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179B1 - 공간 가변형 발코니 - Google Patents

공간 가변형 발코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179B1
KR101211179B1 KR1020100081482A KR20100081482A KR101211179B1 KR 101211179 B1 KR101211179 B1 KR 101211179B1 KR 1020100081482 A KR1020100081482 A KR 1020100081482A KR 20100081482 A KR20100081482 A KR 20100081482A KR 101211179 B1 KR101211179 B1 KR 101211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ace
balcony
predetermined posi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559A (ko
Inventor
이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토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토디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토디앤씨
Priority to KR102010008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1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1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가변형 발코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발코니는 건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공간 가변형 발코니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된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의 바닥면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수평이송수단과, 상기 주몸체의 개방된 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송수단에 상기 주몸체의 개방된 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보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몸체의 바닥면 상부 소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포스트가 상기 주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련되고, 상기 보조몸체의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포스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포스트가 상기 보조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련되며,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이동포스트의 일단부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전면벽부와, 상기 전면벽부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상기 전면벽부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된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일측 양단이 결합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측면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 가변형 발코니{SIZE ADJUSTABLE BALCONY}
본 발명은 공간 가변형 발코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거주자의 필요에 따라 발코니공간을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간 가변형 발코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발코니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대부분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발코니는 건축법상 서비스 면적에 해당되며, 외부공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발코니에 알루미늄 샤시(chassis) 등을 설치하여 기존의 용도는 물론이고 거실, 창고, 놀이방 등의 다양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발코니는 그 폭이 애매하여 사용상의 제약이 많으며, 거주자에 따라 발코니 공간의 필요한 용도가 달라 확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건축관련 법규가 완화되면서 발코니의 폭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최근 신축되는 건축물의 대부분은 종래의 공동주택으로 사용되는 건물보다 발코니 폭을 확장하여 건축하고 있으며, 기존의 건축물 거주자들도 리모델링을 통해 발코니 폭을 제한된 범위까지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아파트나 빌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이 협소한 원룸이나 소규모 주택 등의 경우에는 거주에 필요한 최소한의 주거공간만이 형성될 뿐 발코니가 제공되지 않았으며, 발코니가 제공이 되더라고 그 공간이 협소하고 대부분 공간 활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거주자의 필요에 따라 좁은 공간을 넓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주택의 마당 공간 개념을 적용하여 거주 공간의 활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가변형 발코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공간 가변형 발코니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된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의 바닥면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수평이송수단과, 상기 주몸체의 개방된 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송수단에 상기 주몸체의 개방된 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보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몸체의 바닥면 상부 소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포스트가 상기 주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련되고, 상기 보조몸체의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포스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포스트가 상기 보조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련되며,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이동포스트의 일단부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전면벽부와, 상기 전면벽부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상기 전면벽부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된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일측 양단이 결합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측면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발코니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고정포스트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면에 V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몸체의 바닥부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롤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포스트의 상부면 양단 소정 위치에는 상기 롤러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이송수단은 상기 주몸체의 바닥면 상부 소정 위치에 마련된 정역구동모터와, 상기 정역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일단이 각각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포스트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에 시계방향을 따라 권취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에 필요에 따라 발코니 공간을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거주공간 등에 적용함으로써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코니 공간의 채광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확장된 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간 가변형 발코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발코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확장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간 가변형 발코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발코니는 일측면이 개방된 주몸체(100)와, 주몸체(100)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수평이송수단(300)과, 주몸체(100)의 개방된 면에 설치되어 개방된 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보조몸체(200)를 포함한다.
