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443Y1 -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443Y1
KR200333443Y1 KR20-2003-0026135U KR20030026135U KR200333443Y1 KR 200333443 Y1 KR200333443 Y1 KR 200333443Y1 KR 20030026135 U KR20030026135 U KR 20030026135U KR 200333443 Y1 KR200333443 Y1 KR 200333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reight vehicle
loading
fram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차관
Original Assignee
김차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관 filed Critical 김차관
Priority to KR20-2003-0026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4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09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량 위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물차량의 적재프레임에 컨테이너 지지대가 구비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의 몸체 위에 상협하광으로 경사를 갖는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와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컨테이너의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돌기와 삽입공이 2개소 이상 조합하여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물차량의 상부프레임의 안내돌기와 하부프레임의 삽입공의 중심축이 일치되지 않아도 이들이 자체적으로 중심축을 일치시켜서 결합되므로 화물차량의 적재프레임의 정확한 위치에 컨테이너를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Mechanical apparatus for Loading container on the truck}
본 고안은 화물차량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를 화물차량에 구비된 적재프레임의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게 적재시켜 적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화물차량의 운행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구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화물수송용 컨테이너는 지상 또는 해상에서의 운송을 위해 적층이 용이하도록 규격화된 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다.
지상에서 화물차량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지게차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컨테이너가 보관될 공간이 있다면 이러한 컨테이너는 그 자체로 하나의 간이 창고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컨테이너는 단순한 직육면상의 철로 만든 구조물이기 때문에 하역작업마다 지게차 등이 필수적으로 동원되어야 이동할 수 있어서 작업이 번거로워 이용에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는 그 특성상 하역작업이 빈번하고, 하나의 화물차량은 컨테이너를 교체하여 반복적으로 다수의 컨테이너를 별개로 운반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마다 컨테이너의 하역을 위해 지게차 등의 하역장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고,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다수의 장비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적재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도 1e는 화물차량의 적재프레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화물차량(10)에는 컨테이너(20)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11)이 구비되고, 상기 화물차량(10)을 승강시키는 유압지지대(12)가 복수 개소에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20)의 하부에는 하부프레임(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1)에는 컨테이너(2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 고정하는 다수개의 컨테이너 지지대(22)가 결합된다.
도 1a에서와 같이 컨테이너(20)가 컨테이너 지지대(22)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된 상태에서 화물차량(10)이 그 하부 공간으로 진입하여 정위치에서 멈추게 되고, 도 1b에서와 같이 화물차량(10)의 유압지지대(12) 하부가 지면에 접촉하며, 이어서 도 1c에서와 같이 유압지지대(12)가 계속 동작하여 화물차량(10)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화물차량(10)이 들어올려지면 적재프레임(11)과 컨테이너(20)의 하부프레임(21)이 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유압지지대(12)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도 1d에서와 같이 컨테이너(20) 지지대를 접은 후 도 1e와 같이 유압지지대(12)를 동작시켜 화물차량(10)을 내리게 되면 화물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에 컨테이너(20)가 적재되고, 상기 화물차량(10)에 설치된 고정장치(미도시)로 컨테이너(20)를 고정하게 되면 컨테이너(20)를 화물차량(10)에 적재하는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화물차량(10)에서 컨테이너(20)를 분리시켜 컨테이너(2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은 상기한 작업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에 있어 화물차량(10)을 컨테이너(20)의 정확한 하부공간에 위치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이에 상기 컨테이너(20)가 적재프레임(11)의 정확한 위치에 적재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20)가 화물차량(10)에 정확하게 적재되지 않으면 화물차량(10)에 설치된 고정장치로 컨테이너(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게 되고, 불안정한 고정상태에서 화물차량(10)을 운행하게 되면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 컨테이너(20)를 고정시키기 힘들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20)를 화물차량(10)에 