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142B1 - 공간 가변형 건물 - Google Patents

공간 가변형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142B1
KR101132142B1 KR1020110055884A KR20110055884A KR101132142B1 KR 101132142 B1 KR101132142 B1 KR 101132142B1 KR 1020110055884 A KR1020110055884 A KR 1020110055884A KR 20110055884 A KR20110055884 A KR 20110055884A KR 101132142 B1 KR101132142 B1 KR 101132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plate
space
building
re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Original Assignee
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호 filed Critical 박준호
Priority to KR1020110055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07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guiding-sectio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가변형 건물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플레이트(11)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양측단에 각각 서로 마주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2)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플레이트(13)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플레이트(14)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4)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벽체(20)와; 상기 슬라이딩벽체(20)의 일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플레이트(11)와 마주되는 후방벽체(30)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13)에 일단이 절첩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회전바닥판(40)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3)는 그 일단에 장홈(13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닥판(40)은 상기 장홈(13)에 삽입되는 결합돌기(41)가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들에 의해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을 확장시키더라도 바닥플레이트와 회전바닥판 사이에 높이 차이가 없어 실내 바닥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고, 또한 회전바닥판의 저면이 지면이나 바닥에 밀착되므로 회전바닥판이 하중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없다.

Description

공간 가변형 건물{SIZE ADJUSTABLE HOUSE}
본 발명은 공간 가변형 건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실내 공간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킴으로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가변형 건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실외에 설치되어 적정 크기의 실내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건물로서 별도의 토목공사 또는 건축공사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쉽다는 장점 때문에 조립식 주택 또는 컨테이너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조립식 주택은 각각의 구성품들을 서로 조립하기 전에는 운반차량 등에 쉽게 적재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단층 건물이 아닌 복층 건물로까지 설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립식 주택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설치 기간이 크게 달라질 수 있고, 또한 실내 공간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없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컨테이너 건물은 임시 창고나 사무실과 같이 복잡한 설계가 필요 없는 경우, 원하는 크기의 실내공간을 빠르고 쉽게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보조 건물(옥외건물)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 건물은 하나의 컨테이너가 마련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의 크기가 정해져 있고, 이 크기도 운송 차량의 적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크기로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공간을 하나의 컨테이너 건물로 충족시키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복수의 컨테이너 건물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렇게 많은 수의 컨테이너 건물을 설치하게 되면,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출입구의 위치에 따라서는 각각의 컨테이너를 서로 근접시켜 설치할 수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보다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건물의 경우 하나의 컨테이너의 크기로 제작되더라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실내공간을 확장/수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건물이 제작되고 있는데, 본 출원인 또한 이러한 목적으로 공간 가변형 건물(등록특허 제0905492호)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문헌의 공간 가변형 건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의 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일 측면이 개방되는 주몸체(100)와, 상기 주몸체(100)의 개방된 면에 설치되며 주몸체(100) 내외로 출입되는 보조몸체(200)와, 상기 보조몸체(200)가 주몸체(100)로부터 인출될 때에 보조몸체(200)의 바닥판(210)을 상승시켜서 주몸체(100)의 주바닥판(110)의 높이와 일치시키는 승강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문헌의 공간 가변형 건물은 실내 공간의 확장시 주바닥판(110)과 바닥판(210)의 높이를 일치시킴으로써, 실내 바닥에 단턱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실내 공간에서 단턱에 걸려 넘어지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바닥판(210)을 수평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복수의 승강장치(300)가 설치되어야 하고, 이들을 모두 동일한 높이로 승강시키기 위해 정밀한 높이제어가 필요하며, 더욱이 바닥(지면)과 상승된 바닥판(2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실내에 무거운 화물이나 가구 등을 놓는 경우에는 그 하중에 의해 바닥판(210)이 내려앉는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이렇게 바닥판(210)이 변형되면 가변형 건물의 동작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공간 확장시 실내 바닥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확장되는 바닥판이 지면이나 