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089B1 -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 Google Patents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089B1
KR102044089B1 KR1020180014928A KR20180014928A KR102044089B1 KR 102044089 B1 KR102044089 B1 KR 102044089B1 KR 1020180014928 A KR1020180014928 A KR 1020180014928A KR 20180014928 A KR20180014928 A KR 20180014928A KR 102044089 B1 KR102044089 B1 KR 102044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bar
truck
auxiliar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663A (ko
Inventor
허동길
Original Assignee
허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8067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440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허동길 filed Critical 허동길
Priority to KR102018001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0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사각 프레임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적재함(110)의 저면 모서리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리프트프레임(120)과, 주적재함(110)의 내부에 탑재하되 베이스패널(134)의 저부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리프트프레임(120)에 거치되는 보조적재함(130)과, 보조적재함(130)의 베이스패널(134) 후단에 장착하여 리프트프레임(120)의 리어바(122)에 축 결합하는 제1힌지부(140)와, 보조적재함(130)의 사이드패널(133) 후단 상측에 장착하여 리어패널(132)의 상단을 축 결합하는 제2힌지부(150)와, 리프트프레임(120)의 프론트바(121)와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에 양단을 결합하여 보조적재함(130)을 기울이는 구동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덤프 기능이 미탑재된 일반트럭의 주적재함(110)에 탑재하여 덤프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DUMP BODY MODULE FOR GENERAL TRUCK MOUNTING}
본 발명은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덤프 기능이 미탑재된 일반트럭의 주적재함에 탑재하여 덤프 기능을 구현하는 덤프 적재함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차량 구조 변경을 배제하면서 소형 일반트럭을 이용한 적재물의 하역 작업성을 현저히 개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은 적재함을 유압 또는 기계식 동력으로 경사시켜 적재물을 자동으로 반출하도록 설계된 특수 화물차량으로 주로 토사, 골재 등의 대량 적재물 수송 및 하역에 사용된다.
덤프트럭은 적재함의 경사 작동 방식에 따라서 적재함을 옆으로 기울이는 구조의 사이드 덤프트럭, 적재함을 뒤쪽으로 기울이는 구조의 리어 덤프트럭, 및 적재함의 아랫쪽이 개방되어 적재물을 하향 토출하는 구조의 보텀 덤프트럭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리어 덤프트럭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덤프트럭의 적재 능력은 일반적으로 2톤에서 50톤까지 있으며 톤수에 따라서 화물자동차 또는 건설기계로 등록하여 운행한다.
공지된 기술을 통해 덤프트럭의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0420720 호에는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기술을 개시한다. 차량부와 경사회전이 가능한 적재함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는 덤프트럭에 있어서, 차량부의 후방에 설치된 설치브래킷과 적재함의 저면에 각각 양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로드와, 설치브래킷으로 부터 적재함의 선단부로 연장된 승강실린더와, 적재함이 차량부에 의해 이동될 때의 보조수단으로서 구비되는 차륜부와, 적재함의 후방측 저면에 고정 설치는 차륜설치대 및 상기 차륜설치대와 차륜부가 연결되는 덤핑축을 포함하는 덤핑회전부로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1998 - 0035708 호에는 적재함이 양측방으로 승강되는 덤프 트럭용 덤프장치 기술을 개시한다. 덤프트럭의 적재함 저면의 각 모서리부에 고정되며 덤프장치에 의하여 승강되는 적재함이 후방과 양측방으로 선택되어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힌지수단과, 힌지수단과 연동되며 적재함이 승강되는 해당 방향으로 회동되어 적재함을 승강하는 덤프장치로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803787 호에는 덤프트럭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장치 기술을 개시한다. 서브프레임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플로어패널 양측에 사이드패널을 일체로 형성하고, 전후방에 개폐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차체프레임에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하여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함과, 적재함 전방 상부에 양측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적재함이 후방으로 기울어질 때 자중에 의해 적재함 내측으로 자동 회동하여 적재함의 전방개구부가 개방되면서 적재함 내부의 적재물을 밀어내는 프런트게이트와, 적재함 후방 상부에 양측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적재함이 후방으로 기울어질 때 록킹장치가 자동으로 풀리면서 자중에 의해 적재함 외측으로 자동 회동하여 적재함의 후방 개방부가 개방되면서 적재함 내부의 적재물이 배출되게 하는 테일게이트와, 하단부는 차체프레임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하고 상단부는 프런트게이트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하여 엔진 동력에 의해 공급이 제어되는 작동유에 의해 스트로크되어 적재함의 앞 부분을 승강시키는 유압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0420720 호 (2004.03.02)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1998 - 0035708 호 (1998.09.15) 한국등록특허 제 10 - 1803787 호 (2017.12.04)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231207 호 (2001.07.19)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덤프트럭은 무엇보다 적재함을 동력으로 경사시켜 적재물을 자동으로 반출함으로써 하역 작업을 효율화하는데 가장 큰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적재물의 양이 비교적 적거나 작업현장 및 도로의 상태, 경제적 여건 등의 이유로 대형 덤프트럭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덤프 기능이 미탑재된 일반트럭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수송 및 하역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예컨대 농어촌 등에서 농작물이나 사료, 퇴비 등의 운송에 사용되는 차량 대부분은 일반트럭을 활용하고 있다.
