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261B1 - 재활용품 수거차량 - Google Patents

재활용품 수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261B1
KR101981261B1 KR1020180124345A KR20180124345A KR101981261B1 KR 101981261 B1 KR101981261 B1 KR 101981261B1 KR 1020180124345 A KR1020180124345 A KR 1020180124345A KR 20180124345 A KR20180124345 A KR 20180124345A KR 101981261 B1 KR101981261 B1 KR 10198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loading box
foo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복
Original Assignee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2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unloading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3/26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unloading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by tipping the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0Glass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품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구비되는 기본프레임을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기본프레임의 공간에 적재함프레임이 삽입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적재함의 높이를 낮추고 차량의 이동시 적재함의 흔들림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덤프기능을 수행하는 적재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활용품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구성되어 양 측부에 구비되는 기본프레임(110)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20)의 저면 양 측부에 적재함프레임(212)이 돌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적재함프레임(212)이 상기 기본프레임(110)의 상부 공간에 삽입 안착되어, 적재함의 높이를 낮추고 차량의 운행시 진동과 충격에 의한 적재함의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품 수거차량{RECYCLABLE GARBAGE COLLECTING TRUCK}
본 발명은 재활용품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을 안착시키기 위해 차량에 구비되는 고정프레임을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공간부에 적재함프레임이 삽입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적재함의 높이를 낮추어 중량물을 용이하게 상차할 수 있고, 차량의 이동시 적재함의 요동을 방지하며,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발판을 접을 때 후미등이나 방향지시등을 가리지 않도록 한 재활용품 수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는, 일반쓰레기, 음식물쓰레기 및 재활용쓰레기로 분리되어 배출되고 있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재활용쓰레기는, 냉장고, 텔레비젼,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 책상, 장롱 등의 가구제품, PET 병과 같은 플라스틱류, 캔, 유리병, 종이류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 중에서 무게가 가벼운 재활용품은 일반쓰레기차가 수거하기도 하지만, 중량이 무겁거나 부피가 큰 재활용품은 통상의 쓰레기 수거 차량으로는 수거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중량이 무거운 재활용쓰레기는 별도의 재활용품 수거차량을 사용하여 수거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재활용품 수거차량은, 적재함의 덤프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여 재활용품의 하역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덤프기능 및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재활용품 수거 차량을 출원하여 특허 제10-1460780호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도 1은 상기한 덤프식 재활용품 수거차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재함(100)이, 양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프레임(101)과, 상기 측면프레임(10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덮개(102)와, 상기 측면프레임(101)의 후방에 구비되는 미닫이 방식의 후면도어(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100)을 일정각도 들어올리는 유압실린더(104)와, 상기 적재함(100)의 후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재활용품의 하역작업을 돕는 리프트장치(10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재활용품 수거차량은, 덤프(Dump) 장치와 리프트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재활용품의 하역작업이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재활용품 수거차량은, 차체에 얹혀지는 적재함의 안착구조에 의해 적재함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적재함에 재활용품을 상차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도 2c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재활용품 수거차량은, 적재함(100)의 하단에 적재함프레임(140)이 구비되고, 상기 적재함(100)이 안착되는 차체에는 차체프레임(30)이 구비된다.
