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930A -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930A
KR20210126930A KR1020200044628A KR20200044628A KR20210126930A KR 20210126930 A KR20210126930 A KR 20210126930A KR 1020200044628 A KR1020200044628 A KR 1020200044628A KR 20200044628 A KR20200044628 A KR 20200044628A KR 20210126930 A KR20210126930 A KR 20210126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loading
fork
shaft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689B1 (ko
Inventor
윤남호
Original Assignee
윤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남호 filed Critical 윤남호
Priority to KR1020200044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68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60P1/44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the raising device, when not in use, being stored inside the load-transporting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Abstract

본원 발명은 화물트럭 후부에 적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적재부의 후면이 개방되어 적재물을 수용할 수 있는 화물트럭에 있어서, 상기 화물트럭 적재부의 후부에 배치되되, 제1액추에이터에 의해서 회전력을 받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동에 의해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플레이트재; 상기 지지플레이트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관절 승하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다관절 승하강장치는, 하부프레임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재에 대해서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복수개의 관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재 단부에는 적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장치이다.

Description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A LOADING APPARATUS WITH FORKLIFTS FOR FREIGHT TRUCK}
본 발명은 지게차기능을 포함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화물을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기구적 설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설치되는 적재장치를 지게차로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적재장치에 지게차 포크를 설치하여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구적 설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트럭적재공간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고자 인력에 의해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지게차에로 적재하거나 하역하는 경우도 있지만, 화물차량 외에 별도의 지게차가 동반되어야 하고, 차량운전자와 함께 지게차운전자를 필요로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문헌의 종래기술이 고안되었고, 종래기술은 화물차의 적재함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의 후부에 개폐되는 판넬이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복동실린더로 구성되어 상기 판넬을 개폐시키는 판넬개폐수단과; 상기 판넬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 이동부재의 상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화물차량의 후부 프레임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승강 구동력을 인가시키는 단동실린더로 구성된 판넬승강수단과; 상기 제 1, 2복동실린더를 구동 및 제어시켜 판넬의 개폐와 판넬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압구동제어부가 포함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도 적재공간의 후부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이로부터 하역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화물을 적재공간의 안쪽으로부터 하역하거나 또는 적재공간의 안쪽으로 깊숙히 적재하고자 할때에는 인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서 지면과 트럭의 적재공간 사이에서 화물을 편리하게 하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가 강력하게 요구됨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화물적재를 트럭의 화물적재공간 안쪽까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지게차 포크가 구비된 적재장치를 고안하게 되었다.
선행발명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5124 (2004.06.24. 등록)
본원 발명은 화물을 트럭의 적재공간 전방으로 깊숙히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공간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하역하고자 할때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지게차 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트럭 화물적재장치에 있어서, 포크를 이용하여 화물을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위치를 신축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화물 적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물트럭 후부에 바닥면, 양측면과 후면에 의해서 구획되는 화물적재부를 구비하되, 상기 화물적재부의 후면을 통해서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화물트럭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후면을 차단하는 개폐도어로서 작용하고 적재시에는 상기 바닥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펼쳐지는 지지플레이트(100);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 대해서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후방에 구비된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300), 상기 제1지지부재의 선단부에 후단부가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400), 상기 제2지지부재의 선단부에 후단부가 힌지결합되되, 선단부가 제2지지부재의 후단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지지부재(500)로 이루어진 다관절부재;
상기 제3지지부재(500)에 대해서 힌지결합되는 적재부재(600);
상기 제3지지부재(500)에는 상기 적재부재(600)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부재(600)는 적재패널(610)과 그 양측에는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보조패널(620)이 구비되고, 양 보조패널(620) 후면에 마련된 포크안착홈(621)에 삽입되거나 상기 포크안착홈(62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포크(622)를 구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부 후방도어에 일체로 결합되는 화물적재장치로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화물을 지상과 적재부 사이에서 하역(load and unload)를 수행함에 있어서, 그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원 발명은 지게차 기능이 부가되어 있어서 화물의 하역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본원 발명은 화물적재장치에 있어서, 다관절 승하강장치이 길이가 신축적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화물의 위치에 따라서 그 하역위치를 자유롭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펼침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제3지지부재와 적재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그리고 제3지지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포크가 안착 및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다관절부재의 일측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다관절부재의 양측 내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적재함의 후부 도어로서 기능하는 본원 발명의 적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적재장치는 적재함의 후부 도어로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게 된다. 즉, 본원 발명의 적재장치는 적재함의 후부 도어를 대신하게 되므로 적재함의 후부도어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도 1(B)는 본원 발명의 지지플레이트(100)를 90°회동시켜 적재함의 바닥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기구적 작동은 수동 또는 일반적인 유압수단에 의해서 쉽게 가능하게 된다. 수동으로 지지플레이트(100)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평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1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하부프레임(200)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에는 다관절부재 및 적재부재가 안착된다.