일반트럭의 경우 덤프트럭에 비해 비교적 소형이고 구조가 단순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용이하며 차량 유지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적은 이점이 있는 반면, 적재물의 반출 시 덤프트럭과 같은 덤프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결국, 일반트럭의 하역 작업시에는 작업자가 적재함에 승차하여 삽 등의 도구를 이용해 수작업으로 적재물을 퍼내리거나 별도의 중장비를 동원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역 작업에 상당한 시간 및 노동력이 소요되고 추가적인 비용 발생을 초래하여 작업의 비효율화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덤프 기능이 미탑재된 일반트럭의 주적재함(110)에 탑재하여 덤프 기능을 구현하는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에 있어서,
사각 프레임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적재함(110)의 저면 모서리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리프트프레임(120)과,
상기 주적재함(110)의 내부에 탑재하되 베이스패널(134)의 저부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리프트프레임(120)에 거치되는 보조적재함(130)과,
상기 보조적재함(130)의 베이스패널(134) 후단에 장착하여 리프트프레임(120)의 리어바(122)에 축 결합하는 제1힌지부(140)와,
상기 보조적재함(130)의 사이드패널(133) 후단 상측에 장착하여 리어패널(132)의 상단을 축 결합하는 제2힌지부(150)와,
상기 리프트프레임(120)의 프론트바(121)와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에 양단을 결합하여 보조적재함(130)을 기울이는 구동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프레임(120)에는,
프론트바(121) 및 리어바(122)의 양측 내부에서 인출입하는 이너바(124)와, 이너바(124)의 말단에 상단을 힌지결합하고 지면을 기점으로 승강하는 리프트바(125)를 탑재하여, 리프트프레임(120)과 보조적재함(130)을 트럭 및 주적재함(110)에서 분리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160)는,
프론트바(121)에 실린더헤드를 힌지 결합하여 승강하는 제1실린더(161)와, 제1실린더(161)와 실린더동체(162,164)를 상호 고정하고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 상부에 실린더헤드를 힌지 결합하여 승강하는 제2실린더(163)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주적재함(110)에는 리어패널(112)의 개폐를 감지 및 작동하는 1차스위치(113)를 탑재하고,
상기 구동부(160)에는 1차스위치(113)와 연동하는 2차스위치(165)를 탑재하여,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이 미개방시 1차스위치(113)를 선작동후 2차스위치(165)를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통상의 일반트럭에 덤프 기능을 탑재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일반트럭과 덤프트럭의 장점을 병용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덤프 기능이 미탑재된 일반트럭의 주적재함에 탑재하여 덤프 기능을 구현하는 덤프 적재함 모듈을 제공한다.
