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159B1 -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 - Google Patents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159B1
KR100714159B1 KR1020060137779A KR20060137779A KR100714159B1 KR 100714159 B1 KR100714159 B1 KR 100714159B1 KR 1020060137779 A KR1020060137779 A KR 1020060137779A KR 20060137779 A KR20060137779 A KR 20060137779A KR 100714159 B1 KR100714159 B1 KR 100714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fabricated
container
container house
lif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종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권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권혁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Priority to KR102006013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에 관한 것으로서, 직사각형 박스형상으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며 수직으로 위치된 고정판재들(111); 상기 고정판재들(111)과 만나면서 콘테이너의 상면 및 저면을 형성하는 상면 및 저면판재들(114,115); 상기 상면 판재(114)의 양측에 각각의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며 수직으로 위치된 가동판재들(120,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동판재, 고정판재, 콘테이너

Description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Prefabricated Extendable Container House using a Lif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동판재들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동판재들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가동판재들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동판재들이 더욱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확장된 가동판재의 노출된 측면이 마무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동판재들의 상면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가동판재들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수평 및 수직상태의 판재들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가동판재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부분에 격자 형태로 설치 된 봉부재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가동판재들을 봉부재들이 설치된 상태에서 노출된 측면을 마감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콘테이너하우스
111: 수직판재
114: 상면판재
115: 저면판재
120,130: 가동판재
122: 지지봉
본 발명은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의 일부 대향하는 측면들 중 긴폭 방향의 측면 판재들이 미닫이문 형태로 장착되어 필요시 가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테이너 전체의 내장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테이너는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서 한정된 용량의 물건을 저장할 수 있어서 확장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콘테이너는 직사각형 형태의 몸체의 일측면만이 가동판재로 구성되어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구조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콘테이너는 적재할 수 있는 용량이 한정되어 있기때문에, 만약 1 대 분량이 콘테이너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또 다른 콘테이너를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테이너는 짐을 싣는데 주로 사용되어 일반 주거용으로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콘테이너의 구조를 개량하여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 판재들을 가동판재로 제작함으로써 기존 고정된 수직판재 및 상 및 하면판재들을 기반으로 콘테이너의 내부 면적을 더욱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콘테이너의 구조를 개량하여 주거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상으로 확장가능한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에 있어서, 직사각형상몸체의 6면 판재들 중 적어도 한 쌍의 마주하는 판재들은 확장가능한 가동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판재들은 상기 콘테이너하우스의 가로방향 양측에 여닫이식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판재들은 적어도 두 겹 이상의 판재들이 겹쳐져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들은 측면끼리 만나면서 위치되고 만나는 부위가 경첩에 의해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포개어진 다층구조의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재들 중 일부는 상면, 일부는 측면, 일부는 저면을 형성하여 저면 판재는 상기 6면 판재들 중 고정된 저면판재들과 만나서 확장된 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판재들의 각각의 양측면과 판재들 중 수직하는 판재들의 내측면에 지지봉들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직사각형 박스형상으로 확장가능한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며 수직으로 위치된 고정판재들; 상기 고정판재들과 만나면서 콘테이너의 상면 및 저면을 형 성하는 상면 및 저면판재들; 상기 상면 판재의 양측에 각각의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며 수직으로 위치된 가동판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동판재들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가동판재들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가동판재들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동판재들이 더욱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확장된 가동판재의 노출된 측면이 마무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는 대략 직사각형상이며, 직사각형상몸체의 6면 판재들 중 적어도 한 쌍의 마주하는 판재들은 확장가능한 가동판재(12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판재(120,130)들은 상기 콘테이너하우스(100)의 가로방향 양측에 복수개의 경첩들(113a)을 매개로 여닫이식으로 장착된다.
참조부호 111은 콘테이너하우스(100)의 직사각형 몸체의 6면 판재들중 전면 및 후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고정형 수직판재들을 나타내며, 창문(111a)을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112는 콘테이너하우스(100)의 직사각형 몸체의 각각의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기둥들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112a는 상기 수직기둥들(112)와 만나는 수평기둥들(110,113,116)이 연결되는 모서리연결부재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14,115는 직사각형 몸체의 6면판재들 중 상면 및 저면 판재들을 나나타낸다.
