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284Y1 - 빨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284Y1
KR200421284Y1 KR2020060011525U KR20060011525U KR200421284Y1 KR 200421284 Y1 KR200421284 Y1 KR 200421284Y1 KR 2020060011525 U KR2020060011525 U KR 2020060011525U KR 20060011525 U KR20060011525 U KR 20060011525U KR 200421284 Y1 KR200421284 Y1 KR 200421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upper case
support plate
drying apparatus
driv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석
Original Assignee
한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석 filed Critical 한준석
Priority to KR2020060011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2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2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by clamping between two retaining-pl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빨래를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이 거치 건조하기 위하여, 천정에 장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측에 돌출형성되며 하부면 양측에 슬릿이 관통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개폐하는 윙커버로 이루어진 구동박스의 양측에 승강모터의 구동으로 연동하는 와이어에 따라 동시에 승강 절첩하는 링크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에 복수개의 건조봉이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로를 관통 형성시켜 상기 안내로 상에 한 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각각 윙플레이트로 상호 교차 연결시킨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승강 절첩되는 구성부품의 깔끔한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빨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빨래 건조장치, 절첩대, 보조절첩대, 윙플레이트, 건조봉,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윙커버

Description

빨래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of laundry}
도 1 및 도 2는 종래 빨래 건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주요부인 구동박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주요부인 구동박스 및 링크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주요부인 구동박스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주요부인 구동박스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구동박스 12...상부케이스
14...하부케이스 16...윙커버
20...승강모터 30...와이어
40...링크부재 50...지지플레이트
52...안내로 54...슬라이딩 플레이트
56...윙플레이트 60...건조봉
70...개폐모터
본 고안은 빨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빨래를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이 거치 건조하기 위하여, 지지플레이트 내외측으로 건조봉이 신축가능하게 승강 절첩되고, 구동박스에 상하 개폐가능한 윙커버를 구비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승강 절첩되는 구성 부품의 깔끔한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빨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빨래를 좁은 공간에도 효율적으로 거치하여 건조시키는 장치가 많이 안출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등록실용 제 20-0377540호의 '빨래 건조장치'(이하 선행기술 1) 및 등록실용 제 20-0390329호의 '빨래 건조장치'(이하 선행기술 2)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선행기술 1 및 2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선행기술 1은 도 1과 같이 구동박스(10), 원주형 모터(20), 와이어(31), 링크부재(40), 건조대(50), 리미트 스위치(60) 및 콘트롤러(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40)는 제1, 2 절첩대(41, 42)가 교차 연결되어 각각 3점 지지방식에 의하여 승강 절첩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 2는 도 2와 같이 구동박스(100), 모터(200), 와이어(310), 링크부재(400), 지지플레이트(510), 건조봉(520), 고저 제어기(600), 신 호 수신부(700) 및 브라켓(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400)는 교차부(490)를 형성하며 상하 다단을 이루는 한 쌍의 절첩대(410)와 상기 구동박스의 이송레일(460) 및 지지플레이트(51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각각 상기 교차부(490)와 절첩대(410)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절첩대(4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절첩대(420) 하단은 윙플레이트(480)의 일단과 교차 결합되고, 상기 윙플레이트(480)의 타단과는 건조봉(520)이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및 2의 경우는 상기 링크부재(40, 400)가 구동박스(10, 100) 하부면에 건조대(50) 및 지지플레이트(510)가 각각 절첩 거치될 경우, 건조봉(52, 520) 및 지지플레이트(51, 510)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예기치 않은 사고나 오작동으로 상기 건조봉(52, 520) 및 지지플레이트(51, 510)의 낙하할 우려 또한 다분하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동박스 하부면에 절첩된 링크부재 및 건조봉이 외부에 드러나지 않고 깔끔하게 내부로 수납되어 마감되도록 한 빨래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원 고안은 승강 절첩됨에 따라 좌우로 신축되며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더 많은 빨래를 건조할 수 있도록 한 빨래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은, 천정에 장착되는 구동박스 양측에 승강모터의 구동으로 연동하는 와이어에 따라 동시에 승강 절첩하는 링크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에 복수개의 건조봉이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된 빨래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박스는 천정에 장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절첩시 내부에 상기 링크부재가 수납되고 하부면 양측에 관통 형성된 슬릿이 구비된 하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개폐하는 윙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안내로와, 상기 안내로 상을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 상을 이송하는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각각 상호 교차 연결하는 윙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봉은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어져 상기 가이드 홈의 길이만큼 안내로를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 내외측으로 신축되며, 상기 공간부에 절첩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윙커버에 의하여 엄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윙커버는 상기 하부케이스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박스 내측에 구비된 개폐모터에 연동하여 동시에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구동박스 내측에 구비된 상기 승강모터에 의하여 권취되도록 각 단부가 상호 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원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주요부인 구동박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주요부인 구동박스 및 링크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원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주요부인 구동박스(10)는 도 3과 같이, 크게 상부케이스(12), 하부케이스(14) 및 윙커버(16)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박스(10)는 내부에 승강모터(20)가 장착되어, 상기 구동박스(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모터(20)의 구동으로 연동하는 와이어(30)에 따라 동시에 승강 절첩하는 링크부재(40),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40)와 결합되어 건조봉(60)으로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50)를 함께 수납하게 된다.
