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741B1 -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 Google Patents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741B1
KR101154741B1 KR1020080076453A KR20080076453A KR101154741B1 KR 101154741 B1 KR101154741 B1 KR 101154741B1 KR 1020080076453 A KR1020080076453 A KR 1020080076453A KR 20080076453 A KR20080076453 A KR 20080076453A KR 101154741 B1 KR101154741 B1 KR 101154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tructure
wall
height
build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825A (ko
Inventor
이연숙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6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7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1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 관한 것으로, 상부 구조물을 상하로 승강시켜 천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 공간의 일시적인 확장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며, 원하는 건축면적의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부측으로 설치되어 건물의 외관을 이루는 하부 벽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벽체 내측을 따라 지지 및 안내되면서 상,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을 제공하여, 상부 구조물을 필요에 따라 상하로 승강시켜 천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고용이나 주택용 또는 놀이용 건물의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할 수 있게 한다.
천정높이, 상부 구조물, 하부 구조물, 높이 조절, 승강 조작

Description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A Building capable of changing the height}
본 발명은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공기 청정을 위한 자연 환풍, 채광 효과를 높이기 위해, 또는 각종 물건을 좀더 많이 적재하기 위해, 또는 부족한 주거공간을 좀 더 확장하기 위해 천정 높이를 일시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고용이나 주택용 또는 놀이용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하여 효과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이나 상가주택 또는 빌딩이 아닌 단독형 건물은 그 용도에 따라 주택용 혹은 창고용 등으로 구분된다.
창고용 건물은 물품의 보관 및 하역과 출고, 배송 기능을 수행하는 물류창고의 역할을 고려하여 설계되며, 주택용 건물은 자연 기후로부터 인간을 보호하여 개인이 편안하고 안정되게 쉴 수 있는 주거용도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그런데, 주택용 건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그 내부 면적에 따라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고 주택이 완성된 이후에도 천장높이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는 해당 주택 내에 거주하는 실거주자 위주로 설계되는 경우가 대 부분이어서 외부의 방문자에 대한 여유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게 되며, 또한 일시적으로 머물게 되는 방문자를 위해 필요 이상의 넓은 면적으로 주택을 짓거나 그에 따른 세금 부담은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창고용 건물은 천장 높이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지정된 높이 이상으로 건물을 지을 수 없어 물품을 보관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주택용 건물의 경우 일시적으로 머물게 되는 방문자를 고려하여 내부 공간을 늘릴 수 있고 창고용 건물의 경우 천장높이의 제약을 보다 덜 받으면서도 물품 보관을 위한 내부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의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의 벽체 부분을 지반에 지지 및 고정하여 건물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하부 구조물과, 상기 하부 구조물에 지지되는 상태로 승강하는 상부 구조물로 각각 구분하여 설계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을 필요에 따라 상하로 승강시켜 천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고용이나 주택용 또는 놀이용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 벽체의 두 내벽 또는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하부 벽체의 두 외벽에 설치되며 상부 구조물의 승강운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레일의 안내홈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한 안내레일을 구비하는 승강안내장치를 구비하여, 창고용이나 주택용 또는 놀이용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부 구조물의 측면과 하부 구조물의 그 대응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성하고, 각각의 이동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부 구조물의 승강높이에 따라 엑추에이터 제어부에서의 엑추에이터 구동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창고용이나 주택용 또는 놀이용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건물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며, 원하는 건축면적의 바닥부재와 상기 바 닥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부측으로 설치되어 건물의 외관을 이루는 하부 벽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벽체 내측을 따라 지지 및 안내되면서 상,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동작을 지지 및 안내하는 승강안내장치;를 더 포함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서 상부 구조물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의 내측에 밀착되어 삽입되거나 또는 외측에 밀착되어 삽입 가능하도록 하부 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벽체와, 상부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부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건물 공간의 천정을 덮는 지붕과, 상부 벽체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고정 및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일 실시예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서 상부 구조물은, 지붕과, 지붕을 하부 벽체의 내측 또는 외측의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 및 상기 각 지지대의 하단부를 동일 높이에서 수평으로 고정 및 결합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또 다른 실시예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엑추에이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부 구조물의 승강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외부 키입력신호를 발생하여 엑추에이터 제어부로 공급하는 상승/하강 스위치;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인접하게 바닥부재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수평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엑추에이터; 