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838B1 -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838B1
KR101974838B1 KR1020170042890A KR20170042890A KR101974838B1 KR 101974838 B1 KR101974838 B1 KR 101974838B1 KR 1020170042890 A KR1020170042890 A KR 1020170042890A KR 20170042890 A KR20170042890 A KR 20170042890A KR 101974838 B1 KR101974838 B1 KR 101974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frame
loading box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253A (ko
Inventor
이형욱
Original Assignee
이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욱 filed Critical 이형욱
Priority to KR102017004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83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의 후면 부분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어부; 상기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도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1도어부를 회동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1도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상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도어부; 및 상기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도어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2도어부를 회동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적재함의 측면 부분에 일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적재함의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의 후면 부분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부에서 상기 적재함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 되며 한쌍의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가 각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의 양단부가 각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볼(Ball)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는, 볼 부시(Ball Bush)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볼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게차와 같은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적재함에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TWO STEPPED DOOR DEVICE OF BEING INSTALLED ON TRUCK CARGO BOX}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럭 적재함의 후단부분에 설치되는 도어에 화물을 안착시킨 후 도어를 구동시켜 적재함에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재함이 설치되는 대형 트럭의 경우, 지면에서 적재함 까지의 높이가 높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트럭의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원이 적재함에 배치되어 지면에 위치하는 인원으로부터 화물을 전달받아야 한다.
한편, 대형 화물의 경우,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지게차와 같은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지면에서 적재함의 높이까지 끌어 올린다음, 화물을 적재함으로 밀어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럭 적재함의 후단부분에 설치되는 도어에 화물을 안착시킨 후 도어를 구동시켜 적재함에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재함의 후면 부분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어부; 상기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도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1도어부를 회동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1도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상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도어부; 및 상기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도어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2도어부를 회동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적재함의 측면 부분에 일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적재함의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의 후면 부분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부에서 상기 적재함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 되며 한쌍의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가 각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의 양단부가 각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볼(Ball)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는, 볼 부시(Ball Bush)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볼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가 유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적재함의 측면 부분에 일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 타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제공부로부터 유압을 인가받아 길이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일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도어부의 일측에 타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제공부로부터 유압을 인가받아 길이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게차와 같은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적재함에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도어부의 작동에 따라 높이가 높은 화물도 적재함으로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에 화물이 대량으로 적재됨에 따라 적재함의 측면 부분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경우에도 프레임부의 파손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연결축의 연결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를 후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1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2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3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4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5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6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연결축의 연결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를 후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100)는 프레임부(110)와 제1도어부(120)와 제1구동부(130)와 제2구동부(140)와 유압제공부(150)와 제2도어부(160)와 제3구동부(170)을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적재함(B)의 후면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연결축(111)과 제1프레임(112)과 제2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연결축(111)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적재함(B)의 측면 부분에 일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써, 타단부는 후술하는 제2프레임(113)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113)은 일면이 개구되는 형태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데, 제2프레임(113)의 내부공간에는 상술한 연결축(111)의 타단부가 볼 부시(Ball Bush) 형태로 결합 된다. 이러한 형태의 결합에 따르면, 적재함(B)에 화물(L)이 많이 실려, 적재함(B)의 측면 부분이 부풀어 오르는 경우에도 연결축(111)의 타단부가 제2프레임(113)의 내부공간에서 미세하게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축(111)과 제2프레임(113)의 결합 부분에 파단이 발생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제1프레임(112)은 적재함(B)의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적재함(B)의 후면 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써, 양단부에서 후술하는 제2프레임(113)이 각각 연장형성된다.
제1프레임(112)에는 후술하는 제1도어부(1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도어부(120)와 제1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제2구동부(140)의 일단부가 설치된다.
제1프레임(112)의 양단부에는 관통홀(112a)이 형성되는데, 적재함(B)의 측면에 설치된 유압제공부(150) 및 제어부(미도시)와 제2구동부(140)를 연결하는 유압선 및 케이블이 상술한 관통홀(112a)을 통해 적재함(B)의 측면에서 제2구동부(140)로 연결된다.
제2프레임(113)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제1프레임(112)의 양단부에서 적재함(B)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 되는 것으로써, 한쌍의 연결축(111)의 타단부가 각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1도어부(120)의 양단부가 각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113)은 일면이 개구되는 형태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데, 제2프레임(113)의 내부공간에는 상술한 연결축(111)의 타단부가 볼 부시(Ball Bush) 형태로 결합 된다. 이러한 형태의 결합에 따르면, 적재함(B)에 화물(L)이 많이 실려, 적재함(B)의 측면 부분이 부풀어 오르는 경우에도 연결축(111)의 타단부가 제2프레임(113)의 내부공간에서 미세하게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축(111)과 제2프레임(113)의 결합 부분에 파단이 발생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제2프레임(113)에는 후술하는 제1구동부(130)의 타단부가 설치된다. 제1구동부(130)가 후술하는 유압제공부(150)에 의해 동작되면, 실린더 형태의 제1구동부(130)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는데, 이에 의해서, 제2프레임(113)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프레임(113)의 동작에 따르면, 지면까지 제1프레임(112)가 효과적으로 도달될 수 있다.
