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748A -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 Google Patents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748A
KR20180035748A KR1020180031953A KR20180031953A KR20180035748A KR 20180035748 A KR20180035748 A KR 20180035748A KR 1020180031953 A KR1020180031953 A KR 1020180031953A KR 20180031953 A KR20180031953 A KR 20180031953A KR 20180035748 A KR20180035748 A KR 20180035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main body
movable
variab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춘만
Original Assignee
임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춘만 filed Critical 임춘만
Priority to KR102018003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5748A/ko
Publication of KR2018003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되어 개방된 본체(10)의 측면외부로 이동가능한 이동식건물(2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는 계단식으로 구성된 본체상부(11)와,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개방측면부(19)와, 상기 본체개방측면부(19)의 반대쪽에 설치된 본체출입구(18)와, 내측 천정상부 양측면부에 다수개 이격되어 설치된 천정롤러(15)와, 내측 천정 중앙상부에 횡으로 설치된 피니언기어(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식건물(20)은 상부 중앙부 일측에 설치된 톱니기어(21)와, 사기 톱니기어(21)에 축에 의해 연결된 모터 및 감속기(22)와,
하부 양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이동식건물바퀴(25)와,
측면 일측에 설치된 이동식건물 출입구(28)를 포함하여 구성된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Variable of the building that can be expanded and the reduction of indoor space}
본 발명은 건물일부를 이동시켜 내부공간 면적을 확장하고 또 이동된 건물을 원위치 시키는 건물, 백화점 및 아파트에 사용되며, 지진으로부터 건물붕괴가 방지되거나, 지진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면진설계부가 구비된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으로 아파트, 연립주택이나 상가주택 또는 빌딩이 아닌 단독형 건물은 그 용도에 따라 주택용 혹은 창고용 등으로 구분된다.
주택용 건물은 자연 기후로부터 인간을 보호하여 개인이 편안하고 안정되게 쉴 수 있는 주거용도를 고려하여 설계되고, 창고용 건물은 물품의 보관 및 하역과 출고, 배송 기능을 수행하는 물류창고의 역할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그런데, 주택용 건물인 아파트나 연립주택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면적에 따라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주택이 완성된 이후에도 면적 및 천장높이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머물게 되는 방문자를 위해 필요 이상의 넓은 면적으로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을 짓는 경우 그에 따른 세금 부담은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는 해당 주택 내에 거주하는 실거주자 위주로 설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주거용 건물의 경우 일시적으로 머물게 되는 방문자 또는 이용자를 고려하여 내부 공간을 늘릴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의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321420000(2012.03.26)호에는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플레이트(11)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의 양측단에 각각 서로 마주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2)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플레이트(13)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플레이트(14)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측면플레이트(12)와 상기 지붕플레이트(14)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벽체(20)와; 상기 슬라이딩벽체(20)의 일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플레이트(11)와 마주되는 후방벽체(30)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13)에 일단이 절첩 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회전바닥판(40)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3)는 그 일단에 장홈(13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닥판(40)은 상기 장홈(13)에 