119500A (zh) 一种砌墙机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20220062953A (ko)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KR102286793B1 (ko) 화물차량 화물적재장치
US20230264634A1 (en) Multi-lever lifting device for vehicle with improved efficiency
KR200355124Y1 (ko)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CN205034996U (zh) 一种货物装卸设备及拖拉机
KR102367015B1 (ko) 차량 루프용 다관절 승하강 캐리어
JPH11301335A (ja) コンテナ搬送車の箱型荷台に備わる左右開閉扉に設けた連動式複数段プラットフォーム防護壁
KR101933608B1 (ko)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도어 장치
KR102541581B1 (ko) 루프 개폐가 이루어지는 화물 운송용 윙바디 적재함
CN118083175B (zh) 一种自动门式大型固定翼无人机
KR102677007B1 (ko) 화물운송용 적재함의 리어도어 개폐구조
CN118242941B (zh) 一种卷弧式弹翼收拢装填装置
KR20210135027A (ko) 차량루프설치용 다관절승하강 캐리어
KR102226276B1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101974838B1 (ko)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KR200276591Y1 (ko) 자동차 운반용 카 캐리어
JP2538816Y2 (ja) 車庫用扉の電動モータの取付け構造
EP0522315A1 (en) A lift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for an aerial platform, particularly for use in elevating machines
JP2022126356A (ja) 高所作業台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