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527B1 - 이동식 주택 - Google Patents

이동식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527B1
KR102235527B1 KR1020190091902A KR20190091902A KR102235527B1 KR 102235527 B1 KR102235527 B1 KR 102235527B1 KR 1020190091902 A KR1020190091902 A KR 1020190091902A KR 20190091902 A KR20190091902 A KR 20190091902A KR 102235527 B1 KR102235527 B1 KR 102235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wall plate
floor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826A (ko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김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연 filed Critical 김호연
Publication of KR2020001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2Base structures or suppor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being la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주택을 이루는 구조물을 컴팩트하게 모듈화하고, 운반 및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동식 주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정 프레임부와, 바닥 프레임부와, 한쌍의 측면 프레임부와, 전면 프레임부 및 후면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주택본체; 상기 천정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한쌍의 측면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주택본체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노피본체; 상기 주택본체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주택{Movable house}
본 발명은 이동식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식 주택을 이루는 구조물을 컴팩트하게 모듈화하고, 운반 및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동식 주택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주택은 수요가 많은 장소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일반 건축물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 간이 건축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주택에 대한 예로는 컨테이너 하우스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컨테이너 하우스는 공장에서 만들어진 후 원하는 곳에 옮겨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별도로 조립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컨테이너 하우스는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작된 다음 차량에 의해 이송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에 의해 운반 가능한 크기와 형태로 그 크기와 높이에 제약이 있다.
또한, 종래 이동식 주택은 지반이 평평한 수평 상태에서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반이 평평하지 않은 장소에서는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10-1043059호 (발명의 명칭 :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등록공고일 : 2011.06.21)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식 주택을 이루는 구조물을 컴팩트하게 모듈화하고, 운반 및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동식 주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은, 바닥 프레임부와 천정 프레임부 및 상기 천정 프레임부와 상기 바닥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벽체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주택본체; 상기 천정 프레임부 및 상기 벽체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주택본체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노피본체; 및 상기 주택본체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벽체 프레임부는,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상기 천정 프레임부를 연결하되, 평판 구조를 이루는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와, 절곡 형상되며 상기 벽체 프레임부의 코너 부분에 배치되는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벽체 플레이트; 및 이웃하는 상기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를 연결하거나, 상기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와 상기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부의 둘레에는,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하부 고정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천정 프레임부의 둘레에는,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고정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 프레임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측면 고정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에 있어서, 상기 천정 프레임부에는,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을 포함한 상기 천정 프레임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배수용 경사부가 구비되는 데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프레임 또는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에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자성이 생성되는 강자성(Ferromagnetism)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벽체 플레이트에는, 상기 강자성 체결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금속성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성 결합부가 상기 강자성 체결부에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삽입 프레임에 상기 측면 고정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은, 상기 천정 프레임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수직결합부; 상기 수직결합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직절곡부의 수직방향 길이는 상기 수직결합부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유닛은, 상기 주택본체의 상부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의 상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 및 상기 주택본체의 하부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의 하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슬라이딩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은, 상기 천정 프레임부상에 설치되되, 상기 천정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제1 가이드롤러; 및 일측은 상기 제1 가이드롤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노피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이동유닛은, 상기 캐노피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캐노피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2 가이드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를 상기 바닥 프레임부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가이드 고정부; 및 상기 캐노피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제2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택은, 이동식 주택을 이루는 구조물을 컴팩트하게 모듈화하고, 운반 및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택은, 주택본체에 캐노피본체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각 슬라이딩 이동유닛에 의해 주택본체로부터 캐노피본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실내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택은, 기초콘크리트부에 기초철골 프레임유닛이 구비된 것에 의해 경사진 지반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택본체 및 캐노피본체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택은, 미리 시공된 구조체를 현장에서 간단한 조립과 설비공사 및 마감만으로 시공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공정을 줄이고 건축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본체의 각 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측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면 마감 플레이트가 설치된 주택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택본체를 평면 상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 프레임부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택본체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기초철골 프레임유닛이 설치된 기초콘크리트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지면에 기초철골 프레임유닛이 설치된 기초콘크리트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본체의 각 프레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측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면 마감 플레이트가 설치된 주택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은 