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064B1 -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064B1
KR101202064B1 KR1020110112036A KR20110112036A KR101202064B1 KR 101202064 B1 KR101202064 B1 KR 101202064B1 KR 1020110112036 A KR1020110112036 A KR 1020110112036A KR 20110112036 A KR20110112036 A KR 20110112036A KR 101202064 B1 KR101202064 B1 KR 101202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trailer
cylinder
pi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법
Original Assignee
박기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법 filed Critical 박기법
Priority to KR1020110112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8Tipping body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이 넓은 광폭후판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길이가 긴 화물의 운반 시 트레일러 전장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한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견인차량(C)에 연결되는 프론트프레임(10), 프론트프레임(10)에 연결되는 리어프레임(20)이 구비된 트레일러(T)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10)에 구비되어 리어프레임(20)에 전후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바(11); 상기 프론트,리어프레임(10)(20)의 일측에 각각 부착되어 힌지연결부(31)를 구비하는 다수의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베이스(30); 상기 프론트,리어프레임(10)(20)의 타측에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실린더브래킷(40); 상기 힌지베이스(30)에 핀(P1)으로 회전가능하게 핀(P1)으로 조립되어 힌지연결부(51)를 구비하는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이동대(50); 상기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의 힌지연결부(31)(51)에 핀(P2)(P3)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2힌지부(61)(62)를 구비하는 프론트,미들,리어 경사적재대(60); 상기 실린더브래킷(40)과 경사적재대(60)에 힌지(H1)(H2)로 연결되는 경사실린더(70); 상기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에 힌지(H3)(H4)로 연결되는 이동실린더(80); 상기 경사적재대(60)에 일측으로 출몰가능하게 내장되어 핀(P4)으로 고정되는 후판받침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trailer for freight}
본 발명은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폭이 넓은 광폭후판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길이가 긴 화물의 운반 시 트레일러 전장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한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견인차량의 후방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의 전방에는 견인차량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후방으로는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적재부의 양측 하부에는 도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타이어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는 구조적으로 적재부의 적재대가 평탄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폭이 좁은 후판은 용이하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으나, 트레일러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후판의 경우에는 적재가 매우 어렵고 까다로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광폭후판의 적재 시 안정감이 떨어져 안전운행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는 구조적으로 트레일러의 전장보다 길이가 긴 화물의 경우에는 적재가 까다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길이가 긴 화물의 적재 시 안정감이 떨어져 안전운행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트레일러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후판의 운반 시 광폭후판을 경사지게 세워서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폭이 넓은 광폭후판을 한층 더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일러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후판의 운반 시 광폭후판을 경사지게 세워서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폭이 넓은 광폭후판을 한층 더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견인차량에 연결되는 프론트프레임,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연결되는 리어프레임이 구비된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의 후방에 리어프레임내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바를 설치하고, 상기 프론트,리어프레임의 일측에 힌지연결부가 구비된 다수의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베이스를 각각 부착하며, 상기 프론트,리어프레임의 타측에 다수의 실린더브래킷을 각각 부착하고, 상기 힌지베이스에 힌지연결부가 구비된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이동대를 회전가능하게 핀으로 조립하며, 상기 힌지베이스와 힌지이동대의 힌지연결부에 프론트,미들,리어 경사적재대의 제1,2힌지부를 각각 핀으로 연결하며, 상기 실린더브래킷과 경사적재대에 경사실린더를 힌지로 연결하고, 상기 힌지베이스와 힌지이동대에 이동실린더를 힌지로 연결하며, 상기 경사적재대에 후판받침대를 일측으로 출몰가능하게 내장하여 핀으로 고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필요에 따라 길이가 긴 화물의 운반 시에는 슬라이드바를 인출시켜 트레일러 전장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일러의 전장보다 길이가 긴 화물을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트레일러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후판의 운반 시 경사적재대와 후판받침대를 경사지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광폭후판을 경사지게 세워서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일러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후판을 한층 더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1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a,2b,2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리어프레임을 보인 사시도와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실린더의 작용을 보인 예시도.
