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213B1 -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 Google Patents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213B1
KR102499213B1 KR1020210118972A KR20210118972A KR102499213B1 KR 102499213 B1 KR102499213 B1 KR 102499213B1 KR 1020210118972 A KR1020210118972 A KR 1020210118972A KR 20210118972 A KR20210118972 A KR 20210118972A KR 102499213 B1 KR102499213 B1 KR 102499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electric cylinder
fram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범준
Priority to KR102021011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 B60J7/06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 B60J7/06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for ut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은 천막프레임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실린더를 전동실린더로 구성하여 유압유니트가 불필요해지고, 변형이 쉬운 전기배선을 통하여 설치가 간편해지며, 후방지지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후방축봉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기존 실린더 만으로 천막과 프레임을 승하강시킬 경우 과도한 중량으로 실린더가 파손되거나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황에 따라 전후로 펼쳐지거나 일측으로 접혀지는 상측지지부를 구비하여 화물차량의 주행시 천막프레임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거나 화물의 적재시 일측으로 접어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 Tent frame for cargo vehicle loading box equipped with electric cylinder }
본 발명은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사용공간이 넓어지고 유압배관이 사용되지 않도록 천막프레임에 사용되는 실린더를 전동실린더로 구성하고, 천막과 프레임을 승하강시킬 경우 실린더가 파손되거나 좌우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후방지지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후방축봉이 구비되며, 천막프레임의 하부가 추가적으로 지지되도록 상황에 따라 전후로 펼쳐지는 상측지지부가 구비된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은 후방에 위치된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후 화물을 이동시키는 장비로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에는 이동시 적재된 화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우천시 빗물이 접촉되어 화물에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천막과 같은 차단막을 설치된다.
여기서, 종래의 일부 화물차량은 벽체를 이용하여 적재함의 전면을 차단하되 후면에 개폐도어가 형성된 지붕이나 뚜껑이 있는 탑화물차량이 제작되고 있는 반면, 상기 탑화물차량은 설치시 벽체에 대한 재료비용이 많이들 뿐 아니라 전면을 밀폐시킨 벽체로 인하여 고중량의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되는 지게차 및 크레인 등을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또 다른 종래의 화물차량은 적재함에 화물을 싣고 그 위에 천막을 펼친 후 네귀를 결착끈으로 적재함에 결착하여 적재함 커버를 대신하였으며, 또 다른 화물차의 경우에는 화물적재함에 아치형상의 천막지지대를 다수개 직립시킨 후 상기 천막지지대의 상부에 천막을 펼친 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네귀를 결착끈으로 차체에 결착하여 적재함 커버를 대신하여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본출원인은 상기 천막이 지지되도록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는 천막프레임을 구조를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기술문헌으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860424호를 출원하고 최종 등록받았다.
여기서, 본출원이 출원한 종래의 천막프레임은 적재함의 전후방에 설치된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내부에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천막프레임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종래의 천막프레임은 상기 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하여 유압유닛 또는 공압유닛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함으로써, 상기 적재함의 공간에 불필요한 유닛이 차지하여 적재함의 공간활용률이 저하되고, 유압 및 공압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천막프레임의 일부에 고압배관을 설치해야 됨으로써, 전후 및 상하로 변형되는 천막프레임의 이동시 상기 고압배관이 그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천막프레임은 다수개의 전후방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측면에 구비된 X자형상의 절첩구조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실린더를 통하여 그 높이가 상승할 경우 다수개의 전후방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부족하여 천막프레임이 쉽게 부서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후방프레임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전후방프레임의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제한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막프레임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실린더를 