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447B1 -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447B1
KR102337447B1 KR1020210014679A KR20210014679A KR102337447B1 KR 102337447 B1 KR102337447 B1 KR 102337447B1 KR 1020210014679 A KR1020210014679 A KR 1020210014679A KR 20210014679 A KR20210014679 A KR 20210014679A KR 102337447 B1 KR102337447 B1 KR 102337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djustment
lifting
wire
blin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우
Original Assignee
김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우 filed Critical 김강우
Priority to KR102021001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 E06B2009/2646Magnetic screen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내외측 유리 사이에 삽입된 블라인드를 각도조절 와이어와 승강작동 와이어와 연결한 다음 각도조절 와이어는 자석이 내장된 각도조절 이동부와 승강작동 와이어는 자석이 내장된 승강 이동부에 연결한 다음 이동관체 내부로 각도조절 이동부와 승강 이동부로 삽입한 다음 이동관체 외주면에는 각도조절 이동부와 승강 이동부에는 자력에 의해 각도 조절바와 승강 조절바를 밀착한 다음 각도 조절바를 상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블라인드의 각도를 조절하고, 승강 조절바를 상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블라인드가 승강작동하여 접철 또는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Double glazed windows with built-in blinds}
본 발명은 내외측 유리 사이에 삽입된 블라인드를 각도조절 와이어와 승강작동 와이어와 연결한 다음 각도조절 와이어는 자석이 내장된 각도조절 이동부와 승강작동 와이어는 자석이 내장된 승강 이동부에 연결한 다음 이동관체 내부로 각도조절 이동부와 승강 이동부로 삽입한 다음 이동관체 외주면에는 각도조절 이동부와 승강 이동부에는 자력에 의해 각도 조절바와 승강 조절바를 밀착한 다음 각도 조절바를 상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블라인드의 각도를 조절하고, 승강 조절바를 상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면 블라인드가 승강작동하여 접철 또는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문에 설치되도록 하여 햇빛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광량이 조정되도록 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여름철과 같이 강한 햇볕이 내리쬐는 계절에는 직사광선에 의하여 실내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에서 실내를 볼 수 없도록 하여 사생활도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블라인드는 차단부재인 슬랫을 제어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형과 자동형으로 구분되는데, 수동형 블라인드는 사용자가 직접 와이어(wire)를 당겨 블레이드의 승강 및 각도를 제어하는 것이고, 자동형 블라인드는 전동모터 등에 의해 블레이드의 승,하강 및 각도를 제어함에 따라 채광량 등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수동형 블라인드는 다수의 블레이드을 승강작동 와이어를 이용해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이들 블레이드을 펼쳤다 접었다하며 채광과 차광을 이루게하는 수평 및 수직형의 블라인드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채광을 선택적으로 이루게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채광을 차단하는 블라인드는 주로 창에 인접한 건축물의 실내 천정측에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관리자가 선택적으로 절첩. 전개하면서 채광과 차광을 이루게 하고 있다.
건축물의 창에 인접한 실내 천정측에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블라이드는 실내로 노출되어 관리는 물론 외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특히 내구성이 취약한 블라인드인 경우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평형의 블라인드 장치인 경우 이중 유리창에 내장형으로 설치되어 관리성과 외관성을 향상시키게 하고 있다.