상기 상승/하강 스위치에 의해 입력된 각각의 키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외측과 상기 하부 구조물의 그 대응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감지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이동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부 구조물의 승강높이에 따라 엑추에이터 제어부에서의 엑추에이터 구동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 의하면, 건물의 벽체에 지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 구조물을 설치하여 이 구조물의 승강 높이 조절을 통해 건물의 천정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고용이나 주택용 또는 놀이용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하여 효과적인 공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하부 벽체의 두 내벽 또는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하부 벽체의 두 외벽에 설치되며 상부 구조물의 승강운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레일의 안내홈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한 안내레일을 구비하는 승강안내장치를 구비하여, 보다 견고한, 창고용이나 주택용 또는 놀이용 공간을 일시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의 측면과 하부 구조물의 그 대응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성하고, 각각의 이동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부 구조물의 승강높이에 따라 엑추에이터 제어부에서의 엑추에이터 구동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구조물의 승강높이가 소정 위치까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창고용이나 주택용 또는 놀이용 공간을 일시적으로 소정 위치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조립상태 사시도와 분해상태 사시도로서 하부 벽체와 같은 형상의 상부 구조물(200)이 하부 구조물(100)의 하부 벽체(110)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형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조립상태 사시도와 분해상태 사시도로서 상부 구조물이 다수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하부 구조물(100)의 하부 벽체(110)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형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은 건물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 구조물(100)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200)과, 상부 구조물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높이조절장치(300)와, 상부 구조물의 승강동작을 보조하는 승강안내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하부 구조물(100)은 건물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며, 원하는 건축면적의 바닥부재(120)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물의 외관을 이루는 하부 벽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벽체(110)는 원하는 건축 형태의 외관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건물의 활용 방법에 따라 관리 차원의 배관, 설비 등의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하부 벽체(110)의 두 내벽에는 승강안내장치(400)가 설치된다. 이 승강안내장치(400)는 상부 구조물(200) 의 승강운동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411)이 형성된 지지레일(410)이 상하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구조물(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구조물(100)의 하부 벽체(110)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면서 상,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상부 구조물(200)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벽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상부 벽체(220)와, 상부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부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건물 공간의 천정을 덮는 지붕(210)과, 상부 벽체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고정 및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2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벽체(220)의 양측 외벽, 즉 상기 지지레일(410)이 설치되는 하부 벽체(110)의 대응 위치에도 승강안내장치(400)가 설치된다. 이 승강안내장치(400)는 상기 지지레일(410)의 안내홈(411)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안내레일(420)이 상기 지지레일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와 같은 상부 구조물은, 상기 하부 벽체의 외측에 밀착되어 상기 하부 벽체를 내부 공간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상부 벽체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지지레일(410)은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하부 벽체의 두 외벽에 설치되고 안내레일(420)은 서로 마주보는 상부 벽체의 두 내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상부 구조물에는 다수 개의 측벽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 벽에 창문(24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구조물(200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210)과, 상기 지붕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인접한 두 하부 벽체가 만나는 각 모서리부의 벽체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250)와, 상기 각 지지대의 하단부를 동일 높이에서 수평으로 고정하여 결합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부 구조물(200a)은 수평 프레임(230)에 의해 결합되는 두 지지대(250)의 측면, 즉 상기 지지레일(410)이 설치되는 하부 벽체의 대응 위치에는 상기 지지레일(410)의 안내홈(411)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안내레일(420)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상부 구조물(200a)이 하부 구조물(100)의 하부 벽체(110)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하부 벽체의 내벽을 따라 지지 및 안내되면서 상, 하부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상부 구조물(200a)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인접한 두 하부 벽체가 만나는 각 모서리부의 벽체 외측에 다수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높이조절장치(300)는 하부 구조물(100)의 바닥부재(12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구조물(200,200a)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구조물(200 또는 200a)과 하부 구조물(1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200 또는 200a)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서 상부 구조물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는 높이조절장치의 엑추에이터 구동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높이조절장치(300)는 상부 구조물의 승강 조작을 위한 승강 스위치(310), 바닥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320),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엑추에이터(330), 액추에이터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장치(300)는 상기 승강스위치(310)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상승 동작 및 하강 동작을 각각 조작하기 위한 외부 키입력신호를 발생하여 엑추에이터 제어부(340)로 공급한다. 