도 4b는 도 4a의 A - A선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작용을 보인 예시도.
도 5b는 도 5a의 B - B선 단면도.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적재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적재대를 보인 사시도와 평면도.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미들 경사적재대의 연결고정핀과 연결핀공을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베이스,힌지이동대와 경사,이동실린더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상적재대와 인버박스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베이스와 힌지이동대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는 도 1a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견인차량(C)에 연결되는 프론트프레임(10), 프론트프레임(10)에 연결되는 리어프레임(20)이 구비된 트레일러(T)에 있어서, 견인차량(C)에 연결되는 프론트프레임(10), 프론트프레임(10)에 연결되는 리어프레임(20)이 구비된 트레일러(T)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10)에 구비되어 리어프레임(20)에 전후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바(11); 상기 프론트,리어프레임(10)(20)의 일측에 각각 부착되어 힌지연결부(31)를 구비하는 다수의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베이스(30); 상기 프론트,리어프레임(10)(20)의 타측에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실린더브래킷(40); 상기 힌지베이스(30)에 핀(P1)으로 회전가능하게 핀(P1)으로 조립되어 힌지연결부(51)를 구비하는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이동대(50); 상기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의 힌지연결부(31)(51)에 핀(P2)(P3)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2힌지부(61)(62)를 구비하는 프론트,미들,리어 경사적재대(60); 상기 실린더브래킷(40)과 경사적재대(60)에 힌지(H1)(H2)로 연결되는 경사실린더(70); 상기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에 힌지(H3)(H4)로 연결되는 이동실린더(80); 상기 경사적재대(60)에 일측으로 출몰가능하게 내장되어 핀(P4)으로 고정되는 후판받침대(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일러(T)는 각종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견인차량(C)의 후방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트레일러(T)의 전방에는 견인차량(C)에 연결되는 프론트프레임(10)이 구비되고, 프론트프레임(10)의 후방으로는 리어프레임(20)이 구비되며, 리어프레임(20)의 양측 하부에는 도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타이어(K)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일러(T)의 프론트프레임(10)은 주지된 바와 같이 견인차량(C)의 후방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프론트프레임(10)의 후방에는 리어프레임(20)에 전후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바(11)가 일체형으로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트레일러(T)의 프론트프레임(10)은 도 3a,3b에서와 같이 포크형으로 이루어지고, 프론트프레임(10)의 포크부에는 연결대(10a)가 구비되고, 프론트프레임(10)의 후방 하부에는 화물 적재 시 트레일러(T)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는 아웃트리거(U)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바(11)는 프론트프레임(10)의 후방에 일체형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프론트프레임(10)의 슬라이드바(11)는 리어프레임(20)에 전후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상기 트레일러(T)의 전장보다 길이가 짧은 화물의 운반 시에는 도 1a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바(11)를 내부로 몰입시키고, 상기 트레일러(T)의 전장보다 길이가 긴 화물의 운반 시에는 도 1b에서와 같이 전장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바(11)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일러(T)의 전장보다 길이가 긴 화물의 운반 시에는 슬라이드바(11)를 인출시켜 전장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T)의 리어프레임(20)은 프론트프레임(10)의 슬라이드바(11)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리어프레임(20)의 전방 양측에는 경사적재대(60)를 받쳐주는 받침대(20a)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 내지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바(11)의 외측면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11a)가 돌출되고, 상기 리어프레임(20)의 전방에는 돌기(11a) 사이로 끼워지는 로드(21a)를 가지는 로킹실린더(21)가 장착되며, 상기 리어프레임(20)의 전방 내측 상하부에는 볼트(B1)체결을 통해 스토퍼(2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바(11)의 후단부에는 스토퍼(22)에 걸리는 