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004B1 -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 Google Patents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004B1
KR102036004B1 KR1020190063426A KR20190063426A KR102036004B1 KR 102036004 B1 KR102036004 B1 KR 102036004B1 KR 1020190063426 A KR1020190063426 A KR 1020190063426A KR 20190063426 A KR20190063426 A KR 20190063426A KR 102036004 B1 KR102036004 B1 KR 102036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garbage
vehicle
garbage collec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기
장일복
Original Assignee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01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vehi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60R21/0152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using strai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4Garbage trucks, e.g. refuse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01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vehi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 B65F2003/003Foot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이 근거리 이동을 할 경우, 작업자가 차량 후방의 발판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쓰레기 수거작업시 후방 차량에 의한 추돌사고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쓰레기를 적재하는 쓰레기 적재함(10)과, 상기 쓰레기 적재함(10)의 후방에 장착되어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적재함(10)의 내부로 밀어넣는 쓰레기 수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거부(30)의 후방 양쪽에 안전난간(33)을 구비한 한 쌍의 안전발판(32)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32)은 연결발판(32a)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쓰레기 수거부(30)의 하부 양쪽에 한 쌍의 신축 실린더(31)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신축 실린더(31)가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32)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GARBAGE COLLECTING VEHICLE HAVING SATETY FOOTBOARD}
본 발명은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 수거작업 도중에 후방 차량에 의한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가 안전발판에 탑승한 상태에서 근거리를 이동할 때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원거리를 이동할 때에는 안전발판을 차량의 전방측으로 이동시켜 주위 물체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쓰레기 수거차량은, 쓰레기 적재함과 상기 쓰레기 적재함에 쓰레기를 적재하기 위한 쓰레기 수거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를 수용하여 운반하기 위한 쓰레기 적재함(10)과, 상기 쓰레기 적재함(10)의 후방에 장착되어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적재함(10)에 적재하는 쓰레기 수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쓰레기 수거부(20)는, 그 내부에 회전판(도시 생략)을 구비하여 쓰레기 수거부(20)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쓰레기를 자동으로 상기 쓰레기 적재함(10)에 적재한다.
상기한 쓰레기 적재함(10) 및 쓰레기 수거부(20)의 구동장치는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상기 쓰레기 수거부(20)의 측면에 장착된 측면커버(21)와, 쓰레기 수거부(20)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후미등(22)과, 상기 쓰레기 수거부(20)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판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3)와, 상기 쓰레기 수거부(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24)과, 상기 쓰레기 수거부(20)의 노출공간을 덮기 위한 천막커버(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커버(21)는 쓰레기 수거부(20)의 구동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쓰레기 수거부(20)의 측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쓰레기 수거부(20)의 하부에는 상기 천막커버(25)의 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천막커버 걸이부재(25b)(25b')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의 쓰레기 수거차량으로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자가 조수석에서 하차하여 쓰레기를 쓰레기 수거부(20)의 투입구에 투입하고, 조작부(23)를 조작하여 내부의 회전판에 의해 쓰레기가 자동으로 쓰레기 적재함(10)에 적재되도록 한다.
그리고 쓰레기 수거작업이 끝나면, 작업자는 조수석에 탑승하여 다음 장소로 이동한다.