이 승강 스위치(3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는 그 표현이 생략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부 구조물(100)의 하부 벽체(110)나 커버 부재(37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베이스 부재(320)는 엑추에이터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구조물(100)의 하부 벽체(110)의 내측에 인접하게 바닥 부재(120) 상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도 2 및 도 4에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320)가 상기 하부 구조물(100)의 하부 벽체(110)의 내측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구조물이 하부 구조물의 외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하부 구조물의 바닥부재가 하부 벽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그 돌출된 부분의 바닥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320)가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엑추에이터(330)는 슬라이드식 또는 유압식 엑추에이터 등을 복수 개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320) 위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200 또는 200a)의 수평 프레임(230)의 하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 제어부(340)에서 제공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한다. 이러한 엑추에이터(330)는 하부 구조물(100)과 상부 구조물(200) 사이에 적어도 2개소 이상의 위치, 특히 대향하는 측벽에 각각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각각의 엑추에이터(330)는 상기 엑추에이터 제어부에서 공급되는 하나의 구동신호에 의해 연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상승 또는 하강시 건물의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엑추에이터 제어부(3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승강 스위치(310)에 의해 입력되는 각각의 키입력신호를 입력받고, 그에 대응되는 액추에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엑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엑추에이터 제어부(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동감지센서(350,36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센서 검출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엑추에이터 제어부(340)는 각각의 센서에서 개별적으로 검출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각각의 이동감지센서(350,360)에 의해 검출되는 상부 구조물의 승강높이에 따라 엑추에이터 구동신호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300)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엑추에이터 및 엑추에이터 제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각 부재들을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 측에서 둘러 감싸는 커버(3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높이조절을 위한 부재들이 건물의 내부 공간 또는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서의 상부 구조물 승강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효과를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하는 건축면적의 바닥부재(120)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에서 건물의 외관을 이루도록 하부 벽체(110)를 형성한 하부 구조물(100)을 준비하여 지면에 설치하고, 안내홈(411)이 형성된 다수 개의 지지레일(410)을 하부 벽체(1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의 두 내벽(또는 하부 벽체가 상부 벽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두 외벽이 해당됨)에 상하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 지지레일(410) 하부의 바닥부재(120)에는 베이스 부재(320)를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320) 위에 한 쌍의 엑추에이터(330)를 설치한 그 일단을 베이스 부재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상기 하부 벽체(100)의 내벽(또는 하부 벽체가 상부 벽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두 외벽이 해당됨) 상부와 하부에는 다수 개의 이동감지센서(350)를 수평으로 나란하게 쌍으로 설치하고, 이들 센서가 전기적으로 엑추에이터 제어부(340)와 연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벽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또는 하부 벽체를 내부 공간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의 상부 벽체(220)를 준비하고, 그 상부 벽체의 상단부에 지붕(210)을 결합하여 상부 구조물(200)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 벽체(220)의 양측 외벽(또는 하부 벽체가 상부 벽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는 두 내벽이 해당됨), 즉 상기 지지레일(410)이 설치되는 하부 벽체(110)의 대응 위치에는 안내레일(420)이 대응되게 설치하고 이러한 구조의 상기 상부 구조물의 하단부에는 수평 프레임(230)을 결합한다. 또한 상기 상부 벽체(200)의 외벽(또는 하부 벽체가 상부 벽체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는 두 내벽이 해당됨) 하부에는 다수 개의 이동감지센서(360)를 수평으로 나란하게 쌍으로 설치하고, 이들 센서가 전기적으로 엑추에이터 제어부(340)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하부 구조물(100)의 양측 내벽에 설치된 지지레일(410)의 안내홈(411)에 상부 구조물(200)의 양측 외벽에 설치된 안내레일(420)의 돌기부분을 삽입한 상태로 상부에서 하부로 조립하고, 이러한 조립 동작 도중에 상부 구조물(200)이 하부 구조물(100)의 중간쯤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엑추에이터(330)의 다른 일단을 상기 수평 프레임(230)의 하부에 고정하여 결합함으로써 도 1의 좌측 그림과 같은 형상의 천정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건물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상부 구조물이 최하단에 하강된 상태를 초기상태라 설정함)에서는 하부 벽체(110)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감지센서(350)와 상부 벽체(220)의 이동감지센서(360)가 동작하게 되면서 엑추에이터 제어부(340)에서는 상 부 구조물(200)이 최하단에 하강되어 있는 상태임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 구조물(100)의 하부 벽체(110)나 커버부재(370)에 설치되는 승강 스위치(310)를 눌러 상부 구조물의 상승동작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승강 스위치(310)는 상부 구조물의 상승 동작을 위한 외부 키입력신호를 발생하여 엑추에이터 제어부(340)로 공급한다.