한편, 이중 유리창에 내장형으로 설치되는 블라인드의 작동은 자석을 이용해 동력전달을 간접적으로 이루어져 블라인드를 절첩 및 전개를 이루게하고 있는데, 여기서, 자석을 이용한 블라인드 구동방식은 유리창의 프레임 내측에 승강 이동부를 설치하고, 블라이드와 연결된 승강 작동 와이어와 연결한 다음 유리창의 프레임 외측에 승강 고정바를 위치한 다음 승강 고정바의 승강 작동에 의해 승강 이동부를 상하부 방향으로 견인하면, 승강 이동부의 견인력은 승강작동 와이어에 전달되어 블라인드의 절첩/전개를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런데 블라인드의 절첩 및 전개를 이루게하는 과정에서 승강 고정바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않고 이탈하는 예가 빈번히 발생함은 물론 블라이드의 블라이드편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2690호(2013.02.05)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02054호(2016.03.03)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는 자력에 의해 블라인드를 승강작동하여 접철 및 전개를 용이하게 할수있는 것은 물론 자력에 의해 블라인드의 블레이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승강작동 및 각도조절시 승강 고정바와 각도 조절바가 이탈되지않고 레일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외측 유리와 내측 유리사이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배열된 블라인드를 승강작동 와이어와 각도조절 와이어가 연결되어 창틀 외부에 위치한 승강 고정바와 각도조절바를 승강작동시 자력에 의해 블라인드를 접철 및 전개하거나 또는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는 승강 이동부와 각도조절 이동부를 자력에 의해 내측 유리밖에서 이동시키면 접철 및 건개,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물론 승강 이동부, 각도조절 이동부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이동시키는 승강 고정바, 각도 조절바를 작동시킬때 레일에서 이탈되지않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력에 의해 블라인드의 블레이드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서 내측 유리를 분리하고 일부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서 블라인드가 접철 및 전개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서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해 보인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서 고정 프레임과 고정홀더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서 승강 이동부와 승강 고정바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서 내측 유리를 분리하고 일부를 확대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1)는 크게 창틀, 블라인드 수납 공간부(33), 블라인드(4), 승강 이동부(20), 각도조절 이동부(16), 승강 고정바(22), 각도 조절바(25)로 구성된다.
상기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1)는 외측 유리(2)와 내측 유리(3)사이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12)가 배열된 블라인드(4)를 자력에 의해 접철 및 전개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외측 유리(2)와 내측 유리(3) 둘레에는 상부 프레임(5), 하부 프레임(6), 좌측 프레임(7), 우측 프레임(8)이 결합된 창틀은 외측 유리(2)와 내측 유리(3) 사이에 형성된 블라인드 수납 공간부(33)를 형성한다.
상기 우측 프레임(8)은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측면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이를 밀폐하도록 고정 프레임(17)이 결합되고, 상기 우측 프레임(8)의 내부에는 전면에 자석(26)이 내장되어 상하부방향으로 승강작동하는 각도조절 이동부(16)와, 상기 각도조절 이동부(16)의 하부에는 승강작동 와이어(14)와 각도 조절 와이어(13)의 끝단을 연결하여 고정하며, 움직이지않도록 고정 프레임(17)에 부착되는 고정홀더(19)와, 상기 고정홀더(19)의 하부에는 전면에 자석이 내장되어 상하부방향으로 승강작동하는 승강 이동부(20)를 형성한다.
또한, 우측 프레임(8)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배면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부 일부에는 각도조절 레일(24)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 레일(24)의 하부에는 이격된 상태에서 승강조절 레일(23)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 레일부(21)와, 상기 각도조절 레일(24)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어 상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배면에는 각도조절 이동부(16)와 자력에 의해 연동하도록 자석(26)이 내장된 각도 조절바(25)와, 상기 승강조절 레일(23)에는 일측이 끼움 결합되어 상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배면에는 승강 이동부(20)와 자력에 의해 연동하도록 자석(26)이 내장된 승강 고정바(22)가 위치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5) 하부에는 블라인드 수납 공간부(33)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면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바닥에는 승강작동 와이어(14)와 각도조절 와이어(13)가 인출되도록 다수개의 인출공(27)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공(27)과 일치하도록 바닥에는 연결공(29)과 측면에는 측면공(3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다수개의 회전축 홀더(28)가 배열되어 부착되며, 상기 회전축 홀더(28)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일측 단부는 우측 프레임(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축(9)이 결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커버(11)가 탈부착되는 수납실(1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 홀더(28)에 각도조절 롤러(32, 32' 32")가 각각 위치하도록 회전축(9)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 롤러(32, 32' 32")에 각도조절 와이어(13)가 연결된다.
상기 각도조절 롤러(32, 32' 32")는 회전축(9)에 고정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한다.
