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207Y1 -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 Google Patents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207Y1
KR200231207Y1 KR2020010002908U KR20010002908U KR200231207Y1 KR 200231207 Y1 KR200231207 Y1 KR 200231207Y1 KR 2020010002908 U KR2020010002908 U KR 2020010002908U KR 20010002908 U KR20010002908 U KR 20010002908U KR 200231207 Y1 KR200231207 Y1 KR 200231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dump
dumping
dump truck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군
Original Assignee
박해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군 filed Critical 박해군
Priority to KR2020010002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2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20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부와, 화물을 적재 및 내리기 위해 상, 하로 경사회전되는 적재함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 덤프트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의 후방과 적재함의 저면에 각각 양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로드와; 상기 적재함의 연결로드와 힌지결합된 부분의 후방측 저면에 설치되고, 적재함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차륜(車輪)부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륜부와는 덤핑축에 의해 결합되어 적재함이 경사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덤핑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경량화된 연결구성에 의해 공차중량이 감소되어 보다 많은 량의 화물 적재가 가능하므로써 운반작업의 작업성이 우수해지게 되며, 적재함이 덤핑될 때 연결로드에 의해 보강력이 제공되어 힌지결합부와 승강수단에 가해지던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므로써 부품의 고장발생빈도 감소 및 덤핑 안정성이 우수해져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Rear dump type dump truck}
본 고안은 리어덤프형 덤프트럭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차량과 적재함을 연결하기 위한 대형 프레임의 구조를 보다 경량화된 연결로드로 구성하고, 이러한 구성에서 덤핑안정성이 우수한 덤프트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dump truck)은 각종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하고 목적하는 장소로 이동시키는 운반차의 일종으로 후방의 적재함이 로프, 혹은 유압장치에 의해 후방 또는 측방으로 경사회전(약 55 ~ 70°)되어 적재물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하, 덤핑(dumping)이라 함)으로 전자를 리어 덤프(rear dump), 후자를 사이드 덤프(side dump)라 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이하, 덤프트럭이라 함)의 종래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덤프트럭은 차량부(1)의 후방에 좌, 우로 회동가능한 프레임(2)이 설치되고, 프레임(2)의 상측에 설치되어 덤핑구동 가능한 적재함(3)이 구비되며, 적재함(3)의 전방에 승강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인 승강실린더(4)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덤프트럭은 적재함(3)에 각종 화물을 적재하고 목적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 지정위치에서 승강실린더(4)를 구동시켜 적재함()을 경사회전 시키므로써 화물을 내리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된 덤프트럭은 차량과 적재함을 연결하는 프레임이 워낙 고 중량의 것이기 때문에 화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의 공차(空車)중량이 무겁게 되며, 이로인해 화물적재량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적재함은 후단부에 상호 힌지결합되어 있는데, 철재로 제작된 적재함과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에 의해 덤핑시 힌지결합부분에 무리한 하중이 전달되어 트럭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덤핑된 적재함은 적재함을 상승시킨 실린더에 의해 전방이 지지되는데, 단지 실린더에만 의지하게되는 지지구조는 실린더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차량과 적재함의 연결구성을 개선하여 공차중량을 감소시키고, 덤핑시의 지지구성을 제공함에 따라 덤핑안정성 및 적재함의 힌지구성부와 승강수단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덤프트럭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덤프트럭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덤프트럭의 적재함이 회전된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량부 11: 설치브래킷
20: 적재함 21: 승강실린더
30: 연결부 31: 연결로드
40: 차륜부 42: 덤핑축
50: 덤핑회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차량부와, 화물을 적재 및 내리기 위해 상, 하로 경사회전되는 적재함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 덤프트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의 후방과 적재함의 저면에 각각 양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로드와; 상기 적재함의 연결로드와 힌지결합된 부분의 후방측 저면에 설치되고, 적재함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차륜(車輪)부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륜부와는 덤핑축에 의해 결합되어 적재함이 경사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덤핑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덤프트럭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덤프트럭은 차량부(10)와, 적재함(20),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3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 차량부(10)의 후방 상면에는 좌, 우로 회전가능한 설치브래킷(11)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20)의 선단부에는 승강수단인 승강실린더(21)가 힌지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승강실린더(21)의 램(21a) 끝단은 설치브래킷(11)에 힌지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부(30)는 설치브래킷(11)과 적재함(20)의 대략 중앙 저면에 양단이 각각 힌지결합된 연결로드(31)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로드(31)는 폭의 중앙에 1개만을 설치해도 기능수행이 가능하지만 적재함(20) 및 적재함(20)에 적재될 화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2이상의 개수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적재함(20)의 좌, 우 양측에 설치함이 적재함(20)의 안정된 지지상태와 부품의 절감측면에서 이상적이다.
