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758B1 -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758B1
KR101762758B1 KR1020150117972A KR20150117972A KR101762758B1 KR 101762758 B1 KR101762758 B1 KR 101762758B1 KR 1020150117972 A KR1020150117972 A KR 1020150117972A KR 20150117972 A KR20150117972 A KR 20150117972A KR 101762758 B1 KR101762758 B1 KR 101762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variable space
wall
spac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678A (ko
Inventor
장선옥
Original Assignee
장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선옥 filed Critical 장선옥
Priority to KR102015011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7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 본체의 상측으로 상승하는 상부 하우스와, 상기 하우스 본체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내부에 전후 및 좌우 가변 공간부를 구비하여 내부 공간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본체의 후방으로 인출하는 슬라이딩 벽체를 가지는 후방벽체가 인출되도록 하여 내부 공간을 확장하도록 하는 공간 가변형 건물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본체의 후방으로만 확장이 이루어짐으로써 확장되는 방향에 제한이 있어 다른 방향 예컨대 전방이나 측방 또는 상측으로 공간을 확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한 전후 가변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스 본체와, 상기 하우스 본체의 상측에서 승강하는 상부 하우스와,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의 내측에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좌우 가변 공간부와, 상기 하우스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부 하우스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하우스 본체(10)의 벽체(12)에 장착된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로드(32)에 결합된 스프로킷(33)에 감겨진 체인(34)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34)의 일단은 하우스 본체(10)의 벽체(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하우스(20)의 벽체(21)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수단(30)이 설치된 하우스 본체(10)의 프레임(14)에는 한 쌍의 브래킷(41)이 고정되고, 이 브래킷(41)에는 지지핀(42)이 관통되고, 이 지지핀(42)에는 상승된 상부 하우스(2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스토퍼(4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한 후 설치장소로 이동한 후 시공할 수 있으므로 하우스의 이동 및 설치, 시공이 용이하고, 이동한 후에는 내부 공간을 확장한 상태에서 내부 공사 및 인테리어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용이하게 되며, 특히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부 하우스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승강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Description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Lifting device of house having variable space}
본 발명은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다층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측방으로도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여 내부 공간을 상하 및 측방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에서 상부 하우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창고 등의 하우스는 지면에 기초 공사를 한 후 바닥을 시공하고, 이어 벽체를 시공한 후 지붕을 시공하고, 이후 내부를 구획하여 방, 거실, 욕실 등을 시공하고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사를 하고 내부 인테리어를 완성하면 하우스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하우스는 크기가 일정 크기로 정해져 있으므로 일정 공간 내에서는 공간을 넓히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근래에는 일정 장소에서 이동이 가능한 하우스를 제작하고 차량을 이용하여 설치장소로 이동한 후 하우스의 내부공사를 마무리함으로써 하우스를 시공하는 것도 알려져 있으나, 이는 단순하게 제작 장소만 다른 것으로 일정 크기 내에서는 하우스의 내부 구조가 매우 한정적이었다.