바닥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공간 가변형 건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공간 가변형 건물이,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양측단에 각각 서로 마주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지붕플레이트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벽체와; 상기 슬라이딩벽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마주되는 후방벽체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에 일단이 절첩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회전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는 그 일단에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닥판은 상기 장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바닥판의 타단에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벽체에는 상기 롤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것으로 실시될 수 있고, 상기 후방벽체에는 그 하부에 상기 회전바닥판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붕플레이트에는 슬라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홈 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상부로 인출되는 차광판)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광판은 그 상면이 일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공간을 확장시키더라도 바닥플레이트와 회전바닥판 사이에 높이 차이가 없어 실내 바닥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고, 또한 회전바닥판의 저면이 지면이나 바닥에 밀착되므로 회전바닥판이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광판이 지붕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햇빛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우천시에는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회전바닥판과 바닥플레이트가 서로 장홈과 결합돌기에 의해 끼움 조립되어 있고, 이들의 접촉면에 패드가 설치되어 상호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기 때문에 연결부위를 통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지면의 물(빗물)이나 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차단된다.
도 1은 종래의 공간 가변형 건물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건물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건물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건물의 확장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건물의 지지부재의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a, b)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건물의 회전바닥판의 사용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건물의 공간을 확장시킨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공간 가변형 건물에 관한 것으로, 설치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시에 실내 공간을 확장 또는 수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슬라이딩벽체(20), 후방벽체(30), 회전바닥판(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건물의 최소 크기에 해당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사각 함체로 실시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일측이 개방된 컨테이너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한 출입구가 구비되며 지면과 수직이 되게 설치되는 전방플레이트(11)와,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수평이 되도록 마주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2) 및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측면플레이트(12)와 전방플레이트(11)의 상단이 연결되는 지붕플레이트(1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면플레이트(12)에는 실내 환기창(도면 부호 없음)이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슬라이딩벽체(20)는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측면으로 인입/인출되면서 실내 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것으로, 이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4)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측면플레이트(12)와 지붕플레이트(14)를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벽체와 지붕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서로 일단이 직각이 되도록 맞닿아 고정된다.
상기 지붕플레이트(14)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으로 적정의 수용 공간을 갖는 슬라이드홈(14A)이 구비되고, 이 슬라이드홈(14A)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는 차광판(14B)을 포함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차광판(14B)은 그 상면이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실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빗물이 경사를 따라 출입구에서 이격된 곳으로 떨어지게 하기 위한 구조이다.
후방벽체(30)는 상기 슬라이딩벽체(20)의 일단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벽체(2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며, 상기 전방플레이트(11)와 마주되어 개방된 측면을 차폐하여 외부와 차단된 격리된 실내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후방벽체(30)에는 후술하는 회전바닥판(40)을 일단을 안내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수직의 레일(31)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바닥판(40)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32)는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닥판(40)의 일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판(32A)과 상기 지지부재(32)가 상하로 승강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장홀(32B) 및 상기 지지판(32A)을 상승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승강손잡이(32C)로 구성된다.