주택본체(2000)와, 캐노피본체(3000)와, 슬라이딩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택본체(2000)는 바닥 프레임부(2500)와 천정 프레임부(2100) 및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와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를 연결하는 벽체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 프레임부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와 전면 프레임부(2800) 및 후면 프레임부(2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노피본체(3000)는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캐노피본체(3000)는 상기 주택본체(200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캐노피본체(3000)는 상기 주택본체(2000)에 대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실내 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택본체(2000)의 일측에 간이 수영장이나 데크 등이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간이 수영장이나 데크 방향으로 상기 캐노피본체(3000)를 이동시키게 되면 간이 수영장이나 데크에 그늘막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유닛은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4000)과 제2 슬라이딩 이동유닛(5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4000)은 상기 주택본체(2000)의 상부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상부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4000)은 제1 가이드(4100)와, 제1 가이드롤러(4200) 및 제1 회전축(4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4100)는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상에 설치되되,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제1 가이드롤러(4200)는 상기 제1 가이드(4100)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4100)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1 회전축(4300)은 일측이 상기 제1 가이드롤러(42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롤러(4200)를 설치하기 위한 제1 설치공간부(310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4000)은 제1 베어링 블록(4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 블록(4400)은 상기 제1 회전축(4300)의 일측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설치공간부(3100)의 내벽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1 설치공간부(3100)상에 상기 제1 베어링 블록(4400)이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1 설치공간부(3100)상에서 상기 제1 회전축(4300)이 상기 제1 설치공간부(3100)에 간섭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40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주택본체(2000)의 상부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상부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슬라이딩 이동유닛(5000)은 상기 주택본체(2000)의 하부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하부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슬라이딩 이동유닛(5000)은 제2 가이드(5100)와, 제2 가이드 고정부(5200) 및 제2 가이드롤러(5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5100)는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2 가이드 고정부(5200)는 제2 가이드(5100)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고정부(5200)는 상기 제2 가이드(5100)가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이드 고정부(5200)는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4 체결부재(C4)를 통해 바닥 측면 플레이트(2510)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체결부재(C4)는 후술하는 제1 측면 하부 플레이트(2318)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바닥 측면 플레이트(2510)상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2 가이드롤러(5300)는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5100)를 따라 이동된다.
한편,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하부에는 상기 제2 가이드(5100)를 설치하기 위한 제2 설치공간부(320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슬라이딩 이동유닛(50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주택본체(2000)의 하부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하부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4000)을 통해 상기 주택본체(2000)의 상부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상부가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이동유닛(5000)을 통해 상기 주택본체(2000)의 하부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하부가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상기 주택본체(2000)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300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는 상기 주택본체(2000)의 천정을 이룬다.
이러한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는 천정 측면 플레이트(2110)와, 천정 석고보드층(2120)과, 천정 합판층(2130)과, 천정 제1 단열재(2140)와, 천정 제1 지지부재(2150)와, 천정 제2 단열재(2160)와, 천정 제3 단열재(2180)와, 천정 제2 지지부재(2190) 및 천정 마감 플레이트(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정 측면 플레이트(2110)는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천정 석고보드층(2120)은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다.
즉, 상기 천정 석고보드층(2120)은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의 하부를 마감하는 천정 하부 마감재인 것이다.
이때, 상기 천정 하부 마감재로는 천정 석고보드층(2120)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석재패널층, 나무층, 도배층, 아트월층 등 다양한 마감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천정 합판층(2130)은 상기 천정 석고보드층(21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천정 합판층(2130)으로는 나무 입자를 방수성 수지와 함께 강하게 압착시킨 O.S.B(Oriented Strand Board)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O.S.B(Oriented Strand Board)는 주로 내ㆍ외부 벽체나 천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얇은 두께를 가진 나무 입자를 방수성 수지와 함께 강하게 압착한 제품으로 패널의 강도와 안정성을 극대화시킨 제품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정 합판층(2130)은 O.S.B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로 페놀(Phenol)이나 멜라민(Melamin), 요소(Urea) 수지 등의 방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킨 방수합판 또는 내수합판 및 준내수합판과 방수 필름을 붙인 TEGO 합판(Phenolic Film Plywoo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는 상기 천정 합판층(2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로는 발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는 상기 주택본체(2000) 내부의 열이 천정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는 외부의 열이 천정을 통해 상기 주택본체(200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천정 제1 지지부재(2150)는 상기 천정 측면 플레이트(2110)의 일측면과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천정 제1 지지부재(2150)는 각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정 제1 지지부재(2150)는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가 상기 천청 프레임부(2100)상에서 고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천정 제1 지지부재(2150)는 제1 체결부재(C1)에 의해 후술하는 제1 측면 상부 플레이트(2317)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체결부재(C1)가 상기 제1 측면 상부 플레이트(2317)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천정 제1 지지부재(2150)에 관통되어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와 나사결합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부재(C1)에 의해 상기 천정 제1 지지부재(2150)를 매개로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가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상에서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는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로는 스티로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는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를 통과한 열이 천정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2차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는 외부의 열이 천정을 통해 상기 주택본체(200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2차적으로 차단한다.