엑추에이터 제어부(340)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스위치(310)에 의한 키입력신호를 받아 상부 구조물(200)의 상승을 위한 엑추에이터 구동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엑추에이터(330)가 연동하면서 상부 구조물(200)의 수평 프레임(230)을 상부로 밀어올려 상부 구조물(200)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승동작을 계속하여 하부 벽체(110) 상부의 이동감지센서(350) 부착위치까지 상부 벽체(220)의 이동감지센서(36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두 센서의 동작으로 엑추에이터 제어부(340)는 상부 구조물(200)이 최상단으로 상승된 상태임을 인식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인식동작에 의해 상기 엑추에이터 제어부(340)는 엑추에이터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상승동작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건물의 천정이 높아지게 되면, 창고용이나 주거용 또는 놀이용 공간의 경우 실내의 공기 청정을 위한 자연 환풍, 채광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청정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될 것이며, 또한 창고용 건물의 경우 각종 물건을 좀더 많이 적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주거용이나 놀이용 공간의 경우 부족한 주거공간 또는 놀이공간을 좀 더 확장할 수 있게 되므로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부 구조물의 하강동작은 상기 상승동작과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부 구조물(200a)의 승강동작은 상부 벽체 대신에 다수의 지지대(250)와 그 상부에 결합된 지붕(210)이 상술한 동작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승강 동작할 수 있게 될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서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상부 구조물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엑추에이터 구동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 구조물 110 : 하부벽체
120 : 바닥부재 140,240 : 창문
150 : 출입문 200,200a: 상부 구조물
210: 지붕 220: 상부벽체
230 : 수평프레임 250 : 지지대
300 : 높이조절장치 310 : 승강스위치
320 : 베이스부재 330 : 엑추에이터
340 : 엑추에이터 제어부 350,360 : 이동감지센서
370 : 커버부재 400 : 승강안내장치
410 : 지지레일 411 : 안내홈
420 : 안내레일

Claims (24)

  1. 건물의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며, 상기 건물의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물벽을 이루는 하부 벽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 벽체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면서 상,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상부 구조물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높이조절장치;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이 겹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동작을 지지 및 안내하는 승강안내장치;를 포함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 벽체의 두 내벽 또는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하부 벽체의두 외벽에 설치되며, 상부 구조물의 승강운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지지레일;
    상기 지지레일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레일의 안내홈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한 안내레일; 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측면과 상기 하부 구조물의 대응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감지센서;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인접하게 바닥부재 상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수평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엑추에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상승 동작 및 하강 동작을 각각 조작하기 위한 외부 키입력신호를 발생하여 엑추에이터 제어부로 공급하는 상승/하강 스위치;
    상기 상승/하강 스위치에 의해 입력된 각각의 키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부 구조물의 승강높이에 따라 상기 엑추에이터 제어부에서의 엑추에이터 구동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4.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엑추에이터 및 엑추에이터 제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 측에서, 둘러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5.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슬라이드식 또는 유압식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6. 삭제
  7. 건물의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며, 상기 건물의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물벽을 이루는 하부 벽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부 벽체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하부 벽체를 따라 지지 및 안내되면서 상,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높이조절장치;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동작을 지지 및 안내하는 승강안내장치;를 포함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 벽체의 두 내벽 또는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하부 벽체의 도 외벽에 설치되며, 상부 구조물의 승강운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지지레일;
    상기 지지레일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레일의 안내홈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한 안내레일; 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외측과 상기 하부 구조물의 대응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감지센서;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인접하게 바닥부재 상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수평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엑추에이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은,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벽체의 내측에 밀착되어 그 하부 벽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상부 벽체와;
    상부 벽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부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건물 공간의 천정을 덮는 지붕과;
    상부 벽체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고정 및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의 상부벽체는,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벽체의 외측에 밀착되어 그 하부 벽체를 내부 공간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10.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은,
    상부 벽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벽면에 창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상승 동작 및 하강 동작을 각각 조작하기 위한 외부 키입력신호를 발생하여 엑추에이어 제어부로 공급하는 상승/하강 스위치;
    상기 상승/하강 스위치에 의해 입력된 각각의 키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이동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부 구조물의 승강높이에 따라 상기 엑추에이터 제어부에서의 엑추에이터 구동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엑추에이터 및 엑추에이터 제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 측에서, 둘러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슬라이드식 또는 유압식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15. 삭제