따라서, 자동차 관리법상에 위배되는 차량 구조 변경을 배제하면서도 일반트럭에 덤프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종래 삽 등을 이용한 수작업 또는 별도의 중장비를 동원해야 했던 일반트럭에 비해 적재물의 하역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절감하여 효율화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덤프 적재함 모듈은 간소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편리한 작동성을 제공하고 일반트럭의 주적재함에 덤프 적재함 모듈을 간편하게 탑재 및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일반트럭 또는 덤프트럭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주적재함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덤프 작동을 단계별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리프트프레임 및 보조적재함이 트럭 및 주적재함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주적재함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덤프 작동을 단계별로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리프트프레임 및 보조적재함이 트럭 및 주적재함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은 덤프 기능이 미탑재된 일반트럭의 주적재함(110)에 탑재하여 간편하게 덤프 기능을 구현하는 덤프 적재함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종래 수작업에 의존해왔던 소형 일반트럭을 이용한 적재물의 하역 작업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은, 도 1 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트럭의 주적재함(110)에 탑재하는 리프트프레임(120)과, 보조적재함(130)과, 구동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일반트럭에 구비되는 주적재함(110)은 전, 후, 좌, 우측에 각각 프론트패널과, 리어패널(112), 및 사이드패널을 힌지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리프트프레임(120)은 사각 프레임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적재함(110)의 저면 모서리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트프레임(120)은 캐빈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하는 프론트바(121)와,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에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하는 리어바(122), 및 프론트바(121)와 리어바(122)의 사이에 구비하는 한 쌍의 사이드바(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바(121)에는 소정의 고정수단(126)을 구비하여 리프트프레임(120)을 주적재함(110)에 고정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수단(126)은 구동부(160)의 작동 시 보조적재함(130)에서 하향 배출되는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리프트프레임(120)이 주적재함(11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바(121) 및 리어바(122)의 내부에는 중공부를 형성하되, 양측 내부에는 이너바(124)와 리프트바(125)를 탑재하여 인출입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너바(124)의 말단에는 리프트바(125)의 상단을 힌지결합하여 프론트바(121) 및 리어바(122)에서 인출한 후 지면을 향해 'ㄱ'자 형태로 절곡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바(125)는 지면을 기점으로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프레임(120) 전체를 주적재함(110)으로부터 승강한다.
즉, 상기 고정수단(126)이 해제된 상태에서 프론트바(121) 및 리어바(122)로부터 이너바(124) 및 리프트바(125)를 인출하여 리프트프레임(120)을 상승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상기 리프트프레임(120) 및 보조적재함(130)을 일반트럭에 탑재 시에는 상기 순서의 역순으로 탑재 가능하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작동 기제는 후술하는 작동 상태에 관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적재함(130)은 주적재함(110)의 내부에 탑재하되 도 3 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134)의 저부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리프트프레임(120)에 거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적재함(130)은 주적재함(110)의 프론트패널에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하는 프론트패널(131)과,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에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하는 리어패널(132), 및 프론트패널(131)과 리어패널(132)의 양측에 구비하는 사이드패널(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적재함(130)은 주적재함(110)의 내부에 탑재하되 주적재함(110)의 저면 모서리부에 구비하는 상기 리프트프레임(120)의 승강 시 거치되도록 구성하므로, 보조적재함(130)의 베이스패널(134)의 저부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거치 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에는 상단에 소정의 턱을 형성하여 하기 구동부(160)의 제2실린더(163)와 힌지 결합하여 승강 및 경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3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의 높이를 타 패널에 비해 높게 형성하고 더불어 저부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보조적재함(130)을 경사 작동하는 구동부(160)와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적재함(130)의 리어패널(132)은 후술하게 될 제2힌지부(150)를 기점으로 개방되어 적재물을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보조적재함(130)의 베이스패널(134) 후단에는 제1힌지부(140)를 장착하여 리프트프레임(120)의 리어바(122)에 축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부(140)는 보조적재함(130)의 베이스패널(134)에 장착하는 일측편과, 리프트프레임(120)의 리어바(122)에 장착하는 타측편을 상호 힌지 결합하여 해당 축을 기점으로 보조적재함(130)을 회동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보조적재함(130)의 사이드패널(133) 후단 상측에는 제2힌지부(150)를 장착하여 리어패널(132)의 상단을 축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적재함(130)은 하기 구동부(160)에 의해 제1힌지부(140)를 기점으로 회동하여 경사지게 작동하고, 보조적재함(130)의 리어패널(132)은 제2힌지부(150)를 기점으로 자중에 의해, 또는 소정의 동력을 이용해 회동하여 보조적재함으로(130)부터 개방됨에 따라 적재물을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보조적재함(130) 및 리어패널(132)은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구동부(160)는 리프트프레임(120)의 프론트바(121)와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에 하단 및 상단을 