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675Y1 -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675Y1
KR200365675Y1 KR20-2004-0020348U KR20040020348U KR200365675Y1 KR 200365675 Y1 KR200365675 Y1 KR 200365675Y1 KR 20040020348 U KR20040020348 U KR 20040020348U KR 200365675 Y1 KR200365675 Y1 KR 200365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elt
gear
fixed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화
Original Assignee
씨티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티엠(주) filed Critical 씨티엠(주)
Priority to KR20-2004-0020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내면의 상부에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설치되게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기어프레임과; 상기 기어프레임의 일측 방향에 구동기어와 결합되어 구동기어를 정역회전시키는 기어드모터와; 상기 기어드모터의 회전 및 위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을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구동기어의 양측에 일렬로 치차결합되어 회전되고, 기어의 회전축으로부터 벨트의 폭만큼 연장 형성되어 벨트를 고정시킨 2개의 종동기어와; 상기 벨트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고정시키며, 고정핀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풀리를 고정시킨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는 수직선상으로 고정되고, 권취되는 벨트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이동지지부가 승하강되게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는 회전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도달하게 되면 측면에 설치된 위치감지센서에 의하여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하강이 멈추게 되면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스토퍼가 돌출되어 벨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지지부로 이루어져 벨트의 권취에 의하여 래크를 좌우로 비틀어지거나 흔들림 없이 승하강 하게 되며, 래크의 하중이 걸리는 벨트에 다수개의 회전풀리를 설치하여 벨트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게 되어 작은 구동력으로도 래크를 승하강시키게 되고, 래크의 승하강이 완료되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함께 솔레노이드의 스토퍼를 돌출시켜 벨트의 이동을 이중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CABINET RACK ELEV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장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기어의 정역회전에 따라 권취되는 벨트를 연결시켜 래크를 수평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벽면에 설치된 수도전의 하부에 요리 및 설거지 등을 하기 위한 싱크대가 설치되고, 상기 싱크대의 상부 벽면에는 그릇, 식기 등 주방에서 필요로 하는 부품 등을 장소의 이동 없이 곧바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장, 식기건조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싱크대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장 또는 식기건조기 등은 싱크대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부터 천장의 하면까지 설치되어 있고, 그 높이는 통상 팔을 들어올려 팔이 닿지 않는 위치에까지 수납장이 설치된다.
이러한 팔이 닿지 않는 위치의 식기나 그릇 등을 꺼내기 위해 의자나 단단한물건 위에 올라서서 식기나 그릇 등을 내리는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4-28507호 "주방가구의 승하강장치"가 게시되어 있는데, 캐비넷 내에 베이스부재를 설치하고, 베이스부재의 하부에 주방가구를 연결하여 상기 주방가구를 승강시키도록 베이스부재 상측에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운동하는 드럼을 설치하며, 상기 드럼과 주방가구에 각각 접속되는 제1, 제2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제1, 제2연결수단에 제1, 제2안내수단을 베이스부재에 설치하여 제1, 제2연결수단의 제1, 제2로우프가 서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드럼 외주면에 로우프홈을 형성하여 로우프가 감기거나 풀리게 됨으로서 주방가구를 승하강시킨다.