걸림돌기(11b)가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바(11)의 인출 시 로킹실린더(21)의 로드(21a)를 밀면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돌기(11a) 사이 홈으로 로드(21a)가 끼어들어가 그 위치에 고정되므로, 슬라이드바(11)의 인출되는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바(11)는 임의로 출몰하지 못하도록 그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22)는 빠짐 방지 및 스페이스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걸림돌기(11b)는 보강 및 빠짐 방지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바(11)의 인출 시 걸림돌기(11b)가 스토퍼(22)에 걸릴 때 까지 인출되고 더 이상은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드바(11)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베이스(30)는 도 3a,3b와 도 11에서와 같이 프론트,리어프레임(10)(20)의 일측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베이스(30)의 일측 상부에는 힌지연결부(31)가 구비되고, 또한 힌지베이스(30)에는 한쌍의 핀공(30a)이 구비되고, 힌지베이스(30)에는 힌지이동대(50)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조립되어 한쌍의 핀(P1)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한쌍의 핀(P1)은 힌지이동대(50)의 회전위치에 따라 핀공(30a)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고, 상기 한쌍의 핀(P1)은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힌지연결부(31)에는 경사적재대(60)의 제1힌지부(61)가 핀(P2)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브래킷(40)은 도 3a,3b와 도 9a,9b에서와 같이 프론트,리어프레임(10)(20)의 타측에 각각 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실린더브래킷(40)의 중앙부에는 경사실린더(70)의 힌지(H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41)이 구비되고, 실린더브래킷(40)의 외측에는 램프(4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램프(42)는 주행 중 또는 화물 적재 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경광등 또는 비상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이동대(50)는 도 3a,3b와 도 11에서와 같이 힌지베이스(30)에 회전가능하게 한쌍의 핀(P1)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이동대(50)의 일측 상부에는 힌지연결부(51)가 구비되고, 힌지이동대(50)에는 한쌍의 핀공(5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연결부(51)에는 경사적재대(60)의 제2힌지부(62)가 핀(P3)으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연결부(51)에는 핀(P3)이 끼워지는 핀공이 형성되며, 상기 핀(P3)은 분리가능하게 끼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 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에는 회전위치에 따라 한쌍의 핀(P1)을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쌍의 핀공(30a)(50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미들,리어 경사적재대(60)는 프론트,리어프레임(10)(20)의 상측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의 힌지연결부(31)(51)에 핀(P2)(P3)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사적재대(60)에는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의 힌지연결부(31)(51)에 핀(P2)(P3)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2힌지부(61)(6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2힌지부(61)(62)에는 핀(P2)(P3)이 끼워지는 핀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핀(P2)(P3)은 분리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프론트,미들,리어 경사적재대(60)는 도 2b,2c에서와 같이 트레일러(T)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후판(S)을 경사지게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경사적재대(60)는 광폭후판(S)을 경사지게 적재할 뿐만 아니라 빔이나 철근,일반철판 등의 화물을 적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때, 도 2b,2c에서와 같이 광폭후판(S)을 적재할 경우에는 경사적재대(60)를 경사지게 상승시키고, 빔,철근,일반철판 등의 화물을 적재할 경우에는 도 2a에서와 같이 경사적재대(60)를 수평으로 하강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광폭후판(S)을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고, 또한 광폭후판(S)뿐만 아니라 빔이나 철근 등의 각종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a 내지 도 8b에서와 같이, 상기 프론트,미들,리어 경사적재대(60)는 제1,2힌지부(61)(62)를 구비하는 받침빔(60a)과, 상기 받침빔(60a)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빔(60b)과, 상기 연결빔(60b)에 연결되는 보강빔(60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미들 