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877Y1 -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877Y1
KR200247877Y1 KR2020010020165U KR20010020165U KR200247877Y1 KR 200247877 Y1 KR200247877 Y1 KR 200247877Y1 KR 2020010020165 U KR2020010020165 U KR 2020010020165U KR 20010020165 U KR20010020165 U KR 20010020165U KR 200247877 Y1 KR200247877 Y1 KR 200247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load
dump trailer
crossba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흥구
Original Assignee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0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877Y1/ko

Links

Landscapes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덤프 트레일러의 후단에 적재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바를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바의 일측은 상기 적재함의 하부 중간에 고정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크로스바의 타측은 슬라이딩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적재함이 상승되었을시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되도록 결합부가 후단 바퀴 사이에 위치시켜 형성함으로써, 적재물을 하역시키기 위해 적재함을 덤핑작동시 상기 크로스바의 안정적인 지지로 인해 덤프 트레일러의 차량이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전복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덤핑 적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적재함의 상승시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위치가 앞쪽으로 위치하게 하여 적재함이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뒤로 제쳐짐을 방지시킴으로 인해 전체적인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물 하차시에 에 대한 안정적인 하역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실시하여 사용하는 사용상의 신뢰도와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UNDER SAFETY DEVICE OF DUMPPING DESK FOR DUMP TRAILER}
본 고안은 적재물을 하역시키기 위해 적재함의 덤핑작동시 덤프 트레일러의 차량이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전복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덤프 트레일러의 후단에 적재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바를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바의 일측은 상기 적재함의 하부 중간에 고정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크로스바의 타측은 슬라이딩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적재함이 상승되었을시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되도록 결합부가 후단 바퀴 사이에 위치시켜 형성함으로써, 적재물을 하역시키기 위해 적재함을 덤핑작동시 상기 크로스바의 안정적인 지지로 인해 덤프 트레일러의 차량이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전복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덤핑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상기 적재함의 상승시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위치가 앞쪽으로 위치하게 하여 적재함이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뒤로 제쳐짐을 방지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물 하차시에 대한 안정적인 하역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이를 실시하여 사용하는 사용상의 신뢰도와 만족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 트레일러는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차량으로서, 상기 덤프 트레일러의 프레임 후미를 축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는 덤핑데크 (dumpping deck, 적재함)는 운전석이 위치하는 캐빈쪽의 앞쪽부분이 유압구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선회 상승되어 적재물을 해당장소에 낙하시키는 한편, 적재물을 낙하시킨 다음에는 다시 유압구동에 의해 캐빈쪽의 앞쪽부분이 반대로 선회 하강되어 프레임 상부로 서서히 안착되는 동작으로 덤핑데크의 덤핑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덤프 트레일러의 덤핑동작은 단순히 유압구동에 의해 적재함의 선단을 상승시켜 적재물을 낙하시키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적재함의 상승작동시 덤프 트레일러의 차량이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넘어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함 하부 끝단과 프레임의 끝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으나, 이는 적재물을 낙하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의 상승시 이루어지는 무게 중심이 끝단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와 같이 적재물의 낙하하는 과정에서 적재물의 무게에 견디지 못하여 뒤로 제쳐짐으로 인해 대형사고를 유발시키는 동시에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해 전체적인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물 하차시에 대한 안정적으로 하역 작업을 이루는데 있어 항상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고, 이를 실시하여 사용하는 사용상의 신뢰도와 만족도가 극소화되는 문제가 항상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덤프 트레일러의 후단에 적재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바를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바의 일측은 상기 적재함의 하부 중간에 고정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크로스바의 타측은 슬라이딩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적재함이 상승되었을시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되도록 결합부가 후단 바퀴 사이에 위치시켜 형성함으로써, 적재물을 하역시키기 위해 적재함을 덤핑작동시 상기 크로스바의 안정적인 지지로 인해 덤프 트레일러의 차량이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전복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시키고, 덤핑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재함의 상승시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위치가 앞쪽으로 위치하게 하여 적재함이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뒤로 제쳐짐을 방지시킴으로 인해 전체적인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물 하차시에 에 대한 안정적인 하역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실시하여 사용하는 사용상의 신뢰도와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데 있다.