도 1(C)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0) 상에 구비된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00) 상에서 수평회전하게 된다. 다관절 승하강장치는 회전시에 트럭의 적재부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지지플레이트(100)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0)이 지지플레이트(100)에 대해서 수평회전되는 것은 중심부에 구비된 웜과 웜휠(미도시)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부재는 하부프레임(200) 상에서 펼쳐지되, 제1지지부재(300)는 차량후방향을 향해서 수평이 되고, 제2지지부재(400)는 지면을 향하여 수직이 되고, 제3지지부재(500)와 적재부재(600)는 지면에 대해서 수평상태로 펼쳐지게 된다.
도 1(E)는 제3지지부재(500)에 내장된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적재부재(600)가 수직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F)는 적재부재(600) 후면에 마련된 포크안착홈(621)으로부터 포크(622)가 수평위치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지지플레이트(100)에 구비된 하부프레임(200), 그리고 하부프레임에서 펼쳐진 다관절부재 및 적재부재, 그리고 포크가 도시되어 있다. 즉, 하부프레임(200)과 상기 하부프레임(200)으로부터 전개되는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400)가 각각 수평상태와 수직상태로 된다. 이와 함께 제3지지부재(500)는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단부에 구비되되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지지부재(500)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적재패널(610)은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수평위치에서 수직위치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 적재패널(610)의 양측에는 보조패널(6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패널(620)는 힌지수단(630)에 의해서 양측으로 펼쳐지며, 펼쳐진 보조패널(620)의 후면에는 포크가 포크안착홈(미도시)에 안착된다.
특히,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40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여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적재작업에 있어서 다양한 적재위치에 따라서 제1지지부(300)재 또는 제2지지부재(400)의 신축을 조절하게 된다.
도 3은 제3지지부재(50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적재패널(610) 및 양측에 힌지결합된 보조패널(620)를 도시한 것이다. 다만 구조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제2지지부재(400)는 한쪽만 도시하였다. 제3지지부재(500)는 제2지지부재에 대해서 힌지결합되되, 단부에는 연장부(510)이 구비되어 상기 적재패널(610)의 양측을 패널회전축(520)에 의해서 힌지결합한다. 제3지지부재(500)는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400)의 회전에 따라서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함에 따라서 적재패널(610) 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만 적재패널(610)는 포크리프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포크(622)가 전방을 향하도록 구성해야 하므로, 적재패널(610)를 제2지지부재와 평행하도록 상기 패널회전축(520)을 중심으로 들어올려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제3지지부재에 고정된 유압실린더(530)가 상기 적재패널(610)에 일체로 고정된 회전크랭크(540)를 작동시켜 상기 패널회전축(520)을 중심으로 상기 적재패널(61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유압실린더(530)는 상기 적재패널(610)을 제3지지부재(500)의 연장부(510)에 대해서 회전시키게 된다. 보조패널(620)의 후면에 포크(622)가 장착되어있으므로, 도 3에는 포크와 포크안착홈이 보이지 않는다.