상기 차체프레임(30)은, 기본프레임(32)과 상기 기본프레임(30)의 상부에 구비되는 목재(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재(3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프레임(140)이 기본프레임(32)에 직접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고, 적재함프레임(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재활용품 수거차량의 적재함은, 기본프레임(32)과, 목재(34)와 적재함프레임(140)의 높이만큼 높아지게 되므로 중량이 무거운 재활용품의 상차작업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적재함프레임(140)이 단순히 목재(34)의 상부에 올려지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운행시 진동과 충격에 의해 적재함이 흔들리게 되어 유압실린더(104)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의 후미에 작업발판을 구비한 수거차량도 있으나, 종래의 수거차량은 발판을 수직으로 접는 구조이어서, 발판을 접으면 차량에 후방에 구비된 후미등 및 방향지시등을 가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시에도 작업발판을 돌출시킨채 운행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460780호(2014.11.24.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990190호(2010.10.29.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100670호(2012.01.03.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차체에 구비되는 기본프레임을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기본프레임의 오픈된 공간에 적재함프레임이 삽입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품 수거차량의 적재함 높이를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활용품 수거차량의 적재함 높이를 낮춤으로써, 중량이 무거운 재활용품의 상차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작업발판을 접더라도 차량의 후미등이나 방향지시등을 가리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작업발판을 적은 힘으로 손쉽게 펼치고 접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덤프기능을 수행하는 적재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활용품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구성되어 양 측부에 구비되는 기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의 저면 양 측부에 적재함프레임이 돌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적재함프레임이 상기 기본프레임의 상부 공간에 삽입 안착되어, 적재함의 높이를 낮추고 차량의 운행시 진동과 충격에 의한 적재함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방에 발판부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발판부는, 이중 링크 구조로 구성되어 발판부를 접었을 때 차량의 후미등 및 방향지시등을 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기본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양쪽에 구비되는 한 쌍의 중간발판과; 상기 중간발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연장발판과; 상기 고정대와 중간발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발판이 일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링크와; 상기 중간발판과 연장발판 사이에 구비되어, 힌지작용에 의해 상기 중간발판과 연장발판이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링크; 및 상기 고정대와 연장발판 사이에 구비되어, 일정각도로 회동하면서 발판부가 접혀질 때 상기 중간발판에 연장발판이 서로 포개지도록 하는 회동지지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와 연장발판 사이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장발판과 중간발판이 일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스프링(12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적재함의 후방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후방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도어는 수직으로 양분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단도어와 하단도어로 분리되어 각각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에 구비되는 기본프레임을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기본프레임의 공간에 적재함프레임이 삽입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재활용품 수거차량의 적재함 높이를 상당히 낮출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중량이 무거운 재활용품의 상차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운행시 진동과 충격에 의해 적재함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적재함과 연결된 유압실린더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발판을 접더라도 후미등이나 방향지시등을 가리지 않도록 하여, 다른 차량의 안전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발판을 이중 링크 구조로 구성하여, 적은 힘으로 손쉽게 펼치고 접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적재함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도어가 상단 및 하단으로 분리 개폐되도록 하여, 재활용품 상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재활용품 수거차량의 측면도 및 차체 프레임 사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차량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2c는 종래의 적재함 안착구조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안착구조의 높이를 비교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수거차량의 측면도로서, 3a는 적재함이 고정프레임에 안착된 상태, 3b는 적재함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의 사시도로서, 4a는 발판부가 펼쳐진 상태, 4b는 발판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차량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적재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차체(1) 상부에 조립되어 적재함(20)이 안정적으로 설치 및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상부에 고정되는 2개의 기본프레임(110)과, 차체(1)의 후방에 구비되는 발판부(120) 및 상기 기본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적재함(20)을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130)를 포함한다.
상기 기본프레임(110)은,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구성되고, 기본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브라켓(112)에 의해 차체(1)에 고정된다.
상기 기본프레임(110)은, 차체(1)의 상단에 고정되어 적재함(20)이 안정적으로 덤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본프레임(110)의 후방에는 상기 적재함(20)이 일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1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본프레임(110)의 후방에는, 재활용품의 상차작업 및 작업자의 근거리 이동을 위한 발판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발판부(12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22)와, 중간발판(124)과, 연장발판(126)과, 제1연결링크(123) 및 제2연결링크(125)와, 회동지지링크(128), 및 스프링(1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122)는, 기본프레임(110)의 끝단에 구비되어, 지면에서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발판부(120)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중간발판(124)은, 상기 고정대(122)의 하부에 구비되어 발판기능을 수행하도록 일정 폭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122)와 중간발판(124) 사이에는 이들을 힌지결합하는 제1연결링크(12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링크(123)는, 일단이 상기 고정대(122)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중간발판(124)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링크(123)를 중심으로 상기 중간발판(124)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연장발판(126)은, 2개의 중간발판(124)을 연결하면서 발판의 폭을 연장시키고, 상기 중간발판(124)과 연장발판(126) 사이에는 이들을 힌지 결합하는 제2연결링크(12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연결링크(125)는, 상기 중간발판(124)과 연장발판(126) 사이를 힌지결합하여, 상기 중간발판(124)에 연장발판(126)이 일정 공간을 갖고 겹쳐지도록 한다.
상기 회동지지링크(128)는, 고정대(122)와 연장발판(126) 사이에 구비되어 일정각도로 회동하면서 연장발판(126)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129)은, 상기 고정대(122)와 연장발판(128)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발판(124) 및 연장발판(126)의 접힘 및 펼침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5a 내지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발판(126)을 어느 정도 들어올리면, 이중 링크구조 및 스프링의 힘에 의해 발판이 자동적으로 접혀진다.