그런데 일반 주택가 골목에서 쓰레기를 수거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짧은 거리를 이동하면서 조수석에 탑승하고 내리는 과정을 계속 반복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실제로는 작업자가 조수석에 탑승하지 않고 걸어서 이동하거나, 작업자가 상기 발판에 올라탄 상태에서 차량을 이동시키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쓰레기 수거부(20)의 후방에 발판(24)만 구비되어 있고, 차량에 아무런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발판에 올라탄 상태에서 차량을 이동시킬 때,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로 변의 쓰레기를 야간이나 새벽에 수거하는 경우에는, 후방의 차량이 쓰레기 수거차량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추돌사고가 종종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83088 B1 KR 10-1981268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쓰레기 수거차량이 근거리를 이동하면서 계속적으로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가 차량 후방의 발판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안전발판에 탑승한 상태에서는 차량이 일정 속도 이하로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쓰레기 수거작업시 후방 차량에게 전방에서 쓰레기 수거작업이 진행중임을 명확하게 주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간이나 시야가 좋지 않은 경우에 후방 차량에 의해 추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이 원거리를 이동할 때에는 안전발판을 차량의 전방측으로 밀어넣어 주위 물체와의 간섭을 최소화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쓰레기를 적재하는 쓰레기 적재함과, 상기 쓰레기 적재함의 후방에 장착되어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적재함의 내부로 밀어넣는 쓰레기 수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거부의 후방 양쪽에 안전난간을 구비한 한 쌍의 안전발판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은 연결발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쓰레기 수거부의 하부 양쪽에 한 쌍의 신축 실린더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신축 실린더가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에 작업자의 탑승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안전발판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최고 속도가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구비한 로드 셀(Load Cell)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발판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운전석 계기판에 작업자 탑승표시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 실린더의 피스톤 헤드에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후방 추돌사고 발생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난간의 후방 양쪽에, 차량의 주행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램프는, 비상점멸 램프, 방향지시 램프, 제동램프, 후진표시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 수거부의 후방 상부 양쪽에, 열선내장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쓰레기 수거부의 후방 상부에, 쓰레기 수거작업의 상황을 표시하는 작업상황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상황판은, LED 사인 보드(Sign Board)로 구성되어 현재의 작업상황을 이동식 문자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상황판의 하단 중앙에, 후방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후방 레이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상황판의 상부 양쪽에 경광램프가 더 구비되어, 추방의 차량이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경고음과 함께 상기 경광램프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상황판의 상부 중앙에, 운전석에서 후방의 작업상황을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후방 카메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차량 후방의 발판에 탑승한 상태에서 근거리를 이동할 때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안전발판에 탑승하면 그 상황이 운전석에 램프로 표시되므로, 운전자가 작업자의 안전발판 탑승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안전발판에 탑승한 상태에서는 차량이 일정 속도 이하로만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쓰레기 수거작업시 후방 차량에게 쓰레기 수거작업중임을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후방의 차량에 의해 추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야간이나 시야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쓰레기 수거 작업 중임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발판이 차량의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주행시 주변 물체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작업자가 열선이 구비된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면서 손을 녹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쓰레기 수거차량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에서 안전발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에서 안전발판이 인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사시도로서, 4a는 안전발판이 인출되지 않은 상태, 4b은 안전발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를 적재하는 쓰레기 적재함(10)과, 상기 쓰레기 적재함(10)의 후방에 장착되어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적재함(10)의 내부로 밀어 넣는 쓰레기 수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거부(30)의 후방 양쪽에 안전난간(33)을 구비한 한 쌍의 안전발판(3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32)은 연결발판(32a)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안전난간(33)은, 쓰레기 투입부의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쓰레기의 투입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쓰레기 수거부(30)의 하부 양쪽에는 한 쌍의 신축 실린더(31)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신축 실린더(31)가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32)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근거리를 운행하면서 쓰레기 수거작업을 계속 할 때에는, 상기 안전발판(32)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작업자가 안전난간(33) 및 손잡이(34)를 잡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일정 지역에서 쓰레기 수거작업을 완료하고 원거리를 운행할 경우에는, 상기 안전발판(32)을 차량의 전방측으로 밀어 넣은 후 차량을 운행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안전난간(33)에 의한 주위 물체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안전발판(32)이 신축 실린더(3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안전발판(32)을 수동으로 인출하고 밀어넣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32)에는 작업자의 탑승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안전발판(32)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속도가 강제로 제한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발판(32)에 탑승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실수로 차량을 고속 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로는 로드 셀(Load Cel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로드 셀은,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에 의해 하중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상기 로드 셀에 의해 검출된 전기신호를 차량의 엔진제어장치(ECU)에 전송하여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최고속도를 일정속도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로드 셀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작업자가 안전발판(32)에 탑승하면 이를 차량의 계기판에 램프(도시 생략)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작업자의 안전발판(32) 탑승상태를 쉽게 확인하도록 한다.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적재함의 후방에 구비된 쓰레기 수거부에 의해 운전자가 차량 후방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렵다.