전동실린더로 구성하여 유압유니트가 불필요해지고, 변형이 쉬운 전기배선을 통하여 설치가 간편해지며, 후방지지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후방축봉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기존 실린더 만으로 천막과 프레임을 승하강시킬 경우 과도한 중량으로 실린더가 파손되거나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황에 따라 전후로 펼쳐지거나 일측으로 접혀지는 상측지지부를 구비하여 화물차량의 주행시 천막프레임을 추가적으로 지지하거나 화물의 적재시 일측으로 접어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은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천막프레임으로서 상기 적재함의 양측 상부에 안착된 한 쌍의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고정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고정레일로 이루어진 레일부와; 상기 메인레일의 내부에서 전후으로 이동되는 메인롤러와, 상기 메인롤러의 상부에 직립 연결된 파이프형상의 메인지지대와, 상기 메인지지대의 내부에 삽입되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메인축봉과, 상기 메인축봉의 상부를 연결하는 아치형상의 메인상부대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과; 상기 후방고정레일의 내부에 구비된 후방롤러와, 상기 후방롤러의 상부에 직립 연결된 파이프형상의 후방지지대와, 상기 후방지지대의 내부에 삽입된 후방축봉과, 상기 후방축봉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축봉을 승하강시키는 후방전동실린더와, 상기 후방축봉의 상부를 연결하는 아치형상의 후방상부대와, 상기 후방축봉과 상기 메인축봉을 연결하는 후방연결편으로 이루어진 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고정레일의 내부에 구비된 전방롤러와, 상기 전방롤러의 상부에 직립 연결된 파이프형상의 전방지지대와, 상기 전방지지대의 내부에 삽입된 전방축봉과, 상기 전방축봉의 상부를 연결하는 아치형상의 전방상부대와, 상기 전방축봉과 메인축봉을 연결하는 전방연결편과, 상기 적재함의 일면과 상기 전방상부대의 하면에 연결된 한 쌍의 전방전동실린더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지지대의 일측면에는 상기 메인지지대와 메인지지대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메인지지대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교차된 형상의 절첩지지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축봉과 메인상부대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레일이 일측 상부로 회전되도록 각각의 메인힌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연결편의 일단부에는 후방에 배치된 메인축봉의 상부와 연결된 후방힌지구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연결편의 일단부에는 전방에 배치된 메인축봉의 상부와 연결된 전방힌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후방지지대를 일측 상부로 회전시키는 후방측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측개방부는 상기 후방힌지구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지지대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후방지지연결판과, 상기 후방지지대의 하부와 상기 후방지지연결판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지지연결판을 상부로 밀어주는 후방측전동실린더와, 상기 후방지지연결판의 일면에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의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나열된 다수개의 후방연결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과 전방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전방지지대를 일측 상부로 회전시키는 전방측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개방부는 상기 전방힌지구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지지대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전방지지연결판과, 상기 전방지지대의 하부와 상기 전방지지연결판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지지연결판을 상부로 밀어주는 전방측전동실린더와, 상기 전방지지연결판의 일면에 상기 전방측전동실린더의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나열된 다수개의 전방연결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와 후방지지대의 사이에는 상기 후방전동실린더의 동작시 상기 후방측개방부를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는 후방수직레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수직레일부는 상기 후방지지대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후방수직레일과,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의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후방연결편에 고정된 후방승하강판과, 상기 후방승하강판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수직레일에서 슬라이딩되는 후방수직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측전동실린더와 전방지지대의 사이에는 상기 전방전동실린더의 동작시 상기 전방측개방부를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전방수직레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수직레일부는 상기 전방지지대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전방수직레일과, 상기 전방측전동실린더의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연결편에 고정된 전방승하강판과, 상기 전방승하강판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수직레일에서 슬라이딩되는 전방수직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상부대와 