도 1은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함이 상승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함이 상승되어 실시됨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재함의 실시상태를 보여주는 실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덤프 트레일러
2 : 적재함
3 : 프레임
4,5 : 바퀴
10 : 크로스바
20 : 슬라이딩홈부
30 : 힌지브라켓트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함이 상승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함이 상승되어 실시됨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재함의 실시상태를 보여주는 실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덤프 트레일러의 프레임 후미를 축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적재함이 운전석에 위치하는 캐빈쪽의 앞쪽부분이 유압구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선회 상승되어 적재물을 해당장소에 낙하시키고, 적재물을 낙하시킨 다음에는 다시 유압구동에 의해 캐빈쪽의 앞쪽부분이 반대로 선회 하강되어 프레임 상부로 서서히 안착되는 덤핑동작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적재함(2)이 덤핑동작에 의해 적재물을 하역할 시에 상기 적재물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적재함(2)이 전복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바(10)를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바(10)의 일측은 상기 적재함(2)의 하부 중간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1)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바(10)의 타측은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프레임(3)에 형성되어 위치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홈부(20)에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적재함(2)이 덤핑동작에 의해 적재물을 하역할 시에 상기 적재물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적재함(2)이 무게 중심을 잃어 적재물이 하역되는 방향으로 제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2)의 끝단으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위치에 힌지브라겟트(30)을 형성하되, 상기 힌지브라겟트(30)는 상기 적재함(2)이 상승되었을시 무게 중심이 최대한 아래로 위치되게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후단부 바퀴(4)와 바퀴(5) 사이에 설치된 프레임 (3)의 결합브라겟트(3-1)에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미 설명부호 6은 상기 적재함(2)의 전단을 상승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덤핑실린더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인 상기 크로스바(10), 슬라이딩홈부(20) 및 힌지브라겟트(30)는 상기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일측에만 도시된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구성은 일측에만 설치되어 실시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양측에 설치되어야만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덤프 트레일러(1)는 토목 및 건축산업 현장에 주로 이용되는 차량으로, 이는 모래, 자갈, 흙 및 폐자재 등과 같은 적재물을 적재함에 실고 운반하는 이동수단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무거운 적재물을 실고, 원하는 위치에 상기 적재물을 낙하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고, 이와 같은 낙하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적재함(2)이 전복되는 상황이나, 뒤로 제쳐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안전적인 적재물의 하역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적재물을 하역시키는 덤핑작동은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적재함(2)이 운전석에 위치하는 캐빈쪽의 앞쪽부분이 덤핑실린더(6)의 유압구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선회 상승되어 적재물을 해당장소에 낙하시키고, 상기 적재물을 낙하시킨 다음에는 다시 상기 덤핑실린더(6)의 유압구동에 의해 캐빈쪽의 앞쪽부분이 반대로 선회 하강되어 상기 프레임(3) 상부로 서서히 안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덤핑동작에 의해 적재함(2)이 상승되어 적재물이 하역되는 동안 상기 적재함(2)이 일측으로 기울거나 전복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크로스바(10)를 상기 적재함(2)과 프레임(3) 사이에 설치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크로스바(10)의 일측이 상기 적재함(2)의 하부 중간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11)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바(10)의 타측은 프레임(3)의 슬라이딩홈부(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2)이 상승되면, 상기 크로스바(10) 또한 상승되되, 상기 크로스바(10)는 상기 프레임(3)에 형성된 슬라이딩홈부(20)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원할하게 상승되는 것이다.