이때,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는 제2 체결부재(C2)에 의해 상기 천정 측면 플레이트(21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체결부재(C2)가 상기 제1 측면 상부 플레이트(2317)에 관통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천정 측면 플레이트(2110)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와 나사결합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체결부재(C2)에 의해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가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상에서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는 제1 메쉬부재(2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쉬부재(2170)는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천정 제3 단열재(2180)는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천정 제3 단열재(2180)로는 상기 천정 제1 단열재(2140)와 동일하게 발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정 제3 단열재(2180)는 상기 천정 제2 단열재(2160)를 통과한 열이 천정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종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천정 제3 단열재(2180)는 외부의 열이 천정을 통해 상기 주택본체(200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천정 제2 지지부재(2190)는 천정 제3 단열재(218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천정 제3 단열재(218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천정 제2 지지부재(2190)는 상기 천정 제1 지지부재(2150)와 동일하게 각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정 마감 플레이트(2200)는 상기 천정 제2 지지부재(2190) 및 상기 천정 제3 단열재(218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천정 마감 플레이트(2200)는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의 상부를 마감한다.
이때, 상기 천정 마감 플레이트(2200)로는 강철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는 상기 천정 마감 플레이트(2200)의 일측단부에 함몰 형성된 배수홈부(2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홈부(2210)는 상기 천정 마감 플레이트(2200)로 떨어지는 빗물이나 눈이 쌓여 녹은 물이 이동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는 상기 주택본체(2000)의 양측면을 이루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는 제1 측면 프레임부(2310) 및 상기 제1 측면 프레임부(2310)에 대해 반대측에 설치되는 제2 측면 프레임부(2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프레임부(2310)는 복수의 제1 측면 프레임(2311)과, 제1 측면 상부 플레이트(2317)와, 제1 측면 하부 플레이트(2318)와, 제1 측면 제1 단열재(2312)와, 제1 측면 중간 플레이트(2313)와, 제1 측면 제2 단열재(2314)와, 제1 측면 합판층(2315) 및 제1 측면 석고보드층(23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측면 프레임(2311)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부(2310)상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측면 상부 플레이트(2317)는 상기 복수의 제1 측면 프레임(231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의 일측면과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면 상부 플레이트(2317)는 상기 제2 체결부재(C2)를 매개로 상기 천정 측면 플레이트(2110)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측면 하부 플레이트(2318)는 상기 복수의 제1 측면 프레임(2311)의 하측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바닥 프레임부(2500)의 일측면과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면 하부 플레이트(2318)는 후술하는 제4 체결부재(C4)를 매개로 후술하는 바닥 측면 플레이트(2510)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측면 제1 단열재(2312)는 상기 복수의 제1 측면 프레임(231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측면 제1 단열재(2312)로는 발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제1 단열재(2312)는 후술하는 제1 측면 제2 단열재(2314)를 통과한 열이 측면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종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 제1 단열재(2312)는 외부의 열이 측면을 통해 상기 주택본체(200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제1 측면 중간 플레이트(2313)는 상기 제1 측면 제2 단열재(2314)의 내측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제1 측면 제2 단열재(2314)와 상기 제1 측면 제1 단열재(2312) 사이가 구획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측면 중간 플레이트(2313)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측면 상부 플레이트(2317)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 중간 플레이트(2313)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측면 하부 플레이트(2318)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측면 중간 플레이트의 상하단부가 상기 제1 측면 상부 플레이트(2317) 및 상기 제1 측면 하부 플레이트(2318)에 걸리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측면 중간 플레이트(2313)의 이후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상기 측면 프레임부(2300)상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부(2300)의 외측으로 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측면 중간 플레이트(2313)로는 강철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제2 단열재(2314)는 상기 제1 측면 중간 플레이트(2313)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측면 제2 단열재(2314)로는 스티로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제2 단열재(2314)는 상기 주택본체(2000) 내부의 열이 측면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는 1차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1 측면 제2 단열재(2314)는 외부의 열이 측면을 통해 상기 주택본체(200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제1 측면 합판층(2315)은 상기 제1 측면 제2 단열재(2314)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측면 합판층(2135)으로는 앞서 상술한 천정 합판층(2130)과 동일하게 나무 입자를 방수성 수지와 함께 강하게 압착시킨 O.S.B(Oriented Strand Boar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석고보드층(2316)은 상기 제1 측면 합판층(2135)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측면 석고보드층(2316)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부(2310)의 내측을 마감한다.