또한, 블라인드 수납 공간부(33)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12)가 상하부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적층되고, 하단 맨끝에 위치하는 블레이드(12)에는 무게추가 부착된 상태로 배열되면,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12)를 상부방향으로 접철하거나 하부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승강작동 와이어(14)와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12)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 와이어(13)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작동 와이어(14)와 각도조절 와이어(13)는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어 승강작동 와이어(14)는 측면공(30)을 통해 우측 프레임(8)으로 인출되어 상기 승강 이동부(20)와 연결되어 끝단이 고정홀더(19)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개의 각도조절 와이어(13)는 회전축(9)에 끝단이 고정되며, 우측 프레임(8)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축(9)에는 각도조절 권취 와이어(31)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각도조절 이동부(16)와 연결되어 고정홀더(19)에 고정된 블라인드(4)로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서 블라인드가 접철 및 전개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개된 블라인드(4)를 접철하기 위해서는 승강 고정바(22)를 가이드 레일부(21)의 승강조절 레일(23)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면 승강 고정바(22)와 자력에 의해 부착된 승강 이동부(20)도 우측 프레임(8)내부에서 하강하면서 승강작동 와이어(14)를 당기면 승강 고정바(22)와 하강하는 길이에 비례하게 블레이드(12)는 상승하여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승강 고정바(22)를 승강조절레일(23)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면 승강고정바(22)와 자력에 의해 부착된 승강 이동부(20)도 우측 프레임(8) 내부에서 상승하면 하부 맨끝에 위치한 블레이드(12)에는 무게추가 부착되어있어 하중에 의해 블레이드(12)가 전개된다.
따라서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1)는 자력에 의해 용이하게 블라인드(4)를 접고 펼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서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해 보인 부분확대도이다.
상기 블라인드(4)의 블레이드(12)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도조절 이동부(16)와 자력에 의해 접착된 각도 조절바(25)를 각도조절 레일(24)을 따라 하강하면서 각도조절 승강 와이어(31)가 당겨지면 회전축(9)은 후방을 향해 회전하면서 각도조절 와이어(13)를 당겨 블래이드(12)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각도 조절바(25)를 상승시키면 각도조절 이동부(16)와 자력에 의해 접착된 각도 조절바(25)는 각도조절 레일(24)을 따라 하강하면 각도조절 승강 와이어(31)가 당겨지면 회전축(9)은 후방을 향해 회전하면서 각도조절 와이어(13)를 당겨 블레이드(12)가 수직상태로 회전하도록 하고, 반대로 각도 조절바(25)를 상승시키면 회전축(9)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각도조절 와이어(13)를 풀어서 블레이드(12)의 각도가 수직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승강 고정바(22)는 사용자가 강제로 승강작동하는 거리만큼만 움직이고, 승강 고정바(22)에서 사용자가 손을 분리하면 그 상태를 유지하고, 각도 조절바(25)로 승강작동하는 거리만큼 비례하게 회전축이 회전하여 블레이드(12)의 각도를 조절한다.
도 6은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서 고정 프레임과 고정홀더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고정 프레임(17)에 고정홀더(19)를 밀착한 다음 피스에 고정함으로 인해 각도조절 승강 와이어(31)와 승강작동 와이어(14)의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한다.
도 7은 본 발명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에서 승강 이동부와 승강 고정바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로서, 승강 이동부(20)와 승강 고정바(22), 각도조절 이동부(16)와 각도 조절바(25)에는 자석(26)이 내장되어 자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밀지않으면 움직이지않고 그 위치를 유지한다.
또는, 승강 고정바(22)와 각도조절바(25)에는 자석(26)대신 금속판을 부착하여도 자력에 의해 승강 이동부(20)와 각도조절 이동부에 각각 접착되어 함께 움직인다.