경사적재대(60)의 양측에는 연결고정핀(63)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핀공(64)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경사적재대(60)는 1개의 받침빔(60a)과 2개의 연결빔(60b) 및 2개의 보강빔(60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들 경사적재대(60)는 1개의 받침빔(60a)과 2개의 연결빔(60b) 및 1개의 보강빔(60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어 경사적재대(60)는 3개의 받침빔(60a)과 2개의 연결빔(60b)과 2개의 보강빔(60c)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a,1b에서와 같이, 상기 프론트,미들 경사적재대(60)는 프론트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리어 경사적재대(60)는 리어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미들 경사적재대(60)의 양측에는 연결고정핀(63)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핀공(64)이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적재되는 화물이 크기에 따라 상기 연결고정핀(63)과 연결핀공(64)을 이용하여 프론트 경사적재대(60)와 미들 경사적재대(60)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사실린더(70)는 광폭후판(S)의 적재 시 경사적재대(60)의 타측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경사실린더(70)는 그 양단이 실린더브래킷(40)과 경사적재대(6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H1)(H2)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경사실린더(70)는 경사적재대(60)에 빔이나 철근 등의 화물을 적재할 경우에는 도 2a에서와 같이 작동하여 경사적재대(60)를 수평으로 하강시키고, 또한 상기 경사실린더(70)는 경사적재대(60)에 광폭후판(S)을 적재할 경우에는 도 2b,2c에서와 같이 작동하여 경사적재대(60)를 경사지게 상승시킨다.
상기 이동실린더(80)는 그 양단이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에 힌지(H3)(H4)로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동실린더(80)는 힌지이동대(5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후판받침대(90)는 경사적재대(60)에 일측으로 출몰가능하게 내장되어 핀(P4)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후판받침대(90)는 광폭후판(S)을 한층 더 안전하게 적재시킬 수 있도록 경사적재대(60)의 폭을 연장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2b,2c에서와 같이 광폭후판(S)을 적재할 경우에는 경사적재대(60)를 경사지게 상승시킨 상태에서 후판받침대(90)를 외부로 인출시키고, 도 2a에서와 같이 빔이나 철근 등의 화물을 적재할 경우에는 후판받침대(90)를 내부로 몰입시킨 상태에서 경사적재대(60)를 수평으로 하강시킨다. 한편, 상기 경사적재대(60)와 후판받침대(90)에는 핀(P4)이 끼워지는 핀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핀(P4)은 분리가능하게 끼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b,2c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적재대(60)에 출몰가능하게 내장되어 핀(P4)으로 고정되는 후판받침대(90)에는 인출 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핀(P4)이 끼워지는 다수의 핀공(91)이 형성되고, 상기 후판받침대(90)의 단부에는 광폭후판(S)을 경사지게 받쳐주는 받침판(9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b에서와 같이 프론트프레임(10)에 설치된 슬라이드바(11)를 선택하여 외부로 인출시키면, 슬라이드바(11)의 인출된 길이만큼 트레일러(T)의 전장 길이가 신장되므로, 이와 같이 슬라이드바(11)를 외부로 인출시키면 트레일러(T)의 전장보다 길이가 긴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도 2a에서와 같이 경사실린더(70)를 작동시켜 경사적재대(60)를 수평으로 하강시키고, 이 상태에서 후판받침대(90)를 내부로 몰입하여 핀(P4)으로 각각 고정시키고, 또한 이동실린더(80)를 작동시켜 힌지이동대(50)를 수평으로 하여 힌지베이스(30)의 핀공(30b)과 힌지이동대(50)의 핀공(50a)에 한쌍 2개의 핀(P1)을 끼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힌지연결부(31)(51)와 제1,2힌지부(61)(62)에 핀(P2)(P3)을 각각 끼워 고정시키면, 경사적재대(60)가 프론트,리어프레임(10)(20)의 상부에 수평으로 하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이와 같이 경사적재대(60)를 수평으로 하강시키면 경사적재대(60)에 빔이나 철근 등의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도 2b에서와 같이 제1힌지부(61)와 힌지연결부(31)에 끼워진 핀(P2)을 빼내서 분리시킨 후, 경사실린더(70)를 작동시켜 경사적재대(60)를 경사지게 상승시키면 경사적재대(60)는 경사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또한 이 상태에서 도 2b에서와 같이 후판받침대(90)를 외부로 인출시켜 핀(P4)으로 고정하면 경사적재대(60)와 후판받침대(90)가 경사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이와 같이 경사적재대(60)를 경사지게 상승시키고 또한 후판받침대(90)를 외부로 인출시키면 경사적재대(60)와 후판받침대(90)에 광폭후판(S)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때, 경사적재대(60)는 제2힌지부(62)와 힌지연결부(51)에 연결된 핀(P3)을 축으로 경사지게 회전한다.
