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806A -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 Google Patents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806A
KR20110019806A KR1020090077379A KR20090077379A KR20110019806A KR 20110019806 A KR20110019806 A KR 20110019806A KR 1020090077379 A KR1020090077379 A KR 1020090077379A KR 20090077379 A KR20090077379 A KR 20090077379A KR 20110019806 A KR20110019806 A KR 2011001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rtion
state
sides
axially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일
임대우
Original Assignee
김종일
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일, 임대우 filed Critical 김종일
Priority to KR102009007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806A/ko
Publication of KR2011001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고,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하는 일측바퀴가 각각 구비되는 일측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고,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하는 타측바퀴가 각각 구비되는 타측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 양측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접혀지고 하부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아웃트리거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프레임부를 탑차의 후방에 형성되는 적재함의 내부는 물론 특히, 일반트럭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측, 전후측 및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적재부의 바닥에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방해없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프레임부를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이 종래에 비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탑차나 특히, 일반트럭 등의 이동차량을 통해 쉽게 원거리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프레임부, 일측 지지대, 타측 지지대, 아웃트리거, 사다리부

Description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MOVABLE LADDER}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고,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하는 일측바퀴가 각각 구비되는 일측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고,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하는 타측바퀴가 각각 구비되는 타측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 양측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접혀지고 하부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아웃트리거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차는 이동차량의 적재함에 고정되어 고층건물에 물건을 올리거나 내리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특수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축 중인 건물의 외장공사, 예를 들어 건축물의 벽면에 대리석을 부착시키거나 강화유리를 부착시키는 공사 또는 사용하고 있는 건축물의 외장 보수공 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가 사다리차는 이동식 차량에 고정시켜 사용함에 따라 이동식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좁은 골목에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저층에서 사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이동식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좁은 골목이나 공사현장 또는 물류센터에서 인력으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고가 사다리(공개특허 10-2009-0013899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상기 이동식 고가 사다리를 탑차의 후방에 형성되는 적재함이나 특히, 일반트럭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측, 좌우측 및 후측이 개방된 상태의 적재부의 바닥에 쉽게 올리거나 내리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 또한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프레임부를 탑차의 후방에 형성되는 적재함의 내부는 물론 특히, 일반트럭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측, 전후측 및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적재부의 바닥에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방해없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프레임부를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이 종래에 비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탑차나 특히, 일반트럭 등의 이동차량을 통해 쉽게 원거리 이동될 수 있는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고,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하는 일측바퀴가 각각 구비되는 일측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고,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하는 타측바퀴가 각각 구비되는 타측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 양측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접혀지고 하부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아웃트리거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는 이동차량의 적재부 바닥과 접하는 보조바퀴가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타측 지지대의 타측바퀴 사이에는 양단부가 상기 타측바퀴와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좌우이동하여 상기 타측바퀴를 좌우회전시키는 피스톤로드를 갖는 복동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 양측에 타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각각 접혀지고 일단부에 상하가 개방된 상태의 일측 삽입관이 형성되는 일측 판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부 양측에 일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각각 접혀지고 타단부에 상하가 개방된 상태의 타측 삽입관이 형성되는 타측 판부로 구성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일측 및 타측 삽입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판부를 따라 좌우로 접혀지고, 하부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판부의 일측 및 타측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된 상태의 상기 유압실린더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일측 및 타측 지지대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아웃트리거;로 인해 상기 프레임부를 탑차의 후방에 형성되는 적재함의 내부는 물론 특히, 일반트럭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측, 전후측 및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적재부의 바닥에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의 방해없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프레임부를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이 종래에 비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탑차나 특히, 일반트럭 등의 이동차량을 통해 본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를 쉽게 원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이동차량 특히, 일반트럭의 적재부 바닥과 접하는 보조바퀴가 축결합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탑차의 적재함이나 특히, 일반트럭의 적재부 바닥에 올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타측 지지대의 타측바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 바퀴를 좌우회전시키는 복동실린더로 인해 이동차량에서 분리되어 지면을 주행중인 본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가 필요에 따라 