전방상부대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상부대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측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지지부는 상기 후방상부대에 구비된 지지연결구와, 상기 지지연결구에서 회전되도록 연결된 제지지대와, 상기 제지지대와 회전되도록 연결된 제지지대와, 상기 전방상부대에 구비되며 상기 제지지대의 단부가 걸려지는 지지걸림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천막프레임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실린더를 전동실린더로 구성함으로써, 기존 유압실린더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유압유니트가 불필요해져 적재함의 사용공간이 넓어지고, 변형이 쉬운 전기배선을 통하여 천막프레임의 변형시 기존 변형이 어려운 유압배관을 억지로 변형시켜야 하는 것이 불필요함과 더불어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둘째, 후방지지대의 내부에 후방전동실린더에 의하여 승하강하며 후방지지대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후방축봉을 구비함으로써, 기존 실린더 만으로 천막과 프레임을 승하강시킬 경우 과도한 중량으로 실린더가 파손되거나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상부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황에 따라 전후로 펼쳐지거나 일측으로 접혀지는 상측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물차량의 주행시 상부대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구조의 견고함을 향상시키는 것과 더불어 화물의 적재시 일측으로 접어 적재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막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프레임의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막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프레임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지지대의 내부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측개방부의 동작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측개방부의 동작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A"를 확대한 도면으로 후방수직레일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4에 도시된 "B"를 확대한 도면으로 전방수직레일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측지지부를 나타내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측지지부를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 (a)는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b)는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량(T)의 적재함(C)에 설치되는 천막프레임(1)으로서 상기 적재함(C)의 양측 상부에 안착된 한 쌍의 메인레일(11)과, 상기 메인레일(11)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고정레일(12)과, 상기 메인레일(11)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고정레일(13)로 이루어진 레일부(10)와; 상기 메인레일(11)의 내부에서 전후으로 이동되는 메인롤러(21)와, 상기 메인롤러(21)의 상부에 직립 연결된 파이프형상의 메인지지대(22)와, 상기 메인지지대(22)의 내부에 삽입되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메인축봉(23)과, 상기 메인축봉(23)의 상부를 연결하는 아치형상의 메인상부대(24)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과; 상기 후방고정레일(12)의 내부에 구비된 후방롤러(31)와, 상기 후방롤러(31)의 상부에 직립 연결된 파이프형상의 후방지지대(32)와, 상기 후방지지대(32)의 내부에 삽입된 후방축봉(33)과, 상기 후방축봉(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축봉(33)을 승하강시키는 후방전동실린더(34)와, 상기 후방축봉(33)의 상부를 연결하는 아치형상의 후방상부대(35)와, 상기 후방축봉(33)과 상기 메인축봉(23)을 연결하는 후방연결편(36)으로 이루어진 후방프레임(30)과; 상기 전방고정레일(13)의 내부에 구비된 전방롤러(41)와, 상기 전방롤러(41)의 상부에 직립 연결된 파이프형상의 전방지지대(42)와, 상기 전방지지대(42)의 내부에 삽입된 전방축봉(43)과, 상기 전방축봉(43)의 상부를 연결하는 아치형상의 전방상부대(44)와, 상기 전방축봉(43)과 메인축봉(23)을 연결하는 전방연결편(45)과, 상기 적재함(C)의 일면과 상기 전방상부대(44)의 하면에 연결된 한 쌍의 전방전동실린더(46)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4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적재함(C)의 일면에는 상기 메인레일(11)이 상부로 회전되는 것을 단속하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메인레일(11)의 측면으로 회전되는 단속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지지대(22)의 일측면에는 상기 메인지지대(22)와 메인지지대(22)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메인지지대(22)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교차된 형상의 절첩지지편(2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절첩지지편(25)에는 상기 절첩지지편(25)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지지대(22)의 일측면에 레일구(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구(미도시)의 내부에는 상기 절첩지지편(25)의 하부에 구비된 레일롤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첩지지편(25)은 X자 형상으로 교차연결된 한 쌍이 하나를 이루며 그 상부는 상기 메인지지대(22)에 연결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레일롤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레일구(미도시)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축봉(23)과 