1: 이중유리 창호
2: 외측 유리 3: 내측 유리
4: 블라인드 5: 상부 프레임
6: 하부 프레임 7: 좌측 프레임
8: 우측 프레임 9: 회전축
10: 회전축 수납실 11: 커버
12: 블레이드 13: 각도 조절 와이어
14: 승강작동 와이어 16: 각도조절 이동부
17: 고정 프레임 18: 고정공
19: 고정홀더 20: 승강 이동부
21: 가이드 레일부 22: 승강 고정바
23: 승강조절 레일 24: 각도조절 레일
25: 각도 조절바 26: 자석
27: 인출공 28: 회전축 홀더
29: 연결공 30: 측면공
31: 각도조절 승강 와이어 32, 32', 32": 각도조절롤러

Claims (2)

  1. 외측 유리(2)와 내측 유리(3)사이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12)가 배열된 블라인드(4)를 승강작동 와이어(14)로 연결한 다음 일측 단부를 승강 이동부(20)와 연결하여 창틀 외부에 위치한 승강 고정바(22)와 자력에 의해 접착되어 승강 고정바(22)의 승강작동으로 승강 이동부(20)도 승강작동하여 승강작동 와이어(14)를 당기거나 풀어서 블라인드(4)를 접철 및 전개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1)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외측 유리(2)와 내측 유리(3) 둘레에는 상부 프레임(5), 하부 프레임(6), 좌측 프레임(7), 우측 프레임(8)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 유리(2)와 내측 유리(3) 사이에 형성된 블라인드 수납 공간부와;
    상기 우측 프레임(8)은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측면은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이를 밀폐하도록 고정 프레임(17)이 결합되고, 상기 우측 프레임(8)의 내부에는 전면에 자석(26)이 내장되어 상하부방향으로 승강작동하는 각도조절 이동부(16)와, 상기 각도조절 이동부(16)의 하부에는 승강작동 와이어(14)와 각도 조절와이어(13)의 끝단을 연결하여 고정하며, 움직이지않도록 고정 프레임(17)에 부착되는 고정홀더(19)와, 상기 고정홀더(19)의 하부에는 전면에 자석이 내장되어 상하부방향으로 승강작동하는 승강 이동부(20); 와
    상기 우측 프레임(8)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배면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부 일부에는 각도조절 레일(24)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 레일(24)의 하부에는 이격된 상태에서 승강조절 레일(23)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 레일부(21)와, 상기 각도조절 레일(24)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어 상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배면에는 각도조절 이동부(16)와 자력에 의해 연동하도록 자석(26)이 내장된 각도 조절바(25)와, 상기 승강조절 레일(23)에는 일측이 끼움 결합되어 상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배면에는 승강 이동부(20)와 자력에 의해 연동하도록 자석(26)이 내장된 승강 고정바(22); 와
    상기 상부 프레임(5) 하부에는 블라인드 수납 공간부(33)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면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바닥에는 승강작동 와이어(14)와 각도조절 와이어(13)가 인출되도록 다수개의 인출공(27)이 형성되며, 상기 인출공(27)과 일치하도록 바닥에는 연결공(29)과 측면에는 측면공(3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다수개의 회전축 홀더(28)가 배열되어 부착되며, 상기 회전축 홀더(28)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일측 단부는 우측 프레임(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축(9)이 결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커버(11)가 탈부착되는 수납실(10)과;
    상기 블라인드 수납 공간부(33)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12)가 상하부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적층되고, 하단 맨끝에 위치하는 블레이드(12)에는 무게추가 부착된 상태로 배열되면,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12)를 상부방향으로 접철하거나 하부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승강작동 와이어(14)와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12)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 와이어(13)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작동 와이어(14)와 각도조절 와이어(13)는 인출공을 통해 인출되어 승강작동 와이어(14)는 측면공(30)을 통해 우측 프레임(8)으로 인출되어 상기 승강 이동부(20)와 연결되어 끝단이 고정홀더(19)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개의 각도조절 와이어(13)는 회전축(9)에 끝단이 고정되며, 우측 프레임(8)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축(9)에는 각도조절 권취 와이어(31)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각도조절 