좌우회전 또한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판부, 유압실린더 및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아웃트리거로 인해 상기 프레임부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상하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이동차량 특히, 일반트럭의 적재부 바닥에 상기 프레임부를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부(10), 일측 지지대(30), 타측 지지대(50), 아웃트리거(70), 사다리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10)는 탑차(미도시)의 후방에 형성되는 적재함(미도시)의 내부 바닥이나 특히, 일반트럭(도 7의 5)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측, 전후측 및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적재부(도 7의 51)의 바닥(도 7의 511)에 탑재되는 것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0)가 탑차(미도시)의 적재함(미도시)의 내부 바닥이나 일반트럭(5)의 적재부(51)의 바닥(511)에 탑재되는 과정은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일측 지지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타측 지지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50)가 상하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지지대(30)는 수평상태인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는 것으로써, 하부 양측에 유압모터(31)와 축결합된 상태로 지면과 접하는 일측바퀴(33)가 각각 축결합되며, 상기 일측바퀴(33) 사이에 위치하는 일측판(311)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일타측방향으로 길이가 각각 신장되는 유압실린더(330)에 의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회전이동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측 지지대(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평상태인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부에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고, 하부 양측에 상기 유압모터(31)와 축결합된 상태로 지면과 접하는 일측바퀴(33)가 각각 구비된 일측 지지프레임(310)과; 상기 일측 지지프레임(310)의 중심부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일측바퀴(33)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일측 지지프레임(310)의 일측판(311) 내측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일타측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일측 지지프레임(310)의 일측판(311)을 상하회전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타측 지지대(50)는 수평상태인 상기 프레임부(10)의 타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는 것으로써,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하는 타측바퀴(53)가 각각 축결합되며, 상기 타측바퀴(53) 사이에 위치하는 타측판(511)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프레임부(10)의 타측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일타측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유압실린더(530)에 의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회전이동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측 지지대(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평상태인 상기 프레임부(10)의 타측부에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고,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하는 타측바퀴(53)가 각각 축결합되는 타측 지지프레임(510)과; 상기 타측 지지프레임(510)의 내측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타측바퀴(53)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타측 지지프레임(510)의 타측판(511)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부(10)의 타측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판(513)의 상측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프레임부(10)의 타측부 하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일타측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타측 지지프레임(510)의 타측판(511)을 상하회전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50)의 일측 및 타측바퀴(33, 53)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모터(31)에 의해 상기 일측바퀴(33)가 정역회전할 시 상기 일측 및 타측바퀴(33, 53)는 일타측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아웃트리거(70)는 상기 프레임부(10)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부 및 타측부 양측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좌우로 각각 접혀지고, 하부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수평상태인 상기 프레임부(10)를 상하이동시켜 상기 프레임부(1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사다리부(90)는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인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와이어와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유압모터 및 상기 유압모터에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유압펌프 등에 의해 전후로 길이가 신장되어 이삿짐 등의 대상물을 고층건물 등으로 내리거나 올리게 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에는 상기 사다리부(9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엔진(10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100)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에는 상기 엔진(1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일측 지지대(30)의 유압모터(31) 및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50)의 유압실린더(330,530)로 오일 등의 동작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13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부에는 이동차량, 특히 일반트럭(5)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측, 좌우측 및 후측이 개방된 상태의 적재부(51) 바닥(511)과 접하는 보조바퀴(11)가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조바퀴(11)로써,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부에 360°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프레임부(10)가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에 올려지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가 상측에 구비된 공지된 방향전환 케스터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부에 이동차량 특히,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511)과 접하는 상기 보조바퀴(11)가 축결합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10)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탑차(미도시)의 적재함(미도시)이나 특히,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511)에 올릴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복동실린더(150)에 의해 타측바퀴(53)가 좌우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타측 지지대(50)의 타측바퀴(53)사이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기 타측바퀴(53)와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좌우이동하여 상기 타측바퀴(53)를 좌우회전시키는 피스톤로드(151)를 갖는 복동실린더(150)가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타측 지지대(50)의 타측 지지프레임(510) 하부 양측에 각각 축결합된 상기 타측 바퀴(53)의 내측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2수평판(531, 533)의 전측이 각각 연결고정되고, 상기 제 1, 2수평판(531, 533)의 후측에는 제 1, 2수직판(535, 537)의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축결합된다.
상기 복동실린더(150)의 피스톤로드(151)의 양단부는 상기 제 1수직판(535)의 타측과 상기 제 2수직판(537)의 일측에 각각 축결합된다.