  16. 건물의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며, 상기 건물의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물벽을 이루는 하부 벽체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하부 벽체를 따라 지지 및 안내되면서 상,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구조물;
    상기 상부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밀착되는 상태로 상기 상부 구조물에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상부 구조물의 외측과 상기 하부 구조물의 그 대응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이동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 높이조절장치;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동작을 지지 및 안내하는 승강안내장치;를 포함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 벽체의 두 내벽 또는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하부 벽체의 도 외벽에 설치되며, 상부 구조물의 승강운동을 지지 및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지지레일;
    상기 지지레일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레일의 안내홈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로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한 안내레일;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은,
    지붕과;
    상기 지붕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인접한 두 하부 벽체가 만나는 각 모서리부의 벽체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의 하단부를 동일 높이에서 수평으로 고정하여 결합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의 다수의 지지대는,
    상기 지붕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하부 구조물의 인접한 두 하부 벽체가 만나는 각 모서리부의 벽체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19. 제17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평프레임은,
    상기 다수의 지지대 중에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2개의 지지대를 하나의 쌍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엑추에이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 구조물의 상승 동작 및 하강 동작을 각각 조작하기 위한 외부 키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상승/하강 스위치;
    상기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에 인접하게 바닥부재 상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수평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엑추에이터;
    상기 상승/하강 스위치에 의해 입력된 각각의 키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감지센서가 상기 상부 구조물의 승강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이동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부 구조물의 승강높이에 따라 엑추에이터 제어부에서의 엑추에이터 구동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엑추에이터 및 수평 프레임이 건물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부재들을 하부 구조물의 하부 벽체 측으로 둘러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슬라이드식 또는 유압식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24. 삭제
KR1020080076453A 2008-08-05 2008-08-05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KR101154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453A KR101154741B1 (ko) 2008-08-05 2008-08-05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453A KR101154741B1 (ko) 2008-08-05 2008-08-05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825A KR20100016825A (ko) 2010-02-16
KR101154741B1 true KR101154741B1 (ko) 2012-06-08

Family

ID=4208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453A KR101154741B1 (ko) 2008-08-05 2008-08-05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7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99Y1 (ko) 2014-08-18 2014-11-05 정동훈 재래식 화장실
KR102633463B1 (ko) * 2022-08-11 2024-02-02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대형 유체 윤활 베어링의 성능시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00B1 (ko) * 2011-08-03 2012-05-02 김선자 입출식 이동 주택
KR101315900B1 (ko) * 2012-06-18 2013-10-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홀인원 가변형 구조물
KR101484192B1 (ko) * 2012-08-13 2015-01-20 한국과학기술원 실시간 임의적 변환이 가능한 초가변형 공간 어셈블리 시스템, 그 시스템을 통한 건물 형성 방법 및 공간 변환 방법
KR101714622B1 (ko) * 2016-04-29 2017-03-09 오정석 재활용이 가능한 상가용 인스톨형 조립식 내부 구조물 유니트 제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675Y1 (ko) * 2004-07-16 2004-10-27 씨티엠(주)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KR100605563B1 (ko) * 2004-06-03 2006-08-01 홍신기 이동식 용적가변형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563B1 (ko) * 2004-06-03 2006-08-01 홍신기 이동식 용적가변형 구조물
KR200365675Y1 (ko) * 2004-07-16 2004-10-27 씨티엠(주)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99Y1 (ko) 2014-08-18 2014-11-05 정동훈 재래식 화장실
KR102633463B1 (ko) * 2022-08-11 2024-02-02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대형 유체 윤활 베어링의 성능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825A (ko)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741B1 (ko)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US20180311826A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ormable living spaces
KR101132142B1 (ko) 공간 가변형 건물
KR101014408B1 (ko) 이동식 주택
KR10218964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동식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113199A (ko) 공간 또는 높이 확장이 가능한 가변식 건물
JP5570294B2 (ja) 建物
KR200407108Y1 (ko) 승·하강가능한 케노피 구조물
CN106284806A (zh) 一种轨道升降式开合屋盖方法
KR101484192B1 (ko) 실시간 임의적 변환이 가능한 초가변형 공간 어셈블리 시스템, 그 시스템을 통한 건물 형성 방법 및 공간 변환 방법
JP6105865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KR101211179B1 (ko) 공간 가변형 발코니
KR200449540Y1 (ko) 슬라이드레일형 프로젝터 리프터
KR100989562B1 (ko) 능동형 방음벽
JP3110707U (ja) リビングの物品収納室
KR101546738B1 (ko) 발코니지붕 개폐장치
CN201923741U (zh) 室内玻璃无障碍升降梯
JP4614874B2 (ja) 建物の壁構造
KR101188656B1 (ko) 주택의 승하강 장치
JP2008231895A (ja) 移動式収納ボックス
JP7040717B2 (ja) 建物
JP397799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1236712A (ja) 建物
WO2020028965A1 (pt) Laje móvel para unidade imobiliária, disposição de laje móvel para unidade imobiliária, unidade imobiliária e conjunto de unidades imobiliárias
JP2022142140A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