제1도어부(120)는 제1프레임(1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써, 일측에는 후술하는 제2구동부(140)의 타단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도어부(120)는 후술하는 제2구동부(140)가 후술하는 유압제공부(150)에 의해 동작되면 회동 되는데, 이러한 회동에 의해서, 적재함(B)의 후면이 개방되거나 마감될 수 있다.
제1구동부(130)는 프레임부(110)에 힘을 인가하여 프레임부(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써, 적재함(B)의 측면 부분에 일단부가 설치되고, 제2프레임(113)의 일측에 타단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구동부(130)는 실린더 형태로 마련된다. 제1구동부(130)는 후술하는 유압제공부(150)로부터 유압을 인가받아 길이가 조절되는데, 상술한 길이의 조절에 의해서, 프레임부(110)의 높이가 조절된다.
제2구동부(140)는 제1도어부(120)에 힘을 인가하여 제1도어부(120)를 회동시키는 것으로써, 제1프레임(112)에 일단부가 설치되고, 제1도어부(120)의 일측에 타단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구동부(140)는 제1구동부(130)와 마찬가지로 실린더 형태로 마련된다. 제2구동부(140)는 후술하는 유압제공부(150)로부터 유압을 인가받아 길이가 조절되는데, 상술한 길이의 조절에 의해서, 제1도어부(120)가 회동도어 도어가 개방되거나 패쇄된다.
유압제공부(150)는 제1구동부(130)와 제2구동부(140)와 제3구동부(150)가 유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1구동부(130)와 제2구동부(140)와 제3구동부(170)에 유압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유압제공부(150)에 의해서, 제1구동부(130)가 작동하여 프레임부(11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제2구동부(140)가 작동하여 제1도어부(120)가 회동될 수 있고, 제3구동부(170)가 작동하여 제2도어부(160)가 회동될 수 있다.
유압제공부(150)에 의한 화물(L)적재과정은 간단하게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유압제공부(150)에 의해 제1구동부(130)가 작동되면, 프레임부(11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프레임(112)가 지면측에 접하게 된다. 이후, 유압제공부(150)에 의해 제2구동부(140)와 제3구동부(170)가 작동하면, 제1도어부(120)가 정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도어부(120)의 일면이 지면측에 접하게 되며, 제2도어부(160)가 상측으로 열리게 된다. 이후, 작업자에 의해서, 제1도어부(120)의 타면에 화물(L)이 안착되며, 이후, 다시 유압제공부(150)에 의해 제1구동부(130)가 작동되면, 제1프레임(112)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제1프레임(112)가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된 후에, 유압제공부(150)에 의해 제2구동부(140)가 작동되면, 제1도어부(120)는 역방향으로 회동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따라 화물(L)이 적재함(B) 내부로 이동되면서 적재함(B)의 후면이 제1도어부(120)에 의해 마감된다. 이때, 동시에 유압제공부(150)에 의해 제3구동부(170)가 작동하며, 이에 따라 제2도어부(160)가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도어부(160)가 닫히게 된다.
제2도어부(160)는 제1도어부(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써, 적재함(B)의 후단의 상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도어부(160)는 후술하는 제3구동부(170)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폐되므로, 이러한 제2도어부(160)에 따르면, 높은 높이의 화물(L)도 적재함(B)에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다.
