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310B1 -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 Google Patents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310B1
KR101595310B1 KR1020140147452A KR20140147452A KR101595310B1 KR 101595310 B1 KR101595310 B1 KR 101595310B1 KR 1020140147452 A KR1020140147452 A KR 1020140147452A KR 20140147452 A KR20140147452 A KR 20140147452A KR 101595310 B1 KR101595310 B1 KR 10159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rame
rod
mo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범준
Priority to KR102014014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은 천막프레임의 하단부에 이동이 용이한 레일롤러를 구비하고 레일롤러가 수용되는 개폐형레일을 형성하여 천막프레임을 매우 손쉽게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천막프레임이 양측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일면에 회전힌지를 형성하고 개폐형레일의 양단부에 돌출부와 돌출부의 이동을 단속하는 안착구를 형성하여 천막프레임을 용이하게 회전 개폐하거나 차단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 Awning open and shut frame for cargo vehicle stacker }
본 발명은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막프레임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더불어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천막프레임의 양측부에 힌지부가 형성되고 천막프레임의 하부에 개폐형레일에 삽입되는 레일롤러가 형성되며, 개폐형레일의 회전이 단속되도록 개폐형레일의 양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되 적재함 측벽의 상면에 돌출부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구가 형성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은 후방에 위치된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후 원거리를 주행하여 적재된 화물을 이동시키는 장비로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에는 이동시 적재된 화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우천시 빗물이 접촉되어 화물에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천막과 같은 차단막을 설치된다.
여기서, 종래의 일부 화물차는 벽체를 이용하여 적재함의 전면을 차단하되 후면에 개폐도어가 형성된 지붕이나 뚜껑이 있는 탑화물차량이 제작되고 있는 반면, 상기 탑화물차량은 설치시 벽체에 대한 재료비용이 많이들 뿐 아니라 전면을 밀폐시킨 벽체로 인하여 고중량의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되는 지게차 및 크레인 등을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또 다른 종래의 화물차는 적재함에 화물을 싣고 그 위에 천막을 펼친 후 네귀를 결착끈으로 적재함에 결착하여 적재함 커버를 대신하였으며, 또 다른 화물차의 경우에는 화물적재함에 아치형상의 천막지지대를 다수개 직립시킨 후 상기 천막지지대의 상부에 천막을 펼친 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네귀를 결착끈으로 차체에 결착하여 적재함 커버를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물차는 적재함에 천막을 설치하기 위하여 적재함에 직접 올라가서 천막을 펼쳐야 하는데 이는 2인 이상의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고 천막이 벗겨지지 않도록 상기 결착끈을 일일이 차체에 견고하게 결착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출원은 등록특허공보 제10-1445314호를 선출원하여 등록하였다.
여기서, 본출원이 선출원한 천막프레임은 화물차의 적재함 측벽 상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가이드링이 하부에 형성된 아치형상의 이동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전후방으로 접혀지고, 상기 이동프레임을 2개의 구성으로 그 연결을 힌지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봉이 양측 상부방향으로 회전되며 개폐가 가능한 기술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천막프레임은 상기 아치형상의 이동프레임의 외부에 덮혀지는 천막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가이드링과 슬라이드봉의 접촉면에 과도한 하중이 발생되어 상기 가이드링의 이동이 매우 어려워지는 것과 더불어 적재함 측벽에 한 쌍으로 구비된 가이드링이 평행하게 이동되지 못함 즉, 일측 가이드링과 타측 가이드링의 이동거리가 틀려져 상기 아치형상의 이동프레임에 파괴응력이 발생되어 천막프레임의 교체시기가 빨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막프레임의 하단부에 이동이 용이한 레일롤러를 구비하고 레일롤러가 수용되는 개폐형레일을 형성하여 천막프레임을 매우 손쉽게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천막프레임이 양측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일면에 회전힌지를 형성하고 개폐형레일의 양단부에 돌출부와 돌출부의 이동을 단속하는 안착구를 형성하여 천막프레임을 용이하게 회전 개폐하거나 차단고정할 수 있는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은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형성되는 양측벽에 설치된 개폐형 천막프레임으로상기 양측벽의 전방부 