또한 접혀진 연장발판(126)을 일정 각도 이상 펼치게 되면, 이중 링크구조 및 발판의 자중에 의해 발판부(120)가 자동적으로 하강한다.
즉 본 발명의 이중 링크구조에 의하면, 적은 힘으로도 발판부(120)를 접거나 펼칠 수가 있다.
유압실린더(130)는, 상기 기본프레임(110)과 적재함(20)의 하부를 연결하여, 상기 적재함(20)을 일정각도로 회동킨다. 이에 따라 수거된 재활용품을 용이하게 하역할 수 있다.
적재함(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측면프레임(210)과, 상기 측면프레임(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덮개(220), 및 상기 측면프레임(2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면도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210)은, 상방 및 후방이 개방되고, 내부에 재활용품의 수용 및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210)의 저면에는 적재함(20)을 지지하기 위한 적재함프레임(212)이 구비된다.
상기 적재함프레임(212)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의 기본프레임(110)의 상부에 삽입 안착된다.
이에 따라 적재함의 높이를 낮추어, 중량이 무거운 재활용품의 상차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돌출된 적재함프레임(212)이 기본프레임(110)의 상부 공간에 삽입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주행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적재함이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적재함에 연결된 유압실린더(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종래의 재활용품 수거차량의 적재함 안착구조는, 도 2c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프레임(32)의 상부에 목재(34)가 구비되고, 상기 목재(34)의 상부에 적재함프레임(140)이 단순히 안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적재함의 높이가 높아져 작업자가 중량이 무거운 재활용품을 상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2c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의 기본프레임(110)에 적재함프레임(212)이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적재함의 높이가 상당히 낮아져 중량물을 보다 쉽게 상차할 수 있다.
또한 적재함프레임(212)이 기본프레임(110)에 안정적으로 삽입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기본프레임의 상부에 별도의 목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도 1 참조), 차량의 운행시 적재함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적재함의 상부덮개(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여닫이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재함의 후방도어(230)는, 상,하로 분리되는 상단도어(232) 및 하단도어(234)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재활용품 수거차량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적재함의 상부덮개(220) 및 후방도어(230)를 모두 개방하고, 수거차량의 후방에 구비된 발판부를 펼친 후 수거작업을 시작한다.
이때, 도 5a 내지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22)를 기준으로 중간발판(124) 및 연장발판(126)이 2단으로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한 연장발판(126)을 뒤쪽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회동지지링크(128)가 회동하면서 상기 연장발판(126)이 펼쳐지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연장발판(126)과 중간발판(124) 사이에 구비된 제2연결링크(125)에 의해 중간발판(124)도 함께 펼쳐지게 된다.
이때, 이중 링크구조상 일정한 회동각 이상이 되면, 발판부(120)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자중에 의해 쉽게 아래로 펼쳐진다.
적재함에 재활용품이 어느 정도 적재되면 하단도어(234)를 닫은 후 수거작업을 계속하고, 적재함의 하부에 재활용품이 쌓이면 상단도어(232)도 닫은 후 수거작업을 한다.
재활용품의 수거작업이 완료되면 상부덮개(220)를 닫고, 차량의 운행을 위해 펼쳐진 발판부(120)를 접는다.
이때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발판(126)을 들어올리면 고정대(122)와 연장발판(126) 사이에 구비된 회동지지링크(128)가 회동하면서 들어 올려지고, 이와 함께 연장발판(126)의 일측에 제2연결링크(125)에 의해 연결된 중간발판(124)도 같이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발판(124)이 고정대(122)의 일측에 구비된 제1연결링크(123)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중간발판(124)과 제2연결링크(125)와 힌지결합된 연장발판(126)이 제2연결링크(125)를 중심으로 상기 중간발판(124)의 상측에 포개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대(122)와 연장발판(126)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129)의 탄성력에 의해 중간발판(124)의 상측에 연장발판(126)이 포개지게 된다.
즉 이중 링크 구조상 일정한 회동각 이상이 되면, 스프링의 힘에 의해 중간발판(124) 및 연장발판(126)이 자동적으로 접혀지게 된다.
수거차량의 후방에 작업발판을 구비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거차량은 후방에 구비된 작업발판을 단순히 위로 젖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발판을 접게 되면 차량의 후미등이나 방향지시등이 가려지게 되므로, 뒤따르는 차량의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게 된다.