회전바닥판(40)은 상기 후방벽체(30)에 의해 일단이 안내되면서 회전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수직으로 접어지는 것으로, 이는 도 6(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3)의 일단에 장홈(13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닥판(40)에는 상기 장홈(13A)에 삽입되는 결합돌기(41)가 구비된 것으로 실시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41)는 상기 회전바닥판(40)의 회전시 바닥(지면)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41)와 상기 장홈(13A)에는 서로 맞닿도록 패드(P)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패드(P)는 상기 회전바닥판(40)의 자중에 의해 수평이 유지됨에 따라 상기 패드(P)의 밀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상호 긴밀한 접촉이 유지되고, 이에 의해 상기 회전바닥판(40)과 바닥플레이트(13) 사이의 틈으로 외기가 유입되지 않고 차단된다.
한편, 상기 후방벽체(30)의 레일(32)에 삽입되는 롤러(42)가 구비되어 상기 후방벽체(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바닥판(40)의 일단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실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향 길이를 갖는 일 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11)가 위치되고, 이 전방플레이트(11)의 양측단으로 측면플레이트(12)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상부에는 차광판(14B)이 설치되어 있어, 출입구가 개방되어 있더라도 햇빛이 실내로 직접 들어오지 않고, 우천시에는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차광판(14B)은 운반차량에 적재되어 이동되는 컨테이너 건물의 특성상 그 폭과 길이에 제한이 따르는 만큼, 상기 차광판(14B)은 이동시 절첩 또는 수납가능한 구조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따라서 슬라이드홈(14A)에 수납된 차광판(14B)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차광판(14B)의 일단에는 손잡이(H)가 더 마련되고, 이 손잡이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로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플레이트(14)에 구비되는 슬라이드홈(14A)을 마련하고, 이 슬라이드홈(14A)에 상기 차광판(14B)이 슬라이딩되어 수납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로 실시된다.
이때 상기 차광판(14B)은 상기 슬라이드홈(14A)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그 일단에 단턱(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14A)에는 상기 단턱을 구속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홈(도면부호 없음)을 더 형성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광판(14B)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상기 차광판(14B) 또는 상기 슬라이드홈(14A) 내에 복수의 롤러를 설치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벽체(20)와 후방벽체(30)는 컨테이너 건물의 이동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본체(10)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필요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내에서 수평으로 인출되어 그 실내 공간을 확장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벽체(20)는 사용자가 슬라이딩벽체(20) 또는 후방벽체(30)를 밀어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별도의 유압장치(도시하지 않음) 또는 이송스크류(도시하지 않음) 및 이송체인(도시하지 않음) 등의 기계적인 구조를 이용해 이송 제어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계적인 이송 구조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본체(10) 내에서 슬라이딩벽체(2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실내에 수직으로 세워져 후방벽체(3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 회전바닥판(40)의 일단이 회전되면서 바닥(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펼쳐지고, 이러한 동작에 의해 실내 공간은 후면과 측면 및 상하면이 외부와 구획된 확장된 공간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회전바닥판(40)은 끝단에 설치된 롤러(41)가 상기 후방벽체(30)의 레일(31)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속되어 있으므로, 후방벽체(30)가 인입/인출되는 동작에 따라 상기 회전바닥판(40)은 펼쳐지거나 접어진다.
이때 회전바닥판(40)은 회전각도가 최대 90°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해 상기 회전바닥판(40)의 끝단이 레일(31)의 구속에서 이탈되더라도 실내 본체(10)의 바닥플레이트(13)를 향하여 포개 접어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작업자가 회전바닥판(40)에 의해 상해를 입거나, 실내에 비치된 가구들이 회전바닥판(40)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회전바닥판(40)의 결합돌기(41)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3)의 장홈(13A)에 끼워지면서 서로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돌기(41)와 장홈(13A) 사이에 패드(P)가 설치되어 이 패드(P)에 의해 상호 긴밀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패드(P)는 상호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탄성 재질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패드(P)에 의해 회전바닥판(40)과 바닥플레이트(13)의 연결부위를 통해 외기가 실내로 쉽게 유입되지 않고, 또한 빗물이나 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고 차단된다.
한편, 상기 회전바닥판(40)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는 다시 공간을 수축할 때에 회전바닥판(40)의 자중에 의해 일단이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기 어려운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지부재(32)를 이용해 상기 회전바닥판(40)의 일단을 지지하면서도 필요시에 슬라이딩본체(20)와 후방벽체(30)의 슬라이딩에 의해 세워질 수 있을 정도로 그 일단을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32)의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직접 수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승강손잡이가(32C) 마련되는 것으로 명시되고 도시되었으나, 유압실린더와 같이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회전바닥판(40)의 일단이 자동으로 상승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컨테이너 건물의 이동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축된 상태로 사용되다가, 필요시에 실내 공간을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 효율이 향상되고, 더욱이 실내 바닥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실내에서 활동하더라도 단턱에 걸려 넘어질 우려가 없다.
10: 본체 11: 전방플레이트
12: 측면플레이트 13: 바닥플레이트
13A: 장홈 14: 지붕플레이트
14A: 슬라이드홈 14B: 차광판
20: 슬라이딩벽체 30: 후방벽체
31: 레일 32: 지지부재
32A: 지지판 32B: 장홀
32C: 승강손잡이 40: 회전바닥판
41: 결합돌기 42: 롤러
H: 손잡이 P: 패드