그러나, 상기 주방가구의 승하강장치는 드럼에 형성된 로우프홈을 따라 로우프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되어 있어 로우프의 권취상태에 따라 로우프가 서로 꼬이거나 엇갈리게 권취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제1, 제2안내수단으로부터 드럼까지 연결되는 한 가닥의 로우프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겨지게 되어 주방가구의 수평상태가 비틀어져 캐비넷에 접촉된 상태로 승하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권취되는 로우프에 의하여 주방가구를 승하강시킴으로서 구동력이 큰 구동모터를 구비하여야 함으로서 주방가구의 승하강 장치의 제작 비용이 증대되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방가구가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고, 작은 구동력으로 주방가구의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승하강시키며, 경제적인 비용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목적은 구동기어와 치합된 종동기어에 벨트의 일측을 권취되게 고정시키고, 고정프레임의 고정핀에 벨트의 타측을 고정시키며, 벨트의 권취상태에 따라 승하강되는 이동지지부를 설치하여 이동지지부 하부에 래크를 고정시킴으로서 래크를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기어의 양측에 상호 치합되는 2개의 종동기어를 설치하여 벨트의 권취상태를 동일하게 유지토록 하고, 래크의 상부에 연결되는 벨트에 회전되는 풀리를 설치하여 작은 구동력으로도 승하강되는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래크의 승하강 상태에 따라 수납장 전면에 결합되어 있는 도어를 개페시키고, 벨트에 결합된 풀리를 가이드에 의하여 일직선상으로 수직 승하강되는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의 배면에서 래크를 분해시킨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기어프레임 21: 구동기어
22: 종동기어 23: 벨트
25: 기어드모터 30: 컨트롤박스
40: 고정프레임 41: 고정핀
42: 회전풀리 50: 가이드레일
51: 위치감지센서 52: 가동단자
60: 이동지지부 61: 솔레노이드
62: 스토퍼 63; 회전풀리
64: 이동부재 65: 돌출부
66: 도어가이드바 67: 래크연결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는 케이스 내면의 상부 중앙 위치에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고정 설치되게 케이스의 내부 중앙 상면에 고정되는 기어프레임과; 상기 기어프레임의 일측 방향에 구동기어와 결합되어 구동기어를 정역회전시키고, 구동기어와 직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기어드모터와; 상기 기어드모터의 회전 및 위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제어하도록 기어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구동기어의 양측에 일렬로 치차결합되어 구동기어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회전되고, 기어의 회전축을 벨트의 폭만큼 연장 형성시켜 벨트를 고정시키는 2개의 종동기어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벨트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고정시키며, 고정핀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풀리를 고정시킨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는 수직선상으로 고정되고, 종동기어의 정역회전에 따라 권취되는 벨트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이동지지부가 수직으로 승하강되게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되는 회전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의 하단에 도달하게 되면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감지센서에 의하여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켜 하강되지 않도록 하며, 하강이 멈추게 되면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내부에 설치된 스토퍼가 돌출되어 벨트의 이동을 방지하고, 회전풀리와 솔레노이드를 고정하는 이동부재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지지부는 이동부재의 양측면을 상부로 돌출시켜 회전풀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회전풀리는 벨트 상에 접하면서 벨트의 권취상태에 따라 이동부재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회전풀리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가이드레일의 측면 설치된 위치감지센서의 가동단자에 접촉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동부재의 전면에는 컨트롤박스의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를 설치하며, 솔레노이드의 내부에 결합된 스토퍼를 작동시켜 벨트의 고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토록 하고, 이동부재의 하부에 래크와 연결되는 래크연결바를 고정하며, 이동부재의 측면에 도어가이드바를 고정시켜 이동부재의 승하강 상태에 따라 도어를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측 측면에 케이스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도어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도어가이드 레일과 이동지지부의 이동부재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이동지지부의 수직이동에 따라 도어를 개폐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의 배면에서 래크를 분해시킨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는 장방형의 케이스(10)의 내면 상부에 고정되는 기어프레임(20)과, 기어드모터(25) 및 이동지지부(60)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30)와, 기어드모터(25)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기어(21)의 양측에 2개의 종동기어(22)를 치합시켜 회전되게 하고, 케이스(10)의 양측에 고정되어 벨트를 하부측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수직으로 이동되게 하는 고정프레임(40)과, 상기 고정프레임(40)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50)과, 가이드레일(50)을 따라 래크(12)를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는 이동지지부(60) 및 이동지지부(6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도어(11)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가이드레일(15)에 결합된 도어가이드바(66)에 의해 도어(11)를 개폐되게 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면에는 일정한 각도만큼 개폐되는 도어(11)가 케이스(10)의 내측에 다수개의 경첩(14)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도어(11)의 내측면 양측에 일정한 원호형상으로 도어가이드레일(15)이 형성된다.
도어가이드레일(15)은 래크(12)의 승하강시에 도어(11)와 래크(12)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동지지부(60)에 설치된 도어가이드바(66)의 승하강 상태에 따라 도어(11)를 전면측으로 회동시킨다.
래크(12)는 케이스(10)의 내부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는데, 이 래크(12)에는 다양한 종류의 그릇 및 식기 등을 구분하여 넣어두는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 수납되는 래크(12)는 그릇 및 식기 등을 건조시키는 식기건조기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래크(12)를 수직으로 승하강시키도록 기어프레임(20), 컨트롤박스(30), 고정프레임(40), 가이드레일(50) 및 이동지지부(60) 등이 적절히 설치된다.