메인상부대(24)의 사이에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레일(11)이 일측 상부로 회전되도록 각각의 메인힌지구(26)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연결편(36)의 일단부에는 후방에 배치된 메인축봉(23)의 상부와 연결된 후방힌지구(361)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연결편(45)의 일단부에는 전방에 배치된 메인축봉(23)의 상부와 연결된 전방힌지구(45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의 사이에는 바와 같이 상기 후방지지대(32)를 일측 상부로 회전시키는 후방측개방부(50)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측개방부(50)는 상기 후방힌지구(361)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지지대(22)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후방지지연결판(51)과, 상기 후방지지대(32)의 하부와 상기 후방지지연결판(51)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지지연결판(51)을 상부로 밀어주는 후방측전동실린더(52)와, 상기 후방지지연결판(51)의 일면에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52)의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나열된 다수개의 후방연결공(5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20)과 전방프레임(40)의 사이에는 상기 전방지지대(42)를 일측 상부로 회전시키는 전방측개방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개방부(60)는 상기 전방힌지구(451)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지지대(22)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전방지지연결판(61)과, 상기 전방지지대(42)의 하부와 상기 전방지지연결판(61)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지지연결판(61)을 상부로 밀어주는 전방측전동실린더(62)와, 상기 전방지지연결판(61)의 일면에 상기 전방측전동실린더(62)의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나열된 다수개의 전방연결공(6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52)와 후방지지대(32)의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전동실린더(34)의 동작시 상기 후방측개방부(50)를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는 후방수직레일부(70)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수직레일부(70)는 상기 후방지지대(32)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후방수직레일(71)과,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52)의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후방연결편(36)에 고정된 후방승하강판(72)과, 상기 후방승하강판(72)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수직레일(71)에서 슬라이딩되는 후방수직롤러(7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방측전동실린더(62)와 전방지지대(42)의 사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전동실린더(46)의 동작시 상기 전방측개방부(60)를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전방수직레일부(80)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수직레일부(80)는 상기 전방지지대(42)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전방수직레일(81)과, 상기 전방측전동실린더(62)의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연결편(45)에 고정된 전방승하강판(82)과, 상기 전방승하강판(82)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수직레일(81)에서 슬라이딩되는 전방수직롤러(8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방상부대(35)와 전방상부대(44)의 사이에는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상부대(24)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측지지부(90)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지지부(90)는 상기 후방상부대(35)에 구비된 지지연결구(91)와, 상기 지지연결구(91)에서 회전되도록 연결된 제1지지대(92)와, 상기 제1지지대(92)와 회전되도록 연결된 제2지지대(93)와, 상기 전방상부대(44)에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대(93)의 단부가 걸려지는 지지걸림구(9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후방상부대(35)와 전방상부대(44)에는 상기 상측지지부(90)가 설치되도록 판형상의 설치판(9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연결구(91)는 상기 제1지지대(92)가 삽입된 후 수직방향으로 핀이 끼워지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걸림구(94)는 상기 제2지지대(93)의 단부가 걸려지도록 후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측지지부(90)는 상기 후방상부대(35)와 전방상부대(44)의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연결구(91)와 지지걸림구(94)의 설치되는 위치가 상호 교차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의 상측지지부(90)는 전방상부대(44)로 접혀지며 타측의 상측지지부(90)는 후방상부대(35)로 접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량(T)의 적재함(C)에 설치되는 천막프레임(1)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C)의 양측 상부에 안착된 한 쌍의 메인레일(11)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다수개의 메인프레임(2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적재함(C)을 