도 4(1)은 다관절부재와 적재부재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에 안착된 초기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2)는 다관절부재가 펼쳐지는 중간단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3)은 다관절부재가 하역(load and unload)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보조패널(620)가 양측으로 펼쳐지게 되며, 지게차 기능이 필요한 경우 보조패널는 수직위치로 올려지고 보조패널(620) 후면의 포크안착홈(621)으로부터 수평상태로 인출되는 포크(622)에 의해서 지게차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01)은 제1지지부재(300)의 측면에 고정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301)은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일체로 결합된 제1지지부재(300)를 하부프레임(200)의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구동축(301)은 제1지지부재(30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축(210)은 하부프레임(20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축(301)은 상기 고정축(210)에 대해서 동심(同心)으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구동축(301)이 회전하면서 일체로 된 제1지지부재(300)가 상기 고정축(210)에 대해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엑추에이터는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구동되는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 4와 같이 유압실린더(302)와 크랭크(303)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다관절부재의 작동과 관련하여 부연설명하면, 제1지지부재(300)의 회동과 더불어 제2지지부재(400)는 제1지지부재(300)에 대해서 상대운동을 하되, 제1지지부재(300)가 고정축(210)에 대해서 회전하는 양의 1/2만큼 제1지지부재(300)에 대해서 상대회전하게 되도록 한다. 제1지지부재(300)가 180°회전하여 수평방향을 유지하게 되면, 제2지지부재(400)는 상기 제1지지부재(300)에 대하여 90°만큼 상대회전하게 되어 지면(地面)을 향하게 되고, 제3지지부재(500)와 적재패널(610)은 상기 제2지지부재(400)에 대하여 270°만큼 상대회전하게 되어 지면에 대해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400) 내부에 각각의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고, 제3지지부재(500)까지 연결된다.
도 5에는 보조패널(620)의 후면에 구비된 포크안착홈과 포크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즉, 제3지지부재(500)에 함께 회전하는 적재패널(61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보조패널(62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패널의 후면에는 포크안착홈(621)이 형성되며, 상기 포크안착홈 내부에 포크(622)가 안착 및 인출되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포크안착홈(621) 내에 안착 고정된 포크브라켓(623a)에는 포크(622)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포크브라켓(623a)에는 이송스크류(623b)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너트부가 구비된다. 이로써, 이송스크류(623b)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포크브라켓(623a)의 측방향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물의 크기 따라서 보조패널(620) 각각에 구비된 포크(622)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623b)의 일측에는 이송스크류(623b)의 회전을 위한 구동기어가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포크(622)에는 포크회전축(623c)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포크회전축(623c)은 상기 포크브라켓(623a)에 대해서 회전이 되도록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서 포크회전축(623c)의 회전각에 따라서 포크(622)의 회전각이 조절되도록 상기 포크회전축(623c)의 일측에도 구동기어가 결합된다. 상기 각각의 구동기어의 회전은 구동모터와 감속기에 의해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유압실린더, 래크와 피니어에 의해서 작동된다.
도 6은 하부프레임(200)으로부터 회전되는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400) 그리고 제3지지부재(500) 및 적재부재(6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기초하여 제1지지부재의 내부구조, 상기 제1지지부재와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의 내부구조, 및 제3지지부재 그리고 각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제1지지부재(300)는 상기 고정축(210)과 제1회전축(330)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수단(320)이 구비된다. 또한 제1회전축(330)을 감싸도록 구비된 아우터회전축(34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축(301)으로 인해서 일체로 결합된 제1지지부재(300)의 제1케이스(310)가 고정축(210)에 대해서 회전된다. 이에 따라서 고정축(210)의 회전력은 제1동력전달수단(320)에 의해서 제1회전축(330)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320)은 바람직하게 고정축과 제1회전축(330)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동력전달축(321)이 사이에 구비된다. 고정축(210)의 베벨기어 a' 와 제1동력전달축(321) 일단의 베벨기어 a가 상호 치합되며, 제1회전축(330)의 베벨기어 c'와 제1동력전달축(321) 타단의 베벨기어 c가 상호 치합된다.