상면에 안착되며 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는 전방레일삽입부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전방레일안착구와, 상기 전방레일안착구의 상면에 안착되는 아치형상의 전방골격봉과, 상기 전방골격봉의 후면에 부착되며 하단부에 전방레일롤러가 구비된 전방이동봉으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그 하부에 레일롤러가 구비된 아치형상의 이동골격봉으로 이루어진 이동프레임과; 상기 양측벽의 후방부 상면에 안착되며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는 후방레일삽입부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후방레일안착구와, 상기 후방레일안착구의 상부에 부착되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는 후방봉삽입부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후방봉안착구와, 상기 후방봉삽입부에 삽입되는 아치형상의 후방골격봉과, 상기 후방골격봉의 전면에 부착되며 하단부에 후방레일롤러가 구비된 후방이동봉으로 이루어진 후방프레임과; 상기 양측벽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골격봉이동공이 형성된 사각형 파이프형상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양단부에 돌출되며 상기 전방레일삽입부와 후방레일삽입부에 삽입되는 레일고정돌출부로 이루어진 개폐형레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이동봉의 상부에는 상기 전방골격봉의 상부 일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전방이동봉이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구조의 전방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골격봉의 일면에는 상기 이동골격봉이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구조의 이동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이동봉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골격봉의 상부 일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후방이동봉이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구조의 후방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골격봉와 전방이동봉의 사이에는 상기 전방이동봉이 상부로 회전될 경우 그 하중이 감소되도록 상기 전방골격봉의 상부 일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전방이동봉의 하부 일면에 타단부가 연결된 전방유압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골격봉과 후방이동봉의 사이에는 상기 후방이동봉이 상부로 회전될 경우 그 하중이 감소되도록 상기 후방골격봉의 상부 일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후방이동봉의 하부 일면에 타단부가 연결된 후방유압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프레임과 이동프레임, 후방프레임의 일면에는 상호 연결되되 전후방으로 절첩될 경우 다수회 교차되도록 힌지로 연결된 교차연결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연결지지부는 상기 전방프레임과 이동프레임, 후방프레임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힌지가 승하강되도록 내측에 이동홈이 구비된 사각파이프형상의 상하가이드부와, 상기 상하가이드부의 내측에 상기 힌지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힌지의 내측면에 연결된 가이드롤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레일안착구와 후방레일안착구에는 상기 레일고정돌출부가 안착된 후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레일이동단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동단속부는 상기 전방레일안착구와 후방레일안착구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골격봉의 하부 일면에는 양측면이 관통된 후방봉관통공이 천공되고, 상기 후방봉안착구의 양측면에는 상기 후방봉관통공과 연통하는 안착구관통공이 천공되며; 상기 안착구관통공에는 상기 후방관통공을 통하여 관통되는 프레임고정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골격봉과 이동골격봉, 후방골격봉의 상부에는 그 높이가 가변되도록 2단으로 분리되며 삽입연결된 아치형상의 높이가변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적재함에 구비된 개폐형레일에 삽입되는 레일롤러를 천막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하고, 천막프레임의 양측부에 회전작용하는 힌지부를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천막프레임을 전후방으로 절첩하거나 양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개방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적재함을 사용할 수 있고,
둘째, 다수개의 이동프레임에 상호 연결되는 교차연결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천막의 중량 또는 화물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고압의 바람에 대응하여 개폐형 천막프레임이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교차연결지지부에 가이드롤러가 안착된 후 이동하는 상하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천막프레임이 전후방으로 절첩될 경우 교차연결지지부의 절첩작용을 수직으로 안내하여 천막프레임을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고,