한편, 본 발명을 도 2c에서와 같이 작동시키면 상기 도 2b에 도시된 것보다 더 폭이 큰 광폭후판(S)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즉, 제2힌지부(62)와 힌지연결부(51)에 끼워진 핀(P3)을 빼내서 분리시키고 또한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의 한쌍 2개의 핀공(30a)에 각각 끼워진 2개의 핀(P1) 중 일측 하나의 핀(P1)을 빼내서 분리시킨 후, 이동실린더(80)를 작동시켜 힌지이동대(50)를 경사지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 2c에서와 같이 경사실린더(70)를 작동시켜 경사적재대(60)를 경사지게 상승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 2c에서와 같이 후판받침대(90)를 외부로 인출시켜 핀(P4)으로 고정하면 경사적재대(60)와 후판받침대(90)가 경사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이와 같이 경사적재대(60)를 경사지게 상승시키고 또한 후판받침대(90)를 외부로 인출시키면 경사적재대(60)와 후판받침대(90)에 도 2b에 도시된 것보다 더 폭이 큰 광폭후판(S)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때, 경사적재대(60)는 제1힌지부(61)와 힌지연결부(31)에 연결된 핀(P2)을 축으로 경사지게 회전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b에서와 같이 슬라이드바(11)를 외부로 인출시키면 슬라이드바(11)의 인출된 길이만큼 트레일러(T)의 전장 길이가 신장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길이가 긴 화물의 운반 시에는 트레일러(T)의 전장 길이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트레일러(T)의 전장보다 길이가 긴 화물을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b,2c에서와 같이 경사적재대(60)와 후판받침대(9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트레일러(T)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후판(S)을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a에서와 같이 후판받침대(90)를 내부로 몰입 한 상태에서 경사적재대(60)를 수평으로 하강시키면, 광폭후판(S)뿐만 아니라 빔이나 철근 등의 화물을 경사적재대(60)에 용이하게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 : 견인차량 T : 트레일러
10 : 프론트프레임 11 : 슬라이드바
20 : 리어프레임 30 : 힌지베이스
31 : 힌지연결부 40 : 실린더브래킷
50 : 힌지이동대 51 : 힌지연결부
60 : 경사적재대 61 : 제1힌지부
62 : 제2힌지부 70 : 경사실린더
80 : 이동실린더 90 : 후판받침대

Claims (7)

  1. 견인차량(C)에 연결되는 프론트프레임(10), 프론트프레임(10)에 연결되는 리어프레임(20)이 구비된 트레일러(T)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10)에 구비되어 리어프레임(20)에 전후로 출몰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바(11); 상기 프론트,리어프레임(10)(20)의 일측에 각각 부착되어 힌지연결부(31)를 구비하는 다수의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베이스(30); 상기 프론트,리어프레임(10)(20)의 타측에 각각 부착되는 다수의 실린더브래킷(40); 상기 힌지베이스(30)에 핀(P1)으로 회전가능하게 핀(P1)으로 조립되어 힌지연결부(51)를 구비하는 힌지포인트 이동용 힌지이동대(50); 상기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의 힌지연결부(31)(51)에 핀(P2)(P3)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1,2힌지부(61)(62)를 구비하는 프론트,미들,리어 경사적재대(60); 상기 실린더브래킷(40)과 경사적재대(60)에 힌지(H1)(H2)로 연결되는 경사실린더(70); 상기 힌지베이스(30)와 힌지이동대(50)에 힌지(H3)(H4)로 연결되는 이동실린더(80); 상기 경사적재대(60)에 일측으로 출몰가능하게 내장되어 핀(P4)으로 고정되는 후판받침대(90)를 포함하는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은 포크형으로 이루어져 포크부에는 연결대(10a)가 구비되고, 상기 리어프레임(20)의 전방 양측에는 경사적재대(60)를 받쳐주는 받침대(20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11)의 외측면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11a)가 돌출되고, 상기 리어프레임(20)의 전방에는 돌기(11a) 사이로 끼워지는 로드(21a)를 가지는 로킹실린더(21)가 장착되며, 상기 리어프레임(20)의 전방 내측 상하부에는 볼트(B1)체결을 통해 스토퍼(2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바(11)의 후단부에는 스토퍼(22)에 걸리는 걸림돌기(11b)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미들,리어 경사적재대(60)는 제1,2힌지부(61)(62)를 구비하는 받침빔(60a)과, 상기 받침빔(60a)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빔(60b)과, 상기 연결빔(60b)에 연결되는 보강빔(60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미들 