그래서 동일한 크기 내에서 하우스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는 공간 가변형 하우스들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특허 제10-1132142호에서 본체의 후방에 슬라이딩 벽체를 가지는 후방벽체가 인출되도록 하고, 바닥은 절첩되는 회전 바닥판을 가지도록 하여 내부공간을 확장하도록 하는 공간 가변형 건물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본체의 후방으로만 확장이 이루어짐으로써 확장되는 방향에 제한이 있어 다른 방향 예컨대 전방이나 측방 또는 상측으로 공간을 확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하우스를 하우스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병의 다른 목적은 일정 장소에서 제작한 후 차량으로 설치장소까지 이동한 후 시공하도록 하여 이동 및 설치,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이동 후에는 내부공간을 확장한 상태에서 내부 공사 및 인테리어 시공 등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용이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는,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한 전후 가변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스 본체와, 상기 하우스 본체의 상측에서 승강하는 상부 하우스와,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의 내측에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좌우 가변 공간부와, 상기 하우스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부 하우스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하우스 본체의 벽체에 장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된 스프로킷에 감겨진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의 일단은 하우스 본체의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하우스의 벽체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수단이 설치된 하우스 본체의 프레임에는 한 쌍의 브래킷이 고정되고, 이 브래킷에는 지지핀이 관통되고, 이 지지핀에는 상승된 상부 하우스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스토퍼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한 후 설치장소로 이동한 후 시공할 수 있으므로 하우스의 이동 및 설치, 시공이 용이하고, 이동한 후에는 내부 공간을 확장한 상태에서 내부 공사 및 인테리어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용이하게 되며, 특히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부 하우스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승강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상부를 나타내는 일부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에서 스토퍼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에서 측방 확장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태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지상에 설치되는 하우스 본체(10)의 외측에는 상승이 가능하도록 상부 하우스(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스 본체(10)의 양측에는 상기 상부 하우스(20)를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수단(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스 본체(10)는 각 모서리에 프레임(11)이 세워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벽체(12)가 구비되고, 상기 벽체(12)의 일측에는 출입문(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스(20)는 각 면에 형성된 벽체(21)와 지붕(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스 본체(10)의 중간에 설치된 프레임(14) 내에 설치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상부 하우스(20)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하우스 본체(10)의 중간에 설치된 프레임(14) 하부에 고정된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로드(32) 선단에 결합된 스프로킷(33)에 감겨진 체인(34)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34)은 일단이 벽체(12)에 고정된 브래킷(3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하우스(20)의 벽체(21)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로킷(33)은 로드(32)의 선단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체인(34)도 양측에 2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12)에는 실린더(3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7)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하우스(20)는 하단이 체인(34)의 선단에 고정되고, 이 체인(34)은 실린더(31)의 작동에 따라 로드(32)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부 하우스(20)를 상측으로 당겨줌으로써 상승 높이를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30)의 작동에 따라 상부 하우스(20)가 승강하게 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스 본체(10)의 각 모서리에 세워 설치된 안내 프레임(15) 내에 상부 하우스(20)의 승강 프레임(23)이 설치되고, 이 승강 프레임(23)에는 연결부재(24)가 돌출되고, 이 연결부재(24)에 상부 프레임(25)이 고정되고, 이 상부 프레임(25)에 벽체(21)가 결합되어 일체로 상승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스 본체(10)의 각 프레임(14)에는 상승된 상부 하우스(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토퍼(4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4)에 고정된 한 쌍의 브래킷(41)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핀(4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스토퍼(40)는 승강수단(30)에 의해 상승된 상부 하우스(20)의 하부에 회동하여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스토퍼(40)는 직접 작업자가 조작하거나 와이어(43)를 이용하여 각 스토퍼(40)를 연결한 후 한 위치에서 조작하여 일시에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스 본체(10) 내에는 측방으로 공간을 가변할 수 있도록 전후 가변 공간부(50)(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50)(51)는 하우스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 장소로 차량 등에 의해 이동된 후 인출하여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50)(51)는 하우스 본체(10)양측에 형성된 개구부(16)(17)를 통하여 인출되며, 선단에 걸림턱(50a)(51a)이 형성되어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50)(51)의 저면에는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이동부재가 설치되는데 이 이동부재는 마찰에 의한 구름이 자유로운 볼캐스터(52)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스 본체(1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전후 가변 공간부(50)(51)가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장소로 이동하여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50)(51)를 인출하고 저면에 지지대(53)을 결합하고, 내부 공사를 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50)(51)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그 상측에 난간(54)을 설치하면 테라스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상부 하우스(20)에 차양막(55)을 설치하면 햇빛이나 비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50)(51)는 하우스 본체(10)로부터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하여 빗물이 하우스 본체(10)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스 본체(10)의 전방 및 후반에 전후 가변 공간부(50)(51)가 인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좌우 방향향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전후 가변 공간부(50)(51) 및 좌우 가변 공간부(70)(71)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방으로 인출하는 상기 전가변 공간부(50)의 내측에 도면에서 좌측으로 인출하는 좌가변 공간부(70)를 삽입하여 인출하도록 하며, 후방으로 인출하는 후가변 공간부(51)의 내측에 우측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우가변 공간부(71)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스 본체(10)의 좌 및 우측에 좌가변 공간부(70) 및 우가변 공간부(71)를 인출하고, 이어 전방 및 후반에 전가변 공간부(50) 및 후가변 공간부(51)를 인출하면 전후, 좌우로 각각 내부 공간이 확장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50)(51) 및 좌우 가변 공간부(70)(71)의 상부면에 난간을 설치하면 이 면을 테라스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상부 하우스(20)에 차양막을 설치하면 더욱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작 장소에서 하우스 본체(10) 내에 전후 가변 공간부(50)(51) 및 좌우 가변 공간부(70)(71)를 제작하고, 상기 하우스 본체(10)의 외측에 상부 하우스(20)를 설치하고,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50)(51) 또는 좌우 가변 공간부(70)(71) 내에는 실내 인테리어가 시공된다.