넷째,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하단부에 'ㄷ'형상의 안착구와, 상기 봉안착구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형성함으로써, 개폐형레일의 회전을 단속하여 주행시 바람 등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천막프레임을 양측 상부로 회전시키며 개방할 경우 전후방 프레임에 쇼크업소버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천막의 중량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것과 더불어 밀폐시 천막의 중량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형 천막프레임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프레임의 주요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의 주요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프레임의 주요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형 천막프레임을 전후방 절첩작용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막프레임이 상부방향으로 회전개폐되는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가변봉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량(T)의 적재함(C)에 형성되는 양측벽(C1)에 설치된 개폐형 천막프레임(1)으로서 상기 양측벽(C1)의 전방부 상면에 안착되며 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는 전방레일삽입부(11a)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전방레일안착구(11)와, 상기 전방레일안착구(11)의 상면에 안착되는 아치형상의 전방골격봉(12)과, 상기 전방골격봉(12)의 후면에 부착되며 하단부에 전방레일롤러(13a)가 구비된 전방이동봉(13)으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10)과; 상기 전방프레임(10)의 후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그 하부에 레일롤러(21a)가 구비된 아치형상의 이동골격봉(21)으로 이루어진 이동프레임(20)과; 상기 양측벽(C1)의 후방부 상면에 안착되며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는 후방레일삽입부(31a)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후방레일안착구(31)와, 상기 후방레일안착구(31)의 상부에 부착되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는 후방봉삽입부(32a)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후방봉안착구(32)와, 상기 후방봉삽입부(32a)에 삽입되는 아치형상의 후방골격봉(33)과, 상기 후방골격봉(33)의 전면에 부착되며 하단부에 후방레일롤러(34a)가 구비된 후방이동봉(34)으로 이루어진 후방프레임(30)과; 상기 양측벽(C1)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골격봉이동공(41a)이 형성된 사각형 파이프형상의 레일부(41)와. 상기 레일부(41)의 양단부에 돌출되며 상기 전방레일삽입부(11a)와 후방레일삽입부(31a)에 삽입되는 레일고정돌출부(42)로 이루어진 개폐형레일부(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개폐형레일부(40)는 상기 양측벽(C1)의 상면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안착되고, 상기 전방레일안착구(11)와 후방레일안착구(31)는 상기 양측벽(C1)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이동봉(13)의 상부에는 상기 전방골격봉(12)의 상부 일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전방이동봉(13)이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구조의 전방힌지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골격봉(21)의 일면에는 상기 이동골격봉(21)이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구조의 이동힌지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이동봉(34)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골격봉(33)의 상부 일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후방이동봉(34)이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구조의 후방힌지부(3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힌지부(14)와 이동힌지부(22), 후방힌지부(35)는 3부분 모두 동일한 구조로서 내부면에 힌지공(미도시)이 천공된 한 쌍의 힌지외부편(미도시)과 내부면에 힌지공(미도시)이 천공되며 상기 힌지외부편(미도시)의 사이에 삽입되는 힌지내부편(미도시)과, 상기 힌지공(미도시)은 관통하는 힌지핀(미도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골격봉(12)와 전방이동봉(13)의 사이에는 상기 전방이동봉(13)이 상부로 회전될 경우 그 하중이 감소되도록 상기 전방골격봉(12)의 상부 일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전방이동봉(13)의 하부 일면에 타단부가 연결된 전방유압실린더(15)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골격봉(33)과 후방이동봉(34)의 사이에는 상기 후방이동봉(34)이 상부로 회전될 경우 그 하중이 감소되도록 상기 후방골격봉(33)의 상부 일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후방이동봉(34)의 하부 일면에 타단부가 연결된 후방유압실린더(3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방유압실린더(15)과 후방유압실린더(36)의 양단부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유압실린더(15)와 후방유압실린더(36)의 작용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상기 전방골격봉(12)과 