상기 제2 측면 프레임부(2320)는 상기 제1 측면 프레임부(2310)의 구조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는 상기 주택본체(2000)의 바닥을 이룬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는 바닥 측면 플레이트(2510)와, 바닥 마루층(2520)과, 바닥 합판층(2530)과, 바닥 제1 단열재(2540)와, 바닥 제2 단열재(2560)와, 바닥 제3 단열재(2580)과 바닥 제2 지지부재(2590) 및 바닥 마감 플레이트(2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측면 플레이트(2510)는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바닥 마루층(2520)은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의 상부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바닥 마루층(2520)은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의 상부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바닥 마루층(2520)은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의 상부를 마감하는 바닥 상부 마감재일 수 있다.
이때, 바닥 마루층(2520)은 상기 주택본체(2000)의 실내 마루이며, 상기 바닥 마루층(2520)으로는 사용자의 취양에 따라 나무마루층, 대리석층 등 다양한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 합판층(2530)은 상기 바닥 마루층(25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바닥 합판층(2530)은 앞서 상술한 천정 합판층(2130)과 동일하게 나무 입자를 방수성 수지와 함께 강하게 압착시킨 O.S.B(Oriented Strand Boar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는 상기 바닥 합판층(2530)의 하층에 배치된다.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는 히팅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는 상기 주택본체(2000)의 바닥 난방을 위한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히팅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주택본체(2000)의 바닥에 열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는 상기 주택본체(2000) 내부의 열이 바닥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바닥 제1 지지부재(2550)는 상기 바닥 측면 플레이트(2510)의 일측면과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의 일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바닥 제1 지지부재(2550)는 천정 제1 지지부재(2150)와 동일하게 각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제1 지지부재(2550)는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가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상에서 고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바닥 제1 지지부재(2550)는 제3 체결부재(C3)에 의해 상기 제1 측면 하부 플레이트(2318)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체결부재(C3)는 상기 제1 측면 하부 플레이트(2318)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바닥 제1 지지부재(2550)에 관통하여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와 나사결합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체결부재(C3)에 의해 상기 바닥 제1 지지부재(2550)를 매개로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가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상에서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닥 제2 단열재(2560)는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바닥 제2 단열재(2560)로는 스티로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제2 단열재(2560)는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를 통과한 열이 바닥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2차적으로 차단한다.
