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134Y1 - 적재함용 인출입장치 - Google Patents

적재함용 인출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134Y1
KR200496134Y1 KR2020210003075U KR20210003075U KR200496134Y1 KR 200496134 Y1 KR200496134 Y1 KR 200496134Y1 KR 2020210003075 U KR2020210003075 U KR 2020210003075U KR 20210003075 U KR20210003075 U KR 20210003075U KR 200496134 Y1 KR200496134 Y1 KR 200496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loading box
box
pull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빈
Original Assignee
안광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빈 filed Critical 안광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1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09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산부에 의해 가이드 되어 직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적재수단을 제공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각종 적재물을 용이하게 싣거나 내리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는,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산부의 사이에서 적재함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인출입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재함용 인출입장치{DRAW OUT DEVICE FOR LOADING BOX}
본 고안은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산부에 의해 가이드 되어 직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적재수단을 제공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각종 적재물을 용이하게 싣거나 내리도록 할 수 있는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짐을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적재함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SUV 차량의 경우 후방에 구비된 적재함에 다양한 종래의 짐을 적재하게 된다.
이때, 가볍고 작은 짐은 적재함까지 올리는 데에는 큰 문제점이 없으나, 적재함의 공간 활용도를 위해 적재함의 안쪽부터 적재해야 하는 바, 사람이 직접 짐을 들고 트렁크 안쪽으로 가거나 몸을 숙이고 팔을 뻗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세탁기나 냉장고와 같이 크고 무거운 짐은 사람이 직접 적재함의 안쪽으로 들어가 적재해야 함으로, 체력적으로 많은 부담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재함에 적재된 짐을 인출할 때에는 적재함의 입구측에 적재된 짐부터 순차적으로 인출하여야 하므로, 적재함 내에 깊숙이 적재된 짐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적재함 입구측의 짐을 먼저 들어내어야 하고, 적재함 내측으로 몸을 기울려 해당 짐을 꺼내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이 따랐다.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5970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차량의 적재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적재수단을 제공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각종 적재물을 용이하게 싣거나 내리도록 할 수 있는 적재함용 인출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산부에 의해 가이드 되어 직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적재수단을 제공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각종 적재물을 용이하게 싣거나 내리도록 할 수 있는 적재함용 인출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는,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적재함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며, 반구 또는 다각형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는 마찰부; 및 상기 적재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일면이 상기 적재부에 밀착되고,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 양 사이드에 밸크로드테이프로 고정되며, 상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메꿈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꿈부는 상기 적재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함의 끝에 형성된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가 개방작동에 의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인출되되, 인출시에는 일부분이 적재함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도어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적재물을 인출시킨다.
다른 일 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는,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산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마다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인출입가이드; 및 상기 적재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일면이 상기 적재부에 밀착되고,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 양 사이드에 밸크로드테이프로 고정되며, 상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메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가이드의 사이에는 상기 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입가이드는 산부와 맞물린 상태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인출입가이드는 상기 적재부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꿈부는 상기 적재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함의 끝에 형성된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가 개방작동에 의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인출되되, 인출시에는 일부분이 적재함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도어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적재물을 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적재부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적재함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적재수단을 마련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각종 적재물을 용이하게 싣거나 내리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산부에 의해 가이드 되어 직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적재수단을 제공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각종 적재물을 용이하게 싣거나 내리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 적용된 적재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가 차량 적재함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를 통해 적재물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 적용된 메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서 적재부에 인출입가이드부가 적용되어 차량 적재함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적재함용 인출입장치가 차량 