즉 차량의 운전석에서는 작업자가 수거작업을 계속하고 있는지, 발판에 탑승하였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일정지점에서 수거작업을 완료하면, 작업자가 이 상황을 수신호 등을 통해 일일이 운전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자가 안전발판(32)에 탑승하면 그 상황이 운전석 계기판에 램프(도시 생략)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한 지점에서의 수거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다음의 장소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 실린더(31)의 피스톤 헤드에 오리피스(Orifice)를 형성하여, 안전발판(32)의 후방 추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리피스는, 각종 유압기기에서 오일의 유량이나 압력을 컨트롤하기 위해 설치된 작은 통로로서,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전난간(33)의 후방 양쪽에 차량의 주행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램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후방의 양쪽에 안전난간(33)이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의 후미등을 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안전난간(33)의 후방 양쪽에, 비상점멸 램프(39a), 방향지시 램프(39b), 제동램프(39c), 후진표시 램프(39d)를 구비하여,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쓰레기 수거차량의 진행상황을 알려준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부(30)의 후방 상부 양쪽에 열선내장 손잡이(34)를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절기에는 작업자가 상기 열선내장 손잡이(34)를 잡고 이동하면서 잠깐이나마 손을 녹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선내장 손잡이(34)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휘일(Steering Wheel) 가열방식을 응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선내장 손잡이(34)는, 안전발판(32)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만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쓰레기 수거부(30)의 후방 상부에, 쓰레기 수거작업의 상황을 표시하는 작업상황판(35)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상황판(35)은, LED 사인 보드(Sign Board)로 구성되어 현재의 작업상황을 이동식 문자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사인 보드를 이용한 이동식 문자표시 방식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상황판(35)의 하단 중앙에는, 후방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후방 레이더(36)가 더 구비된다.
상기 후방 레이더(36)에 의해, 후방 차량이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작업상황판(35)의 상부 양쪽에 구비된 경광램프(37)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쓰레기 수거차량을 피해갈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에게는 후방에서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명확히 인식시킨다. 이로써 후방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작업상황판(35)의 상부 중앙에는, 운전석에서 후방의 작업상황을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 카메라(38)가 더 구비된다.
상기 후방 카메라(38)에 의해,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후방의 쓰레기 수거작업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때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발판(32)을 후방으로 인출하지 않고 작업을 한다.
그리고 작업상황판(35)을 작동시켜 현재 쓰레기 수거작업 중임을 표시하고, 후방의 차량이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경광램프를 점멸시키는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야간 또는 동절기 새벽에 쓰레기 수거작업을 하는 경우, 후방 차량에 의한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일정 지점에서 쓰레기의 수거가 완료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실린더(31)를 작동시켜 안전발판(32)을 후방으로 인출한 후, 작업자가 상기 안전발판(32)에 탑승한다. 상기 안전발판(32)은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2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탑승할 수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안전발판(32)에 탑승하면 이 상황이 운전석 계기판에 램프(도시 생략)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후방 카메라(38)를 통해 작업자의 탑승상황을 재차 확인한 후 다음의 쓰레기 수거장소로 이동한다.
이때 안전발판(32)에 구비된 로드 셀의 전기신호가 차량의 엔진제어장치(ECU)에 전달되어, 차량의 최고속도를 강제적으로 제한한다.
이로써 작업자가 안전발판에 탑승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실수로 차량을 고속 운행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작업자는 안전발판(32)에 탑승한 상태에서 손잡이(34) 및 안전난간(33)을 잡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열선 내장 손잡이(34)를 작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잠시나마 손을 녹일 수가 있다.
