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706B1 -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706B1
KR102064706B1 KR1020190059357A KR20190059357A KR102064706B1 KR 102064706 B1 KR102064706 B1 KR 102064706B1 KR 1020190059357 A KR1020190059357 A KR 1020190059357A KR 20190059357 A KR20190059357 A KR 20190059357A KR 102064706 B1 KR102064706 B1 KR 10206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bar
plate
protective pl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최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190059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출입문의 상부에 보호판이 구비되도록 하여 출입문을 통한 출입시, 우수 등을 포함하는 방해물로 인한 출입의 불편함을 방지하는 한편, 보호판이 접이 가능하도록 하여 미사용시에 따른 정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PREFABRICATED MODULE HOUSING OF CONTAINER TYPE}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출입문의 상부에 보호판이 구비되도록 하여 출입문을 통한 출입시, 우수 등을 포함하는 방해물로 인한 출입의 불편함을 방지하는 한편, 보호판이 접이 가능하도록 하여 미사용시에 따른 정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구조물은 화물 운송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박스에 출입문과 창문을 형성하여 공사현장의 사무소나 관리부스와 같은 임시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구조물은 단가가 저렴하고 시공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부스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개가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사무나 생활이 가능하도록 전기, 수도 또는 가스가 공급되어 주거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25847호(2016.05.31.)에는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은 출입문으로의 출입시, 우수 등에 그대로 노출되면서 출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5847호(2016.05.31.)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출입문의 상부에 보호판이 구비되도록 하여 출입문을 통한 출입시, 우수 등을 포함하는 방해물로 인한 출입의 불편함을 방지하는 한편, 보호판이 접이 가능하도록 하여 미사용시에 따른 정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입문(111)이 구비되는 컨테이너(11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100)에 있어서, 보호판(120); 상기 출입문(1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호판(120)의 일단부를 상기 컨테이너(110)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30); 및 상기 컨테이너(110)로부터 펴진 상태의 상기 보호판(120)을 지지하는 지지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판(120)은, 펴짐시, 타단부가 전방을 향하면서 외부로부터 상기 출입문(111)으로 접근하는 방해물을 차단하는 한편, 미사용시, 펴진 상태로부터 타단부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접이되면서 상기 컨테이너(110)의 상부로 안착되며 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컨테이너(11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고정돌기(141); 상기 보호판(120)이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바(142); 및 상기 지지바(142)를 상기 고정돌기(141)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바(142)는, 일단부가 상기 보호판(120)에 연결되는 제1지지바(142a);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지지바(142a)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결속부재(143)가 구비되는 제2지지바(142b)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바(142b)는, 타단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142c)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143)는,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2지지바(142b)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되, 일단부에 상기 홈부(142c)로 결합되는 플랜지(143a)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2지지바(142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한편,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141)로 결합되거나, 상기 고정돌기(14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돌기(14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14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돌기(141)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판(120)이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보호판(120)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확장판(150); 상기 확장판(150)을 상기 보호판(120)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160); 상기 보호판(120)으로부터 상기 확장판(150)을 지지하는 지지판(170); 및 상기 확장판(150)을 잠금하여 외력에 의한 회전이나 흔들림을 방지하는 잠금수단(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수단(180)은, 자석(181)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170)과 보호판(120)이 서로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호판(120)은,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면에 상기 확장판(150)이 수용되는 수용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21)으로 수용된 상기 확장판(150)을 결속하는 결속수단(1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수단(190)은 자석(191)으로 이루어져 수용홈(121)을 이루는 내측면과 상기 확장판(150)이 서로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출입문의 상부에 보호판이 구비됨으로써 출입문을 통한 출입시, 우수 등을 포함하는 방해물로 인한 출입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판이 접이 가능함으로써 미사용시에 따른 정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에서 컨테이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에서 보호판이 펴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결속부재와 고정돌기 간의 결속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보호판이 접이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보호판이 펴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확장판이 펴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이하 "모듈주택"이라 한다)(100)은 출입문(111)이 구비되는 컨테이너(110)를 포함하는 모듈주택(100)으로써, 보호판(120), 출입문(1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보호판(120)의 일단부를 컨테이너(110)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30) 및 보호판(120)을 지지하는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1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며, 창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출입문(111)은 컨테이너(110)의 전,후면이나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모듈주택(100)은 도 1에 도시돤 바와 같이컨테이너(110)가 복수 연결되면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보호판(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 형태를 이루며 출입문(111)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외부로부터 출입문(111)으로 접근하는 방해물을 차단한다.