상기 크로스바(10)는 상승된 적재함(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있어 덤핑동작에 의해 적재물을 하역할 시에 상기 적재물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적재함(2)이 전복되지 않고 덤핑동작을 용이하게 이룰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후단부 바퀴(4)와 바퀴(5) 사이에 설치된 프레임(3)의 결합브라겟트(3-1)에 힌지 결합되는 상기 힌지브라겟트(30)는 상기 적재함(2)이 상승되었을시 무게 중심이 최대한 아래로 위치되게 이루는 것으로, 이는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적재함(2)이 덤핑동작에 의해 적재물을 하역할 시에 상기 적재물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적재함(2)이 무게 중심을 잃어 적재물이 하역되는 방향으로 제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적재함(2)을 반원형의 형태로 형성시킴으로 인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의해 실시되는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를 덤프 트레일러의 차량이 아닌 이와 유사한 차량으로서 덤핑동작을 실시한 차량에 장착하여 실시하는 것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덤프 트레일러의 후단에 적재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바를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바의 일측은 상기 적재함의 하부 중간에 고정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크로스바의 타측은 슬라이딩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적재함이 상승되었을시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되도록 결합부가 후단 바퀴 사이에 위치시켜 형성함으로써, 적재물을 하역시키기 위해 적재함을 덤핑작동시 상기 크로스바의 안정적인 지지로 인해 덤프 트레일러의 차량이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전복되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와, 이에 의해 덤핑 작업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적재함의 상승시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위치가 앞쪽으로 위치하게 하여 적재함이 적재물의 무게에 의해 뒤로 제쳐짐이 방지되는 효과로 인해 전체적인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물 하차시에 대한 안정적인 하역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이를 실시하여 사용하는 사용상의 신뢰도와 만족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덤프 트레일러의 프레임 후미를 축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적재함이 운전석에 위치하는 캐빈쪽의 앞쪽부분이 유압구동에 의해 일정각도로 선회 상승되어 적재물을 해당장소에 낙하시키고, 적재물을 낙하시킨 다음에는 다시 유압구동에 의해 캐빈쪽의 앞쪽부분이 반대로 선회 하강되어 프레임 상부로 서서히 안착되는 덤핑동작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덤프 트레일러의 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적재함(2)이 덤핑동작에 의해 적재물을 하역할 시에 상기 적재물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적재함(2)이 전복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바(10)를 형성하되,
    상기 크로스바(10)의 일측은 상기 적재함(2)의 하부 중간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1)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바(10)의 타측은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프레임(3)에 형성되어 위치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홈부 (20)에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적재함(2)이 덤핑동작에 의해 적재물을 하역할 시에 상기 적재물의 무게로 인해 상기 적재함(2)이 무게 중심을 잃어 적재물이 하역되는 방향으로 제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2)의 끝단으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위치에 힌지브라겟트(30)을 형성하되,
    상기 힌지브라겟트(30)는 상기 적재함(2)이 상승되었을시 무게 중심이 최대한 아래로 위치되게 상기 덤프 트레일러(1)의 후단부 바퀴(4)와 바퀴(5) 사이에 설치된 프레임(3)의 결합브라겟트(3-1)에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KR2020010020165U 2001-07-04 2001-07-04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KR200247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65U KR200247877Y1 (ko) 2001-07-04 2001-07-04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65U KR200247877Y1 (ko) 2001-07-04 2001-07-04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667A Division KR20030003835A (ko) 2001-07-04 2001-07-04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877Y1 true KR200247877Y1 (ko) 2001-10-26

Family

ID=7310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65U KR200247877Y1 (ko) 2001-07-04 2001-07-04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8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835A (ko) * 2001-07-04 2003-01-14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835A (ko) * 2001-07-04 2003-01-14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2139B2 (ja) 貯蔵コンテナを輸送車両に対して積み降ろし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4951999A (en) High lift dump truck
US6705823B2 (en) Vehicl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CA2874150C (en) System for adjusting over-axle weight of a vacuum tank truck
US822634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US20080253872A1 (en) Apparatus Supporting a Container on a Vehicle and Placing the Container Directly on a Ground Surface
WO2015131232A1 (en) A repositionable load carrying tray assembly for a vehicle
EP2233425B1 (en) System for unloading a container from a wagon.
US20090202328A1 (en) Low profile hook hoist
US5011360A (en) Self-emptying container
KR200247877Y1 (ko)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KR20030003835A (ko)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US20130243555A1 (en) Box Lifting Assembly for Dump Trucks or Similar Vehicles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IES20090649A2 (en) A load carrying vehicle
WO2008038048A1 (en) Storing and tipping apparatus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CN100430266C (zh) 处理废物的方法、废物处理料斗及废物处理车
JP4221650B2 (ja) 搭載物着脱式運搬車
JP3011534U (ja) 積載物運搬車輌の積載装置
FI122596B (fi) Järjestelmä konttien purkamiseksi
JP2955660B1 (ja) コンテナ自動車及びコンテナ
KR200231207Y1 (ko) 리어 덤프형 덤프트럭
JP2004142678A (ja) 着脱式運搬車用搭載物
WO2004022455A1 (en) Container for emptying by a forklift truck or equival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