이때, 상기 바닥 제2 단열재(2560)는 제4 체결부재(C4)에 의해 상기 바닥 측면 플레이트(25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체결부재(C4)가 상기 제1 측면 하부 플레이트(2318)에 관통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바닥 측면 플레이트(2510)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바닥 제2 단열재(2560)와 나사결합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체결부재(C2)에 의해 상기 바닥 제2 단열재(2560)가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상에서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닥 제3 단열재(2580)는 상기 바닥 제2 단열재(256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바닥 제3 단열재(2580)로는 상기 바닥 제1 단열재(2540)와 동일하게 발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제3 단열재(2580)는 상기 바닥 제2 단열재(2560)를 통과한 열이 바닥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종적으로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 따른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는 제2 메쉬부재(2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쉬부재(2570)는 상기 바닥 제2 단열재(256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 제2 단열재(256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 제2 지지부재(2590)는 바닥 제3 단열재(258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 제3 단열재(258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바닥 제2 지지부재(2590)는 상기 바닥 제1 지지부재(2550)와 동일하게 각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 마감 플레이트(2600)는 상기 바닥 제2 지지부재(2590) 및 상기 바닥 제3 단열재(258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의 상부를 마감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 마감 플레이트(2600)로는 강철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택본체(2000)는 외측면 마감 플레이트(2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 마감 플레이트(2700)는 상기 복수의 제1 측면 프레임(2311)의 외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외측면 마감 플레이트(2700)는 상기 천청 프레임부(2100)와, 상기 한쌍의 측면 프레임부 및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의 외측면을 마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측면 마감 플레이트(2700)는 상기 외측면 마감 플레이트(2700)의 테두리 영역으로부터 내부 영역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 마감 플레이트(2700)의 테두리 영역으로부터 내부 영역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은, 사용자가 상기 주택본체(2000)의 외관을 보았을 때, 시각적으로 요트 형상의 주택을 연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택본체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택본체를 평면 상에서 바라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체 프레임부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택본체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추가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택본체(700)는 바닥 프레임부(2500)와, 천정 프레임부(2100) 및 벽체 프레임부(7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의 둘레에는 하부 고정프레임(7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프레임(7400)에는 후술되는 벽체 플레이트(720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프레임(7400)은 바닥 프레임부(2500)의 둘레 측면에 결합되는 하부 수직결합부(7410), 상기 하부 수직결합부(741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벽체 플레이트(7200)의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하부 수평연장부(7420), 및 상기 하부 수평연장부(7420)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수직절곡부(7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의 둘레에는 상부 고정프레임(7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7500)에는 벽체 플레이트(720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7500)은 천정 프레임부(2100)의 둘레 측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직결합부(7510), 상기 상부 수직결합부(75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벽체 플레이트(7200)의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상부 수평연장부(7520), 및 상기 상부 수평연장부(7520)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수직절곡부(7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프레임(7400) 및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7500)은 바닥 프레임부(2500) 및 천정 프레임부(2100) 각각에 용접 또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공장에서 미리 일체로 결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벽체 프레임부(71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와 마찬가지로, 제1 측면 프레임부, 제2 측면 프레임부, 전면 프레임부 및 후면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제1 측면 프레임부, 제2 측면 프레임부, 전면 프레임부 및 후면 프레임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벽체 프레임부(7100)의 조립 시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벽체 프레임부(7100)는 벽체 플레이트(7200) 및 삽입 프레임(7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 플레이트(7200)는 상기 바닥 프레임부(2500)와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세 구성에 있어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제1 측면 프레임부(2310: 도 4 참조)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벽체 플레이트(7200)는 복수의 벽체 플레이트(720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웃하는 벽체 플레이트(7200)는 삽입 프레임(730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벽체 플레이트(7200)는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7210) 및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7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7210)는 평판 구조를 이루며 벽체 프레임부(7100)의 대부분의 측면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는 제1 측면 프레임부 및 제2 측면 프레임부 각각에 배치된 삽입 프레임(730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마주하는 전면 프레임부 및 후면 프레임부 각각에 배치된 삽입 프레임(730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7220)는 수직으로 절곡 형상되며 벽체 프레임부(7100)의 코너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7210)를 통해 커버되지 못한 벽체 프레임부(7100)의 나머지 코너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프레임부(7100)는 상기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7210) 및 상기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7220)의 수량 및 크기에 따라 원하는 주택본체(7000)의 크기를 현장에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프레임(7300)은 바닥 프레임부(2500) 및 천정 프레임부(2100)를 연결하도록 수직 설치되는 동시에 이웃하는 상기 벽체 프레임부(71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 