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905B1 -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905B1
KR102001905B1 KR1020180011690A KR20180011690A KR102001905B1 KR 102001905 B1 KR102001905 B1 KR 102001905B1 KR 1020180011690 A KR1020180011690 A KR 1020180011690A KR 20180011690 A KR20180011690 A KR 20180011690A KR 102001905 B1 KR102001905 B1 KR 102001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ge
elevator
lower portion
cag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탁
Original Assignee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설치되는 도어와 건물의 각층에 형성된 승강장에 설치되는 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승강로 최상부를 높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구성 부품의 수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케이지도어와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유지관리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케이지에 탑재되는 화물의 무게 하중에 의해 케이지도어의 록킹수단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승강장도어에 설치되는 걸림수단과의 후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안정적인 엘리베이터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Operating system of door-lift up and down for elevator}
본 발명은 상,하로 개폐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설치되는 도어와 건물의 각층에 형성된 승강장에 설치되는 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승강로 최상부를 높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구성 부품의 수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케이지도어와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유지관리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개폐장치는 주로 화물을 층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와 연결된 건물 각층의 승강장과 상기 승강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로를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 하는 승강카로 크게 구성되며, 상기 승강장에는 안전을 위해 승강장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카에는 화물의 탑재 및 안전한 운반이 가능하게 승강카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장도어 및 승강카도어는 상/하부로 이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바, 종래의 도어개폐장치의 하나인 특허등록 제10-0848516호와 제10-0930021호의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를 제안하였는바, 선등록된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승강장도어 및 승강카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킬 수 있어 종래의 각층 승강장에 설치되었던 다수의 구동모터가 소요되지 않아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는 있었으나, 많은 부품이 요구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됨에 따라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이 다소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개폐장치들은 수직으로 구동하여 승강장도어와 승강카도어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수직 구동형으로서 구동하는 대부분의 구성 부품들의 하중이 구동모터에 그대로 전가된 상태에서 구동되어 에너지가 크게 손실되거나 더 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를 사용해야 하므로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1261586호의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가 최근에 제안된 바 있으나,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설치가 까다로워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그 대책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바 있는 특허등록 제10-1733219호의 상하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 승강시스템은 구성 부품을 최소화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게 하고,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었으나, 케이지도어에 설치되는 록킹바의 위치가 화물의 무게 하중에 의해 변경될 경우 각층의 승강장도어에 설치되는 걸림핀과의 결합 또는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10-0848516호 특허등록 제10-0930021호 특허등록 제10-1733219호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설치되는 도어와 건물의 각층에 형성된 승강장에 설치되는 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승강로 최상부를 높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구성 부품의 수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케이지도어와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유지관리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케이지에 탑재되는 화물의 무게 하중에 의해 케이지도어의 록킹수단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승강장도어에 설치되는 걸림수단과의 후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안정적인 엘리베이터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물을 층간 이동시키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며, 상기 화물이 탑재되는 케이지 전방에 설치된 케이지도어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켜 개폐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풀리와 제1 및 제2스프로킷이 일체로 형성된 구동쉬브가 케이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의 상부 타측에는 제3스프로킷이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지도어의 일측에는 제1체인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1스프로킷을 선회한 후 하향된 타단이 무게추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지도어의 타측에는 제2체인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3스프로킷과 제2스프로킷을 선회한 후 하향된 타단이 상기 무게추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지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는 록킹수단과; 상기 승강장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수단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장도어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된 한쌍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다수가 적층 방식으로 삽입되며,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 고정되며, 타측에는 텐션홈이 형성된 다수의 걸림블록과, 상기 걸림블록의 텐션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다수의 걸림블록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걸림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상부에 일정 길이의 장공 형태로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의 하부에는 걸림편이 삽착되며, 상기 걸림편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조절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편과 조절너트 사이에는 스프링이 삽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편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된 일정 길이로 제공되어 상기 케이지도어의 하부 중간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작동봉과; 일단이 상기 작동봉의 유동공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케이지도어와 일체로 체결되며, 상기 작동봉이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과; 상기 작동봉의 회전편 타단에 수평으로 일체가 되게 결합되며, 양측이 각각 상기 케이지도어의 양측에 장착된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도어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걸림수단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한쌍의 후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승강로 최상부를 높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구성 부품의 수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케이지도어와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유지관리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케이지에 탑재되는 화물의 무게 하중에 의해 케이지도어의 록킹수단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승강장도어에 설치되는 걸림수단과의 후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안정적인 엘리베이터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구동수단을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록킹수단을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록킹수단을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록킹수단을 도시해 보인 정면과 측면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걸림수단을 도시해 보인 평단면 및 정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통상적인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설치되는 도어와 승강장에 설치되는 도어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상태 등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은 화물을 층간 이동시키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며, 상기 화물이 탑재되는 케이지(1) 전방에 설치된 케이지도어(2)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도어(3)를 동시에 승/하강시켜 개폐시킨다.