이동부(16)와 연결되어 고정홀더(19)에 고정된 블라인드(4)로 구성하여 승강 고정바(22)를 승강작동하면 승강 이동부(20)도 연동하여 승강작동 와이어(14)를 당기거나 풀어서 블레이드(12)를 접철 및 전개하고, 각도 조절바(25)를 승강작동하면 각도조절 이동부(16)도 연동하여 각도조절 승강 와이어(31)를 당기거나 풀면 회전축(9)이 회전하여 각도조절 와이어(13)를 감거나 풀어서 블레이드(12)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홀더(28)에 각도조절 롤러(32, 32' 32")가 각각 위치하도록 회전축(9)에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 롤러(32, 32' 32")에 각도조절 와이어(13)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KR1020210014679A 2021-02-02 2021-02-02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KR102337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679A KR102337447B1 (ko) 2021-02-02 2021-02-02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679A KR102337447B1 (ko) 2021-02-02 2021-02-02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447B1 true KR102337447B1 (ko) 2021-12-08

Family

ID=7886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679A KR102337447B1 (ko) 2021-02-02 2021-02-02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0550A (zh) * 2022-10-12 2022-12-09 常熟欧泰克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中空百叶玻璃内部百叶倾斜角度调节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75Y1 (ko) * 2002-04-04 2002-08-27 주식회사 청아산업 이중 유리창
KR20100098131A (ko) * 2009-02-27 2010-09-06 주병용 복층유리용 전동 블라인드
KR20110124067A (ko) * 2010-05-10 2011-11-16 이완호 이중창호의 내부에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 설치된 블라인드
KR20130012690A (ko) 2011-07-26 2013-02-05 신덕호 다기능성의 블라인더용 햇빛 차단부재
KR101602054B1 (ko) 2014-09-03 2016-03-10 주식회사 코인 전동식 슬랫 블라인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75Y1 (ko) * 2002-04-04 2002-08-27 주식회사 청아산업 이중 유리창
KR20100098131A (ko) * 2009-02-27 2010-09-06 주병용 복층유리용 전동 블라인드
KR20110124067A (ko) * 2010-05-10 2011-11-16 이완호 이중창호의 내부에 오염방지 및 방수처리 되도록 밀폐 설치된 블라인드
KR20130012690A (ko) 2011-07-26 2013-02-05 신덕호 다기능성의 블라인더용 햇빛 차단부재
KR101602054B1 (ko) 2014-09-03 2016-03-10 주식회사 코인 전동식 슬랫 블라인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0550A (zh) * 2022-10-12 2022-12-09 常熟欧泰克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中空百叶玻璃内部百叶倾斜角度调节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987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KR102337447B1 (ko) 블라인드 내장형 이중유리 창호
US20060151126A1 (en) Systems and mechanisms for use with double blinds and double shades
US7451798B2 (en) Window blind system
CN215292282U (zh) 一种多轨道窗帘装置、日夜帘装置和电动窗帘
US10533372B2 (en) Aircraft window shade
US5316066A (en) Cord-lock mechanism
US20040016513A1 (en) Venetian blind
CA3139721A1 (en) Stackable coverings with overpowered lift systems and related systems with hold­down brackets
CN210598765U (zh) 一种可控制调节的卷帘
JP3697688B2 (ja) 日射遮蔽装置
JP2017186757A (ja) 電動日射遮蔽装置の遮蔽体下端の高さ設定装置
JP5770489B2 (ja) 昼光利用ブラインド
KR101021325B1 (ko) 수동식 스크린 블라인드
JP2012012866A (ja) 横型ブラインド
JP5626745B2 (ja) 上下開閉式ロールスクリーン枠装置とこの上下開閉式ロールスクリーン枠装置を備えたサッシ
KR200329062Y1 (ko) 전동블라인드의 정렬 승하강 구조
CN219197199U (zh) 边孔木质百叶窗帘
CN210714410U (zh) 内置遮阳中空百叶窗
KR20050008267A (ko) 전동블라인드의 정렬 승하강 구조
KR102669666B1 (ko) 수직, 수평, 경사각으로 설치 가능한 전동식 롤 블라인드
EP161703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ind
KR200323752Y1 (ko) 차양장치
JP4604670B2 (ja) ブラインド装置
KR20110045993A (ko) 블라인드형 차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