프레임(7300)은 이웃하는 상기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7210)를 연결할 수 있고, 혹은 상기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7210)와 상기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7220)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삽입 프레임(7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는 제1 측면 프레임부 및 제2 측면 프레임부 각각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2개의 삽입 프레임(7300)이 배치되어 있고, 마주하는 전면 프레임부 및 후면 프레임부 각각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2개의 삽입 프레임(7300)이 추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4개의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7210)와 4개의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7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 프레임(7300)은 바닥 프레임부(2500)에 일체로 결합된 것일 수 있고,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프레임(7300)은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벽체 플레이트(7200)에는 측면 고정프레임(720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고정프레임(7201)은 벽체 플레이트(7200)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되거나 양 측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고정프레임(7201)은 공장에서 벽체 플레이트(7200)의 제작 시 미리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고정프레임(7201)에는 삽입 프레임(7300)의 일부분이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프레임(7300)의 반단면에 해당하는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일측에 개방된 'ㄷ' 자 단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택본체(7000)는 벽체 라인을 따라 상기 삽입 프레임(7300) 및 상기 벽체 플레이트(7200)를 순차적으로 연결해 가면서 벽체 프레임부(7100)를 전개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택본체(7000)의 시공 과정을 설명해 보면, 우선 미리 시공된 바닥 프레임부(2500)의 코너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삽입 프레임(7300)을 수직으로 먼저 조립 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삽입 프레임(7300)의 사이에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7220)를 먼저 조립 시공한다. 이때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7220)는 하단부가 하부 고정프레임(7400)에 삽입되고, 양 측면 고정프레임(7201)이 삽입 프레임(7300)에 결합된 가 조립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7220)를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삽입 프레임(7300) 및 벽체 플레이트(7200)를 번갈아가면서 전개식으로 조립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전개식 조립 시공 과정에서 하부 고정프레임(7400) 상에서 벽체 플레이트(7200)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벽체 플레이트(7200)의 위치 이동 및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위치 등의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벽체 플레이트(7200)를 하부 고정프레임(7400)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삽입 프레임(7300)에 벽체 플레이트(7200)의 측면 고정프레임(7201)이 자연스레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부 고정프레임(7400)에는 강자성(Ferromagnetism) 체결부재(74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벽체 플레이트(7200)에는 상기 강자성 체결부재(7450)와 결합되게 상기 강자성 체결부재(7450)와 대응하게 형성되는 금속성 결합부(72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자성 체결부재(7450)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자성이 생성되는 강자성 소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강자성 소재는 평소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는 자성이 띄지 않다가,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면 자성을 띄게 되고, 이후 외부 자기장이 소멸되더라도 자성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강자성 소재로는 철, 니켈, 코발트가 이용되거나 산화철, 산화크롬, 페라이트 등의 금속 산화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혹은 영구자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강자성 체결부재(7450) 및 상기 금속성 결합부(7203)는, 미리 설정된 위치 즉, 하부 고정프레임(7400)과 벽체 플레이트(7200)가 최종 조립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결국 하부 고정프레임(7400) 상에 안착된 벽체 플레이트(720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벽체 플레이트(7200)의 측면 고정프레임(7201)이 삽입 프레임(7300)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금속성 결합부(7203)와 상기 강자성 체결부재(7450)는 자력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하부 고정프레임(7400) 상에서 삽입 프레임(7300) 및 벽체 플레이트(7200)의 결합이 완료된 다음, 삽입 프레임(7300)과 벽체 플레이트(7200) 및 하부 고정프레임(7400) 간에 추가적으로 스크류,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7600)을 이용하여 결합력을 보강한 상태로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벽체 프레임부(7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천정 프레임부(2100)를 시공하게 되는데, 천정 프레임부(2100)의 둘레에 구비된 상부 고정프레임(7500)에 벽체 프레임부(710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프레임(7400)과 달리, 상부 고정프레임(7500)을 구성하는 상부 수직결합부(7510)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상부 수직절곡부(7530)의 수직방향 길이가 짧게 배치되어도 좋다. 왜냐하면 벽체 플레이트(7200)의 상단부를 향해 천정 프레임부(21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부 고정프레임(7500)의 내측으로 벽체 플레이트(7200)를 한 번에 삽입하기보다는, 벽체 플레이트(7200)의 상단부를 상부 수직결합부(7510)의 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천정 프레임부(2100)의 지지력을 제거하면 천정 프레임부(2100)는 자연스레 벽체 플레이트(72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천정 프레임부(2100)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 벽체 프레임부(7100)와 상부 고정프레임(7500) 간에 추가적으로 스크류,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7600)을 이용하여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천정 프레임부(2100)에는 상부 고정프레임(7500)을 포함한 천정 프레임부(2100)을 덮도록 구비되는 데크부(7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크부(7700)의 상부면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수용 경사부(77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크부(7700)의 상부면에 쌓이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택본체(7000)의 조립 시공이 수행된 다음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벽체 프레임부(7100), 바닥 프레임부(2500), 및 천정 프레임부(2100)의 내, 외측면에 대해 마감부재를 추가 시공하는 것으로, 주택본체(7000)에 대한 조립 시공을 최종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은 바닥수납박스(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수납박스(B)는 상기 주택본체(2000)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지반에 설치되거나 지반에 매설될 수 있다.