제3구동부(170)는 적재함(B)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제2도어부(160)에 힘을 인가하여 제2도어부(160)를 회동시킨다. 이러한 제3구동부(170)는 상술한 유압제공부(150)에 의해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이러한 제3구동부(170)는 경우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즉, 화물(L)의 높이가 높지 않은 경우, 즉, 제1도어부(120)의 높이보다 화물(L)의 높이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제3구동부(170)는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도어부(120)의 높이보다 화물(L)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만 제3구동부(120)가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전력 소모의 절감)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재함(B)에는 화물(B)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유압제공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센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화물(B)의 높이에 따른 제3구동부(120)의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임부(110)와 제1도어부(120)와 제1구동부(130)와 제2구동부(140)와 유압제공부(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100)에 따르면, 지게차와 같은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적재함(B)에 화물(L)을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100)에 따르면, 높이가 높은 화물도 적재함으로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1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2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3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4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5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의 제6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가 상측으로 위치되어 있고, 제1도어부(120)에 의해 적재함(B)의 후면이 마감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유압제공부(150)가 동작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제공부(150)가 동작됨에 따라 제1구동부(130)가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프레임부(110)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제1프레임(112)가 지면에 거의 닿을 때까지 프레임부(110)가 이동되면, 유압제공부(150)가 제1구동부(130)를 제어하여 제1구동부(130)의 작동이 정지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정 이후, 유압제공부(150)가 동작됨에 따라 제2구동부(140)가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제1도어부(120)가 정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도어부(120)의 일면이 지면에 거의 닿을 때까지 제1도어부(120)가 회동되면, 유압제공부(150)가 제2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제2구동부(140)의 작동이 정지된다. 한편, 유압제공부(150)에 의해 제3구동부(170)도 작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제2도어부(160)가 상측으로 회동하여 열리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정 이후, 작업자가 화물(L)을 제1도어부(120)의 타면에 안착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정 이후, 유압제공부(150)가 동작됨에 따라 제1구동부(130)가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프레임부(11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프레임부(110)가 최상단까지 도달하게 되면, 제1구동부(130)는 정지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정 이후, 유압제공부(150)가 동작됨에 따라 제2구동부(140)에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제1도어부(120)가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제1도어부(120)의 회동에 의해서 화물(L)이 적재함(B) 내부로 이동되며, 동시에 적재함(B)의 후면이 제1도어부(120)에 의해 마감된다. 이때, 동시에 유압제공부(150)에 의해 제3구동부(170)가 작동하며, 이에 따라 제2도어부(160)가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도어부(160)가 닫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100)의 동작에 따르면, 지게차와 같은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적재함(B)에 화물(L)을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100)의 동작에 따르면, 높이가 높은 화물도 적재함으로 용이하게 적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110 : 프레임부
111 : 연결축
112 : 제1프레임
112a : 관통홀
113 : 제2프레임
120 : 제1도어부
130 : 제1구동부
140 : 제2구동부
150 : 유압제공부
160 : 제2도어부
170 : 제3구동부
B : 적재함
L : 화물

Claims (5)

  1. 적재함의 후면 부분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어부;
    상기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도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1도어부를 회동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1도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상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도어부; 및
    상기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도어부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2도어부를 회동시키는 제3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적재함의 측면 부분에 일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적재함의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의 후면 부분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부에서 상기 적재함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 되며 한쌍의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가 각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부의 양단부가 각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볼(Ball)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는,
    볼 부시(Ball Bush)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볼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가 유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적재함의 측면 부분에 일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 타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제공부로부터 유압을 인가받아 길이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일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도어부의 일측에 타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유압제공부로부터 유압을 인가받아 길이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KR1020170042890A 2017-04-03 2017-04-03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KR101974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90A KR101974838B1 (ko) 2017-04-03 2017-04-03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90A KR101974838B1 (ko) 2017-04-03 2017-04-03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53A KR20180112253A (ko) 2018-10-12
KR101974838B1 true KR101974838B1 (ko) 2019-05-03

Family

ID=6387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890A KR101974838B1 (ko) 2017-04-03 2017-04-03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8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9177A (ja) 2005-01-21 2006-08-03 Shin Meiwa Ind Co Ltd 車両の荷役装置
JP2012006421A (ja) * 2010-06-22 2012-01-12 Takagi Chemicals Inc 自動車用リフ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3088Y2 (ja) * 1993-01-28 1996-10-02 日本リフト株式会社 昇降装置用制御装置
KR19980062528U (ko) * 1997-04-03 1998-11-16 김재훈 트럭의 적재실 후면개폐문 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9177A (ja) 2005-01-21 2006-08-03 Shin Meiwa Ind Co Ltd 車両の荷役装置
JP2012006421A (ja) * 2010-06-22 2012-01-12 Takagi Chemicals Inc 自動車用リフ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53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09053T2 (de) Lenkbare /einziehbare frachtkraftantriebseinheit
EP2774849A2 (en) System for moving loads
KR101587640B1 (ko) 다방향 덤핑 이송 대차
CN109502511A (zh) 一种升降式搬运设备及其作业方法
CN106068206A (zh) 用于车辆的可重新定位负荷承载托盘组件
DE102008052873B4 (de) Frachtkraftantriebseinheit mit zweiseitig gerichteter Antriebstraktion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2250313B1 (ko) 전동조향 기능을 가지는 전동손수레
KR101933608B1 (ko)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도어 장치
KR101974838B1 (ko)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KR101360241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게이트 개폐장치
JP5959287B2 (ja) 昇降装置
KR20100051502A (ko) 자동 대차
KR102327689B1 (ko)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JP2006272989A (ja) 特装車両の制御装置及び特装車両無線制御システム
KR101451388B1 (ko) 화물차용 상·하차 리프트 장치
CN101143690B (zh) 手调式装卸平台
KR200355124Y1 (ko)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JP5900843B2 (ja) 車載式昇降装置
CN210236235U (zh) 旋转升降皮带机
JP3186284U (ja) 荷台傾斜装置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KR102004722B1 (ko) 암롤차량용 덤핑 및 하역장치
CN108515895A (zh) 可折叠车厢及一种防卸料侧翻的自卸卡车
KR102608940B1 (ko) 암롤박스 잔류콘크리트 회수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