결합하여 보조적재함(130)을 기울이도록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60)는 도 10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바(121)에 실린더헤드를 힌지 결합하여 승강하는 제1실린더(161)와, 제1실린더(161)와 실린더동체(162,164)를 상호 고정하고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 상부에 실린더헤드를 힌지 결합하여 승강하는 제2실린더(163)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실린더(161)를 제2실린더(163)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하여 구성하였으나, 그 배치 관계는 필요에 따라 증감하여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실린더(161) 및 제2실린더(163)의 작동 관계는 트럭의 캐빈 내,외부에 마련된 소정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1실린더(161)는 하단에 구비된 실린더헤드를 프론트바(121)에 힌지 결합하고 상단은 실린더동체(162)로부터 인출입하여 도 4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적재함(130)을 다소 낮은 각도로 경사시키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실린더(163)는 상단에 구비된 실린더헤드를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에 힌지 결합하고 하단은 실린더동체(164)로부터 인출입하여 도 5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적재함(130)을 더 높은 각도로 경사시키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상에는 2가지 경사각도의 상태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실린더(161) 및 제2실린더(163)의 인출 범위에 따라서 보조적재함(130)의 경사 각도는 다양하게 유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실린더(161) 및 제2실린더(163)의 실린더동체(162,164)는 상호 결속 고정하여 제1실린더(161) 및 제2실린더(163)가 실린더동체(162,164)를 기반으로 상호 간에 지지력을 발휘하여 인출입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160)의 작동에 의해 보조적재함(130)이 경사 작동시 구동부(160)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 7과 같이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의 저부 모서리는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적재함(130)을 경사시키는 구동부(160)의 작동은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이 개방된 상태를 전제로 이루어져야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주적재함(110) 및 구동부(160)에 1차스위치(113) 및 2차스위치(165)를 탑재한다.
상기 1차스위치(11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의 일측에 탑재하여 리어패널(112)의 개폐를 감지 및 작동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2차스위치(16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60)의 일측에 탑재하여 1차스위치(113)와의 연동에 의해 구동부(160)를 작동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1차스위치(113)의 감지센서가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이 미개방된 것으로 감지 시 1차스위치(113)를 선작동하여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을 개방한 후 2차스위치(165)를 작동하여 구동부(160)를 동작함으로써 보조적재함(130)을 경사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1차스위치(113) 및 2차스위치(165)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상호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구동부(160)와 마찬가지로 캐빈 내,외부에 마련된 소정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덤프 적재함 모듈은 일반트럭의 주적재함(110) 내부 저면에 상술한 바와 같은 리프트프레임(120)을 구비하고, 보조적재함(130)과 구동부(160)를 탑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적재함(130)에 적재된 적재물을 하역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이 개방된 상태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 일측에는 1차스위치(113)가 구비되어 개방여부를 감지하므로, 미개방시에는 1차스위치(113)를 작동하여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을 우선 개방한다.
또한, 상기 1차스위치(113)와 연동하도록 구동부(160)에 마련된 2차스위치(165)는 1차스위치(113)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이 개방된 상태에서 구동부(160)를 작동한다.
도 4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60)는 리프트프레임(120)의 프론트바(121)에 힌지 결합하는 제1실린더(161)를 실린더동체(162)로부터 인출하여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을 상향 작동시킨다.
상기 제1실린더(161)와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 상단에 힌지 결합하는 제2실린더(163)는 평행축선상에서 동작하도록 구비되므로 보조적재함(130)은 제1힌지부(140)를 기점으로 제1실린더(161)의 작동 높이만큼 경사지게 작동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적재함(130)이 경사 작동함에 따라 보조적재함(130)의 리어패널(132)은 제2힌지부(150)를 기점으로 자중 또는 소정의 동력을 전달받아 개방하여 적재물을 보조적재함(130) 및 주적재함(110)의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상기 리프트프레임(120)의 프론트바(121)에는 고정수단(126)을 구비하여 주적재함(110)에 덤프 적재함 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이는 보조적재함(130)의 경사 작동시 적재물이 하단으로 급송되는 과정에서 보조적재함(130) 및 리프트프레임(120)이 주적재함(110)으로부터 이탈, 혹은 탈거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적재함(130)의 경사 각도를 더욱 상향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부(160)는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에 힌지 결합하는 제2실린더(163)를, 이미 인출된 상태의 제1실린더(161)의 실린더동체(162)와 결속 상태에 있는 제2실린더(163)의 실린더동체(164)로부터 인출하여 상향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적재함(130)은 제1힌지부(140)를 기점으로 제2실린더(163)의 작동 높이만큼 더욱 높은 각도로 경사지게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적재함(130)에서 적재물이 모두 배출된 후에는 상기 작동 순서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보조적재함(130)을 원위치로 복귀하거나, 혹은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덤프 적재함 모듈을 트럭 및 주적재함(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적재함(110)의 사이드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바(124) 및 리프트바(125)를 프론트바(121) 및 리어바(122)의 양측 내부로부터 인출한다.