Claims (5)

  1.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플레이트(11)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양측단에 각각 서로 마주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2)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플레이트(13)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플레이트(14)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4)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벽체(20)와;
    상기 슬라이딩벽체(20)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플레이트(11)와 마주되는 후방벽체(30)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13)에 일단이 절첩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회전바닥판(40)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3)의 일단에는 장홈(13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닥판(40)에는 상기 장홈(13A)에 삽입되는 결합돌기(41)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바닥판(40)의 타단에는 복수의 롤러(42)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벽체(30)의 일측면에는 상기 롤러(4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레일(3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건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체(30)에는 그 하부에 상기 회전바닥판(4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건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플레이트(14)에는 슬라이드홈(14A)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홈(14A) 내에 설치되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상부로 인입/인출되는 차광판(14B)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건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14B)은 상면이 일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건물.
KR1020110055884A 2011-06-10 2011-06-10 공간 가변형 건물 KR10113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884A KR101132142B1 (ko) 2011-06-10 2011-06-10 공간 가변형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884A KR101132142B1 (ko) 2011-06-10 2011-06-10 공간 가변형 건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142B1 true KR101132142B1 (ko) 2012-04-05

Family

ID=4614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884A KR101132142B1 (ko) 2011-06-10 2011-06-10 공간 가변형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1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3262A (zh) * 2015-05-13 2015-08-26 韩凯 一种模块化移动房屋
CN104863260A (zh) * 2015-05-13 2015-08-26 韩凯 一种模块化移动房屋的展开系统
CN104863263A (zh) * 2015-05-13 2015-08-26 韩凯 一种模块化移动房屋运输机构
KR101714622B1 (ko) * 2016-04-29 2017-03-09 오정석 재활용이 가능한 상가용 인스톨형 조립식 내부 구조물 유니트 제품
KR102064196B1 (ko) 2019-05-21 2020-01-09 여유당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건축용 가변식 샤워부스 구조
KR102064706B1 (ko) * 2019-05-21 2020-01-10 최재호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KR20220077673A (ko) * 2020-12-02 2022-06-09 임경해 공유 건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408Y1 (ko) 2005-11-28 2006-02-22 홍신기 용적가변형 구조물
KR100714159B1 (ko) * 2006-12-29 2007-05-11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
KR100905492B1 (ko) * 2008-12-11 2009-07-01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공간 가변형 건물
US20100269419A1 (en) 2008-04-23 2010-10-28 Modular Container Solutions Llc Modula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408Y1 (ko) 2005-11-28 2006-02-22 홍신기 용적가변형 구조물
KR100714159B1 (ko) * 2006-12-29 2007-05-11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
US20100269419A1 (en) 2008-04-23 2010-10-28 Modular Container Solutions Llc Modular assembly
KR100905492B1 (ko) * 2008-12-11 2009-07-01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공간 가변형 건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3262A (zh) * 2015-05-13 2015-08-26 韩凯 一种模块化移动房屋
CN104863260A (zh) * 2015-05-13 2015-08-26 韩凯 一种模块化移动房屋的展开系统
CN104863263A (zh) * 2015-05-13 2015-08-26 韩凯 一种模块化移动房屋运输机构
CN104863263B (zh) * 2015-05-13 2017-05-03 韩凯 一种模块化移动房屋运输机构
KR101714622B1 (ko) * 2016-04-29 2017-03-09 오정석 재활용이 가능한 상가용 인스톨형 조립식 내부 구조물 유니트 제품
WO2017188773A1 (ko) * 2016-04-29 2017-11-02 오정석 재활용이 가능한 상가용 인스톨형 조립식 내부 구조물 유니트 제품
KR102064196B1 (ko) 2019-05-21 2020-01-09 여유당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건축용 가변식 샤워부스 구조
KR102064706B1 (ko) * 2019-05-21 2020-01-10 최재호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KR20220077673A (ko) * 2020-12-02 2022-06-09 임경해 공유 건물 시스템
KR102504782B1 (ko) * 2020-12-02 2023-02-28 임경해 공유 건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142B1 (ko) 공간 가변형 건물
KR100905492B1 (ko) 공간 가변형 건물
KR101654454B1 (ko)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US9605439B2 (en) Kitchen cabinet installation device
KR101762758B1 (ko) 가변형 공간을 가지는 하우스의 승강장치
KR101517066B1 (ko) 다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가변형 온실구조물
BRPI1008509B1 (pt) Sistema de construção de edifícios de vários andares para construir progressivamente andares
KR101447737B1 (ko) 공동주택 옥상의 거치식 크레인
KR101154741B1 (ko)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US20090169339A1 (en) Placing Device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Storey Building
US8402700B2 (en) Wall assembly comprising panels configured to reside in an overhead structure
KR20120113199A (ko) 공간 또는 높이 확장이 가능한 가변식 건물
KR102409163B1 (ko) 칸막이 판넬용 운반 대차
KR20180012881A (ko) 실외기 설치가 용이한 베란다 구조
GB2427880A (en) Telescopic conservatory
KR101744583B1 (ko) 내부 공간 가변형 이동식 하우스
US1438640A (en) Portable building
KR20200031214A (ko) 거실 및 베란다겸 발코니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하우스
CN214994962U (zh) 一种钢结构装配式建筑外墙板连接结构
KR102550383B1 (ko) 주거용 개조 컨테이너
JP2006016849A (ja) 建物
GB2547659A (en) Space saving storage device
JP2022034786A (ja) スロープ構造
JP2008231801A (ja) 建物
JP2006016927A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