상기 복동실린더(150)의 피스톤로드(151)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동실린더(150)의 실린더튜브(153)의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155)의 양측에 연결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좌우왕복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피스톤로드(151)가 좌우왕복이동하게 될 시 상기 피스톤(155)은 상기 실린더튜브(153)의 내벽을 따라 좌우왕복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로드(151)를 갖는 상기 복동실린더(150) 또한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복동실린더(150)의 피스톤로드(151)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좌우왕복이동하게 될 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 지지대(50)의 타측바퀴(53)는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타측 지지대(50)의 타측바퀴(5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바퀴(53)를 좌우회전시키는 상기 복동실린더(150)로 인해 이동차량에서 분리되어 지면을 주행중인 본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가 필요에 따라 좌우회전 또한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아웃트리거(70)는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부 양측에 타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좌우로 각각 접혀지고 일단부에 상하가 개방된 상태의 일측 삽입관(713)이 형성되는 일측 판부(711)와, 상기 프레임부(10)의 타측부 양측에 일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좌우로 각각 접혀지고 타단부에 상하가 개방된 상태의 타측 삽입관(717)이 형성되는 타측 판부(715)로 구성되는 판부(710)와; 상기 판부(710)의 일측 및 타측 삽입관(713, 717)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판부(710)를 따라 좌우로 접혀지고, 하부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프레임부(10)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730)와; 상기 판부(710)의 일측 및 타측 삽입관(713, 717)을 관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730)에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된 상태의 상기 유압실린더(730)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핀(7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핀(750)은 상기 판부(710)의 일측 및 타측 삽입관(713, 717)에 형성된 관통구(미도시)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730)의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삽입공(미도시)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된 상태의 상기 유압실린더(730)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판부(710), 유압실린더(730) 및 고정핀(7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익 아웃트리거(70)로 인해 상기 프레임부(10)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상하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이동차량 특히,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511)에 상기 프레임부(10)를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프레임부(10)가 일반트럭(5) 등의 이동차량에 탑재되는 과 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이동차량 예를 들어, 탑차(미도시)의 후방에 형성되는 적재함(미도시)의 내부 바닥이나 특히, 일반트럭(5)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측, 전후측 및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적재부(51)의 바닥에 상기 프레임부(10)가 탑재되는 과정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10)가 정지된 상태에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가 지면(3)과 접한 상태의 상기 아웃트리거(70)의 유압실린더(73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될 경우 상기 프레임부(10)는 일정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50)가 상측으로 회전이동한 후 특히, 일반트럭(5)이 일정높이로 상승된 정지상태의 상기 프레임부(10) 방향으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서히 후진하게 됨에 따라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511)에 상기 프레임부(10)를 올릴 수 있게 된다.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511)에 상기 프레임부(10)가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올려질 수 있도록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511)에 상기 프레임부(10)가 올려지는 과정 중에 상기 일측 지지대(30)의 일측 바퀴(33)가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511)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모터(31)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것이 좋다.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511)에 상기 프레임부(10) 전체가 올려지게 될 시 상기 일측 지지대(30) 및 타측 지지대(5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사선(\,/) 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511)에 상기 프레임부(10) 전체가 올려진 후 작업자는 상기 아웃트리거(70)의 고정핀(750)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웃트리거(70)의 일측 및 타측 삽입관(713, 717)에 삽입된 상기 유압실린더(730)를 상부방향으로 올려 상기 유압실린더(730)의 하부가 지면과 접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730)의 하부가 지면과 접하지 않도록 상승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고정핀(750)을 다시 상기 일측 및 타측 삽입관(713, 717)과 상기 유압실린더(730)에 삽입고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웃트리거(70)의 일측 및 타측 판부(711, 715)를 좌우로 접힘으로써, 일반트럭(5)의 적재부(51) 바닥(511)에 상기 프레임부(10)의 탑재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50)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프레임부(1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기 아웃트리거(70)로 인해 상기 프레임부(10)를 탑차(미도시)의 후방에 형성되는 적재함(미도시)의 내부는 물론 특히, 일반트럭(5)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측, 전후측 및 타측이 개방된 상태의 적재부(51)의 바닥(511)에 상기 일측 및 타측 지지대(30, 50)의 방해없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프레임부(10)를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이 종래에 비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탑차(미도시)나 특히, 일반트럭(5) 등의 이동차량을 통해 본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를 쉽게 원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타측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일측 및 타측 지지대가 상하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복동실린더에 의해 타측 바퀴가 좌우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프레임부가 이동차량에 탑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지면, 5; 일반트럭,
51; 적재부, 511; 바닥,
10; 프레임부, 11; 보조바퀴,
30; 일측 지지대, 31; 유압모터,
33; 일측바퀴, 310; 일측 지지프레임,
311; 일측판, 330, 530, 730; 유압실린더,
50; 타측 지지대, 53; 타측바퀴,
510; 타측 지지프레임, 511; 타측판,
531, 533; 제 1, 2수평판, 535, 537; 제 1, 2수직판,
70; 아웃트리거, 710; 판부,
711; 일측 판부, 713; 일측 삽입관,
715; 타측 판부, 717; 타측 삽입관,
750; 고정핀, 90; 사다리부,
100; 엔진, 130; 유압펌프,
150; 복동실린더, 151; 피스톤로드,
153; 실린더튜브, 155; 피스톤.