또한 제1동력전달축(321)의 타단에 또 하나의 베벨기어 b가 구비되며, 이는 아우터회전축(340)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베벨기어 b는 제1회전축(330)의 외주를 동심으로 감싸는 아우터회전축(340)을 회전시키되, 제1회전축과 반대방향으로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1/2 기어비로 회전시킨다.
본원 발명의 도 6에서는 제1회전축(330)과 아우터회전축(340)의 회전방향을 달리 하기 위해서 중간기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우터회전축(340)은 제2지지부재(400)와 직결되어 있어서, 제1지지부재(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지지부재(400)를 회전시키되, 1/2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제1회전축(330)의 회전력은 제2동력전달수단(420)에 의해서 제2회전축(430)으로 전달된다. 제2동력전달수단(420)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동력전달축(421)과 상기 제2동력전달축(421) 양단에 베벨기어가 구비된다. 제1회전축(330) 타단의 베벨기어 d'와 상기 제2동력전달축(421)의 베벨기어 d가 상호 치합되고, 제2회전축(430)의 베벨기어 e'와 상기 제2동력전달축(421)의 베벨기어 e가 상호 치합된다. 제2회전축(430)은 베벨기어 e'에 의해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체로 결합된 제3지지부재(500)를 함께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3지지부재(500)는 제2회전축(430)의 회전량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1지지부재(300)가 90°회전하게 될 때, 제2지지부재(400)는 45°회전하게 되고, 제1지지부재(300)가 180°회전하게 될 때, 제2지지부재(400)는 90°회전하게 된다. 제1지지부재(300)의 후단부가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180°회전하게 되면, 제2지지부재(400)는 90°회전하여 지면을 향하게 되며, 제3지지부재(500)는 지면에 대해서 수평(평행)이 되도록 유지된다.
다만, 도 6의 제1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400)는 더욱 바람직하게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400)가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됨으로 화물을 적재부에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즉,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400)가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410)는 바람직하게는 신축가능한 이중관으로 구성하되 내부관과 외부관의 일부가 상호 중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320)은 제1동력전달축(321)의 양단에 각각 베벨기어가 구비되되, 제1동력전달축(321)은 이중의 스플라인관(321a, 321b)으로 구성된다. 즉, 내스플라인(321a)과 외스플라인(321b)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구비되는 돌기와 요홈(미도시)에 의해서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또한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내스플라인과 외스플라인의 이중 스플라인관의 내부에는 길이 신축을 위한 작동수단으로서 제1유압실린더(321c)가 내장된다.
그와 함께 제2동력전달축(421)의 구조도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2동력전달축은 내스프라인(421a)과 외스플라인(421b)의 이중스플라인 구조를 이루고 그 양단에 각각 베벨기어가 구비된다. 상기 이중스플라인 내부에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작동수단으로서 제2유압실린더(421c)가 구비되고 제2유압실린더(421c)의 신축작용에 의해서 이중스플라인의 길이가 가변된다. 그리고 각 베벨기어에 의해서 이중스플라인의 제2동력전달축(421)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제2동력전달축(421)의 회전력은 제2회전축(430)에 전달하기 위해서 이와 같은 제1유압실린더(321c)와 제2유압실린더(421c)의 제어에 의해서 목적하는 제3지지부재(500) 및 적재부재(600)의 위치에 따라서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400)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접힘상태에서 하역상태로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적재부재(600)의 위치는 화물을 리프팅하기 위한 포크(622)의 위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도 7는 본원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다만, 제1실시예와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제1동력전달축(321)의 선단에 결합된 2개의 베벨기어 b, c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제1회전축(330)의 회전방향은 중간기어에 의해서 아우터회전축(3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된다.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400)의 길이방향 신축동작을 위한 구조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제2지지부재(400)는 선단부가 ㄱ 자형으로 형성되되, ㄱ 자형으로 절곡된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선단부에 제2회전축(430)이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축(430)은 제3지지부재(50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2동력전달축(421)의 회전력을 제2회전축(430)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제2동력전달축(421) 선단에 구비된 베벨기어 e는 베벨기어 e'와 평기어 e"가 일체로 결합된 중간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이어서 제2회전축(430)의 평기어 f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서 제2회전축(430)이 회전하게 되고, 일체로 결합된 제3지지부재(50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선단부가 ㄱ자형으로 굽어진 형태를 가지고 그 굽어진 선단부에 제2회전축(430)이 구비됨으로 인해서 도 4 (3)에서와 같이 제3지지부재(500)가 하역위치에 도달하게 되었을 때 차량 적재함 바닥 또는 지면에 밀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지지플레이트