방해물은 우수나 눈은 물론, 햇빛 등이 될 수 있다.
즉, 보호판(120)은 방해물이 출입문(111)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출입문(111)을 통한 출입자의 출입이 불편하지 않도록 한다.
절첩부재(130)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호판(120)의 후단부를 컨테이너(110)의 상부면 전방부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한다.
보호판(120)은 컨테이너(110)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미사용시, 절첩부재(130)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컨테이너(110)의 상부로 안착된다.
이로 인해, 보호판(12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 컨테이너(110)로 접이된 상태로부터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펴지는 한편,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출입문(111)으로 접근하는 방해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보호판(120)은 미사용시, 펴진 상태로부터 타단부가 상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컨테이너(110)로 접이되면서 미사용에 따른 정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40)는 컨테이너(11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고정돌기(141), 보호판(120)이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보호판(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바(142) 및 지지바(142)를 고정돌기(141)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143)를 포함한다.
지지바(142)는 일단부가 보호판(120)에 연결되는 제1지지바(142a) 및 일단부가 제1지지바(142a)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결속부재(143)가 구비되는 제2지지바(142b)를 포함한다.
지지바(142)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바(142a)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지지바(142b)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ㄴ'자 형태를 이룬다.
제1지지바(142a)는 일단부가 보호판(120)에 힌지결합되고, 제2지지바(142b)는 일단부가 제1지지바(142a)의 타단부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는, 보호판(120)의 변형 등에 따른 수평상태의 유지가 어려운 경우 등에 따라 제2지지바(142b)의 타단부와 고정돌기(141)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속부재(143)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관 형태를 이루면서 제2지지바(142b)의 타단부 외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속부재(143)는 일단부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143a)가 형성되고, 제2지지바(142b)는 타단부에 플랜지(143a)가 결속부재(14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부(142c)가 형성된다.
결속부재(143)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43a)가 홈부(142c)로 결합되면서 제2지지바(142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한편, 이동에 따라 고정돌기(141)로 결합되거나 고정돌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42c)는 결속부재(143)가 제2지지바(142b)의 일단부 방향으로 인입시, 제2지지바(142b)의 타단부보다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부재(143)는 인출시, 제2지지바(142b)의 타단부보다 돌출되면서 고정돌기(141)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돌기(14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속부재(14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고정돌기(141)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속부재(143)는 보호판(120)이 펴진 상태에서 고정돌기(141)로 나사결합되면서 보호판(120)의 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고정돌기(141)로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풀림되면서 보호판(120)이 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바(142)는 손 등으로의 파지를 통해 보호판(120)에 대한 접이 또는 펴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지지바(1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120)이 컨테이너(11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 다시 말하면, 접이된 상태에서 파지를 통해 당김에 따라 보호판(120)에 대한 펴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142)는 보호판(120)이 펴진 상태에서 파지를 통해 가압함에 따라 보호판(120)에 대한 접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등은 별도의 사다리 등을 사용하여 지면 등으로부터 올라 선 상태에서 지지바(142)에 대한 파지를 통해 보호판(120)에 대한 접힘 또는 펴짐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모듈주택(100)은 보호판(120)이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보호판(120)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확장판(150), 확장판(150)을 보호판(120)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160), 보호판(120)으로부터 확장판(150)을 지지하는 지지판(170) 및 확장판(150)을 잠금하여 외력에 의한 회전이나 흔들림을 방지하는 잠금수단(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판(150)은 보호판(120)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방해물에 대한 차단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확장판(150)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태양의 위치 변화 등에 따라 보호판(120)으로부터 전방으로 펴지면서 출입문(111)이나 출입문(111)의 주변으로 그늘이 생기도록 하거나, 보호판(120)의 상부로 접이되면서 정리될 수 있다.
연결부재(160)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확장판(150)의 일단부 상측을 보호판(120)의 타단부 상측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한다.
지지판(170)은 보호판(120)의 전단부 하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펴진 상태의 확장판(1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잠금수단(18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81)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판(170)과 보호판(120)이 서로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된다. 자석(181)은 일정 자력을 가지면서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확장판(150)이 흔들리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확장판(150)은 지지판(170)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잠금수단(180)에 의해 지지판(17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판(150)은 미사용시, 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보호판(120)의 상부로 안착되면서 정리될 수 있다.