기어프레임(20)은 케이스(10)의 내부 상면 중앙부에 고정되고, 그의 일측에 인접하여 기어드모터(25)가 설치된다. 기어프레임(20)의 내부에는 기어드모터(35)의 축 상에 고정되는 구동기어(21)와, 이 구동기어(21)를 중심으로 2개의 종동기어(22)들이 일렬로 기어 결합되며, 구동기어(21)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2개의 종동기어(22)들도 정역회전이 이루어진다.
종동기어(22)는 벨트(23)의 폭 크기의 회전축을 가지며, 이 회전축에는벨트(23)의 일단이 고정되고, 그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벨트(23)를 권취하거나 풀어내게 된다.
기어프레임(20)의 타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30)는 시스템 제어부로 구성되며, 도어(11)의 전면에 설치된 승하강스위치(13)의 조작에 의하여 기어드모터(25)를 구동시켜 래크(12)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래크(12)의 승하강 작동은 컨트롤박스(30) 내의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제어부는 기어드모터(25)의 작동을 제어하여 구동기어(21)와 종동기어(22)들의 정역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이 제어부는 래크(12)를 소정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위치감지센서(51)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므로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위치감지센서(51)는 리드스위치 또는 광학커플러일 수도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 이동지지부(60)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 상부의 양측면에는 고정프레임(40)이 고정되는데, 벨트(23)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고정핀(41)과, 고정핀(41)의 전면에 벨트(23)가 활주 가능하게 하는 회전풀리(42)들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은 케이스(10)의 양측 벽면에 고정되는데 고정프레임(40)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선상으로 설치되며, 소정 높이의 벽부(53)를 양측면에 가진다. 이 벽부(53)는 이후 설명되는 이동지지부(60)의 이동을 안내한다.
벽부(53)의 측면에는 래크(12)의 승하강이 정지되는 상부와 하부에 위치감지센서(51)들이 설치된다. 이 위치감지센서(51)는 상승제한지점과 하강제한지점으로 되는 가동단자로써 구성되어 그의 접촉단자(52)가 이동지지부(6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65)와 접촉되도록 하므로 래크(12)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접촉신호를 전송한다.
또 이 위치감지센서(51)는 이동지지부(60)의 위치 변위를 빛으로 검출하는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벽부(35)를 따라 다수개 설치되므로 이동지지부(60)와 결합되어 있는 래크(12)의 위치를 제어부가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래크(12)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동지지부(60)는 기어드모터(25)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벨트(23)가 권취되거나 풀리게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된다.
이동지지부(60)는 가이드레일(500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고, 벽부(53)를 감싸도록 하는 이동부재 형상의 이동부재(64)를 구비하며, 이동부재(64)는 그 상부의 프레임에 회전풀리(63)가 고정되며, 고정부(41)에 일측이 고정된 벨트(23)가 연장하여 그를 경유하게 되고, 다시 회전풀리(42)를 경유하여 종동기어(22)에 연결되도록 한다.
프레임의 상단에는 이동부재(64)의 양측면에 돌출부(65)가 형성되어 위치감지센서(51)의 가동단자(52)와 접촉되게 하며, 상기 회전풀리(63)는 종동기어(22)에 작용하는 래크(12)의 하중을 분산시켜 종동기어(22)에 무리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동부재(64)는 그의 상면에 솔레노이드(61)가 설치되는데, 그의가동단자(52)가 회전풀리(63)의 벨트(23)와 이동부재(64) 전면 사이의 공간에 진입되거나 회수되게 되며, 진입시 벨트(23)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이동부재(64)의 하부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래크연결바(67)를 구비하여 래크(12)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이동부재(64)는 기어드모터(25)에 의하여 구동기어(21)와 종동기어(22)들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벨트(23)가 래크(12)를 승강시킨다.
도 7은 본 고안 수납장 승하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어프레임(20), 기어드모터(25), 컨트롤박스(30), 고정프레임(40), 가이드레일(50)은 동일하게 설치되고, 이동지지부(60)를 설치하지 않고서 벨트(23)는 종동기어(22)에 일단을 고정시키고, 벨트(23)의 타단을 회전풀리(63a)에 고정시킨다.
즉, 이동지지부(60)의 솔레노이드(61), 스토퍼(62)는 설치되지 않고, 래크(12)의 상부에 고정된 고정판(68)을 설치하며, 고정판(68)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부(65)를 형성시켜 가동단자(52)에 접촉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는 래크(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승하강스위치(13)의 하강스위치(13)를 조작하게 되면 컨트롤박스(30)에 전원이 인가되어 기어드모터(25)를 회전시키게 되고, 기어드모터(25)에 치차결합된 2개의 종동기어(22)가 회전하면서 종동기어(22)에 권취되어 있는 벨트(23)가 풀리게 된다.