참고로, 도 3에 나타나지 않은 도면의 부호, 즉 승강모터(20), 와이어(30), 링크부재(40) 및 건조봉(60) 관련 부호는 도 4를 참고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박스(10)는 브라켓(미도시, 상기 선행기술 2 참고)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로 천정에 장착되는 것으로, 천정면에 접촉 고정되는 상기 상부케이스(12)의 하부측에 하부케이스(14)가 돌출 형성된 형상이며, 상기 하부케이스(14)의 폭(d2)은 상기 상부케이스(12)의 폭(d1)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4) 양측면 및 상부케이스(12) 하부면 사이에는 공간 부(15)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5)에 후술할 슬라이딩 플레이트(54)의 단부 및 건조봉(60)이 상승 절첩된 후 수납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케이스(14) 하부면의 양측에는 각각 슬릿(18)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슬릿(18)을 통해 링크부재(40) 및 지지플레이트(50)가 함께 절첩 수납된다.
절첩 수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50)는 도 3(a)와 같이 상기 슬릿(18)을 지지플레이트(50)의 하부면이 마감한 형상으로 상기 구동박스(10)의 하부케이스(14) 내에 수납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박스(10)의 윙커버(16)는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일측, 더욱 자세히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0) 사이에 건조봉(60)이 장착된 방향을 따라 힌지(13)로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15)를 상하로 개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윙커버(16)는 상기 하부케이스(14)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윙커버(16)의 동시 개폐를 위한 상세한 메커니즘은 상세히 후술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구동박스(10)를 구비한 본원 고안은 도 3(a)와 같이 빨래를 건조하지 않을 때 지지플레이트(50)가 상기 구동박스(10)의 슬릿(18)을 통해 내부에 수납된 상태이며, 지지플레이트(50) 하부면이 상기 슬릿(18)을 마감한 형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윙커버(16)는 기타 구성 부품, 슬라이딩 플레이트(54) 및 건조봉(60) 등이 외부로 드러나 보이지 않도록 상기 공간부(15)를 엄폐하는 것도 확인 가능하다.
또한, 본원 고안은 도 3(b)와 같이 빨래를 건조하고자 할 때, 상부케이스(12)의 양측면에 상기 건조봉(60)의 장착방향을 따라 구비된 윙커버(16)가 동시에 상승 개방됨으로써 상기 지지플레이트(50) 및 건조봉(60)의 하강 준비가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 고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안내로(52), 슬라이딩 플레이트(54) 및 윙플레이트(56)로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도 4(a)는 구동박스(10)의 윙커버(16)가 상승 개방되어 지지플레이트(50)가 하강되어 빨래를 거치할 준비가 완료된 상태를, 도 4(b)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0)가 링크부재(40)의 상승 절첩에 따라 구동박스(10) 내에 수납되어 상기 윙커버(16) 엄폐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0)는 와이어스풀(32)에 권취되어 승강모터(20) 구동으로 연동하는 와이어(30) 및 상, 하단이 각각 상기 구동박스(10) 및 지지플레이트(50)와 결합된 링크부재(40)에 의하여 승강 절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대(42) 및 보조절첩대(4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첩대(42) 및 보조절첩대(44)의 결합 구조 및 작동 실시예 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상기 선행기술 2의 내용과 대동소이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내로(52)는 지지플레이트(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50) 상부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 성되어 상기 링크부재(40)의 하단에 장착된 보조롤러(46)가 일정 거리 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51)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54)는 한 쌍의 사각 판재 형상인 것으로, 상기 안내로(52) 상을 이동하는 것이며, 단부에 건조봉(60)이 장착되게 된다.