덮어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메인프레임(20)을 전후로 펼쳐 사용하고, 상기 적재함(C)에 화물을 실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프레임(20)을 상기 적재함(C)의 전방으로 밀어 접어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후방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승하강하는 후방전동실린더(34)가 구비된 후방프레임(30)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부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전방전동실린더(46)가 구비된 전방프레임(4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높이를 편리하게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적재함(C)에 높은 크기의 적재물을 실을 경우 상기 후방전동실린더(34) 및 전방전동실린더(46)의 구동으로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높이를 높여줄 수 있어 적재물의 량 또는 크기에 따라 천막프레임(1)의 내부공간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지지대(32)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전동실린더(34)에 의하여 승하강하며 상기 후방지지대(32)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후방축봉(33)이 구비됨으로써, 기존 후방전동실린더(34) 만으로 고중량의 천막과 프레임을 승하강시킬 경우 상기 후방전동실린더(34)가 파손되거나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점을 상기 후방축봉(33)의 지지력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천막프레임(1)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를 상기 후방전동실린더(34) 및 전방전동실린더(46)로 설치함으로써, 기존 유압실린더의 문제점인 변형이 적은 유압배관을 변형이 쉬운 전기배선으로 대체하고, 공간을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유압유니트와 같은 부수적인 구성품을 생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후방프레임(30)에는 상기 메인프레임(20)의 후방에 배치된 메인축봉(23)과 연결된 후방연결편(36)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프레임(40)에는 상기 메이프레임(20)의 전방에 배치된 메인축봉(23)과 연결된 전방연결편(45)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후방전동실린더(34) 및 전방전동실린더(46)의 작동시 상기 메인축봉(23)을 함께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 전방프레임(40)의 상부에는 아치형상의 메인상부대(24)와 후방상부대(35), 전방상부대(4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천막프레임(1)의 상부를 천막으로 덮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지지대(22)의 일측면에는 교차된 형상의 절첩지지편(25)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20)이 전후방향으로 절첩될 경우 상기 메인지지대(22)와 메인지지대(22)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메인지지대(22)가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축봉(23)과 메인상부대(24)의 사이 그리고, 상기 후방연결편(36)과 전방연결편(45)에는 메인힌지구(26) 및 후방힌지구(361), 전방힌지구(45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메인레일(11)을 일측 상부로 회전시켜 상기 천막프레임(1)의 측면을 개방할 수 있어 상기 적재함(C)의 후방에서만 적재하는 것이 아닌 측면에서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의 사이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20)과 전방프레임(40)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레일(11)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후방측전동실린더(52)와 전방측전동실린더(6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메인레일(11)을 자동을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52)와 전방측전동실린더(62)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프레임(20)을 지지하는 후방지지연결판(51)과 전방지지연결판(6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후방지지연결판(51)과 전방지지연결판(61)이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52)와 전방측전동실린더(62)을 통하여 회전될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20)을 함께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지지연결판(51) 또는 전방지지연결판(61)에는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52)와 전방측전동실린더(62)가 체결되는 위치를 가변하는 다수개의 후방연결공(53) 및 전방연결공(6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밀어 올려지는 메인레일(11)의 높이를 쉽게 가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52)와 후방지지대(32)의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수직레일부(7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후방전동실린더(34)의 동작시 상기 후방측개방부(50)를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상기 전방측전동실린더(62)와 전방지지대(42)의 사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수직레일부(8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방전동실린더(46)의 동작시 상기 전방측개방부(60)를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방상부대(35)와 전방상부대(44)의 