이렇게 제작된 하우스는 차량 등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설치장소로 이동한 후 설치한 바닥에 하우스를 하차시킨 후 승강수단(30)을 작동하여 상부 하우스(20)를 상승시킨다.
즉, 실린더(31)의 작동에 따라 로드(32)가 상승하면 체인(34)이 당겨지면서 안내 프레임(15) 내에서 승강 프레임(23)이 상승함과 동시에 상부 하우스(20) 전체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상부 하우스(20)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각 프레임(14)에 결합된 스토퍼(4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부 하우스(2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 하우스(20)를 상승시키고 고정된 상태에서는 실린더(31)에 유압을 작용시키는 유압 펌프를 탈거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우스 본체(10)의 상측에 상부 하우스(20)가 위치된 상태에서 하우스 본체(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전후 가변 공간부(50)(51)를 인출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각 전후 가변 공간부(50)(51)의 저면에 결합된 볼케스터(52)에 의해 인출 작업이 매우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스 본체(10)에서 인출되는 각 전후 가변 공간부(50)(51)는 내부 선단에 걸림턱(50a)(51a)이 형성됨으로써 인출시 임의적으로 하우스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 상기 각 전후 가변 공간부(50)(51)의 저면에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지지대(53)를 설치하고, 각 하우스 본체(10), 상부 하우스(20) 및 전후 가변 공간부(50)(51)의 내측에 실내 설비 및 인테리어를 시공하면 된다.
이때,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50)(51)의 내부는 미리 제작할 때 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후 가변 공간부(50)(51)의 상부면 선단에 난간(54)을 설치하고 상부 하우스(20)의 상측에 차양막(55)을 설치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스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하우스 본체(10)에서 전후 가변 공간부(50)(51) 및 좌우 가변 공간부(70)(71)를 인출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인출하여 실내 시공을 행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더욱 내부 공간의 확장이 극대화된다.