주몸체(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가장 최소의 실내 공간으로서,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되게 이루어져 주거용, 사무용, 창고용으로서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가진다.
또한, 주몸체(100)의 바닥면 상부 소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포스트(110)가 주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련된다.
고정포스트(110)는 중공의 각형관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후술하는 이동포스트(2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고정포스트(110)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면에 V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22)이 마련된다.
또한, 각각의 고정포스트(110) 양측면 소정 위치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주몸체(100)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고정포스트(110)가 주몸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브라킷(112)이 고정포스트(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정포스트(110)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는 후술하는 이동포스트(210)의 일측면 양단 소정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된 후술하는 제1 및 제2 와이어연결부재(214, 216)가 수평이송수단(300)에 의해 고정포스트(110)의 내부에서 수평이동되는 이동포스트(210)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정역구동모터(3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게 제1 절개부(114)와 제2 절개부(116)가 형성된다.
또한, 정역구동모터(310)를 사이에 두고 고정프레임(110)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1 절개부(114)와 제2 절개부(116)의 일측 소정 위치에는 제1 및 제2 리미트스위치(118, 120)가 각각 마련된다.
보조몸체(200)는 전술한 주몸체(100)의 개방된 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실내 공간의 넓이를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조몸체(200)의 하부 소정 위치에는 전술한 고정포스트(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포스트(210)가 보조몸체(20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련된다.
또한, 이동포스트(210)의 일측면 양단 소정 위치에는 후술하는 제1 와이어(314) 및 제2 와이어(316)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연결부재(214, 216)가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보조몸체(200)는 이동포스트(210)의 일단부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전면벽부(202)와, 전면벽부(202)의 일측면 하부 소정 위치에 전면벽부(202)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된 한 쌍의 연결부재(208)와, 연결부재(208)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일측 양단이 결합된 바닥부(204)와, 바닥부(204)의 양측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측면벽부(2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바닥부(204)의 하부 소정 위치에는 전술한 가이드레일(120)에 안착되어 보조몸체(2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롤러(218)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아울러, 이동포스트(210)의 상부면 양단 소정 위치에는 전술한 롤러(220)를 수용할 수 있는 홈(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바닥부(204)는 전면벽부(202)에 연결부재(208)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몸체(200)의 바닥부(204) 하부에 마련된 롤러(220)가 이동포스트(2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212)에 수용될 때, 보조몸체(200)의 바닥부(204)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조몸체(200)의 바닥부(204)가 주몸체(100)의 바닥면 높이와 동일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평이송수단(300)은 보조몸체(200)를 주몸체(100)의 개방된 면을 따라 수평 이송시켜 발코니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평이송수단(300)은 주몸체(100)의 바닥면 상부 소정 위치에 마련된 정역구동모터(310)와, 정역구동모터(310)의 구동축(312)에 일단이 각각 권취되고, 타단이 이동포스트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와이어(314)와 제2 와이어(3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와이어(314)는 구동축(312)에 시계방향을 따라 권취되고, 제2 와이어(316)는 제1 와이어(314)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구동축(312)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취된다.
즉, 제1 와이어(314)가 구동축(312)에 권취될 때에는 제2 와이어(316)는 구동축(312)으로부터 풀리게 되고, 이와 반대로, 제2 와이어(316)가 구동축(312)에 권취될 때에는 제1 와이어(314)가 구동축(312)으로부터 풀리게 되는 것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간 가변형 발코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거주자가 발코니의 공간을 확장하고 싶은 경우에는 거주자가 제어판넬(미도시)의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정역구동모터(3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역구동시키면 제2 와이어(316)가 구동축(312)에 권취된다.
이와 동시에, 제2 와이어(316)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제2 와이어연결부재(216)가 정역구동모터(310) 방향으로 이동 견인됨으로써, 이동포스트(210)가 고정포스트(110)의 내부에서 주몸체(100)의 개방된 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견인되어 보조몸체(200)가 주몸체(100)의 외부로 이동하게 되고, 계속해서 이동하던 중에 제2 절개부(116)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제2 리미트스위치(120)에 제2 와이어연결부재(216)가 접촉되게 되면 제어판넬(미도시)은 정역구동모터(310)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발코니의 영역을 확장시킨 상태로서 거주자는 확장된 발코니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거주자는 제어판넬(미도시)의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발코니의 공간을 필요한 만큼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그리고, 확장된 발코니의 공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제어판넬(미도시)의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정역구동모터(3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정구동시키면 제1 와이어(314)가 구동축(312)에 권취된다.
이와 동시에, 제1 와이어(314)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제1 와이어연결부재(216)가 정역구동모터(310) 방향으로 이동 견인됨으로써, 이동포스트(210)가 고정포스트(110)의 내부에서 주몸체(100)의 개방된 면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견인되어 보조몸체(200)가 주몸체(10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계속해서 이동하던 중에 제1 절개부(114)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제1 리미트스위치(118)에 제1 와이어연결부재(216)가 접촉되게 되면 제어판넬(미도시)은 정역구동모터(310)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확장된 발코니 공간이 사라진 상태로서 거주자의 거주 공간이 협소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거주자의 필요에 따라 발코니 공간을 선택적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거주공간 등에 적용함으로써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주몸체 210: 이동포스트
110: 고정포스트 212: 홈
112: 지지브라킷 214: 제1 와이어연결부재
114: 제1 절개부 216: 제2 와이어연결부재
116: 제2 절개부 218: 롤러
118: 제1 리미트스위치 300: 수평이송수단
120: 제2 리미트스위치 310: 정역구동모터
122: 가이드레일 312: 구동축
200: 보조몸체 314: 제1 와이어
202: 전면벽부 316: 제2 와이어
204: 바닥부
206: 측면벽부
208: 연결부재