벨트(23)는 고정프레임(40)의 회전풀리(42)에 의하여 하향으로 절곡되어 내려가게 되면 이동지지부(60)에 설치된 회전풀리(63)는 케이스(10)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50)을 따라 내려가게 되고, 이동지지부(60)에 결합된 래크(12)도 하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동지지부(60)가 위치감지센서(51)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이동부재(64)의 돌출부(65)가 위치감지센서(51)의 가동단자(52)를 조작하게 되면 컨트롤박스(30)에서는 기어드모터(25)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이동지지부(60)에 설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61)를 작동시켜 스토퍼(62)를 벨트(23)에 접하도록 돌출시켜 벨트(23)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 이동지지부(60)가 하강하게 되면 이동지지부(60)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가이드바(66)는 이동지지부(60)와 함께 하강되면서 도어(11)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가이드레일(14)을 따라 하강하면서 경첩(1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도어(11)를 전면으로 오픈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승하강스위치(13)의 승강스위치(13)를 조작하게 되면 컨트롤박스(30)에 전원이 인가되어 기어드모터(25)를 구동시켜 구동기어(21)를 회전시키고, 구동기어(21)와 치차결합된 2개의 종동기어(22)를 회전시키면서 종동기어(22)에 고정된 벨트(23)를 감아 올리게 되며, 이동지지부(60)의 회전풀리(63)는 가이드레일(50)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된다.
이동지지부(60)가 상승되면 래크(12)도 올라오게 되고, 이동지지부(60)가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감지센서(51)에 도달하게 되면 이동부재(64)의 돌출부(65)가 가동단자(52)를 접촉하게 되면 컨트롤박스(30)는 기어드모터(25)의 구동을 멈추게 됨과 동시에 이동지지부(6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61)를 작동시켜 스토퍼(62)를 돌출시켜 벨트(23)의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동지지부(60)에 설치된 도어가이드바(66)는 이동지지부(60)와 함께 상승되면서 도어(11)에 형성된 도어가이드레일(15)을 따라 상승되면서 도어(11)를 닫게 된다.
상기 도어(11)는 래크(12)의 승하강시에 도어(11)와 래크(1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도어(11)를 회동시키고, 승하강스위치(13)의 조작에 의하여 래크(12)를 소정 위치에 멈추고자 할 경우에는 승하강스위치(13)의 조작을 멈추게 되면 컨트롤박스(30)는 기어드모터(25)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이동지지부(60)의 솔레노이드(61)를 작동시켜 스토퍼(62)를 벨트(23)측으로 돌출시켜 래크(12)를 소정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납장 승하강장치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정역회전되는 기어로 양측에 설치된 벨트를 권취시키면서 래크를 승하강시키므로 래크의 승하강을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승하강 되고, 일정한 폭을 가지는 벨트의 권취에 의하여 래크를 좌우로 비틀어지거나 흔들림이 없는 안정된 상태로 승하강 되며, 래크의 하중이 걸리는 벨트에 다수개의 회전풀리를 설치하여 벨트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시키게 되어 작은 구동력으로도 래크를 승하강시키게 되고, 래크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함께 솔레노이드의 스토퍼를 돌출시켜 벨트의 이동을 이중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케이스의 내면 상부에 베이스부재를 고정시키고, 그 베이스부재에 회전되는 모터에 드럼을 결합시키며, 드럼에 연결된 로우프를 각각 드럼과 래크에 접속시켜 로우프를 드럼에 권취시키면서 래크를 승하강시키는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내면의 상부 중앙 위치에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고정 설치되게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기어프레임과;
    상기 기어프레임의 일측 방향에 구동기어와 결합되어 구동기어를 정역회전시키고, 구동기어와 직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기어드모터와;
    상기 기어드모터의 회전 및 위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모터의 회전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제어하도록 기어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구동기어의 양측에 일렬로 치차결합되어 구동기어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회전되고, 기어의 회전축으로부터 벨트의 폭만큼 연장 형성되어 벨트를 고정시키는 2개의 종동기어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벨트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고정시키며, 고정핀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벨트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풀리를 고정시킨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는 수직선상으로 고정되고, 종동기어의 정역회전에따라 권취되는 벨트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이동지지부가 수직으로 숭하강되게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구동기어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권취되는 벨트 상에 회전되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되는 회전풀리에 의하여 승하강되면서 가이드레일의 측면에 설치된 위치감지센서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의 스토퍼를 작동시켜 벨트의 