또한, 상기 적재함(20)에는 연결로드(31)가 결합된 후방 하부에 적재함(20)이 일정높이에 구비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적재함(20)이 차량부(10)에 의해 이동될 때의 보조수단으로 차륜부(40)가 설치되며, 차륜부(40)는 차륜설치대(41)의 하단에서 덤핑축(42)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상기 차륜설치대(41)와 덤핑축(42)은 적재함(20)이 덤핑되는 기준이 되도록 하는 덤핑회전부(50)를 구성하며, 상기 차륜부(40)는 일반적으로 차륜(43)가 차량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구성, 즉 차륜프레임(44)에 자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차륜축(45)이 판스프링 등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0)는 연결로드(31)의 저면에 적재함(20)이 차량부(10)와 분리되었을 때(구체적으로는 차량부에서 설치브래킷이 이탈되었을 때) 적재함(20)의 전방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스트럿부(60)를 포함하며, 이 스트럿부(60)는 지면과의 사이에서 텔레스코픽(telescopic) 가능한 스트럿바(61)를 갖는다.
도 3은 상기된 구성의 덤프트럭에서 적재함을 경사회전시켜 덤핑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덤프트럭은 적재함(20)에 소정량의 화물을 적재하고 목적하는 위치로 운반한 후 적재함(20)을 덤핑하여 화물을 지정장소에 내리게 된다.
상기 덤핑구동은 먼저 승강실리더(21)를 구동시켜 적재함(20)이 덤핑회전부 (50)의 덤핑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적재함(20)은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약 55 ~ 70°)경사를 유지하게 되어 수행되는데, 이와 같은 적재함(20)의 경사에 의해 적재함(20) 내의 화물이 지면으로 쏟아져 내려지게 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적재함(20)이 경사진 상태에서는 적재함내의 화물이 도면의 화살표 방향, 즉 설치브래킷 측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며, 이와 같은 하중은 상기 승강실린더(21), 연결로드(31), 그리고, 적재함(20)과 지면이 구성하는 트러스(truss)구조에 의해 승강실린더(21)와 연결로드(31)에 분배되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승강실린더(21)에만 하중이 가해짐에 따른 부품의 잦은 고장률이 감소되고, 이러한 결과로 덤핑안정성이 우수함을 인정받게 된다.
또한, 상기된 구성에서 종래의 고하중으로 제작되는 프레임(2)(도 1참조)이 배제되고 경량의 연결로드(31)가 설치됨에 의해 공차중량이 대폭 감소되어 동일한 규격의 덤프트럭에 보다 많은 화물의 적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경량화된 연결구성에 의해 공차중량이 감소되어 보다 많은 량의 화물 적재가 가능하므로써 운반작업의 작업성이 우수해지게 되며, 적재함이 덤핑될 때 연결로드에 의해 보강력이 제공되어 힌지결합부와 승강수단에 가해지던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므로써 부품의 고장발생빈도 감소 및 덤핑 안정성이 우수해져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1. 차량부(10)와, 화물을 적재 및 내리기 위해 상, 하로 경사회전되는 적재함(20)이 상호 연결결합되어 구성되는 덤프트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10)의 후방과 적재함(20)의 저면에 각각 양단이 힌지결합된 연결로드(31)와;
    상기 적재함(20)의 연결로드(31)와 힌지결합된 부분의 후방측 저면에 설치되고, 적재함(20)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차륜(車輪)부(40)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륜부(40)와는 덤핑축(42)에 의해 결합되어 적재함(20)이 경사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덤핑회전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31)의 저면에는 적재함(20)이 차량에서 이탈되었을 때 적재함(20)의 전방을 지지하기 위한 스트럿부(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KR2020010002908U 2001-02-07 2001-02-07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KR200231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908U KR200231207Y1 (ko) 2001-02-07 2001-02-07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908U KR200231207Y1 (ko) 2001-02-07 2001-02-07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826A Division KR100420720B1 (ko) 2001-02-07 2001-02-07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207Y1 true KR200231207Y1 (ko) 2001-07-19

Family

ID=7309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908U KR200231207Y1 (ko) 2001-02-07 2001-02-07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2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720B1 (ko) * 2001-02-07 2004-03-02 주식회사 진명자동차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KR20190095663A (ko) 2018-02-07 2019-08-16 허동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720B1 (ko) * 2001-02-07 2004-03-02 주식회사 진명자동차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KR20190095663A (ko) 2018-02-07 2019-08-16 허동길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696C (zh) 电池供电车辆用的电池更换系统
US4204793A (en) Device for handling containers
US6705823B2 (en) Vehicl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EP1556555B1 (en) Small loader
US20180178704A1 (en) Hooklift trailer
US20090202328A1 (en) Low profile hook hoist
EA000341B1 (ru) Системы обработки контейнеров
KR200231207Y1 (ko)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US3610690A (en) Support arrangement for truck body
KR100420720B1 (ko)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CN210212166U (zh) 具有转斗式车厢的运输车
US6550704B2 (en) Lift frame for large tub grinders
US55518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a cargo container chassis for storage
CN114655721B (zh) 一种能够180度翻转的卸料机构
JP2015116920A (ja) トラックに積載可能なダンプ装置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CN215154172U (zh) 一种多功能自卸车
CN100475605C (zh) 部分式升降装卸台
KR200357384Y1 (ko) 측면으로 상향 회전이동되는 적재함을 구비한 덤프트럭
CN212769478U (zh) 云梯车用单缸自动翻转翻斗
JP2718590B2 (ja) 荷受台昇降装置
JP4121023B2 (ja) ステップ一体型荷受台昇降装置
CN217996069U (zh) 一种硅橡胶生产用投料设备
CN219856935U (zh) 一种散装货物装载车的集中控制装置
KR200247877Y1 (ko)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