삽입되는 결합돌기(41)가 형성된 공간 가변형 건물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13199(2012.10.12)호에는 지면에 설치되어 건물의 바닥부재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연설되어 건물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면벽체 및 보조벽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벽체 구조물의 측면벽체 상단부에 얹혀지는 패널형태로 설치되어 건물의 지붕을 형성하며 패널형태의 지붕을 일부 개방 또는 확장하여 지붕 면적을 증감하는 개폐식 지붕 구조물을 포함하는 가변식 건물을 제공하여, 실내 공간 내부로의 자연 채광이나 환기가 용이하도록 하며 실내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천장이 없는 실외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또는 실내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또는 높이 확장이 가능한 가변식 건물이 공개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18230(1999.06.05)호에는 공동주택의 내부에 설치되던 고정식 벽체의 일부를 해체하고 상기 고정식 벽체에 의해 상부에서 전해지던 수직응력에 대향하도록 바닥하부에 다수의 보를 설치하며, 상기 해체된 고정식 벽체의 자리에 이동식 벽체를 설치하여 거실 또는 방의 크기를 변형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건물구조에 있어서, 건물 바닥(5)과 천정 고정판(11)에 일치되며 일측에 출입문(13)이 설치되는 가변형 가구 칸막이(13)를 설치하고 상기 가변형 가구 칸막이(13)의 최하부로 다수의 이동식 바퀴(14)를 설치하며, 상기 이동식 바퀴(14)에 인접하여 가변형 가구 칸막이(13)를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판(16)을 설치하고 건물의 다용도실(17)의 창틀에 두껍게 보강되는 보강 수직벽(1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4평형이하 건물내부벽체 이동식 가변형 가구칸막이 구조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547410000(2012.06.01)호에는 건물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며, 원하는 건축면적의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부측으로 설치되어 건물의 외관을 이루는 하부 벽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벽체 내측을 따라 지지 및 안내되면서 상,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52068(2012.05.23)호에는 건물 외벽의 벽면에 설치되는 사이드프레임에 격자형태의 센터프레임을 결합하여 커튼월을 구성하되, 상기 센터프레임은 일정간격을 두고 단열재로 서로 연결되는 내측 센터바와 외측 센터바 또는 내측 센터바와 외측 센터바 및 최외측 센터바로 구성하고, 상기 내측 센터바와 외측 센터바 및 최외측 센터바는 고정바와 탈부착바로 형성되어 상기 탈부착바는 고정바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일정간격을 두고 단열재로 서로 연결되는 내측 사이드바와 외측 사이드바 및 내측 사이드바와 외측 사이드바 및 최외측 사이드바로 구성하고, 상기 내측 사이드바와 외측 사이드바 및 최외측 사이드바는 고정바와 탈부착바로 형성되어 상기 탈부착바는 고정바의 일측면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되어, 건물 외벽의 벽면에 밀착되는 상기 내측 사이드바의 상기 고정바 내에는 탄성재가 채워지고, 서로 교차하는 내측 센터바의 고정바 사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며, 상기 내측 센터바와 내측 사이드바의 고정바 사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센터프레임 사이 및 센터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복층유리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내측 센터바와 외측 센터바 및 내측 사이드바와 외측 사이드바, 또는 외측 센터바와 최외측 센터바 및 외측 사이드바와 최외측 사이드바 사이에는 패킹재가 결합된 실외는 물론 실내에서도 복층유리를 교체할 수 있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내진구조 커튼월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321420000(2012.03.26)호 2.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13199(2012.10.12)호 3.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9990018230(1999.06.05)호 4.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547410000(2012.06.01)호 5.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52068(2012.05.23)호
일반적인 주거용 건물의 경우 일시적으로 머물게 되는 방문자 또는 이용자를 고려하여 내부 공간을 늘릴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켜 내부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으며,