상기 이너바(124)의 말단에 힌지 결합되는 리프트바(125)를 지면을 향해 'ㄱ'자로 절곡하되, 리프트바(125)에 구비되는 소정의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해 지면을 기점으로 높이를 조절하면서 리프트프레임(120)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도 9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프레임(120)이 주적재함(110)의 저면보다 일정 높이로 상승하면, 리프트프레임(120)에 거치되는 보조적재함(130) 역시 함께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도 8 내지 도 10에는 보조적재함(130)이 구동부(160)에 의해 경사진 상태에서 적재물을 배출한 후 리프트프레임을 상승하여 트럭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보조적재함(130)을 경사가 아닌 원위치시킨 상태에서도 리프트프레임(120)을 승강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특히 적재물이 보조적재함(130)에 적재중인 상태에서는 리프트프레임(120)의 사이드바(123)가 보조적재함(130)의 사이드패널(133)을 거치, 지지하여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하므로 더욱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적재함(110)으로부터 리프트프레임(120) 및 보조적재함(130)이 상승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트럭을 전진 이동하면 본 발명의 덤프 적재함 모듈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일반트럭 상태에서 본 발명의 덤프 적재함 모듈을 탑재 시에는 상기 순서의 역순으로 실시하면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은 무엇보다 대형 덤프트럭에 비해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일반트럭에 간편하게 덤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덤프 적재함 모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자동차 관리법상에 위배되는 차량 구조 변경을 배제하면서도 간편하게 일반트럭에 덤프 기능을 탑재하여, 종래 수작업 또는 별도의 중장비를 동원해야 했던 일반트럭을 이용한 적재물의 하역 작업을 더욱 안정적으로 실시하고 효율화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덤프 적재함 모듈은 간소화된 구조만으로 일반트럭의 주적재함(110)에 덤프 적재함 모듈을 간편하게 탑재 및 분리할 수 있고 보조적재함(13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편리한 조작성 및 작업성을 제공하므로 종래 일반트럭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등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110: 주적재함 112: 리어패널
120: 리프트프레임 121: 프론트바
122: 리어바 123: 사이드바
124: 이너바 125: 리프트바
126: 고정수단 130: 보조적재함
131: 프론트패널 132: 리어패널
133: 사이드패널 134: 베이스패널
140: 제1보조힌지부 150: 제2보조힌지부
160: 구동부 161: 제1실린더
162: 실린더동체 163: 제2실린더
164: 실린더동체

Claims (4)

  1. 덤프 기능이 미탑재된 일반트럭의 주적재함(110)에 탑재하여 덤프 기능을 구현하는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에 있어서,
    트럭의 캐빈측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주적재함(110)에 고정 또는 분리하는 프론트바(121)와,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에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하는 리어바(122)와, 프론트바(121)와 리어바(122)의 사이에 구비하는 한 쌍의 사이드바(123)로 이루어져 상기 주적재함(110)의 저면 모서리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리프트프레임(120)과,
    상기 주적재함(110)의 내부에 탑재하되 베이스패널(134)의 저부 4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리프트프레임(120) 상에 거치되는 보조적재함(130)과,
    상기 보조적재함(130)의 베이스패널(134) 후단에 장착하고 상기 리프트프레임(120)의 리어바(122)에 축 결합하는 제1힌지부(140)와,
    상기 보조적재함(130)의 사이드패널(133) 후단 상측에 장착하고 리어패널(132)의 상단을 축 결합하는 제2힌지부(150)와,
    상기 리프트프레임(120)의 프론트바(121)와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에 양단을 결합하여 보조적재함(130)을 기울이는 구동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바(121) 및 리어바(122)의 내부에는 중공부를 형성하되, 양측에서 중공부에 인출입하는 이너바(124)와, 이너바(124)의 말단에 상단을 힌지결합하여 절곡 작동하고 지면을 기점으로 승강하는 리프트바(125)를 탑재하여, 상기 리프트프레임(120)과 보조적재함(130)을 트럭 및 주적재함(110)에서 분리하도록 마련하고,
    상기 구동부(160)는,
    하단에 구비된 실린더헤드를 프론트바(121)에 힌지 결합하고 상단은 실린더동체(162)로부터 인출입하여 보조적재함(130)을 경사시키는 제1실린더(161)와,
    상단에 구비된 실린더헤드를 보조적재함(130)의 프론트패널(131)에 힌지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실린더동체(162)에 고정된 실린더동체(164)로부터 인출입하여 보조적재함(130)을 상기 제1실린더(161)에 비해 높은 각도로 경사시키는 제2실린더(16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적재함(110)에는 리어패널(112)의 개폐를 감지 및 작동하는 1차스위치(113)를 탑재하고,