보호판(120)은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면에 확장판(150)이 수용되는 수용홈(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주택(100)은 수용홈(121)으로 수용된 확장판(150)을 결속하는 결속수단(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수단(19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9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홈(121)을 이루는 내측면과 확장판(150)이 서로 접하는 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듈주택(100)은 컨테이너(110)에 구비되는 출입문(111)의 상부에 보호판(120)이 구비됨으로써 출입문(111)을 통한 출입시, 우수 등을 포함하는 방해물로 인한 출입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보호판(120)이 접이 가능함으로써 미사용시에 따른 정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모듈주택 110 : 컨테이너
111 : 출입문 120 : 보호판
121 : 수용홈 130 : 절첩부재
140 : 지지부 141 : 고정돌기
142 : 지지바 142a : 제1지지바
142b : 제2지지바 142c : 홈부
143 : 결속부재 143a : 플랜지
150 : 확장판 160 : 연결부재
170 : 지지판 180 : 잠금수단
181 : 자석 190 : 결속수단
191 : 자석

Claims (7)

  1. 출입문(111)이 구비되는 컨테이너(11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100)에 있어서,
    보호판(120);
    상기 출입문(11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호판(120)의 일단부를 상기 컨테이너(110)에 접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30); 및
    상기 컨테이너(110)로부터 펴진 상태의 상기 보호판(120)을 지지하는 지지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판(120)은,
    펴짐시, 타단부가 전방을 향하면서 외부로부터 상기 출입문(111)으로 접근하는 방해물을 차단하는 한편, 미사용시, 펴진 상태로부터 타단부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접이되면서 상기 컨테이너(110)의 상부로 안착되며 정리되고,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컨테이너(11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고정돌기(141);
    상기 보호판(120)이 펴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보호판(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바(142); 및
    상기 지지바(142)를 상기 고정돌기(141)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결속부재(143)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14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14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돌기(141)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42)는,
    일단부가 상기 보호판(120)에 연결되는 제1지지바(142a);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지지바(142a)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결속부재(143)가 구비되는 제2지지바(142b)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바(142b)는,
    타단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142c)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143)는,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2지지바(142b)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되, 일단부에 상기 홈부(142c)로 결합되는 플랜지(143a)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2지지바(142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한편,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141)로 결합되거나, 상기 고정돌기(14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9357A 2019-05-21 2019-05-21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KR102064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57A KR102064706B1 (ko) 2019-05-21 2019-05-21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57A KR102064706B1 (ko) 2019-05-21 2019-05-21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706B1 true KR102064706B1 (ko) 2020-01-10

Family

ID=6915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357A KR102064706B1 (ko) 2019-05-21 2019-05-21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7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142B1 (ko) * 2011-06-10 2012-04-05 박준호 공간 가변형 건물
KR101185514B1 (ko) * 2009-12-29 2012-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양막을 가지는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514B1 (ko) * 2009-12-29 2012-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양막을 가지는 승강장치
KR101132142B1 (ko) * 2011-06-10 2012-04-05 박준호 공간 가변형 건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818A (en) Collapsible structure having compact shipping properties
US6722315B2 (en) Self-storing wall-mounted pet enclosure
US10753079B2 (en) Collapsible pop-up structure for the rapid erection of shelters
US10392828B2 (en) Rapidly deployable modular shelter system
US3394961A (en) Collapsible camper
US20140150343A1 (en) Telescoping security wndow
KR102064706B1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KR20060105280A (ko) 접철식 컨테이너 하우스
KR200482354Y1 (ko) 접이식 어닝 텐트
KR20140013626A (ko) 차량용 텐트
NL8204033A (nl) Overkapping.
US20050263091A1 (en) Door-attached pet enclosure apparatus
CA2364313A1 (en) Collapsible structure for patios and driveways
KR20220076754A (ko) 컨테이너 주택
KR102011977B1 (ko) 절첩식 출입문용 하우스
KR200204061Y1 (ko) 조립식 주택
KR102464247B1 (ko) 샤워 장치를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GB2195384A (en) Retractable post assembly
GB2291075A (en) Collapsible building structure
KR102177055B1 (ko) 공간 확장형의 다기능 창호
KR102604779B1 (ko) 컨테이너 하우스의 출입문용 접이식 조립현관
BE1018023A3 (nl) Uitbouw voor een gebouw.
KR940006119Y1 (ko) 지프 자동차용 짐받이의 텐트 체결장치
US7159693B2 (en) Window shutter escape ladder
JP2537477Y2 (ja) 出窓付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