지진의 진동에 의해 건물의 변형을 갖어와 건물의 파손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면진설계부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의 제공이 본 발명의 해결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되어 개방된 본체(10)의 측면외부로 이동가능한 이동식건물(2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는 계단식으로 구성된 본체상부(11)와,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개방측면부(19)와, 상기 본체개방측면부(19)의 반대쪽에 설치된 본체출입구(18)와, 내측 천정상부 양측면부에 다수개 이격되어 설치된 천정롤러(15)와, 내측 천정 중앙상부에 횡으로 설치된 피니언기어(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식건물(20)은 상부 중앙부 일측에 설치된 톱니기어(21)와, 사기 톱니기어(21)에 축에 의해 연결된 모터 및 감속기(22)와,
하부 양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이동식건물바퀴(25)와,
측면 일측에 설치된 이동식건물 출입구(28)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면진설계부가 더 구성된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철골조 타워빌딩 아파트는 양산라인 체계로 대량생산 공급하여 현장에서 시공되는 아파트보다 분양가격이 훨신 저렴하며,
거주 실대 생활골간을 창조 환원하여 사용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특별히 방문객이나 손님이 왔을 때 편리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밀어서 바깥으로 돌출시켜서 훌륭한 조망권을 확보하며, 단독주택,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오피스텔, 타워빌딩, 콘도, 호텔, 백화점등에 이용되고 문화공간이 될 수 있어,
공동주택 용지에 사각형의 성냥곽 모양 빌딩을 지양하고 도시계획의 도시미관을 고려하여 안전한 철골조 타워빌딩아파트를 아름답게 건설할 수 있으며,
지진이 일어날 경우, 본 발명의 면진설계부가 진동에 의해 움직여도 이격된 일정간격에 의해 일차 충격을 해소하고,
모래층, 자갈층, 잡석층 및 기초공사용강관파일이 지진에 의해 일부 진동마찰이 발생하여도 각층에서 지진의 진동 마찰을 해소하여 진동마찰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몰탈지지층에 최소한의 지진에 의한 진동마찰을 발생하게 되므로 구조물에 심각한 진동이나 변형을 일으킬 만한 외력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안정성을 상승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상세도
축소된 정단면도(1A), 확장된 정단면도(1B)
도2 본 발명의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평면도
축소된 평면도(2A), 확장된 평면도(2B)
도3 본 발명의 본체 상세도
평면도(3A), 정단면도(3B), 측면도(3C)
도4 본 발명의 이동식 건물 상세도
평면도(4A), 정단면도(4B)
도5 본 발명의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전체도
도6 본 발명의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다른예
본 발명은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되어 개방된 본체(10)의 측면외부로 이동가능한 이동식건물(2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는 계단식으로 구성된 본체상부(11)와,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개방측면부(19)와, 상기 본체개방측면부(19)의 반대쪽에 설치된 본체출입구(18)와, 내측 천정상부 양측면부에 다수개 이격되어 설치된 천정롤러(15)와, 내측 천정 중앙상부에 횡으로 설치된 피니언기어(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식건물(20)은 상부 중앙부 일측에 설치된 톱니기어(21)와, 사기 톱니기어(21)에 축에 의해 연결된 모터 및 감속기(22)와,
하부 양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이동식건물바퀴(25)와,
측면 일측에 설치된 이동식건물 출입구(28)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면진설계부가 더 구성된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원인이 발견한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물리학인 아르키메데스의 지렛대 법칙과 바퀴의 굴림마찰력과 수직항력 물리량 에너지=거리법칙과 m2f=1m2w 면적수평질량 등식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 기본원리를 응용하여 면적공간을 만들어 본 발명을 이루게 하였다.
본 발명의 본체는 일반적인 건물과 같이 주로 재질은 H-빔과 콘크리트몰탈로 구성된 재질이고 이동건물은 본체 내부의 공간에 위치하고,
본체의 일측을 벗어나 외부로 이동가능한 구조이며, 이동건물은 알루미늄 또는 가벼운금속재질 및 강화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면 상부는
Figure pat00001
모양이고, 하부는
Figure pat00002
모양이다. 즉, 상부 일측이 측면에서 볼 때 계단식 형태이다.
본 발명은 완성된 철골조 타워빌딩의 난간 층의 가장자리 탈골조 타워빌딩의 외벽기둥으로부터 돌출된 층 가장자리의 철골조 난간대 바닥과
본체의 상부 한계단 꺽인 모양의 높은 부위가 수평이 되게끔 타워크레인으로 철골조 타워빌딩의 기둥에 닿게 하여 살며시 내려 놓는다. 수평이 되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
시공된 철공조 타워빌딩의 최고 상단의 층까지 본체를 수직수평으로 계속 쌓아올려서 최종 마무리 되면 철골조타워빌딩 아파트를 시공할 수도 있다,
이는 모양이 원형이므로 도시미관도 아름답다.
본 발명은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되어 개방된 본체(10)의 측면외부로 이동가능한 이동식건물(2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면진설계부(B)가 더 추가된 구조이다.