상기 윙플레이트(56)는 상기 가이드 홈(51) 상을 이동하는 상기 링크부재(40)의 하단, 즉 상기 보조롤러(46)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54)를 각각 상호 교차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54)를 안내로(52) 상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54)의 내외측으로 신축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윙플레이트(56)는 도 4(a)의 좌측 슬라이딩 플레이트(54)를 우측의 보조롤러(46)와, 우측 슬라이딩 플레이트(54)를 좌측의 보조롤러(46)와 각각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봉(60)은 링크부재(40)의 하단, 즉 절첩대(42) 단부의 보조롤러(46)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단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54)의 단부, 즉 윙플레이트(56)가 결합된 반대측에 각각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40)의 승강 절첩 상태에 따라, 즉 도 4(a)의 와이어스풀(32)을 통하여 와이어(30)가 승강모터(20)로써 승강 권취됨에 따라 도 4(b)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40)가 상승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54) 및 건조봉(60)이 공간부(15)에 수납 거치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주요부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주요부인 구동박스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윙커버(16)는 상기 하부케이스(14)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박스(10) 내측에 구비된 개폐모터(70)의 구동에 연동하여 동시에 상하로 개폐되는 것 또한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윙커버(16)에는 상부케이스(12)와의 연결부에 각각 스프라켓(74)을 장착하고, 상기 각 스프라켓(74) 중 일측의 것과 개폐모터(70) 구동축의 구동 스프라켓(72)을 상호 체인(80)으로 연결한 후 상기 구동 스프라켓(72)과 타측의 스프라켓(74)이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윙커버(16)의 동시 개폐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박스(10) 내의 양측에는 도 6과 같이 가이드레일(48)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8) 상을 링크부재(40)의 상단이 이동하며, 상기 개폐모터(70), 각 스프라켓(72, 74, 76) 및 체인(80)이 상기 가이드레일(48) 외측에 장착됨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로 90은 상기 승강모터(20) 및 개폐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및 리모콘 수신부가 내장된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면 상에서 76으로 표시된 것은 74로 표시된 스프라켓과 같은 무구동의 스프라켓으로, 상기 개폐모터(70)와 연결된 구동 스프라켓(72)의 회전에 연동하여 윙커버(16)를 상하 개폐하는 구성 부품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 고안에서는 윙커버(16)의 개폐 구동을 위한 상기 개폐모터(70)와 구동박스(10) 양측의 와이어 스풀(32)에 권취되는 와이어(30)의 권취 구동을 위한 상기 승강모터(20)가 상호 간섭을 받지 않고 구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에서 와이어(30)는 도 6과 같이 각 단부가 상호 결선되어 구동박스(10) 내측의 승강모터(20)로 권취되도록 한다.
즉, 구동박스(10) 양측의 와이어 스풀(32)을 통하여 권취되는 와이어(30)의 각 단부 중 일측의 단부는 상기 양측의 와이어 스풀(32) 사이에 장착된 가이드 스풀(34)에 의해 재차 권취되며, 상기와 같은 와이어(3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접점(37)에서 하나로 결선되어 승강모터(20)의 구동 스풀(22)에 권취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면 우측에 구동박스(10)의 측면 방향에서 본 시점으로 상기 와이어(30)를 도시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결선 메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30)의 결선 방식에 의하면, 한 지점에서 양측의 와이어를 동시에, 즉 양측의 상기 와이어(30)를 구동 스풀(22)이 구비된 승강모터(20)의 구동에 의하여 일정 거리만큼 승강 권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스풀(32)에는 도 6의 점선 확대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롤러(35)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 스풀(32)에 권취된 와이어(30)에 구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 스풀(32)은 한 쌍의 지지편(33)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의 권취홈(31)이 형성되며, 상 기 권취홈(31)에 와이어(30)가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롤러(35)는 상기 지지편(33) 사이에 장착되어지되, 상기 귄취홈(31) 및 상기 권취홈(31)에 권취된 와이어(30)에 접촉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30)와 구름 접촉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와이어 스풀(32)에 의하면 승강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연동하여 와이어(30)가 승강 권취될 때 꼬이거나 상기 권취홈(31)으로부터 이탈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작동 실시예를 기설명한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원 고안에 따른 빨래 건조장치의 작동 순서는 도 3의 (a), (b) 순에 의거하여 설명하며, 사용후 원위치 동작은 상기 도 3(a), (b)의 역순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리모콘(미도시) 조작으로 개폐모터(70)를 가동시켜 상기 개폐모터(70)의 구동 스프라켓(72)과 연동하는 스프라켓(74)의 회전으로 구동박스(10) 양측면의 윙커버(16)를 상승 개방시키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리모콘 조작으로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여 구동박스(10)의 공간부(15)를 개방시킨 윙커버(1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계속하여, 사용자는 상기 리모콘의 연속 조작으로 승강모터(20)를 가동시켜 구동박스(10) 하부면의 슬릿(18)을 통해 내부에 절첩 수납된 것으로, 하단이 지지플레이트(50)와 결합된 링크부재(40)를 하강 신장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50) 안내로(52) 상에는 수납된 슬라이딩 플레이트(54)가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좌우 양측에서부터 신장되면서 상기 링크부재(40) 하단부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54) 단부에 각각 장착된 건조봉(60)이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좌우 양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건조봉(60)에 빨래를 거치시켜 