참조부호 128 및 138은 확장된 측면공간을 마무리하여 폐쇄하기 위한 수직판재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판재들(120,130)을 제외한 나머지 판재들은 고정판재들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콘테이너하우스(100)에 있어서, 가동판재(120,130)들의 각각의 양측면과 상기 고정판재(111)들의 내측면은 리프트시스템용 지지대(122)들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리프트시스템용 지지대(122)는, 보통 차량에서 많이 쓰이는 가스 리프트 어셈블리 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지지대가 다른 지지대내에 삽입된 상태로 있다가 확장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며, 출입구(문)을 적은 힘을 사용해서 개방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방시 상방으로 미는 힘을 작용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동판재(120,130)들이 하방으로 내려갈 때는 다시 삽입되면서 길이가 줄어드는 구조로 가동판재(120,130)들이 닫히게 된 다. 상기 리프트시스템용 지지대(122)의 자세한 내부구성은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가동판재(120,130)들은 적어도 두 겹 이상의 판재들(121,123,125,131,133,135)이 겹쳐져서 이루어지며, 상기 판재들은 측면끼리 만나면서 위치되고 만나는 부위가 경첩에 의해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포개어져 다층구조(수직 및 수평판재들을 포함)의 판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판재들 중 일부는 창문(123a)과 출입문(123b)이 설치된다.
상기 판재들 중 일부는 상면, 일부는 측면, 일부는 저면을 형성하여 저면 판재는 상기 6면 판재들 중 고정된 저면판재들과 만나서 확장된 저면을 형성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가능한 콘테이너하우스(100)는 도 1의 실시예에와 유사하며, 다만 차이점은 더욱 더 넓게 확장된 콘테이너 하우스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접혀졌던 가동판재들(120,130)중 일부 판재들(121,124,131,134)이 각각 상면판재(114)의 양측면으로부터 거의 같은 높이로 연속하여 2장씩 배치되도록 펼쳐져 있다. 이로 인해 콘테이너 내부는 더욱 확장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동판재(120,130)들의 최종 연결부분인 수직판재(126,136)들이 수직하게 하방으로 펼쳐진다.
상기 가동판재(120,130)들의 펼쳐진 연장부분 중 일부는 다수개의 수직기둥(181)들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직판재(126,136)들과 저면판재(116)의 측면사이에는 다수개의 가로 및 세로 부재((183,185)들에 의해 격자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인해 노출된 벽면 및 저면들은 마감부재(도시안됨) 및 수직판재(129,139)들에 의해 마감 처리된다.
참조부호 126a,126b는 상기 판재에 설치된 창문과 출입문을 나타낸다.
상기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에 의하면, 종래 공간이 한정되어 있던 콘테이너 구조에 비해 공간이 확장가능하여 주거공간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확장된 공간은 각각의 수직부재에 출입문과 창문을 구비하여 실제 거주공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휴식공간으로도 다양하게 활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직사각형상으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에 있어서,
    직사각형상몸체의 6면 판재들 중 적어도 한 쌍의 마주하는 판재들은 확장가능한 가동판재(120,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
  2. 직사각형 박스형상으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며 수직으로 위치된 고정판재들(111);
    상기 고정판재들(111)과 만나면서 콘테이너의 상면 및 저면을 형성하는 상면 및 저면판재들(114,115);
    상기 상면 판재(114)의 양측에 각각의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며 수직으로 위치된 가동판재들(120,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재(120,130)들은 상기 콘테이너하우스(100)의 가로방향 양측에 여닫이식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재(120,130)들은 적어도 두 겹 이상의 판재들이 겹쳐져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들은 측면끼리 만나면서 위치되고 만나는 부위가 경첩에 의해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포개어진 형태의 다층구조의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들 중 일부는 상면, 일부는 측면, 일부는 저면을 형성하여 저면 판재는 상기 6면 판재들 중 고정된 저면판재들과 만나서 확장된 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들 중 일부는 상면을 일부는 측면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출입문과 창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재(120,130)들의 각각의 양측면은 고정 판재들의 내측면에 리프트시스템용 지지대(122)들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재(120,130)들의 각각의 양측면과 상기 고정판재(111)들의 내측면에 리프트시스템용 지지대(122)들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100).