적재함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적재함용 인출입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 적용된 적재부의 저면을 도시한 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가 차량 적재함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를 통해 적재물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 적용된 메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1)는 차량용 적재함(51)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적용되어, 적재함(51)에 각종 물건을 용이하게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1)는 적재부(10)와, 마찰부(20) 및 인출입가이드(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1)는 SUV, 픽업차량, 트럭과 같은 차량(50)의 트렁크인 적재함(51)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SUV 차량(50)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SUV 차량(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51)의 끝 개방된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수평 또는 수직 형태를 이루는 도어(52)에 의해 개폐되며, 도어(52)는 적재함(51)을 개방할 시, 적재함(51)의 바닥면(511)과 거의 수평을 이룬다.
적재부(10)는 적재함(51)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적재부(10)는 적재함(51)에 전체가 인입되거나 또는 일부분이 적재함(51)의 외부로 인출되는 구성이다.
적재부(10)는 차량(50)의 종류나 적재함(51)의 형태에 따라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SUV 차량(50)의 적재함(51)에 적용되기 적합한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즉, 적재부(10)를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적재부(10)를 적재함(51)의 내부 양측에 위치한 타이어 하우징(53)의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적재부(10)에는 각종 적재물이 적재됨으로, 적재부(10)의 상면에는 충격이나 보호를 위한 부직포나 매트가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적재부(10)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재부(10)는 도어(52)와 마주하는 면에 사용자가 적재함(51)의 내부에 적재부(10)를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또는 외부로 인출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0a)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적재함(51)에 적재부(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0a)를 당기면, 적재부(10)의 일부분은 도어(52)의 상면에 안착되고 다른 부분은 적재함(51)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마찰부(20)는 적재부(10)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적재함(51)의 바닥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마찰부(20)는 적재함(51)에 적재부(10)를 인출 또는 인입할 시 적재함(51)의 바닥면과 마찰을 일으킨다. 이러한 마찰부(20)로 인해 적재부(10)를 적재함(51)에서 인출하거나 인입할 시 적재부(10)가 과도하게 슬라이딩되어 적재함(51)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부(20)는 반구 또는 다각형 형상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1)는 적재부(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적재함(51)의 바닥면 양 사이드 각각 밸크로드 테이프(40)로 고정되는 메꿈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꿈부(30)는 적재부(10)와 동일하게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꿈부(30)의 상면에는 각종 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으므로, 메꿈부(30)의 상면에는 충격이나 보호를 위한 부직포나 매트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메꿈부(30)는 단차를 발생시키지 아니하도록 적재부(10)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적재물을 적재부(10)와 메꿈부(30)의 상면에 공동으로 적재하였을 때, 적재물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1)의 사용 예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도어(52)를 개방시켜 적재함(51)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후, 손잡이(10a)를 잡아 당기면, 도 4와 같이 적재부(10)의 일부분이 인출되어 도어(52)의 상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적재부(10)의 상면에 적재물을 싣거나 또는 적재부(10)에 적재된 적재물을 용이하게 내릴 수 있게 된다.
즉, 손잡이(10a)를 당기면 적재부(10)에 적재 되있던 적재물이 적재함(51)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적재함(51)의 입구측과 가까워지게 됨으로, 사용자가 적재함(51)에 들어가거나 팔을 과도하게 뻗지 아니하더라도 적재부(10)에 물건을 용이하게 싣거나 또는 적재부(10)에 적재된 물건을 용이하게 내리도록 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적재부(10)에 적재물을 싣은 후에 다시 손잡이(10a) 밀기만 적재함(51)에 적재부(10)를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재물을 싣거나 내릴 때 사용자가 많은 힘을 사용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 적용된 인출입가이드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인출입장치에서 적재부에 인출입가이드부가 적용되어 차량 적재함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적재함용 인출입장치가 차량 적재함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1)의 바닥면(511)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산부(511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인출입가이드(20)는 적재부(10)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적재함(51)의 바닥면(511)에 형성된 산부(511a)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마다 삽입된다.
인출입가이드(20)는 적재부(10)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가이드(20)는 적재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인출입가이드(20)들의 사이에는 산부(511a)가 수용되는 수용홈(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인출입가이드(20)는 적재함(51)에 적재부(10)를 인출 또는 인입할 시 산부(511a)와 맞물린 상태로 직진방향으로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러한 인출입가이드(20)로 인해 적재부(10)를 적재함(51)에서 인출하거나 인입할 경우, 적재부(10)가 좌,우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아니하고 직진 방향으로만 이동되면서 인출 또는 인입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어(52)를 개방시켜 적재함(51)의 바닥면(511)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 다음, 손잡이(10a)를 잡아 당기면 적재부(10)의 일부분이 인출되어 도어(52)의 상면에 위치된다. 이때, 도어(52)에도 바닥면(511)의 산부(511a)와 대응되는 산부가 형성되는 바, 인출입가이드(20)는 산부(511a)의 사이 및 도어(52)의 산부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부(10)는 산부들에 가이드되어 직선방향으로만 슬라이딩 되어, 안정적으로 인,출입될 수 있어, 적재부(10)의 상면에 적재물을 싣거나 또는 적재부(10)에 적재된 적재물을 용이하게 내릴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적재함용 인출입출장치 10 : 적재부
10a : 손잡이 20 : 마찰부
21 : 수용홈 30 : 메꿈부
40 : 밸크로드 테이프 50 : 차량
51 : 적재함 511 : 바닥면
511a : 산부 52 : 도어
53 : 타이어 하우징 60 : 인출입가이드