한편 돌출된 발판을 접지 않고 차량을 운행하게 되면, 안전사고 발생의 가능성이 아주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링크 구조에 의해 발판을 접더라도 그 높이가 크게 증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발판을 접었을 때 차량의 후미등이나 방향지시등을 가리지 않도록 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재활용품 수거차량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고정프레임 110: 기본프레임
112: 고정브라켓 114: 힌지(Hinge)
120: 발판부 122: 고정대
123: 제1연결링크 124: 중간발판
125: 제2연결링크 126: 연장발판
128: 회동지지링크 129: 스프링
130: 유압실린더 20: 적재함
210: 측면프레임 220: 상부덮개
230: 후방도어 232: 상단도어
234: 하단도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차체(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덤프기능을 수행하는 적재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활용품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상부가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구성되어 양 측부에 구비되는 기본프레임(110)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20)의 저면 양 측부에 적재함프레임(212)이 돌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적재함프레임(212)이 상기 기본프레임(110)의 상부 공간에 삽입 안착되어, 적재함의 높이를 낮추고 차량의 운행시 진동과 충격에 의한 적재함의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후방에 발판부(1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발판부(120)는, 이중 링크 구조로 구성되어 발판부(120)를 접었을 때 차량의 후미등 및 방향지시등을 가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발판부(120)는,
    기본프레임(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고정대(122)와;
    상기 고정대(122)의 양쪽에 구비되는 한 쌍의 중간발판(124)과;
    상기 중간발판(124)의 사이에 구비되는 연장발판(126)과;
    상기 고정대(122)와 중간발판(12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발판(124)이 일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링크(123)와;
    상기 중간발판(124)과 연장발판(126) 사이에 구비되어, 힌지작용에 의해 상기 중간발판(124)과 연장발판(126)이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하는 제2연결링크(125); 및
    상기 고정대(122)와 연장발판(126) 사이에 구비되어, 일정각도로 회동하면서 발판부가 접혀질 때 상기 중간발판(124)에 연장발판(126)이 서로 포개지도록 하는 회동지지링크(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차량.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22)와 연장발판(126) 사이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장발판(126)과 중간발판(124)이 일정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스프링(12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차량.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0)은 적재함(20)의 후방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후방도어(230)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도어(230)는, 수직으로 양분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구성되며, 상단도어(232)와 하단도어(234)로 분리되어 각각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차량.
KR1020180124345A 2018-10-18 2018-10-18 재활용품 수거차량 KR10198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345A KR101981261B1 (ko) 2018-10-18 2018-10-18 재활용품 수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345A KR101981261B1 (ko) 2018-10-18 2018-10-18 재활용품 수거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261B1 true KR101981261B1 (ko) 2019-05-24

Family

ID=6668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345A KR101981261B1 (ko) 2018-10-18 2018-10-18 재활용품 수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2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04B1 (ko) * 2019-05-29 2019-10-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240431B1 (ko) 2020-02-07 2021-04-15 차동민 적재함 도어의 개폐가 편리한 재활용품 수거차량
JP7402056B2 (ja) 2020-01-09 2023-12-20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タンクローリ
KR20240057923A (ko) 2022-10-25 2024-05-03 주식회사 에이엠 특장 압축력 가변 재활용품 수거 차량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824Y1 (ko) * 1987-11-30 1990-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전원겸용 회로
JPH05262177A (ja) * 1992-03-19 1993-10-12 Suzuki Motor Corp ダンプ車における荷箱のはね上り防止装置
JPH06316236A (ja) * 1993-03-06 1994-11-15 Hwa Seuk Song 貨物運搬用トラック
KR20020060416A (ko) * 2001-01-11 2002-07-18 라병렬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KR200333443Y1 (ko) * 2003-08-13 2003-11-15 김차관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KR100448435B1 (ko) * 2004-04-01 2004-09-18 현대휴먼텍(주) 운반구가 탈착되는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
KR100990190B1 (ko) 2008-08-07 2010-10-29 대경특장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용 화물차