후방골격봉(3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골격봉(12)과 후방골격봉(33)의 외부를 감싸며 보강시킨 사각파이프형상의 충격보강부(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 후방프레임(30)의 일면에는 상호 연결되되 전후방으로 절첩될 경우 다수회 교차되도록 힌지(H)로 연결된 교차연결지지부(50)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연결지지부(50)는 상기 전방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 후방프레임(30)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힌지(H)가 승하강되도록 내측에 이동홈(51a)이 구비된 사각파이프형상의 상하가이드부(51)와, 상기 상하가이드부(51)의 내측에 상기 힌지(H)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힌지(H)의 내측면에 연결된 가이드롤러(5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지지부(50)는 다수개의 이동프레임(20)의 사이를 연결하되 그 연결형상이 "X" 형태로 교차되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레일안착구(11)와 후방레일안착구(31)에는 상기 레일고정돌출부(42)가 안착된 후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레일이동단속부(60)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동단속부(60)는 상기 전방레일안착구(11)와 후방레일안착구(31)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공(61)과, 상기 관통공(61)에 삽입되는 고정핀(6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골격봉(33)의 하부 일면에는 양측면이 관통된 후방봉관통공(33a)이 천공되고, 상기 후방봉안착구(32)의 양측면에는 상기 후방봉관통공(33a)과 연통하는 안착구관통공(32b)이 천공되며; 상기 안착구관통공(32b)에는 상기 후방관통공(33a)을 통하여 관통되는 프레임고정핀(37)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골격봉(12)과 이동골격봉(21), 후방골격봉(33)의 상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높이가 가변되도록 2단으로 분리되며 삽입연결된 아치형상의 높이가변봉(7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높이가변봉(70)의 양측 하단부는 그 외경이 상기 전방골격봉(12)과 이동골격봉(21), 후방골격봉(3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삽입을 용이하게 하되 상기 전방골격봉(12)과 이동골격봉(21), 후방골격봉(33)의 상면에는 상기 높이가변봉(70)의 하단부가 삽입가능한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충격보강부(80)의 상부는 상기 높이가변봉(70)에 용접 또는 볼팅으로 고정되고, 상기 충격보강부(80)의 하부는 상기 후방유압실린더(36)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높이가변봉(70)이 승하강될 경우 상기 후방유압실린더(36) 또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은 화물차량(T)에 화물의 적재시 전후방으로 접혀지거나 양측으로 펼쳐지는 개폐형 천막프레임(1)으로 상기 양측벽(C1)의 상면에 안착되는 개폐형레일부(40)에 이동이 용이한 각각의 레일롤러(13a,21a,34a)가 구비된 아치형상의 전방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을 구비하여 전후방으로 접혀지고, 상기 전방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의 일부분에 각각의 힌지부(14, 22, 34)를 구비하여 양측으로 펼쳐짐으로써, 상기 천막프레임(1)을 전후방으로 접혀지거나 양측으로 펼쳐지는 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형레일부(40)의 양단부에 레일돌출부(42)를 형성하고, 상기 레일돌출부(42)가 삽입되도록 고정핀(37)이 구비된 전방레일안착구(11)와 후방레일안착구(3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폐형레일부(40)가 양측으로 펼쳐지거나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레일롤러(13a,21a,34a)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개폐형레일부(40)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봉과 링형태로 이동되던 천막프레임(1)의 문제점이었던 마찰로 인한 이동불가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더불어 전후방과 양측 상하부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0)과 후방프레임(30)에는 상부와 하부에 양단부가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직진운동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전방유압실린더(15)와 후방유압실린더(36)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천막프레임(1)에 덮혀진 천막의 하중으로 발생되는 충격하중을 감소시켜 천막프레임(1)의 양측 개폐작용시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 후방프레임(30)의 일면에는 상호 연결되되 다수회 교차되는 교차연결지지부(50)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연결지지부(50)에 사각파이프형상의 상하가이드부(51)와 그 내면에서 슬라이드되는 가이드롤러(52)로 구비됨으로써, 천막의 중량 또는 화물차량(T)의 주행시 발생되는 고압의 바람에 대응하여 천막프레임(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물을 적재할 경우 상기 이동프레임(20)을 전후방으로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골격봉(12)과 이동골격봉(21), 후방골격봉(33)의 상부에는 그 높이가 가변되도록 2단으로 분리되며 삽입연결된 아치형상의 높이가변봉(70)이 형성됨으로써, 화물차량(T)의 적재함(C)에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형 천막프레임 T : 화물차량