Claims (6)

  1.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적재함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며, 반구 또는 다각형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는 마찰부; 및
    상기 적재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일면이 상기 적재부에 밀착되고,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 양 사이드에 밸크로드테이프로 고정되며, 상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메꿈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꿈부는 상기 적재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함의 끝에 형성된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가 개방작동에 의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인출되되, 인출시에는 일부분이 적재함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도어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적재물을 인출시키는 적재함용 인출입장치.
  2.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산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마다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인출입가이드; 및
    상기 적재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되 일면이 상기 적재부에 밀착되고,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 양 사이드에 밸크로드테이프로 고정되며, 상면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메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가이드의 사이에는 상기 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입가이드는 산부와 맞물린 상태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인출입가이드는 상기 적재부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꿈부는 상기 적재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함의 끝에 형성된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는 도어가 개방작동에 의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인출되되, 인출시에는 일부분이 적재함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도어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적재물을 인출시키는 적재함용 인출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가 형성된 적재함용 인출입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210003075U 2021-05-25 2021-10-13 적재함용 인출입장치 KR20049613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44 2021-05-25
KR20210001644 2021-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134Y1 true KR200496134Y1 (ko) 2022-11-10

Family

ID=8404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075U KR200496134Y1 (ko) 2021-05-25 2021-10-13 적재함용 인출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1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031B1 (ko) * 2023-06-02 2023-09-04 씨제이대한통운 (주) 고밀도 랙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988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자동차의 트렁크 플로어 매트커버
KR19990059707A (ko) 1997-12-31 1999-07-26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수납장의 물품 인출장치
JP2003205787A (ja) * 2002-01-16 2003-07-22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トランク構造
KR200365353Y1 (ko) * 2004-07-14 2004-10-20 김재업 화물차용 적재함보강패널
US6976720B1 (en) * 2002-02-08 2005-12-20 Bequette Lawrence M Vehicle sliding floor extension
KR101184059B1 (ko) * 2012-02-03 2012-09-26 허재성 자동차의 트렁크 룸 트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988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자동차의 트렁크 플로어 매트커버
KR19990059707A (ko) 1997-12-31 1999-07-26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수납장의 물품 인출장치
JP2003205787A (ja) * 2002-01-16 2003-07-22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トランク構造
US6976720B1 (en) * 2002-02-08 2005-12-20 Bequette Lawrence M Vehicle sliding floor extension
KR200365353Y1 (ko) * 2004-07-14 2004-10-20 김재업 화물차용 적재함보강패널
KR101184059B1 (ko) * 2012-02-03 2012-09-26 허재성 자동차의 트렁크 룸 트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031B1 (ko) * 2023-06-02 2023-09-04 씨제이대한통운 (주) 고밀도 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308B1 (ko) 차량용 수납장치
US8011618B2 (en) Storage device for baggage for an aircraft cabin
KR200496134Y1 (ko) 적재함용 인출입장치
JP2001047943A (ja) 車両用荷室構造
KR102300601B1 (ko)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UA106487C2 (uk) Блок товарного складу, стелаж товарного складу і підйомно-транспортна машина, зокрема для такого блоку товарного складу
CN106766472B (zh) 冰箱及冰箱抽屉
KR20130036917A (ko) 차량용 수납장치
CN106642909B (zh) 冰箱及冰箱储物盒
CN101523142B (zh) 冰箱
CN108791091B (zh) 用于机动车辆的货舱组件
KR200486241Y1 (ko) 인출식 밥통장
KR200441019Y1 (ko) 서랍형 수납장
KR100679652B1 (ko) 냉장고용 서랍식 도어장치
KR101951855B1 (ko) 차량용 인출식 적재장치
US20190084485A1 (en) Cargo compartment storage device
KR20160124357A (ko) 트럭 적재함용 공구박스
KR102219767B1 (ko) 스마트 자동창고용 트레이 픽업구조
KR20070019218A (ko) 냉장고용 트레이 인출장치
CA2627694C (en) Luggage storage unit intended in particular for an aircraft cabin
CN208636931U (zh) 一种储货装置及自动售货机
KR101187135B1 (ko) 냉장고용 트레이 인출장치
KR20190050542A (ko)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KR20200072919A (ko)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
KR20100008662A (ko) 버스의 화물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