상기 바닥수납박스(B)에는 상기 주택본체(2000)의 실내에 배치된 장치들과 연결되는 배관들, 실외기, 정화조 등과 같은 제품들이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기초철골 프레임유닛이 설치된 기초콘크리트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지면에 기초철골 프레임유닛이 설치된 기초콘크리트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초철골 프레임유닛(6000)이 더 포함된 것이 제시된다.
상기 기초철골 프레임유닛(6000)에는 상기 주택본체(2000) 및 상기 캐노피본체(30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초철골 프레임유닛(6000)는 경사진 지반에 대해 상기 주택본체(2000) 및 상기 캐노피본체(30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초콘크리트부(1000)는 상기 경사진 지반에 대해 일부는 상기 경사진 지반의 내부에 매설되고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기초철골 프레임유닛(6000)은 상기 기초콘트리트부(1000)상에 설치되어 경사진 지반에서 상기 주택본체(2000) 및 상기 캐노피본체(3000)가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기초철골 프레임유닛(6000)은 베이스 철골프레임(6100)과, 제1 철골프레임(6200)과, 제2 철골프레임(6300) 및 와이어부재(6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철골프레임(6100)은 상기 기초콘크리트부(1000)의 내부에 매설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철골프레임(6100)은 상기 기초콘크리트부(1000)와 함께 후술하는 제1 철골프레임(6200)을 지지한다.
상기 제1 철골프레임(6200)은 상기 베이스 철골프레임(610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기초콘크리트부(10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철골프레임(6200)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제시되고 있으나, 상기 제1 철골프레임(6200)은 상기 주택본체(2000)의 외관 형상에 따라 원형, 삼각, 다각틀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철골프레임(6200)은 상기 주택본체(200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복수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철골프레임(6300)은 상기 제1 철골프레임(6200)의 중앙역역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철골프레임(6300)은 상기 경사진 지반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철골프레임(6300)은 상기 경사진 지반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주택본체(2000)의 일부분 또는 상기 캐노피본체(30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철골프레임(6300)이 상기 제1 철골프레임(6200)과 동일하게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제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2 철골프레임(6300)은 상기 주택본체(2000) 및 상기 캐노피본체(3000)의 외관 형상에 따라 원형, 삼각, 다각틀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와이어부재(6400)는 상기 제1 철골프레임(6200) 및 상기 제2 철골프레임(6300)의 내측에 배치되되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재(6400)는 상기 제1 철골프레임(6200) 및 상기 제2 철골프레임(6300)의 강성이 증대되게 한다.
상기 와이어부재(6400)는 와이어 턴버클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주택은 기초콘크리트부(1000)에 상기 기초철골 프레임유닛(6000)이 구비됨으로써, 경사진 지반에서 상기 주택본체(2000) 및 상기 캐노피본체(30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0: 기초콘크리트부 2000,7000: 주택본체
2100: 천정 프레임부 2500: 바닥 프레임부
3000: 캐노피본체 4000: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
5000: 제2 슬라이딩 이동유닛 6000: 기초철골 프레임유닛
7100: 벽체 프레임부 7200: 벽체 플레이트
7210: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 7220: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
7300: 삽입 프레임 7400: 하부 고정프레임
7500: 상부 고정프레임

Claims (6)

  1. 바닥 프레임부와 천정 프레임부 및 상기 천정 프레임부와 상기 바닥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벽체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주택본체;
    상기 천정 프레임부 및 상기 벽체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주택본체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노피본체; 및
    상기 주택본체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 프레임부는,
    상기 바닥 프레임부와 상기 천정 프레임부를 연결하되, 평판 구조를 이루는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와, 절곡 형상되며 상기 벽체 프레임부의 코너 부분에 배치되는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벽체 플레이트; 및
    이웃하는 상기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를 연결하거나, 상기 평판형 벽체 플레이트와 상기 절곡형 벽체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 플레이트는 측면에 상기 삽입 프레임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측면 고정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프레임부은 둘레에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하부 고정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 고정프레임은, 상기 바닥 프레임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하부 수직결합부와, 상기 하부 수직결합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하부 수평연장부와, 상기 하부 수평연장부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수직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정 프레임부은 둘레에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고정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은, 상기 천정 프레임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직결합부와, 상기 상부 수직결합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두께와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상부 수평연장부와, 상기 상부 수평연장부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상부 수직결합부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짧은 수직방향 길이를 가지는 상부 수직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수평연장부 및 상기 상부 수평연장부에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자성이 생성되는 강자성(Ferromagnetism)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수평연장부와 대향하는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상부 수평연장부와 대향하는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강자성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금속성 결합부가 구비되며,