건조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동박스(10)와 윙커버(16)의 연결부에는, 즉 각 스프라켓(72, 74, 76)의 인접한 위치에 별도로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위치 제한수단을 구비하여 일정 높이까지 상기 윙커버(16)가 상승하면 동작을 자동적으로 정지토록 하거나 하는 등의 변형 및 응용을 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은, 구동박스 하부면에 절첩된 링크부재 및 건조봉이 외부에 드러나지 않고 깔끔하게 내부로 수납되어 마감되도록 한 빨래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원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우선, 지지플레이트 및 건조봉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문제가 있으며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선행기술에 비해, 하부면에 구비된 슬릿을 통해 링크부재 및 지지플레이트가 수납되고 윙커버로 공간부를 엄폐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깔끔한 내부 수납과 외관 마감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구동 스풀이 구비된 승강모터에 의하여 한 지점에서 양측의 와이어를 동시에 승강 권취시키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의 원활하고 흔들림없이 균일한 승강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하로 승강 절첩되는 링크부재의 동작에 따라 좌우로 신축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빨래를 거치할 수 있게 되므로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Claims (3)

  1. 천정에 장착되는 구동박스 양측에 승강모터의 구동으로 연동하는 와이어에 따라 동시에 승강 절첩하는 링크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에 복수개의 건조봉이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된 빨래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박스(10)는,
    천정에 장착되는 상부케이스(12)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절첩시 내부에 상기 링크부재(40)가 수납되고 하부면 양측에 관통 형성된 슬릿(18)이 구비된 하부케이스(14)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를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개폐하는 윙커버(16)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5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안내로(52)와,
    상기 안내로 상을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플레이트(54)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51) 상을 이송하는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각각 상호 교차 연결하는 윙플레이트(56)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봉(60)은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단부에 각 각 장착되어져 상기 가이드 홈의 길이만큼 안내로를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 내외측으로 신축되며, 상기 공간부에 절첩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윙커버에 의하여 엄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윙커버(16)는,
    상기 하부케이스(14)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박스(10) 내측에 구비된 개폐모터(70)에 연동하여 동시에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0)는,
    구동박스 내측에 구비된 상기 승강모터(20)에 의하여 권취되도록 각 단부가 상호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장치.
KR2020060011525U 2006-04-28 2006-04-28 빨래 건조장치 KR200421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525U KR200421284Y1 (ko) 2006-04-28 2006-04-28 빨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525U KR200421284Y1 (ko) 2006-04-28 2006-04-28 빨래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284Y1 true KR200421284Y1 (ko) 2006-07-10

Family

ID=4176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525U KR200421284Y1 (ko) 2006-04-28 2006-04-28 빨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2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37B1 (ko) 2007-09-12 2008-04-23 한준석 빨래 건조장치
CN108385343A (zh) * 2018-04-25 2018-08-10 佛山市海顿灯饰电器有限公司 一种置顶隐藏式晾衣机及其置顶隐藏晾衣杆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37B1 (ko) 2007-09-12 2008-04-23 한준석 빨래 건조장치
CN108385343A (zh) * 2018-04-25 2018-08-10 佛山市海顿灯饰电器有限公司 一种置顶隐藏式晾衣机及其置顶隐藏晾衣杆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7067B (zh) 晾衣装置
KR200421284Y1 (ko) 빨래 건조장치
KR200390329Y1 (ko) 빨래 건조장치
ITAN990031A1 (it) Serranda per porte e finestre pieghevole a soffietto
KR101143376B1 (ko) 전동식 회전빨래 건조대
KR20090019756A (ko)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빨래건조기구
KR200416096Y1 (ko)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
JP5353941B2 (ja)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KR100905039B1 (ko) 일체형 무대장치
KR200436434Y1 (ko) 빨래 건조장치
KR100371023B1 (ko) 천정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의 전동식 승강장치
KR100842795B1 (ko) 공동주택용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0365675Y1 (ko) 수납장의 래크 승하강장치
KR200220049Y1 (ko) 천정 고정형 세탁물 건조대의 전동식 승강장치
KR20170079070A (ko) 천장 공간을 활용한 의류수납 장치
KR101573864B1 (ko)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갖는 빨래 건조대
KR200184385Y1 (ko) 세탁물 건조대
KR20090001401U (ko) 전동식 건조대의 승/하강 구동장치
KR101239285B1 (ko) 빨래건조대
KR20090001399U (ko) 전동식 건조대의 승/하강 구동장치
KR101337574B1 (ko) 빌트인 식기 건조기 리프팅 장치
JPH063295U (ja) 天井物干し装置
KR101453491B1 (ko) 빨래 건조대
CN217378324U (zh) 双杆独立运行的隐藏式吊顶晾衣机
KR200418300Y1 (ko)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승강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