다음의 쓰레기 수거장소로 이동한 후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실린더(31)를 작동시켜 안전발판(32)을 차량의 전방측으로 밀어넣은 후에 쓰레기를 수거한다.
모든 쓰레기의 수거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수거차량의 조수석에 탑승한 후 다음 목적지로 이동한다.
종래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쓰레기 수거부의 후방에 발판만 구비하고 있을 뿐 차량에 아무런 안전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발판에 탑승한 상태에서 근거리를 이동할 때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안전발판에 탑승한 상태에서 근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쓰레기 수거작업을 할 때, 후방의 차량에게 전방에서 쓰레기 수거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강력하게 인식시켜 줌으로써, 후방 차량에 의한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쓰레기 적재함 20: 쓰레기 수거부
21: 측면커버 21a: 브라켓(Bracket)
22: 후미등 23: 조작부
24: 발판 25: 천막커버
25a: 손잡이 25b, 25b': 천막커버 걸이부재
26: 안내부 27: 번호판
30: 쓰레기 수거부 31: 신축 실린더(Cylinder)
32: 안전발판 32a: 연결발판
33: 안전난간 34: 열선내장 손잡이
35: 작업상황판 36: 후방 레이더(Radar)
37: 경광 램프 38: 후방 카메라
39a: 비상점멸 램프 39b: 방향지시 램프
39c: 제동 램프 39d: 후진표시 램프

Claims (12)

  1. 쓰레기를 적재하는 쓰레기 적재함(10)과, 상기 쓰레기 적재함(10)의 후방에 장착되어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적재함(10)의 내부로 밀어넣는 쓰레기 수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수거부(30)의 후방 양쪽에 안전난간(33)을 구비한 한 쌍의 안전발판(32)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32)은 연결발판(32a)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쓰레기 수거부(30)의 하부 양쪽에 한 쌍의 신축 실린더(31)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신축 실린더(31)가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32)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안전발판(32)에 작업자의 탑승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안전발판(32)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최고 속도가 제한되도록 하며,
    상기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구비한 로드 셀(Load Cell)로 구성되고,
    상기 안전발판(32)에 작업자가 탑승하면 그 상황이 운전석 계기판에 램프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안전난간(33)의 후방 양쪽에, 비상점멸 램프(39a), 방향지시 램프(39b), 제동램프(39c), 후진표시 램프(39d)가 구비되며,
    상기 쓰레기 수거부(30)의 후방 상부에, 쓰레기 수거작업의 상황을 문자로 표시하는 작업상황판(35)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작업상황판(35)의 하단 중앙에, 후방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후방 레이더(3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작업상황판(35)의 상부 양쪽에 경광램프(37)가 더 구비되어, 추방의 차량이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경고음과 함께 상기 경광램프(37)가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작업상황판(35)의 상부 중앙에, 운전석에서 후방의 작업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후방 카메라(38)가 더 구비되며,
    상기 신축 실린더(31)의 피스톤 헤드에 오리피스(Orifice)가 형성되어, 안전발판(32)의 후방 추돌시 충격을 완화시키고,
    상기 작업상황판(35)은, LED 사인 보드(Sign Board)로 구성되어 현재의 작업상황을 이동식 문자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63426A 2019-05-29 2019-05-29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36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426A KR102036004B1 (ko) 2019-05-29 2019-05-29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426A KR102036004B1 (ko) 2019-05-29 2019-05-29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004B1 true KR102036004B1 (ko) 2019-10-24

Family

ID=6842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426A KR102036004B1 (ko) 2019-05-29 2019-05-29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0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153A (ko) 2020-02-27 2021-09-06 이지스특장주식회사 청소 차량용 적재함