    미리 설치된 상기 삽입 프레임에 상기 벽체 플레이트의 측면 고정프레임을 삽입하면, 상기 강자성 체결부재와 상기 금속성 결합부가 서로 접촉되어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프레임부에는,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을 포함한 상기 천정 프레임부를 덮도록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배수용 경사부가 구비되는 데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유닛은,
    상기 주택본체의 상부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의 상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 및
    상기 주택본체의 하부에 대해 상기 캐노피본체의 하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슬라이딩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이동유닛은,
    상기 천정 프레임부상에 설치되되, 상기 천정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제1 가이드롤러; 및 일측은 상기 제1 가이드롤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노피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이동유닛은,
    상기 캐노피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캐노피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2 가이드의 일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를 상기 바닥 프레임부의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가이드 고정부; 및 상기 캐노피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제2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KR1020190091902A 2018-08-14 2019-07-29 이동식 주택 KR102235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4923 2018-08-14
KR1020180094923 2018-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826A KR20200019826A (ko) 2020-02-25
KR102235527B1 true KR102235527B1 (ko) 2021-04-05

Family

ID=6964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902A KR102235527B1 (ko) 2018-08-14 2019-07-29 이동식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9696A1 (en) * 2023-05-31 2023-11-02 Bayat Vahid Construction of a foldable house for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 storm, and flo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13Y1 (ko) * 1997-04-01 1999-10-15 강신규 조립식 벽체
KR100704237B1 (ko) * 2006-08-09 2007-04-09 이정의 조립식 컨테이너 하우스
KR101637960B1 (ko) * 2015-10-23 2016-07-08 디노스틸 주식회사 이동식 하우스
WO2018088581A1 (ko) * 2016-11-10 2018-05-17 송종운 이동식 주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59B1 (ko) 2008-08-19 2011-06-21 유한회사 우리목재산업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
KR20120076981A (ko) * 2010-12-30 2012-07-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축물의 일체형 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613Y1 (ko) * 1997-04-01 1999-10-15 강신규 조립식 벽체
KR100704237B1 (ko) * 2006-08-09 2007-04-09 이정의 조립식 컨테이너 하우스
KR101637960B1 (ko) * 2015-10-23 2016-07-08 디노스틸 주식회사 이동식 하우스
WO2018088581A1 (ko) * 2016-11-10 2018-05-17 송종운 이동식 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826A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5101C2 (ru) Дом-контейнер с устойчивой конструкцией
US7712265B2 (en) Special cement-like coated mobile building and process to manufacture
US20160040443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MX2013003931A (es) Sistema de construccion modular.
KR20140128424A (ko) 높이 조절 가능한 선적 컨테이너 건축 구조물을 위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를 성형하기 위한 예비성형 거푸집
EP3258021A1 (en) Construction module and modular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one or more of said construction modules
US10400439B2 (en) Transformable house
US20070130841A1 (en) Construction module system and method
KR102235527B1 (ko) 이동식 주택
KR101381408B1 (ko) 조립주택 구조물과 이것을 이용한 조립주택 시공방법
CA2822963C (en) Prefabricated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S9133633B2 (en) Modular insulated scaffold wall system
US11118343B2 (en) Architectural structure
KR100803766B1 (ko) 조립형 이동식 건물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KR200425116Y1 (ko) 조립식 컨테이너 교실
KR101684417B1 (ko) 조립식 주택용 조립 판재
JP2012193608A (ja) コンクリート・コンテナハウスの建築施工方法
KR102164638B1 (ko) 스티로폼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JP639944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KR101086060B1 (ko) 조립식 건축모듈
KR101980665B1 (ko) 도어설치용 모듈러 유닛구조
AU2008352422A1 (en) A transportable building including a roof structure for stacking of multiple buildings
WO2018007910A1 (en) Wall module
KR20180066343A (ko) 경량 간막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