10: 하우스 본체 12,21: 벽체
14: 프레임 20: 상부 하우스
30: 승강수단 31: 실린더
32: 로드 33: 스프로킷
34: 체인 50: 전가변 공간부
40: 스토퍼 51: 후가변 공간부
70: 좌가변 공간부 71: 우가변 공간부

Claims (4)

  1.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한 전후 가변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스 본체와, 상기 하우스 본체의 상측에서 승강하는 상부 하우스와, 상기 전후 가변 공간부의 내측에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좌우 가변 공간부와, 상기 하우스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부 하우스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하우스 본체(10)의 벽체(12)에 장착된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로드(32)에 결합된 스프로킷(33)에 감겨진 체인(34)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34)의 일단은 하우스 본체(10)의 벽체(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하우스(20)의 벽체(21)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수단(30)이 설치된 하우스 본체(10)의 프레임(14)에는 한 쌍의 브래킷(41)이 고정되고, 이 브래킷(41)에는 지지핀(42)이 관통되고, 이 지지핀(42)에는 상승된 상부 하우스(2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스토퍼(4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17972A 2015-08-21 2015-08-21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KR101762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972A KR101762758B1 (ko) 2015-08-21 2015-08-21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972A KR101762758B1 (ko) 2015-08-21 2015-08-21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78A KR20170022678A (ko) 2017-03-02
KR101762758B1 true KR101762758B1 (ko) 2017-07-28

Family

ID=5842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972A KR101762758B1 (ko) 2015-08-21 2015-08-21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214A (ko) 2018-09-14 2020-03-24 서봉희 거실 및 베란다겸 발코니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하우스
KR102441504B1 (ko) * 2021-10-25 2022-09-08 금강공업 주식회사 확장형 모듈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3446B (zh) * 2017-06-13 2021-06-04 青岛亚通达铁路设备有限公司 一种可伸缩移动卫生间
KR20190098088A (ko) 2019-07-22 2019-08-21 임춘만 빌딩로봇
KR20190132301A (ko) 2019-11-05 2019-11-27 임춘만 빌딩로봇
KR20190132302A (ko) 2019-11-05 2019-11-27 임춘만 빌딩로봇
KR20200007761A (ko) 2019-12-10 2020-01-22 임춘만 빌딩로봇
KR20200069269A (ko) 2020-06-01 2020-06-16 임춘만 빌딩로봇
KR102380944B1 (ko) * 2020-10-22 2022-03-31 한경수 승하강이 가능한 지붕이 구비된 복층형 조립식 주택
KR20200141412A (ko) 2020-11-30 2020-12-18 임춘만 빌딩 로봇
KR20200141962A (ko) 2020-11-30 2020-12-21 임춘만 빌딩로봇
KR20200141964A (ko) 2020-11-30 2020-12-21 임춘만 빌딩로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537Y1 (ko) 2002-10-23 2003-06-18 에스엘 수림산업 주식회사 크기조절이 가능한 컨테이너 하우스
JP2007154581A (ja) * 2005-12-08 2007-06-21 Yoshino:Kk 搬送式ハウス
JP2011236714A (ja) * 2010-05-06 2011-11-24 Takeo Miyamoto 拡大収納自在システム住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537Y1 (ko) 2002-10-23 2003-06-18 에스엘 수림산업 주식회사 크기조절이 가능한 컨테이너 하우스
JP2007154581A (ja) * 2005-12-08 2007-06-21 Yoshino:Kk 搬送式ハウス
JP2011236714A (ja) * 2010-05-06 2011-11-24 Takeo Miyamoto 拡大収納自在システム住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214A (ko) 2018-09-14 2020-03-24 서봉희 거실 및 베란다겸 발코니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하우스
KR102441504B1 (ko) * 2021-10-25 2022-09-08 금강공업 주식회사 확장형 모듈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78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758B1 (ko)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KR100905492B1 (ko) 공간 가변형 건물
US3546831A (en) Building erection means
CN105003184B (zh) 底操控中空百叶窗
JP6509144B2 (ja) パーゴラ式オーニング
KR101132142B1 (ko) 공간 가변형 건물
CN113958152B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施工独立支撑体系
CN114562106B (zh) 一种超重模板支架
JP2015055063A (ja) スライド式多段張り出し足場
KR101358679B1 (ko) 붐 결합 힌지 조립장치
KR102365923B1 (ko) 이동식 캠핑하우스
US2828869A (en) Hoist for building sections
KR101326143B1 (ko) 진공흡착기 작업용 이동대차
KR200454445Y1 (ko) 이동식건물
KR200497469Y1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JP200811086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安全柵装置
KR101241369B1 (ko) 캠핑하우스
KR20110019806A (ko)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KR102337447B1 (ko)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CN109193529A (zh) 一种基于稳定技术的建筑施工临电电缆支撑装置
CN211948469U (zh) 一种支护桩预应力锚杆或锚索张拉千斤顶简易操作台
EP1757753A2 (en) Device for moving a platform along a facade and buiding provided with such a device
KR20220095550A (ko) 물건 승하강 장치
RU187109U1 (ru) Мобильное сред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KR101058862B1 (ko) 복합 개방형 아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