C : 적재함 C1 : 양측벽
10 : 전방프레임 11 : 전방레일안착구
11a : 전방레일삽입부 12 : 전방골격봉
13 : 전방이동봉 13a : 전방레일롤러
14 : 전방힌지부 15 : 전방유압실린더
20 : 이동프레임 21 : 이동골격봉
21a : 레일롤러 22 : 이동힌지부
30 : 후방프레임 31 : 후방레일안착구
31a : 후방레일삽입부 32 : 후방봉안착구
32a : 후방봉삽입부 32b: 안착구관통공
33 : 후방골격봉 33a : 후방봉관통공
34 : 후방이동봉 34a : 후방레일롤러
35 : 후방힌지부 36 : 후방유압실린더
37 : 프레임고정핀 40 : 개폐형레일부
41 : 레일부 41a : 골격봉이동공
42 : 레일고정돌출부 50 : 교차연결지지부
51 : 상하가이드부 51a : 이동홈
52 : 가이드롤러 60 : 레일이동단속부
61 : 관통공 62 : 고정핀
70 : 높이가변봉

Claims (7)

  1. 화물차량(T)의 적재함(C)에 형성되는 양측벽(C1)에 설치된 개폐형 천막프레임(1)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C1)의 전방부 상면에 안착되며 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는 전방레일삽입부(11a)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전방레일안착구(11)와, 상기 전방레일안착구(11)의 상면에 안착되는 아치형상의 전방골격봉(12)과, 상기 전방골격봉(12)의 후면에 부착되며 하단부에 전방레일롤러(13a)가 구비된 전방이동봉(13)으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10)과;
    상기 전방프레임(10)의 후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며 그 하부에 레일롤러(21a)가 구비된 아치형상의 이동골격봉(21)으로 이루어진 이동프레임(20)과;
    상기 양측벽(C1)의 후방부 상면에 안착되며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는 후방레일삽입부(31a)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후방레일안착구(31)와, 상기 후방레일안착구(31)의 상부에 부착되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는 후방봉삽입부(32a)가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후방봉안착구(32)와, 상기 후방봉삽입부(32a)에 삽입되는 아치형상의 후방골격봉(33)과, 상기 후방골격봉(33)의 전면에 부착되며 하단부에 후방레일롤러(34a)가 구비된 후방이동봉(34)으로 이루어진 후방프레임(30)과;
    상기 양측벽(C1)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골격봉이동공(41a)이 형성된 사각형 파이프형상의 레일부(41)와. 상기 레일부(41)의 양단부에 돌출되며 상기 전방레일삽입부(11a)와 후방레일삽입부(31a)에 삽입되는 레일고정돌출부(42)로 이루어진 개폐형레일부(40)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레일안착구(11)와 후방레일안착구(31)에는 상기 레일고정돌출부(42)가 안착된 후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레일이동단속부(60)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동단속부(60)는 상기 전방레일안착구(11)와 후방레일안착구(31)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공(61)과, 상기 관통공(61)에 삽입되는 고정핀(6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이동봉(13)의 상부에는 상기 전방골격봉(12)의 상부 일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전방이동봉(13)이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구조의 전방힌지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골격봉(21)의 일면에는 상기 이동골격봉(21)이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구조의 이동힌지부(22)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이동봉(34)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골격봉(33)의 상부 일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후방이동봉(34)이 상부방향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힌지구조의 후방힌지부(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골격봉(12)와 전방이동봉(13)의 사이에는 상기 전방이동봉(13)이 상부로 회전될 경우 그 하중이 감소되도록 상기 전방골격봉(12)의 상부 일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전방이동봉(13)의 하부 일면에 타단부가 연결된 전방유압실린더(15)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골격봉(33)과 후방이동봉(34)의 사이에는 상기 후방이동봉(34)이 상부로 회전될 경우 그 하중이 감소되도록 상기 후방골격봉(33)의 상부 일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후방이동봉(34)의 하부 일면에 타단부가 연결된 후방유압실린더(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 후방프레임(30)의 일면에는 상호 연결되되 전후방으로 절첩될 경우 다수회 교차되도록 힌지(H)로 연결된 교차연결지지부(50)가 형성되고;
    상기 교차연결지지부(50)는 상기 전방프레임(10)과 이동프레임(20), 후방프레임(30)의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힌지(H)가 승하강되도록 내측에 이동홈(51a)이 구비된 사각파이프형상의 상하가이드부(51)와, 상기 상하가이드부(51)의 내측에 상기 힌지(H)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힌지(H)의 내측면에 연결된 가이드롤러(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골격봉(33)의 하부 일면에는 양측면이 관통된 후방봉관통공(33a)이 천공되고, 상기 후방봉안착구(32)의 양측면에는 상기 후방봉관통공(33a)과 연통하는 안착구관통공(32b)이 천공되며;