JP2011255710A (ja) * 2010-06-07 2011-12-22 Suzuki Auto:Kk トラックおよびトラック用の荷台スライド傾斜装置
KR101100670B1 (ko) 2009-04-29 2012-01-03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쓰레기 수거 차량용 계량장치
JP2013060165A (ja) * 2011-09-15 2013-04-04 Nippon Lift Kk 床下格納式昇降装置
KR20140016551A (ko) * 2012-07-30 2014-02-10 (주)범창종합기술 화차 겸용 암롤박스
KR20140016526A (ko) * 2012-07-30 2014-02-10 (주)범창종합기술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WO2014050317A1 (ja) * 2012-09-28 2014-04-03 日立建機株式会社 ダンプトラックおよびその荷重伝達構造体
KR101460780B1 (ko) 2014-07-23 2014-11-24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 차량
KR101495261B1 (ko) * 2013-10-24 2015-02-25 오한복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KR20150129434A (ko) * 2014-05-12 2015-11-20 김정호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1871260B1 (ko) * 2018-01-31 2018-06-27 장종기 다목적 쓰레기 수거차량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824Y1 (ko) * 1987-11-30 1990-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전원겸용 회로
JPH05262177A (ja) * 1992-03-19 1993-10-12 Suzuki Motor Corp ダンプ車における荷箱のはね上り防止装置
JPH06316236A (ja) * 1993-03-06 1994-11-15 Hwa Seuk Song 貨物運搬用トラック
KR20020060416A (ko) * 2001-01-11 2002-07-18 라병렬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KR200333443Y1 (ko) * 2003-08-13 2003-11-15 김차관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KR100448435B1 (ko) * 2004-04-01 2004-09-18 현대휴먼텍(주) 운반구가 탈착되는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
KR100990190B1 (ko) 2008-08-07 2010-10-29 대경특장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용 화물차
KR101100670B1 (ko) 2009-04-29 2012-01-03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쓰레기 수거 차량용 계량장치
JP2011255710A (ja) * 2010-06-07 2011-12-22 Suzuki Auto:Kk トラックおよびトラック用の荷台スライド傾斜装置
JP2013060165A (ja) * 2011-09-15 2013-04-04 Nippon Lift Kk 床下格納式昇降装置
KR20140016551A (ko) * 2012-07-30 2014-02-10 (주)범창종합기술 화차 겸용 암롤박스
KR20140016526A (ko) * 2012-07-30 2014-02-10 (주)범창종합기술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WO2014050317A1 (ja) * 2012-09-28 2014-04-03 日立建機株式会社 ダンプトラックおよびその荷重伝達構造体
KR101495261B1 (ko) * 2013-10-24 2015-02-25 오한복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KR20150129434A (ko) * 2014-05-12 2015-11-20 김정호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1460780B1 (ko) 2014-07-23 2014-11-24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 차량
KR101871260B1 (ko) * 2018-01-31 2018-06-27 장종기 다목적 쓰레기 수거차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04B1 (ko) * 2019-05-29 2019-10-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JP7402056B2 (ja) 2020-01-09 2023-12-20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タンクローリ
KR102240431B1 (ko) 2020-02-07 2021-04-15 차동민 적재함 도어의 개폐가 편리한 재활용품 수거차량
KR20240057923A (ko) 2022-10-25 2024-05-03 주식회사 에이엠 특장 압축력 가변 재활용품 수거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261B1 (ko) 재활용품 수거차량
US6059695A (en) Folding device for treadmill
US4941797A (en) Power-operated lift and presenting mechanism
US5193882A (en) Mechanism for raising and tilting a container for discharge purposes
US5011036A (en) Front loading, foot operated refuse bin
US6705825B2 (en) Lift gate device
KR100990190B1 (ko) 재활용품 수거용 화물차
KR101460780B1 (ko) 재활용품 수거 차량
US5558485A (en) Lift and dump apparatus
US6471237B1 (en) Wheeled container cart
US4978271A (en) Recycleable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20060072991A1 (en) Refuse receptacle lifter
US6929441B2 (en) Refuse container lifter
KR101569874B1 (ko)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
US3889827A (en) Truck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AU2012229366A1 (en) Linearly extendable collection mechanism for refuse hauling vehicles
GB2254595A (en) Box emptying machine
KR100998289B1 (ko) 친환경 대형폐기물 수거차량
US6193100B1 (en) Tilting container system with dampening
KR102020057B1 (ko) 화물 차량용 핸드 카트 수납장치
JP3247312B2 (ja) 分別ゴミ収集車におけるゴミ投入装置
KR102588908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차량
CN216184707U (zh) 一种后顶起组件加自卸车
US9010515B2 (en) Manual laundry loading apparatus
KR200247877Y1 (ko) 덤프 트레일러용 적재함의 하부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