사이에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상부대(24)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측지지부(9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화물차량(T)의 주행 또는 후방측개방부(50) 및 전방측개방부(60)의 동작시 상기 메인상부대(24)의 무게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구조의 견고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측지지부(90)는 상기 제1지지대(92)와 제2지지대(93)로 상호 회전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2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지지대(92)와 제2지지대(93)가 일직선상으로 펼쳐져 상기 메인프레임(20)을 지지하고, 상기 메인프레임(20)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지지대(92)와 제2지지대(93)가 상호 접혀져 상기 전방 또는 후방에 밀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20)이 쉽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대(92)와 제2지지대(93)의 단부에는 지지연결구(91) 및 지지걸림구(9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대(92)와 제2지지대(93)의 회전 및 체결을 간변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화물차량 C : 적재함
1 : 천막프레임 10 : 레일부
11 : 메인레일 12 : 후방고정레일
13 : 전방고정레일 20 : 메인프레임
21 : 메인롤러 22 : 메인지지대
23 : 메인축봉 24 : 메인상부대
25 : 절첩지지편 26 : 메인힌지구
30 : 후방프레임 31 : 후방롤러
32 : 후방지지대 33 : 후방축봉
34 : 후방전동실린더 35 : 후방상부대
36 : 후방연결편 361 : 후방힌지구
40 : 전방프레임 41 : 전방롤러
42 : 전방지지대 43 : 전방축봉
44 : 전방상부대 45 : 전방연결편
451 : 전방힌지구 46 : 전방전동실린더
50 : 후방측개방부 51 : 후방지지연결판
52 : 후방측전동실린더 53 : 후방연결공
60 : 전방측개방부 61 : 전방지지연결판
62 : 전방측전동실린더 63 : 전방연결공
70 : 후방수직레일부 71 : 후방수직레일
72 : 후방승하강판 73 : 후방수직롤러
80 : 전방수직레일부 81 : 전방수직레일
82 : 전방승하강판 83 : 전방수직롤러
90 : 상측지지부 91 : 지지연결구
92 : 제1지지대 93 : 제2지지대
94 : 지지걸림구 95 : 설치판

Claims (8)

  1. 화물차량(T)의 적재함(C)에 설치되는 천막프레임(1)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C)의 양측 상부에 안착된 한 쌍의 메인레일(11)과, 상기 메인레일(11)의 후방에 구비된 후방고정레일(12)과, 상기 메인레일(11)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고정레일(13)로 이루어진 레일부(10)와;
    상기 메인레일(11)의 내부에서 전후으로 이동되는 메인롤러(21)와, 상기 메인롤러(21)의 상부에 직립 연결된 파이프형상의 메인지지대(22)와, 상기 메인지지대(22)의 내부에 삽입되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메인축봉(23)과, 상기 메인축봉(23)의 상부를 연결하는 아치형상의 메인상부대(24)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과;
    상기 후방고정레일(12)의 내부에 구비된 후방롤러(31)와, 상기 후방롤러(31)의 상부에 직립 연결된 파이프형상의 후방지지대(32)와, 상기 후방지지대(32)의 내부에 삽입된 후방축봉(33)과, 상기 후방축봉(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축봉(33)을 승하강시키는 후방전동실린더(34)와, 상기 후방축봉(33)의 상부를 연결하는 아치형상의 후방상부대(35)와, 상기 후방축봉(33)과 상기 메인축봉(23)을 연결하는 후방연결편(36)으로 이루어진 후방프레임(30)과;
    상기 전방고정레일(13)의 내부에 구비된 전방롤러(41)와, 상기 전방롤러(41)의 상부에 직립 연결된 파이프형상의 전방지지대(42)와, 상기 전방지지대(42)의 내부에 삽입된 전방축봉(43)과, 상기 전방축봉(43)의 상부를 연결하는 아치형상의 전방상부대(44)와, 상기 전방축봉(43)과 메인축봉(23)을 연결하는 전방연결편(45)과, 상기 적재함(C)의 일면과 상기 전방상부대(44)의 하면에 연결된 한 쌍의 전방전동실린더(46)로 이루어진 전방프레임(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대(22)의 일측면에는 상기 메인지지대(22)와 메인지지대(22)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메인지지대(22)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교차된 형상의 절첩지지편(2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축봉(23)과 메인상부대(24)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레일(11)이 일측 상부로 회전되도록 각각의 메인힌지구(26)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연결편(36)의 일단부에는 후방에 배치된 메인축봉(23)의 상부와 연결된 후방힌지구(361)가 구비되며, 상기 전방연결편(45)의 일단부에는 전방에 배치된 메인축봉(23)의 상부와 연결된 전방힌지구(45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과 후방프레임(30)의 사이에는 상기 후방지지대(32)를 일측 상부로 회전시키는 후방측개방부(50)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측개방부(50)는 상기 후방힌지구(361)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지지대(22)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후방지지연결판(51)과, 상기 후방지지대(32)의 하부와 상기 후방지지연결판(51)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지지연결판(51)을 상부로 밀어주는 후방측전동실린더(52)와, 상기 후방지지연결판(51)의 일면에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52)의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나열된 다수개의 후방연결공(5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과 전방프레임(40)의 사이에는 상기 전방지지대(42)를 일측 상부로 회전시키는 전방측개방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개방부(60)는 상기 