200 : 하부프레임
210 : 고정축
300 : 제1지지부재
301 : 구동축
310 : 제1케이스
320 : 제1동력전달수단
330 : 제1회전축
340 : 아우터회전축
400 : 제2지지부재
410 : 제2케이스
420 : 제2동력전달수단
430 : 제2회전축
500 : 제3지지부재
510 : 연장부
520 : 패널회전축
530 : 제3유압실린더
540 : 회전크랭크
600 : 적재부재
610 : 적재패널
620 : 보조패널

Claims (5)

  1. 화물트럭 후부에 바닥면, 양측면과 후면에 의해서 구획되는 화물적재부를 구비하되, 상기 화물적재부의 후면을 통해서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화물트럭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후면을 차단하는 개폐도어로서 작용하고 적재시에는 상기 바닥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펼쳐지는 지지플레이트(100);
    상기 지지플레이트(100)에 대해서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후방에 구비된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300), 상기 제1지지부재의 선단부에 후단부가 제1회전축(330)에 의해서 힌지결합되되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를 감싸는 아우터회전축과 직결된 제2지지부재(400), 상기 제2지지부재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된 제2회전축에 후단부가 직결되되 선단부가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후단부를 향하는 제3지지부재(500)로 이루어진 다관절부재;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지지부재의 회전력을 제1회전축 및 상기 아우터회전축에 동시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300) 내부에 구비된 제1동력전달수단;
    상기 제3지지부재(500)에 대해서 힌지결합되는 적재부재(600);
    상기 제3지지부재(500)에는 상기 적재부재(600)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적재부재(600)는 적재패널(610)과 그 양측에는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보조패널(620)이 구비되고, 양 보조패널(620) 후면에 마련된 포크안착홈(621)에 삽입되거나 상기 포크안착홈(62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포크(6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기능을 겸비한 화물트럭 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622)가 안착되도록 보조패널(62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포크안착홈(621)에는 포크(622)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포크브라켓(623a)이 삽입 안착되고, 상기 포크브라켓(623a)은 상기 포크안착홈(621)의 양측벽에 의해서 지지되는 이송스크류(623b)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스크류(623b)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포크브라켓(623a)은 상기 이송스크류(623b)를 따라서 좌우 이송되며, 상기 포크(622)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623c)의 회전각에 따라서 상기 포크(622)가 상기 회전축(623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포크안착홈(621)에 대해서 안착되거나 상기 포크안착홈(621)에 대해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기능을 겸비한 화물트럭 적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재(300)의 회전각도의 1/2만큼 상기 제1지지부재(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지지부재(400)를 상대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기능을 겸비한 화물트럭 적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400)는
    선단부가 ㄱ자형으로 돌출 형성된 튜브형의 제2케이스(410);
    상기 제2케이스(4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2동력전달축(421);을 구비하되,
    상기 제2동력전달축(421)은
    상기 제1회전축(330)의 회전력을 제2회전축(430)에 전달하도록 베벨기어(e,e')와, 베벨기어와 평기어가 일체로된 중간기어(e',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기능을 겸비한 화물트럭 적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0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310)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튜브형의 제1이중스플라인(321a, 321b)이 구비되며, 상기 제1이중스플라인 내부에는 제1유압실린더(321c)가 구비됨으로 인해서 제1유압실린더(321c)의 작동에 따라서 제1케이스(310) 및 제1이중스플라인(321a, 321b)의 신축이 가능하게 되며,
    동시에 제2지지부재(40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410)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한 튜브형의 제2이중스플라인(421a, 421b)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중스플라인 내부에는 제2유압실린더(421c)가 구비됨으로 인해서 제2유압실린더(421c)의 작동에 따라서 제2케이스(410) 및 제2이중스플라인(421a, 421b)의 신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장치.