따라서, 상기 케이지(1)의 상부에는 구동모터(M)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M)와 벨트(V)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풀리(12)와 제1 및 제2스프로킷(14)(16)이 일체로 형성된 구동쉬브(10)가 케이지(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1)의 상부 타측에는 제3스프로킷(18)이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지도어(2)의 일측에는 제1체인(C1)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1스프로킷(14)을 선회한 후 하향된 타단이 무게추(4)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지도어(2)의 타측에는 제2체인(C2)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3스프로킷(18)과 제2스프로킷(16)을 선회한 후 하향된 타단이 상기 무게추(4)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지도어(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도어(3)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는 록킹수단(100)과, 상기 승강장도어(3)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수단(100)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걸림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수단(100)은 상부에 일정 길이의 장공 형태로 유동공(11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112)의 하부에는 걸림편(114)이 삽착되며, 상기 걸림편(114)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조절너트(116)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편(114)과 조절너트(116) 사이에는 스프링(118)이 삽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편(119)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된 일정 길이로 제공되어 상기 케이지도어(2)의 하부 중간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작동봉(110)과; 일단이 상기 작동봉(110)의 유동공(112)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케이지도어(2)와 일체로 체결되며, 상기 작동봉(110)이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120)과, 상기 작동봉(110)의 회전편(119) 타단에 수평으로 일체가 되게 결합되며, 양측이 각각 상기 케이지도어(2)의 양측에 장착된 베어링(B)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130)와, 상기 샤프트(130)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도어(2)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걸림수단(200)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한쌍의 후크(1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록킹수단(200)의 작동봉(110)은 소정 길이를 갖는 금속봉을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구비하되, 상단의 하부와 하단의 상부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상기 회전편(119)의 일단이 위치되어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편(119)은 상기 케이지도어(2)의 수직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샤프트(130)를 회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봉(110)의 상부에는 장공형의 구멍을 관통시켜 유입공(112)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조절너트(116)를 나사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18)을 삽착시키고, 그 상부에 위치되도록 걸림편(114)을 삽착시킨 다음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상기 고정축(120)을 상기 유입공(112)에 수평으로 삽입시켜 돌출된 단부를 케이지도어(2)에 고정 또는 체결하여 상기 작동봉(110)이 케이지도어(2)의 하부 중간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샤프트(130)는 일정 길이의 금속봉을 구비하여 그 양측을 상기 케이지도어(2)의 양측에 설치된 베이링(B)에 각각 긴밀하게 삽입,고정하여 상기 케이지도어(2)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후크(140)는 상기 걸림수단(200)과 결합 또는 분리되어 케이지도어(2)의 승강동력을 상기 승강장도어(3)에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그 상부는 상기 샤프트(130)에 일체가 되게 결합,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걸림수단(200)과의 걸림 또는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 형태로 절곡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수단(200)은 상기 승강장도어(3)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된 한쌍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 내부에 다수가 적층 방식으로 삽입되며,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 고정되며, 타측에는 텐션홈(222)이 형성된 다수의 걸림블록(220)과, 상기 걸림블록(220)의 텐션홈(222)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210)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다수의 걸림블록(220)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스프링(23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걸림수단(200)의 몸체(2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한쌍의 직육면체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장도어(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걸림블록(220)의 수납 및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후크(140)의 하단이 출입할 수 있도록 그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면이 개방되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블록(220)은 상기 후크(140)가 걸려지는 것으로 다수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210) 내부로 적층되게 삽입되되, 일측이 힌지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에는 소정 깊이로 텐션홈(2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블록(220)은 상기 후크(140)와 접하는 면은 평탄한 반면에 그 반대면은 경사지도록 평면이 "
Figure 112018010780975-pat00001