KR102417840B1 (ko) 2022-04-12 2022-07-06 주식회사 가비지트럭스 적재장치에 작업자 탑승 캐빈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US11488467B1 (en) 2020-09-02 2022-11-01 Wm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oncoming vehicle detection and alerts for a waste collection vehicl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7765A1 (de) * 2001-04-04 2002-10-09 Zöller-Kipper GmbH Belastungsüberwachungsvorrichtung für Trittbretter
KR100883088B1 (ko) 2008-09-12 2009-02-11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쓰레기 수거 운반차
KR101460780B1 (ko) * 2014-07-23 2014-11-24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 차량
KR200475951Y1 (ko) * 2014-03-21 2015-01-16 김성태 청소차량에 구비된 안전손잡이 히팅장치
KR20150000317U (ko) * 2013-07-12 2015-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KR101935527B1 (ko) * 2017-04-26 2019-01-04 이상희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KR20190043824A (ko) * 2017-10-19 2019-04-29 손종익 운행 표시등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KR101981261B1 (ko) *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차량
KR101981268B1 (ko)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7765A1 (de) * 2001-04-04 2002-10-09 Zöller-Kipper GmbH Belastungsüberwachungsvorrichtung für Trittbretter
KR100883088B1 (ko) 2008-09-12 2009-02-11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쓰레기 수거 운반차
KR20150000317U (ko) * 2013-07-12 2015-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KR200475951Y1 (ko) * 2014-03-21 2015-01-16 김성태 청소차량에 구비된 안전손잡이 히팅장치
KR101460780B1 (ko) * 2014-07-23 2014-11-24 현대특장공업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 차량
KR101935527B1 (ko) * 2017-04-26 2019-01-04 이상희 차량 지지대용 자동 전광판
KR20190043824A (ko) * 2017-10-19 2019-04-29 손종익 운행 표시등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차량
KR101981261B1 (ko) *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차량
KR101981268B1 (ko)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WM572884 U*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153A (ko) 2020-02-27 2021-09-06 이지스특장주식회사 청소 차량용 적재함
US11488467B1 (en) 2020-09-02 2022-11-01 Wm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oncoming vehicle detection and alerts for a waste collection vehicle
US11776383B1 (en) 2020-09-02 2023-10-03 Wm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oncoming vehicle detection and alerts for a waste collection vehicle
KR102417840B1 (ko) 2022-04-12 2022-07-06 주식회사 가비지트럭스 적재장치에 작업자 탑승 캐빈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004B1 (ko) 안전발판을 구비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201540B1 (ko) 전동킥보드의 안전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2064114A2 (ko) 발광부를 가지는 자동차용 고임목
WO2016107581A1 (zh) 汽车转弯防侧翻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875679B (zh) 汽车车门开启安全规避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351751A (zh) 智能清障车
KR20140052678A (ko) 차량용 충돌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4742907A (zh) 一种驻车控制方法和驻车控制系统
CN105023448A (zh) 一种路口行车提醒方法、装置及车辆
CN103465855B (zh) 一种具有自动探测防护功能的挂车
CN206926568U (zh) 一种智能清障车
CN104648391A (zh) 智能大型车辆转向盲区安全警示装置及其工作方法
CN107776558A (zh) 一种汽车防削顶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648390A (zh) 智能大型车辆转向盲区安全警示装置
CN210478501U (zh) 一种道路作业区域多方位安全防护车
CN206171192U (zh) 电控式汽车误踩油门及遇障碍自动刹车安全保护装置
WO2019035640A1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CN207106339U (zh) 汽车行驶间距安全报警装置
CN203344809U (zh) 一种上下车人员安全提醒装置
CN208452978U (zh) 一种避免驾驶员离座发生溜车的装置
CN107757641B (zh) 一种应用于轨道车辆的蹬车系统及轨道车辆
KR101039830B1 (ko) 리어 범퍼를 이용한 공기 저항 보조 제동 장치
CN218431530U (zh) 一种带安全警报提示的电动滑板车
CN111139699A (zh) 一种高速公路车辆掉头系统
CN204623447U (zh) 一种驻车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