    상기 안착구관통공(32b)에는 상기 후방봉관통공(33a)을 통하여 관통되는 프레임고정핀(3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골격봉(12)과 이동골격봉(21), 후방골격봉(33)의 상부에는 그 높이가 가변되도록 2단으로 분리되며 삽입연결된 아치형상의 높이가변봉(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20140147452A 2014-10-28 2014-10-28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159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452A KR101595310B1 (ko) 2014-10-28 2014-10-28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452A KR101595310B1 (ko) 2014-10-28 2014-10-28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310B1 true KR101595310B1 (ko) 2016-02-26

Family

ID=5544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452A KR101595310B1 (ko) 2014-10-28 2014-10-28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3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24B1 (ko) * 2016-10-13 2018-05-23 김범준 실린더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KR20210006677A (ko) * 2019-07-09 2021-01-19 박청동 퇴비이송장치
KR102499213B1 (ko) * 2021-09-07 2023-02-10 김범준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KR20240034093A (ko) 2022-09-06 2024-03-13 배병태 화물차량의 적재함 덮개용 x형 절첩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700B1 (ko) * 2013-11-04 2014-07-09 김웅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함 덮개
KR101445314B1 (ko) * 2013-07-19 2014-09-26 김범준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14B1 (ko) * 2013-07-19 2014-09-26 김범준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1416700B1 (ko) * 2013-11-04 2014-07-09 김웅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함 덮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24B1 (ko) * 2016-10-13 2018-05-23 김범준 실린더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KR20210006677A (ko) * 2019-07-09 2021-01-19 박청동 퇴비이송장치
KR102384947B1 (ko) * 2019-07-09 2022-04-07 박청동 퇴비이송장치
KR102499213B1 (ko) * 2021-09-07 2023-02-10 김범준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KR20240034093A (ko) 2022-09-06 2024-03-13 배병태 화물차량의 적재함 덮개용 x형 절첩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310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1420589B1 (ko)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US7677626B2 (en) Multi-functional vehicle tailgate
US8851346B2 (en) Vehicle load carrier box with flexible safety material
EP2807070B1 (en) Apparatus for self-levelling storing a plurality of objects such as trays
DE202016102441U1 (de) Pritschenabdeckung mit integriertem Ablagefach
KR101445314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US5498057A (en) Automatic vehicle load cover
JP5295032B2 (ja) 貨物用コンテナ
EP2732999B1 (en) Improvements to a goods storage area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200486625Y1 (ko) 레일기어형 화물차량용 천막프레임
KR101860424B1 (ko) 실린더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KR200395400Y1 (ko)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KR100641080B1 (ko) 컨테이너
EP2686252B1 (en) Freight container
KR101050394B1 (ko) 차량용 적재함 덮개
KR101643088B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101411388B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JP2020511370A (ja) 折り畳み式インターモーダルコンテナおよび折り畳み式インターモーダルコンテナ組立体
EP2902228A1 (en) Closing system
DE102010060310B4 (de) Transportbox
KR200482911Y1 (ko)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JP5875464B2 (ja) 扉付き脱着式コンテナ
US10632930B1 (en) Retainer for aiding vehicle transportability of elongated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