적재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0360532호(공개일:2002.2.4) "컨테이너 상·하역장치"에서 컨테이너를 화물차량위에 적재하기 위하여 경사성 돌기로 고정하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으나, 이는 화물차량의 유압지지대를 없애고 새로운 유압실린더를 장착해야 하므로 구조변경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화물차량에 구비된 적재프레임의 정확한 위치에 컨테이너를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는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과 부수되는 많은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작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는 화물차량의 적재프레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가 적재프레임에 적재되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가 적재프레임에 적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적재장치의 상세도
도 4a,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적재구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화물차량 11 - 적재프레임
12 - 유압지지대 13 - 안내돌기
14 - 경사면 20 - 컨테이너
21 - 하부프레임 22 - 컨테이너 지지대
23 - 삽입공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화물차량의 적재프레임에 컨테이너 지지대가 구비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의 몸체위에 상협하광으로 경사를 갖는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와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컨테이너의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돌기와 삽입공이 2개소 이상 조합하여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부터 도 1e까지의 모든 작업공정은 본 고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가 적재프레임에 적재되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화물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에 안내돌기(13)가 복수개 형성되고, 이때 상기 안내돌기(13)는 적재프레임(11)의 중앙 상면 전·후방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안내돌기(13)를 적재프레임(11)의 전·후방에 3개소 또는 4개소로 형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13)와 대응 삽입되는 삽입공(23)은 컨테이너(20)의 하부프레임(21)에 부착되고, 안내돌기(13)가 삽입공(23)에 결합되면 적재프레임(11)의 정확한 위치에 컨테이너(20)가 적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공(23)은 안내돌기(13)의 가장 넓은 부분(하광)과 일치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면으로부터 컨테이너 지지대(22)에 의해 지지 고정된 컨테이너(20)의 하부공간으로 적재프레임(11)이 구비된 화물차량(10)이 컨테이너(20)를 적재할 수 있는 위치까지 진입하여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물차량(10)에 구비된 다수개의 유압지지대(12)가 동작하여 지면으로부터 화물차량(10)을 들어올리게 되고, 이에 화물차량(10)의 적재프레임(11)과 컨테이너(20)의 하부프레임(21)이 접촉하며 컨테이너(20)가 적재프레임(11)에 적재된다.
이때, 도 3a, 도 3b,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프레임(11)의 안내돌기(13)와 하부프레임(21)의 삽입공(23)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더라도 안내돌기(13)의 경사면(14)에 의해 정확하게 중심이 일치되어 결합이 된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20)를 적재프레임(11)에 적재시에 그 위치가 정확하지 않아서 안내돌기(13)와 삽입공(23)의 중심위치가 틀려진다 하여도 적재프레임(11)이 상승하면서 삽입공(23)과 안내돌기(13)의 경사면(14)이 접촉하게 되고, 이에 경사면(14)을 따라 삽입공(23)이 안내되며 안내돌기(13)와삽입공(23)이 동일한 중심축선 상에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물차량(10)과 컨테이너(20)가 각각 유압지지대(12)와 컨테이너 지지대(22)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져 있으므로 전후좌우로 조금씩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삽입공(23)과 안내돌기(13)의 중심축이 일치되지 않아도 간편하게 중심축을 일치시키며 적재프레임(11)에 컨테이너(20)를 정확한 위치에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적재프레임(11)의 정확한 위치에 컨테이너(20)가 적재되면 컨테이너 지지대(22)를 접고, 유압지지대(12)를 동작시켜 화물차량(10)을 지면에 내린 후 화물차량(10)에 구비된 고정장치(미도시)로 컨테이너(20)를 화물차량(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면 컨테이너(20)를 화물차량(10)에 적재하는 모든 작업이 완료되고, 육로를 따라 컨테이너(20)를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돌기(13)와 삽입공(23)의 형상을 도면에서는 타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고, 이밖에 원형이나 사각형, 삼각형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안내돌기(13)는 상협하광의 경사면(14)을 필히 구비하여야 하며, 삽입공(23)은 안내돌기(13)의 하광부분과 일치되는 크기로 형성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안내돌기(13)의 하광부분보다 삽입공(23)의 크기가 크게되면 적재프레임(11)과 컨테이너(20) 사이에 유동간격이 형성되고, 이에 화물차량(10)의 운송도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컨테이너(20)가 2차로 진동되어 안전운행에 악영향을주는 원인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내돌기(13)의 하광부분과 삽입공(23)의 크기를 일치시킴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13)와 삽입공(23)을 바꿔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적재프레임(11)에 삽입공(23)을 형성하고, 하부프레임(21)에 안내돌기(13)가 형성되면 앞서서 기술한 것과 같이 서로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아도 안내돌기(13)의 경사면(14)을 따라 삽입공(23)이 위치이동되며 중심이 일치되어 정확한 적재프레임(11)의 위치에 컨테이너(20)가 적재될 수 있다.