경사적재대(60)의 양측에는 연결고정핀(63)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핀공(64)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적재대(60)에 출몰가능하게 내장되어 핀(P4)으로 고정되는 후판받침대(90)에는 다수의 핀공(91)이 형성되고, 상기 후판받침대(90)의 단부에는 광폭후판(S)을 경사지게 받쳐주는 받침판(9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KR1020110112036A 2011-10-31 2011-10-31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KR101202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036A KR101202064B1 (ko) 2011-10-31 2011-10-31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036A KR101202064B1 (ko) 2011-10-31 2011-10-31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064B1 true KR101202064B1 (ko) 2012-11-15

Family

ID=4756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036A KR101202064B1 (ko) 2011-10-31 2011-10-31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0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612B1 (ko) 2016-02-29 2017-01-19 세진트레일러 주식회사 광폭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틸팅장치
KR20200070722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의 적재함 틸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558B1 (ko) * 2011-06-30 2011-11-04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KR101079559B1 (ko) * 2011-06-30 2011-11-04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558B1 (ko) * 2011-06-30 2011-11-04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KR101079559B1 (ko) * 2011-06-30 2011-11-04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612B1 (ko) 2016-02-29 2017-01-19 세진트레일러 주식회사 광폭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틸팅장치
KR20200070722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의 적재함 틸팅 장치
KR102586454B1 (ko) * 2018-12-10 2023-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차의 적재함 틸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7880B2 (en) Motorcycle lift
KR950003586B1 (ko) 화물 운반용 트럭
JP2009120202A (ja) 貨物用上段ラックおよび貨物用下段ラック
KR101202064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US20100229755A1 (en) Container support for freight wagon
JP2008221963A (ja) 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卸し装置
KR101196553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KR200443831Y1 (ko) 판형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 트레일러
JP5312661B1 (ja) ダンプトラックへの箱型コンテナの着脱機構
KR101079559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AU2003262467C1 (en) Freight restraints
JP7344827B2 (ja) 棚板支持構造
JP4591822B2 (ja) 貨物自動車の荷物庫用運搬装置、並びに荷物庫用運搬装置を備えた貨物自動車
KR20120000741U (ko)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JP3120946U (ja) トラック荷台のカバー装置
KR101411388B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JP4919930B2 (ja) 傾斜荷台付き車両
KR101075829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KR101349458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CN218892609U (zh) 一种物流运输车架
US20130221729A1 (en) Tray assembly
KR10130391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장치
ES2954840T3 (es) Dispositivo de elevación de carga
KR10080718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
KR101092284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