전방힌지구(451)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지지대(22)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전방지지연결판(61)과, 상기 전방지지대(42)의 하부와 상기 전방지지연결판(61)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지지연결판(61)을 상부로 밀어주는 전방측전동실린더(62)와, 상기 전방지지연결판(61)의 일면에 상기 전방측전동실린더(62)의 연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나열된 다수개의 전방연결공(6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52)와 후방지지대(32)의 사이에는 상기 후방전동실린더(34)의 동작시 상기 후방측개방부(50)를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는 후방수직레일부(70)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수직레일부(70)는 상기 후방지지대(32)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후방수직레일(71)과, 상기 후방측전동실린더(52)의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후방연결편(36)에 고정된 후방승하강판(72)과, 상기 후방승하강판(72)에 구비되어 상기 후방수직레일(71)에서 슬라이딩되는 후방수직롤러(7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전동실린더(62)와 전방지지대(42)의 사이에는 상기 전방전동실린더(46)의 동작시 상기 전방측개방부(60)를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전방수직레일부(80)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수직레일부(80)는 상기 전방지지대(42)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전방수직레일(81)과, 상기 전방측전동실린더(62)의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연결편(45)에 고정된 전방승하강판(82)과, 상기 전방승하강판(82)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수직레일(81)에서 슬라이딩되는 전방수직롤러(8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상부대(35)와 전방상부대(44)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상부대(24)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측지지부(90)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지지부(90)는 상기 후방상부대(35)에 구비된 지지연결구(91)와, 상기 지지연결구(91)에서 회전되도록 연결된 제1지지대(92)와, 상기 제1지지대(92)와 회전되도록 연결된 제2지지대(93)와, 상기 전방상부대(44)에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대(93)의 단부가 걸려지는 지지걸림구(9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KR1020210118972A 2021-09-07 2021-09-07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KR102499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972A KR102499213B1 (ko) 2021-09-07 2021-09-07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972A KR102499213B1 (ko) 2021-09-07 2021-09-07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213B1 true KR102499213B1 (ko) 2023-02-10

Family

ID=8522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972A KR102499213B1 (ko) 2021-09-07 2021-09-07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2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14B1 (ko) * 2013-07-19 2014-09-26 김범준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1595310B1 (ko) * 2014-10-28 2016-02-26 김범준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20180040941A (ko) * 2016-10-13 2018-04-23 김범준 실린더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14B1 (ko) * 2013-07-19 2014-09-26 김범준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101595310B1 (ko) * 2014-10-28 2016-02-26 김범준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20180040941A (ko) * 2016-10-13 2018-04-23 김범준 실린더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70975U (zh) 一种工程机械及其支腿装置
CN106348189A (zh) 配电台区专用起重式台架设备
CN205840440U (zh) 一种停车机器人
KR102499213B1 (ko) 전동실린더가 구비된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
CN214576745U (zh) 一种多臂锚杆钻车
CN108557687B (zh) 安装有护栏的暗藏式液压升降机
JPH0885378A (ja) 拡幅車体
CN111101856A (zh) 一种帮锚杆钻车
CN114655861B (zh) 一种节能型建筑用起重机
KR101241369B1 (ko) 캠핑하우스
KR102371271B1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JP5161721B2 (ja) 車両用昇降装置
CN208747503U (zh) 一种开挖立架吊放车
CN208037960U (zh) 一种便于存放电池的工业车辆
KR20110019806A (ko)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KR100597370B1 (ko) 차량용 리프트장치
CN203348489U (zh) 导向滑轮架及旋挖钻机
CN220220520U (zh) 一种煤矿用运输车
KR102608940B1 (ko) 암롤박스 잔류콘크리트 회수차량
JP3881834B2 (ja) 荷役車両用荷受台昇降装置
CN220726214U (zh) 一种无绷绳修井机
CN217897744U (zh) 锚杆钻车
JP3767798B2 (ja) 貨物自動車用昇降装置
CN213892818U (zh) 用于船舱狭小空间的折叠收纳爬梯
CN212952314U (zh) 一种垃圾桶的装卸和防倾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