    상기 구동부(160)에는 1차스위치(113)와 연동하는 2차스위치(165)를 탑재하여, 상기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이 미개방시 1차스위치(113)를 선작동후 2차스위치(165)를 작동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보조적재함(130) 및 리어패널(132)이 주적재함(110)의 리어패널(112)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KR1020180014928A 2018-02-07 2018-02-07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KR102044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28A KR102044089B1 (ko) 2018-02-07 2018-02-07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928A KR102044089B1 (ko) 2018-02-07 2018-02-07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63A KR20190095663A (ko) 2019-08-16
KR102044089B1 true KR102044089B1 (ko) 2019-11-12

Family

ID=6780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928A KR102044089B1 (ko) 2018-02-07 2018-02-07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790B1 (ko) * 2021-11-30 2022-08-16 송주현 농산물 수확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350Y2 (ja) * 1991-08-29 1997-12-2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開閉扉を有する車両用荷役装置の安全装置
KR200385927Y1 (ko) * 2005-03-21 2005-06-03 염승식 대형 암롤차량용 2단 슬라이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423Y1 (ko) * 1993-12-23 1996-01-10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덤프 트레일러의 차체지지장치
KR19980035708U (ko) 1996-12-13 1998-09-15 박병재 덤프 트럭용 덤프장치
KR200231207Y1 (ko) 2001-02-07 2001-07-19 박해군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KR100420720B1 (ko) 2001-02-07 2004-03-02 주식회사 진명자동차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KR20160040756A (ko) * 2014-10-06 2016-04-15 강승구 트럭 탑재용 덤프장치
KR101803787B1 (ko) 2017-07-26 2017-12-04 신상형 덤프트럭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350Y2 (ja) * 1991-08-29 1997-12-2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開閉扉を有する車両用荷役装置の安全装置
KR200385927Y1 (ko) * 2005-03-21 2005-06-03 염승식 대형 암롤차량용 2단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663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4150C (en) System for adjusting over-axle weight of a vacuum tank truck
US4951999A (en) High lift dump truck
US822634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KR101495261B1 (ko)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US10131264B2 (en) Hooklift trailer
US3740097A (en) Vehicle dump bed
US7111907B2 (en) Side dump trailer for particulate material
US6539631B1 (en) Tapered trailer with horizontal seams and support rails
CN212332482U (zh) 一种自卸式半挂车车厢举升结构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CN210212166U (zh) 具有转斗式车厢的运输车
US20070096536A1 (en) Dual dump body for truck or trailer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US6817676B2 (en) Truck having a dumping bin and storage compartment with attached ramp, and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rticles
AU2007293721B2 (en) Mechanical tailgate
US4023852A (en) Tiltable vehicle loading ramp
CN212373220U (zh) 自卸车车厢
KR20190071853A (ko) 화물 트럭용 덤프장치
KR102201341B1 (ko) 리프트 및 덤핑이 가능한 쓰레기 거점 운반용 차량
CN108515895A (zh) 可折叠车厢及一种防卸料侧翻的自卸卡车
KR102608940B1 (ko) 암롤박스 잔류콘크리트 회수차량
US20080246307A1 (en) Curb-side debris loader-un-loader
FI122596B (fi) Järjestelmä konttien purkamiseksi
JP3011534U (ja) 積載物運搬車輌の積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