본 발명의 본체(10)의 상부를 계단식으로 설치한 것은 계단식 상부에 유틸리티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부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건물(2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가벼운 재질 알루미늄, 이나 가벼운 합성금속재질 또는 특수고강도합성수지재질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건물(20)은 도1,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랙기어와 본체건물의 내측 천정 상부 중앙부에 피니언기어를 설치하였고, 이동시 마찰을 최소화 하기위하여, 이동식건물(20)의 바닥 양측면부에 다수개의 바퀴와 본체 천정 양측면부에 다수개의 천정롤러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면진설계부(B)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부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몰탈지지층(100)와, 상기 콘크리트몰탈지지층(100)의 하부에 설치된 모래층(200)과, 상기 모래층의 하부에 설치된 자갈층(300)과, 상기 자갈층 하부에 설치된 잡석층(400)과, 상기 잡석층(4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기초공사용강관파일(500)로 시공하여,
지진이 일어날 경우, 면진설계부(B)의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콘크리트몰탈지지층(100)이 토양(A)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시공하므로서,
면진설계부(B)가 진동에 의해 움직여도 이격된 일정간격에 의해 일차 충격을 해소하고,
각각의 모래층(200)과, 자갈층(300), 잡석층(400) 및 기초공사용강관파일(500)이 지진에 의해 일부 진동마찰이 발생하여도 각층에서 지진의 진동 마찰을 해소하여 진동마찰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몰탈지지층(100)에 최소한의 지진에 의한 진동마찰을 발생하게 되므로 구조물에 심각한 진동이나 변형을 일으킬 만한 외력이 발생하지 않게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상세도, 축소된 정단면도(1A), 확장된 정단면도(1B), 도2 본 발명의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평면도, 축소된 평면도(2A), 확장된 평면도(2B), 도3 본 발명의 본체 상세도, 평면도(3A), 정단면도(3B), 측면도(3C), 도4 본 발명의 이동식 건물 상세도, 평면도(4A), 정단면도(4B)
도5 본 발명의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전체도
도6 본 발명의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본체(10), 본체상부(11), 피니언기어(13), 천정롤러(15), 본체출입구(18), 본체측면개방부(19), 이동식건물(20), 톱니기어(21), 모터 및 감속기(22), 이동식건물바퀴(25), 이동식건물 출입구(28), 콘크리트몰탈지지층(100), 모래층(200), 자갈층(300), 잡석층(400), 초공사용강관파일(500),토양(A), 면진설계부(B)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의 구조는 도1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되어 개방된 본체(10)의 측면외부로 이동가능한 이동식건물(2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면진설계부(B)가 더 추가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도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구성된 본체상부(11)와, 일측면이 개방된 본체개방측면부(19)와, 상기 본체개방측면부(19)의 반대쪽에 설치된 본체출입구(18)와, 내측 천정상부 양측면부에 다수개 이격되어 설치된 천정롤러(15)와, 내측 천정 중앙상부에 횡으로 설치된 피니언기어(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식건물(20)은 도1,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중앙부 일측에 설치된 톱니기어(21)와, 사기 톱니기어(21)에 축에 의해 연결된 모터 및 감속기(22)와, 하부 양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이동식건물바퀴(25)와,
측면 일측에 설치된 이동식건물 출입구(28)로 구성되고,
상기 면진설계부(B)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부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몰탈지지층(100)와, 상기 콘크리트몰탈지지층(100)의 하부에 설치된 모래층(200)과, 상기 모래층의 하부에 설치된 자갈층(300)과, 상기 자갈층 하부에 설치된 잡석층(400)과, 상기 잡석층(4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기초공사용강관파일(500)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사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1A 및 도2A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되어 개방된 본체(10)의 측면외부로 이동가능한 이동식건물(2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 및 감속기(22)를 수동 또는 리모콘등으로 작동시키면, 톱니기어(21)가 회전되고, 상기 톱니기어(21)는 본체(10)의 내측 천정 중앙상부에 횡으로 설치된 피니언기어(13)를 따라 안내되고,
이때, 내측 천정상부 양측면부에 다수개 이격되어 설치된 천정롤러(15)에 의해 이동식건물(20)의 상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또 이동식건물(20)의 하부 양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이동식건물바퀴(25)에 의해 이동식건물(20)의 하부 마찰을 최소화 하면서, 본체(10)의 개방된 본체개방측면부(19)로 이동식건물(20)이 이동되며, 일정간격으로 이동식건물(20)이 이동되면, 모터 및 감속기(22)를 수동 또는 리모콘등으로 정지시켜, 공간이 확보된 본체(10)와 이동식건물(20)을 이용하고,(도1B 및 도2B 참고)
또 원위치 시킬 경우에는 상기 동작을 역으로 작동시켜, 원위치 시켜, 내부공간을 축소시켜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간편한 사용방법인 것이다.