KR1020200044628A 2020-04-13 2020-04-13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KR102327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28A KR102327689B1 (ko) 2020-04-13 2020-04-13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628A KR102327689B1 (ko) 2020-04-13 2020-04-13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930A true KR20210126930A (ko) 2021-10-21
KR102327689B1 KR102327689B1 (ko) 2021-11-17

Family

ID=7826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628A KR102327689B1 (ko) 2020-04-13 2020-04-13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0476A1 (en) * 2022-02-21 2023-08-23 Nam Ho Yun Multi-lever lifting device for vehicle with improved efficiency
WO2023219216A1 (ko) * 2021-05-12 2023-11-16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한 탑차의 적재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326A (en) * 1987-05-22 1990-08-14 Henry Bedard Load lifting attachment mounted on a truck frame
KR200355124Y1 (ko) 2004-04-01 2004-07-03 현대휴먼텍(주)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KR20120040928A (ko) * 2010-10-20 2012-04-30 모터웰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8326A (en) * 1987-05-22 1990-08-14 Henry Bedard Load lifting attachment mounted on a truck frame
KR200355124Y1 (ko) 2004-04-01 2004-07-03 현대휴먼텍(주)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KR20120040928A (ko) * 2010-10-20 2012-04-30 모터웰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216A1 (ko) * 2021-05-12 2023-11-16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한 탑차의 적재함
EP4230476A1 (en) * 2022-02-21 2023-08-23 Nam Ho Yun Multi-lever lifting device for vehicle with improved effici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689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689B1 (ko) 지게차기능을 겸비한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US44484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both roof and side walls of a recreational vehicle
CA3191179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mproved all-terrain telehandler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2286793B1 (ko) 화물차량 화물적재장치
KR20220062953A (ko) 화물차량용 적재장치
CN205034996U (zh) 一种货物装卸设备及拖拉机
KR200355124Y1 (ko) 화물차의 적재함 도어 판넬을 이용한 화물적재용 리프트장치
EP0745544B1 (en) A device for tipping a refuse container into the body of a refuse-collection vehicle
CA3186354C (en) Oscillating track system
KR20190027145A (ko) 고소작업차량의 리프트장치
US3324610A (en) Vehicle cupola structure
KR102541581B1 (ko) 루프 개폐가 이루어지는 화물 운송용 윙바디 적재함
AU2015362073A1 (en) Gate lift
KR20230125682A (ko) 효율성이 개선된 차량용 다관절레버 리프트 장치
KR20210135026A (ko) 차량 루프용 다관절 승하강 캐리어
AU2015202680A1 (en) Transport line for bottom-dump hopper car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reof
JP3301653B2 (ja) 車両のルーフ昇降装置
CN217158631U (zh) 一种方舱天线与天线舱盖的联动装置
CN220032878U (zh) 一种集装箱顶盖对开机构
EP2377806B1 (en) Forklift truck
KR101974838B1 (ko) 트럭 적재함에 설치되는 2단 도어 장치
JP2538816Y2 (ja) 車庫用扉の電動モータの取付け構造
KR20230041339A (ko) 화물운송용 적재함의 리어도어 개폐구조
JP3304169B2 (ja) 車両のルーフ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