본 고안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구조에 관하여, 본 고안의 범주내에서 각 부품들의 설계변경은 모두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적재프레임의 안내돌기와 하부프레임의 삽입공의 중심축이 일치되지 않아도 이들이 자체적으로 중심축을 일치시키며 결합되므로 화물차량의 적재프레임의 정확한 위치에 컨테이너를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컨테이너의 하부 공간으로 화물차량이 진입할 때 전후좌우 공간을 맞추어 진입하지 않고 유사한 위치에 멈추어도 되므로 화물차량의 운전자 및 이를 안내하는 안내자가 상기 작업에 따른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되어 좋은 기분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컨테이너의 하부공간으로 화물차량을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하므로 화물차량을 전후좌우로 계속 움직여야 했으나, 본 고안은 정확한 위치에서 조금 벗어난 위치에 화물차량을 위치시켜도 적재프레임의 정확한 위치에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화물차량에 소요되는 연료도 절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물차량 및 컨테이너에 안내돌기와 삽입공만 형성하면 되므로, 본 고안을 적용함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고 그 작업도 간편하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화물차량(10)의 적재프레임(11)에 컨테이너 지지대(22)가 구비된 컨테이너(20)를 적재하는 화물차량(10)의 컨테이너(20) 적재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의 몸체위에 상협하광으로 경사를 갖는 경사면(14)이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13)와;
    상기 안내돌기(13)와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컨테이너(20)의 하부프레임(21)에 형성된 삽입공(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돌기(13)와 삽입공(23)이 2개소 이상 조합하여 컨테이너(20)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KR20-2003-0026135U 2003-08-13 2003-08-13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KR200333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135U KR200333443Y1 (ko) 2003-08-13 2003-08-13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135U KR200333443Y1 (ko) 2003-08-13 2003-08-13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443Y1 true KR200333443Y1 (ko) 2003-11-15

Family

ID=4934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135U KR200333443Y1 (ko) 2003-08-13 2003-08-13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4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61B1 (ko) *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61B1 (ko) *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19644A1 (zh) 一种工业车辆
EP3885282A1 (en) A pallet apparatus for transportation of automotive glass
US7992738B2 (en) Pallet container
JP2982887B2 (ja) パレット構造
KR200333443Y1 (ko) 화물차량의 컨테이너 적재장치
CN109319695A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顶升立柱
KR102026668B1 (ko) 가변형 파렛트
KR20170060256A (ko) 셀프 승강 리프트
JP2002114075A (ja) 荷受台昇降装置
JP2002362892A (ja) ロードスタビライザ付きフォークリフト
CN213265612U (zh) 一种新型叉车门架
EP1382530A1 (en) Wrapp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lumn temporarily foldable for transport
JP3278367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2000327287A (ja)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安定装置
KR102432138B1 (ko) 스태커크레인용 파렛트 조립체
JP7221144B2 (ja) パレット積み重ね用の治具
KR102026667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9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73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6B1 (ko) 가변형 파렛트
KR200271160Y1 (ko) 카고 트레일러
KR101711430B1 (ko) 철판 연결형 구조를 갖는 화물차용 파레트의 차량 적재 방법
JPH031392Y2 (ko)
SU10921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талкивани груза с вил погрузчика
JP2000185899A (ja)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いて用いられる運搬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