본체(10), 본체상부(11), 피니언기어(13), 천정롤러(15), 본체출입구(18), 본체측면개방부(19),이동식건물(20), 톱니기어(21), 모터 및 감속기(22), 이동식건물바퀴(25), 이동식건물 출입구(28), 콘크리트몰탈지지층(100), 모래층(200), 자갈층(300), 잡석층(400), 기초공사용강관파일(500), 토양(A), 면진설계부(B)

Claims (3)

  1. 건물을 건축하는 방법으로 본체에서 이동식 건물이 돌출하고 상기 이동식 건물을 원위치 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이동식 건물이 상기 본체 내부에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를 수직수평으로 쌓아올려 원형철골조 타워빌딩을 건축하는데 있어서,
    완성된 철골조 타워빌딩의 난간 층의 가장자리 철골조 난간대 바닥과 본체의 상부 한계단 꺽인 모양의 높은 부위가 수평이 되게끔 타워크레인으로 상기 철골조 타워빌딩의 외벽기둥에 상기 본체를 닿게 하여 내려 놓는 점; 그리고
    상기본체에서 상기 이동식 건물이 돌출 원위치 시키는 방법을 물리학인 아르키메데스의 지렛대 법칙과 바퀴의 굴림마찰력과 수직항력 물리량 에너지=거리법칙과 m2f=1m2w 면적수평질량 등식을 이용한 점;
    을 포함하는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2. 제 1항에 있어서
    완성된 철골조 타워빌딩과 본체와 이동식 건물로 건축되는 특징이 있는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3. 제 1항에 있어서
    면진장치가 형성되는 방법은 최하부 지층에 파일이 형성되고 상기 파일위 일정 두께의 잡석층이 형성되고 상기 잡석층 위에 일정 두께의 자갈층이 형성되고 상기 자갈층 위에 일정 두께의 모래층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는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KR1020180031953A 2018-03-20 2018-03-20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KR20180035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953A KR20180035748A (ko) 2018-03-20 2018-03-20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953A KR20180035748A (ko) 2018-03-20 2018-03-20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591 Division 2016-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748A true KR20180035748A (ko) 2018-04-06

Family

ID=6197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953A KR20180035748A (ko) 2018-03-20 2018-03-20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574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159B1 (ko) * 2018-10-30 2019-05-15 김종식 공간확장 컨테이너
WO2019190107A1 (ko) 2018-03-28 2019-10-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KR102040110B1 (ko) 2019-02-19 2019-11-05 최병구 건축 내장 공사용 가변형 칸막이
KR20200062834A (ko) 2018-11-27 2020-06-04 이재민 확장형 간이주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107A1 (ko) 2018-03-28 2019-10-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KR101979159B1 (ko) * 2018-10-30 2019-05-15 김종식 공간확장 컨테이너
KR20200062834A (ko) 2018-11-27 2020-06-04 이재민 확장형 간이주택
KR102040110B1 (ko) 2019-02-19 2019-11-05 최병구 건축 내장 공사용 가변형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5748A (ko) 실내공간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가변식 건물
US20150252558A1 (en) Waffle box building technology
US4586299A (en) Building system of interconnected block elements
US10400439B2 (en) Transformable house
KR101909136B1 (ko) 조립식 전원주택 시공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조립식 전원주택
AU2013293648A1 (en) Waffle box building technology
JP5508566B2 (ja) コンクリート・コンテナハウスの建築施工方法
KR102235527B1 (ko) 이동식 주택
CN206016415U (zh) 一种新型房屋
US10487527B2 (en) Tornado proof housing
JP2011241569A (ja) 建築物の改築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改築された建築物
JP6538551B2 (ja) 防災シェルター及び該防災シェルターの構築方法
JP3227567U (ja) 目地枠利用のレンガ積み、ブロック積み構造物
BRPI1103773A2 (pt) processo construtivo de unidades modulares e unidades modulares assim obtidas
WO2018007910A1 (en) Wall module
JP7316526B2 (ja) 高低差敷地の収納構造及び建物
JP5305612B2 (ja) 建物
JP4822985B2 (ja) 建築物
RU42562U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WO2017134241A1 (en) Method of assembling a residential structure
Nordin Durable Temporality-design and temporality in modular architecture
CN106522632B (zh) 横置半蜂巢结构抗震应急房及其施工方法
WO2012018243A8 (es) Sistema constructivo de edificaciones modulares de uso y aplicación múltiples
JP2767779B2 (ja) 蔵型収納付き建物
CN204299208U (zh) 移动集成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