KR1020060137779A 2006-12-29 2006-12-29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 KR10071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779A KR100714159B1 (ko) 2006-12-29 2006-12-29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779A KR100714159B1 (ko) 2006-12-29 2006-12-29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159B1 true KR100714159B1 (ko) 2007-05-11

Family

ID=3826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779A KR100714159B1 (ko) 2006-12-29 2006-12-29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15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557B1 (ko) 2008-09-03 2009-04-24 홍경삼 양측 폴딩형 컨테이너
KR100894556B1 (ko) 2008-09-03 2009-04-24 홍경삼 확장형 컨테이너
CN102191816A (zh) * 2011-04-07 2011-09-21 苏运升 集装箱式房屋
KR101132142B1 (ko) * 2011-06-10 2012-04-05 박준호 공간 가변형 건물
CN104790526A (zh) * 2015-03-24 2015-07-2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八研究所 一种多维自动化扩展方舱
KR101637960B1 (ko) 2015-10-23 2016-07-08 디노스틸 주식회사 이동식 하우스
CN111631153A (zh) * 2020-07-08 2020-09-08 中国农业大学 一种模块化集装箱组合猪舍
CN113175745A (zh) * 2021-03-11 2021-07-27 浙江中创节能科技有限公司 装配式智能高效能源站通用平台及制造方法
WO2023064919A1 (en) * 2021-10-15 2023-04-20 Gti Ip Corp. An expandable shelter
US11846108B2 (en) 2020-02-10 2023-12-19 Beverly Pearce Convertible shipping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280A (ko) * 2005-04-04 2006-10-11 빈창호 접철식 컨테이너 하우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5280A (ko) * 2005-04-04 2006-10-11 빈창호 접철식 컨테이너 하우스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557B1 (ko) 2008-09-03 2009-04-24 홍경삼 양측 폴딩형 컨테이너
KR100894556B1 (ko) 2008-09-03 2009-04-24 홍경삼 확장형 컨테이너
CN102191816A (zh) * 2011-04-07 2011-09-21 苏运升 集装箱式房屋
KR101132142B1 (ko) * 2011-06-10 2012-04-05 박준호 공간 가변형 건물
CN104790526A (zh) * 2015-03-24 2015-07-2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八研究所 一种多维自动化扩展方舱
CN104790526B (zh) * 2015-03-24 2017-03-0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八研究所 一种多维自动化扩展方舱
KR101637960B1 (ko) 2015-10-23 2016-07-08 디노스틸 주식회사 이동식 하우스
US11846108B2 (en) 2020-02-10 2023-12-19 Beverly Pearce Convertible shipping container
CN111631153A (zh) * 2020-07-08 2020-09-08 中国农业大学 一种模块化集装箱组合猪舍
CN113175745A (zh) * 2021-03-11 2021-07-27 浙江中创节能科技有限公司 装配式智能高效能源站通用平台及制造方法
WO2023064919A1 (en) * 2021-10-15 2023-04-20 Gti Ip Corp. An expandable she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159B1 (ko) 리프트시스템을 이용한 조립식 확장형 콘테이너하우스
KR0153278B1 (ko) 컨테이너형태의 이동식 구조물부재
US20170297768A1 (en) Vertical and Horizontal Simultaneously and Selectively Expandable Structure
US20030051417A1 (en) Containerized habitable structures
JP2010203224A (ja) 移動可能組立コンテナハウス
CA2649795A1 (en) A building
AU2011226892B2 (en) Rapid Deployment Modular Structures
KR20190070013A (ko) 접이식 건축 구조물
US10279956B1 (en) Vertical and horizontal simultaneously and selectively expandable structure
JP6989301B2 (ja) パネル積載ユニット
KR840002059A (ko) 운송 조립용 규격 건물세트
KR20110101484A (ko) 이동식 확장 쉘터
KR100674129B1 (ko) 용적가변형 구조물
JP2007170150A (ja) 切妻屋根を備えた折畳み構造物
KR200476136Y1 (ko) 현관문 설치형 택배함
CN101588980B (zh) 电梯控制盘
US20110185645A1 (en) Mobile building
KR102409558B1 (ko) 단면확장이 가능한 모듈러 인필박스
JP6491845B2 (ja) 組立家屋の連結方法
JP2016069849A (ja) 組立家屋
JP4031797B2 (ja) 建物
US20220220722A1 (en) Folding Roof Component
JP7176851B2 (ja) 建物の壁構造
JP3170465U (ja) 納骨堂
JP3113636U (ja) 壁に備え付けの収納庫の開口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