Claims (4)

  1.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고,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하는 일측바퀴가 각각 구비되는 일측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부에 상하각도조절가능하게 상부 양측이 축결합되고, 하부 양측에 지면과 접하는 타측바퀴가 각각 구비되는 타측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 및 타측부 양측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접혀지고 하부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아웃트리거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사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는 이동차량의 적재부 바닥과 접하는 보조바퀴가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지지대의 타측바퀴 사이에는 양단부가 상기 타측바퀴와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서 좌우이동하여 상기 타측바퀴를 좌우회전시키는 피스톤로드를 갖는 복동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 양측에 타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각각 접혀지고 일단부에 상하가 개방된 상태의 일측 삽입관이 형성되는 일측 판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부 양측에 일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각각 접혀지고 타단부에 상하가 개방된 상태의 타측 삽입관이 형성되는 타측 판부로 구성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일측 및 타측 삽입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판부를 따라 좌우로 접혀지고, 하부가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판부의 일측 및 타측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된 상태의 상기 유압실린더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KR1020090077379A 2009-08-21 2009-08-21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KR20110019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379A KR20110019806A (ko) 2009-08-21 2009-08-21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379A KR20110019806A (ko) 2009-08-21 2009-08-21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06A true KR20110019806A (ko) 2011-03-02

Family

ID=4392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379A KR20110019806A (ko) 2009-08-21 2009-08-21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8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22B1 (ko) * 2011-06-23 2013-03-18 임대우 이동식 고가 사다리
KR101647671B1 (ko) * 2015-05-21 2016-08-12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붐 자동 인출장치
CN108639973A (zh) * 2018-07-10 2018-10-12 无锡南理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机械设备吊装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22B1 (ko) * 2011-06-23 2013-03-18 임대우 이동식 고가 사다리
KR101647671B1 (ko) * 2015-05-21 2016-08-12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붐 자동 인출장치
CN108639973A (zh) * 2018-07-10 2018-10-12 无锡南理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机械设备吊装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7693B2 (ja) 掘削機取付用コアドリル装置
KR101762758B1 (ko)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CN101982395A (zh) 可移动式双柱汽车升降机
KR20110019806A (ko)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KR200417331Y1 (ko) 갱폼 리프트
CN203096920U (zh) 硬连接污泥抓斗车
JP5686649B2 (ja) 超低空頭掘削装置、それに使用するケリーロッド、その掘削反力取得方法及びその移動装置
KR101018534B1 (ko) 수동식 맨홀 프레임 인상장치
JP5248419B2 (ja) 杭打機及び鋼管杭の施工方法
CN206477588U (zh) 粉墙施工作业升降平台
JP5973216B2 (ja) 昇降台車
KR200467068Y1 (ko) 자동용접장치
CN207647523U (zh) 分离式隧道钢拱架安装装置
RU2520630C1 (ru) Рабоче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о высоте кабиной
CN110700624A (zh) 一种建筑物移位系统及方法
CN112854199B (zh) 一种地铁车站洞门处地下连续墙施工方法及其切割装置
KR101142756B1 (ko) 탑다운 리프트의 마스트 지지 및 승하강장치
JP5390113B2 (ja) 作業車
JP5851774B2 (ja) フィードストロークを変更可能な低空頭用掘削装置
JP3173014U (ja) 低空頭型掘削装置
KR100488919B1 (ko) 열차차량의 하부작업용 리프트
CN111287204A (zh) 移动式全液压深基坑应急抢险抽水设备
CN205477610U (zh) 浮石安全检撬机
CN214401653U (zh) 一种高边坡马道混凝土挡墙修补用移动装置
JP2002030654A (ja) 鉄筋篭運搬建て込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