고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이동부재의 양측면을 상부로 돌출시켜 회전풀리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고, 회전풀리는 벨트 상에 접하면서 벨트의 권취상태에 따라 이동부재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회전풀리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가이드레일의 측면 설치된 위치감지센서의 가동단자에 접촉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동부재의 전면에는 컨트롤박스의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를 설치하며, 솔레노이드의 내부에 결합된 스토퍼를 작동시켜 벨트의 고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토록 하고, 이동부재의 하부에 래크와 연결되는 래크연결바를 고정하며, 이동부재의 측면에 도어가이드바를 고정시켜 이동부재의 승하강 상태에 따라 도어를 개폐시키고, 종동기어에 걸리는 래크의 하중을 회전풀리에서 분산시켜 종동기어에 무리한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 측면에 케이스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도어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고, 도어가이드 레일과 이동지지부의 이동부재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이동지지부의 수직이동에 따라 도어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와 연결되는 이동지지부의 회전풀리를 래크의 상부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결합시켜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래크가 수직으로 승하강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KR20-2004-0020348U 2004-07-16 2004-07-16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KR200365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348U KR200365675Y1 (ko) 2004-07-16 2004-07-16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348U KR200365675Y1 (ko) 2004-07-16 2004-07-16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675Y1 true KR200365675Y1 (ko) 2004-10-27

Family

ID=4935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348U KR200365675Y1 (ko) 2004-07-16 2004-07-16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67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41B1 (ko) * 2008-08-05 2012-06-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CN113991485A (zh) * 2021-11-05 2022-01-28 河南中坤实业有限公司 一种低压固定式开关柜
CN114642759A (zh) * 2022-04-15 2022-06-21 蒋金洲 一种培养箱消毒装置
CN115682654A (zh) * 2022-09-27 2023-02-03 安徽金锴智能烘干科技有限公司 一种多用途箱式烘干机
EP4154765A1 (en) * 2021-09-28 2023-03-29 The West Retail Group Limited A wall cabinet
CN113991485B (zh) * 2021-11-05 2024-06-07 河南中坤实业有限公司 一种低压固定式开关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41B1 (ko) * 2008-08-05 2012-06-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EP4154765A1 (en) * 2021-09-28 2023-03-29 The West Retail Group Limited A wall cabinet
CN113991485A (zh) * 2021-11-05 2022-01-28 河南中坤实业有限公司 一种低压固定式开关柜
CN113991485B (zh) * 2021-11-05 2024-06-07 河南中坤实业有限公司 一种低压固定式开关柜
CN114642759A (zh) * 2022-04-15 2022-06-21 蒋金洲 一种培养箱消毒装置
CN114642759B (zh) * 2022-04-15 2023-11-24 孙健春 一种培养箱消毒装置
CN115682654A (zh) * 2022-09-27 2023-02-03 安徽金锴智能烘干科技有限公司 一种多用途箱式烘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4656B1 (en) Basket lifting arrangement for a dishwasher
KR100600762B1 (ko) 상하 자동 개폐식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
TWI477247B (zh) Kitchen with lift hanging cabinet
JP5094238B2 (ja) 昇降式吊戸棚
KR200365675Y1 (ko)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WO2015154906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n elevating means
KR101503808B1 (ko) 승강형 수납장
JP4994131B2 (ja)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
KR200443227Y1 (ko)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JP2008005894A (ja) 電動昇降式吊戸棚の安全装置
KR960009324Y1 (ko) 식기건조기(食器乾燥器)의 승강안전(昇降安全) 레일장치
KR200421284Y1 (ko) 빨래 건조장치
KR100606981B1 (ko) 냉장고
KR200184385Y1 (ko) 세탁물 건조대
KR102001905B1 (ko)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CN110840370B (zh) 一种洗碗机
JP2002101970A (ja) 昇降棚装置
KR101050616B1 (ko) 리프트 식기건조기의 승하강 장치
JP2001149297A (ja) 昇降乾燥装置
CN113229621B (zh) 一种智能衣柜
KR0131825B1 (ko) 식기건조기의 승, 하강장치
KR960009325Y1 (ko) 식기건조기(食器乾燥器)의 승강안전장치(昇降安全裝置)
KR200176105Y1 (ko) 수직형 리프터
KR0114927Y1 (ko) 주방가구의 승하강장치
KR960007168Y1 (ko) 승강가변식 가구의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