Claims (7)

  1. 건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공간 가변형 발코니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된 주몸체;
    상기 주몸체의 바닥면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수평이송수단; 및
    상기 주몸체의 개방된 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송수단에 상기 주몸체의 개방된 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보조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몸체의 바닥면 상부 소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포스트가 상기 주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련되고, 상기 보조몸체의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포스트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포스트가 상기 보조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마련되며,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이동포스트의 일단부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전면벽부와, 상기 전면벽부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상기 전면벽부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된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일측 양단이 결합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측면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발코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포스트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면에 V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몸체의 바닥부 하부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롤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발코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포스트의 상부면 양단 소정 위치에는 상기 롤러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발코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수단은,
    상기 주몸체의 바닥면 상부 소정 위치에 마련된 정역구동모터와, 상기 정역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일단이 각각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포스트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에 시계방향을 따라 권취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구동축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발코니.
KR1020100081482A 2010-08-23 2010-08-23 공간 가변형 발코니 KR10121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82A KR101211179B1 (ko) 2010-08-23 2010-08-23 공간 가변형 발코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82A KR101211179B1 (ko) 2010-08-23 2010-08-23 공간 가변형 발코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59A KR20120018559A (ko) 2012-03-05
KR101211179B1 true KR101211179B1 (ko) 2012-12-12

Family

ID=4612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82A KR101211179B1 (ko) 2010-08-23 2010-08-23 공간 가변형 발코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1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214A (ko) 2018-09-14 2020-03-24 서봉희 거실 및 베란다겸 발코니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하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7737B (en) * 2016-07-12 2018-11-21 Noohi Kayvon Balustrad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214A (ko) 2018-09-14 2020-03-24 서봉희 거실 및 베란다겸 발코니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59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561B1 (en) Easy access overhead cabinet apparatus
US20160031090A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ormable living spaces
CN111270773B (zh) 可移动房屋
KR101211179B1 (ko) 공간 가변형 발코니
KR101154741B1 (ko)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KR100942306B1 (ko) 서랍식 발코니
KR20120113199A (ko) 공간 또는 높이 확장이 가능한 가변식 건물
US2852814A (en) Telescoping garage
KR101892349B1 (ko) 접이식 테이블
KR20110007904U (ko) 이동식 칸막이의 실링부재 구동장치
CN211396120U (zh) 一种全自动独立驱动的移动式隔断
KR101484444B1 (ko) 확장형 주거용 컨테이너
KR101949583B1 (ko) 양방향 미닫이 개폐도어
KR101209773B1 (ko) 층방용 태양전지 플레이트구조
KR200449540Y1 (ko) 슬라이드레일형 프로젝터 리프터
KR20210004421A (ko) 썬룸
KR101661510B1 (ko) 확장형 주거용 컨테이너
CN202483418U (zh) 拉绳式内置遮阳百叶中空玻璃窗
KR101791071B1 (ko) 자연순환식 환기장치
CN221073020U (zh) 一种可套叠房屋
CN204492582U (zh) 自动开关的防尘防噪音窗装置
JP3817628B2 (ja) 引き出し体の片持ち支持機構
CN220687134U (zh) 一种方便安装静音玻璃的玻璃推门
KR102441504B1 (ko) 확장형 모듈러
WO2015145243A2 (en) Enhanced divid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