"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구성 부품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케이지도어 및 승강장도어에 각각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작용은 먼저, 화물 등의 탑재를 위해 사용자가 승강장에 설치된 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케이지(1)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M)가 구동하게 되고, 이 구동에 따라 벨트(V)로 연결된 구동쉬브(10)의 풀리(12)와 함께 제1 및 제2스프로킷(14)(16)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스프로킷(14)을 선회하여 케이지도어(2) 일측과 무게추(4)에 고정된 제1체인(C1)이 회전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제3스프로킷(18)과 제2스프로킷(16)을 선회하여 케이지도어(2)의 타측과 무게추(4)에 고정된 제2체인(C2)이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케이지도어(2)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M)의 동력을 상기 구동쉬브(10)의 풀리(12)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벨트(V)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M)의 고장 및 교체 또는 유지보수로 인해 동력이 차단되어 상기 케이지도어(2)를 강제로 들어올릴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벨트(V)와 풀리(12)에 슬립현상이 발생하여 케이지도어(2)를 쉽고 편리하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쉬브(10)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의 확보에 유리하고, 승강로의 천장을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케이지도어(2)가 상승함에 따라 록킹수단(100)의 고정축(120)이 작동봉(110)의 유동공(112) 내에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케이지도어(2)에 장착된 베어링(B)에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130)가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봉(110)의 하단은 스프링(118)의 탄성에 의해 케이지 바닥에 맞닿아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샤프트(130)에는 회전편(119)의 타단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작동봉(110)에는 회전편(119)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샤프트(130)가 상승하게 되면 회전편(119)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샤프트(130)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샤프트(130)의 회동에 따라 양단에 설치 결합된 후크(140)가 회동하여 상기 후크(140)의 절곡된 단부가 승강장도어(3)에 설치된 걸림수단(200)을 이루는 몸체(210)의 개방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후크(140)의 절곡된 단부가 몸체(210)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몸체(210) 내부에 적층되게 설치된 다수의 걸림블록(220) 중 상기 후크(140)의 단부와 맞닿는 걸림블록(220)의 타측이 텐션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지지되며 밀려나게 되므로 상기 후크(140)의 단부에는 밀려난 걸림블록(220)의 상부에 적층된 걸림블록(220)의 하부면이 맞닿아 걸려져 상기 록킹수단(100)과 걸림수단(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해 케이지도어(2)와 승강장도어(3)가 동시에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1)가 개방되어 화물의 탑재가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작동봉(110)의 하단은 상기 케이지도어(2)의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화물의 탑재가 완료되면 상기 구동모터(M)가 역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지도어(2)와 승강장도어(3)를 하강시키게 되는바, 상기 케이지도어(2)의 하부에 돌출된 작동봉(110)의 하단이 케이지(1) 바닥에 먼저 닿게 되고 계속해서 케이지도어(2)가 하강함에 따라 록킹수단(100)의 고정축(120)이 작동봉(110)의 유동공(112) 내에서 하강하여 상기 스프링(118)이 걸림편(114)과 조절너트(116)에 의해 압축되게 되고, 상기 케이지도어(2)에 장착된 베어링(B)에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130)가 동시에 하강하게 되며, 상기 샤프트(130)에 결합된 회전편(119)의 일단을 고정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샤프트(130)를 역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샤프트(130)가 역으로 회전함에 따라 양측에 설치된 후크(140)도 회동하여 상기 걸림수단(200)의 몸체(210)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후크9140)에 의해 밀려나 있던 걸림블록(220)이 텐션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원상복귀 되며, 상기 케이지도어(2)와 승강장도어(3)가 완전하게 분리되어 케이지(1)의 층간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은 그 구성 부품이 적어 조립 및 설치가 매우 간단하여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승강로 최상부를 높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종래와 비교하여 설치비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도 저감시키고, 전력 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케이지 2 : 케이지도어
3 : 승강장도어 10 : 구동쉬브
100 : 록킹수단 110 : 작동봉
112 : 유동공 114 : 걸림편
116 : 조절너트 118 : 스프링
119 : 회전편 120 : 고정축
130 : 샤프트 140 : 후크
200 : 걸림수단 210 : 몸체
222 : 텐션홈 230 : 텐션스프링

Claims (3)

  1. 화물을 층간 이동시키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며, 상기 화물이 탑재되는 케이지 전방에 설치된 케이지도어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켜 개폐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풀리와 제1 및 제2스프로킷이 일체로 형성된 구동쉬브가 케이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지의 상부 타측에는 제3스프로킷이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지도어의 일측에는 제1체인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1스프로킷을 선회한 후 하향된 타단이 무게추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지도어의 타측에는 제2체인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3스프로킷과 제2스프로킷을 선회한 후 하향된 타단이 상기 무게추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지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는 록킹수단과; 상기 승강장도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수단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장도어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된 한쌍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다수가 적층 방식으로 삽입되며,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 고정되며, 타측에는 텐션홈이 형성된 다수의 걸림블록과, 상기 걸림블록의 텐션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다수의 걸림블록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걸림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록킹수단은, 상부에 일정 길이의 장공 형태로 유동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의 하부에는 걸림편이 삽착되며, 상기 걸림편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조절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편과 조절너트 사이에는 스프링이 삽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편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된 일정 길이로 제공되어 상기 케이지도어의 하부 중간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작동봉과;
    일단이 상기 작동봉의 유동공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케이지도어와 일체로 체결되며, 상기 작동봉이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과;
    상기 작동봉의 회전편 타단에 수평으로 일체가 되게 결합되며, 양측이 각각 상기 케이지도어의 양측에 장착된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지도어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걸림수단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한쌍의 후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80011690A 2018-01-30 2018-01-30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KR102001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690A KR102001905B1 (ko) 2018-01-30 2018-01-30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690A KR102001905B1 (ko) 2018-01-30 2018-01-30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905B1 true KR102001905B1 (ko) 2019-07-19

Family

ID=6751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690A KR102001905B1 (ko) 2018-01-30 2018-01-30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8570A (zh) * 2020-07-28 2022-02-0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516B1 (ko) 2008-03-07 2008-07-25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KR100930021B1 (ko) 2008-02-01 2009-12-07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KR100943659B1 (ko) * 2009-05-01 2010-02-25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용 개폐장치
KR101261586B1 (ko) * 2012-04-23 2013-05-14 남기열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20150017495A (ko) * 2013-08-07 2015-02-17 남기열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101733219B1 (ko) 2017-01-09 2017-05-24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상하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 승강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21B1 (ko) 2008-02-01 2009-12-07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KR100848516B1 (ko) 2008-03-07 2008-07-25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KR100943659B1 (ko) * 2009-05-01 2010-02-25 주식회사 세명엘리베이터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용 개폐장치
KR101261586B1 (ko) * 2012-04-23 2013-05-14 남기열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20150017495A (ko) * 2013-08-07 2015-02-17 남기열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101733219B1 (ko) 2017-01-09 2017-05-24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상하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 승강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8570A (zh) * 2020-07-28 2022-02-0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CN113998570B (zh) * 2020-07-28 2023-03-1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2754B2 (en) Elevator arrangement and elevator
US20190135586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US20190119073A1 (en) Elevator arrangement
US11560291B2 (en) Elevator arrangement to open the roof of an elevator car
US20190119074A1 (en) Elevator arrangement for safe maintenance work
KR102001905B1 (ko)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KR100930021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JP5715490B2 (ja) 機械式駐車設備
KR10084851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JP5483596B2 (ja) エレベータの二輪車揚重装置
KR101733219B1 (ko) 상하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 승강시스템
KR101011056B1 (ko) 승강기에 회전판 업다운과 회전기능을 갖는 주차장치
KR20190001237U (ko) 로프 인양장치
JP2006207359A (ja) 乗込口の横行装置
CN208747427U (zh) 负载自动平衡电梯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JP2020147901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200472877Y1 (ko) 엘리베이터의 하부구동형 도어개폐장치
KR100778251B1 (ko) 덤웨이터의 도어장치
CN1684894A (zh) 电梯装置
CN2325366Y (zh) 吊篮出料门联锁装置
SU1423487A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подъемник
RU172573U1 (ru) Подъемник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ы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фасадов зданий
JP2022054115A (ja) 搬器の昇降駆動システムと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