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752Y1 -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752Y1
KR200323752Y1 KR20-2003-0017126U KR20030017126U KR200323752Y1 KR 200323752 Y1 KR200323752 Y1 KR 200323752Y1 KR 20030017126 U KR20030017126 U KR 20030017126U KR 200323752 Y1 KR200323752 Y1 KR 200323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nshade
door
lift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중
Original Assignee
김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중 filed Critical 김영중
Priority to KR20-2003-0017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Abstract

본 고안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건물의 실내외를 연결하며 도어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사각의 개방구가 마련되어 있는 벽체의 개방구에 도어와 더불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개방구의 내측 수직두께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대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정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그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강운동이 가이드되는 승강프레임과; 차양막을 팽팽하게 지지한 상태로 후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에 핀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하며 승강프레임이 상승할 때 하부로 회동하고 하강할 때 상부로 회동하여 세워지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시 회동프레임을 회동시키며 승강프레임에 대한 회동프레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차양과 도어를 구분하여 도어는 도어의 기능을 담당하고 차양은 차양의 기능만을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방범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차양의 디자인을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볍고 심플하며 은은한 채광효과와 안정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이 없으며 도어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설치되어 건물 및 거리의 분위기를 상승시키고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유발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양장치{Awning device}
본 고안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에 설치된 각종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외부를 커버하는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업용도의 건물에서 쇼윈도우의 미감을 부각하거나 매장의 상품을 보호하기 위해, 또한 일반 주거주택의 경우 테라스공간을 여유있게 활용하고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집안의 커텐, 카펫, 벽지 등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고 개성있는 주택을 연출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차양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 음주문화의 다양화에 따라 주점의 인테리어도 저마다의 개성을 강조하여 매출 신장을 도모하고 있다. 예컨대 벽체에 소정넓이의 사각 통로를 뚫고 상기 통로에 음식 테이블을 설치하여 손님이 실내와 실외에서 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앉아 마주할 수 있도록 한 경우도 있다. 보통 상기 통로는 차양(遮陽) 겸용 도어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도어는 도어가 차양장치를 겸하고 있으므로 도어를 외부에서 쉽게 열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도어가 차양성능을 가지도록 설계되므로 도어의 방범 능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도어와 벽체 사이의 틈새로 얼마든지 출입이 가능한 것이다. 이런 이유로 도어를 육중하고 잘 열리지 않게 제작하기도 하지만 이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필요하여 복잡하고 특히 차양으로 사용할 때 육중한 도어가 손님의 머리 상부에 있게 되어 손님이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차양과 도어를 구분하여 도어는 도어의 기능을 담당하고 차양은 차양의 기능만을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방범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차양의 디자인을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어 가볍고 심플하며 은은한 채광효과와 안정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이 없으며 도어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설치되어 건물 및 거리의 분위기를 상승시키고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유발할 수 있는 차양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차양장치의 프레임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차양장치의 뒤쪽에 설치되는 도어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도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에서의 승강프레임의 승강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차양장치 12:차양막
13:수직프레임 15:수평프레임
17:승강프레임 17a,29b:걸고리
19:회동프레임 19a:만곡빔
19b:가로대 19c:고정바
21:제 1아이볼트 23:제 2아이볼트
25:테이블 27:의자
29:승강창 29a:손잡이
31:고정창 33:지지롤러
35:와이어 37:고정브라켓
41:와이어 43a:볼트
43b:너트 47:와이어
49:풀리 51:스프링
53:스프링고정체 55:제 1가이드홈
57:제 2가이드홈 59:평면부
61:와이어 63:풀리
67,69:스프링내장부 70:개방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의 실내외를 연결하며 도어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사각의 개방구가 마련되어 있는 벽체의 개방구에 도어와 더불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개방구의 내측 수직두께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대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정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그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강운동이 가이드되는 승강프레임과; 차양막을 팽팽하게 지지한 상태로 후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에 핀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하며 승강프레임이 상승할 때 하부로 회동하고 하강할 때 상부로 회동하여 세워지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시 회동프레임을 회동시키며 승강프레임에 대한 회동프레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프레임은; 후단부가 회동축에 핀 연결되며 회동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되 지면에 대해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만곡빔과, 상기 만곡빔을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대로 구성되며, 그 무게중심이 회동축 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만곡빔의 양단부에는 와이어를 걸 수 있는 걸이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에 걸쳐진 상태로 양단이 양측 걸이부에 연결되어 회동프레임을 상부로 지지하는 인장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11)는, 벽체(W)를 사각으로 뚫어 형성한 개방구(70) 외측에 설치되어 개방구(70)측으로 그늘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벽체(W)에 형성한 사각의 개방구(70)의 양측 수직 두께면에는 수직프레임(1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상단부에는 수평프레임(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5)은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으로서 그 바깥쪽면 양단에 지지롤러(33)를 갖는다.
상기 양 수직프레임(13)의 마주하는 대향면에는 상호 평행한 두 개의 제 1,2가이드홈(도 3의 55,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55,57) 중 건물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제 1가이드홈(도 3의 55)은 승강창(29)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홈이다. 또한 제 2가이드홈(도 3의 57)은 그 내부에 승강프레임(도 2의 17)의 양단부를 수용하며 승강프레임(17)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하는 홈이다.
상기 개방구(70)는 고정창(도 3의 31) 및 승강창(도 3의 29)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창(31)은 프레임(13,15)에 대해 고정되며 승강창(29)은 위 아래로 위치 조절되는 창이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승강창(29)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여 개방구(70)를 개방하거나 차단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차양장치(11)는 상기 승강창(29) 및 고정창(31)으로 이루어지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차양장치(11)는 제 2가이드홈(도 3의 57)에 의해 가이드 되며 승강 운동하는 승강프레임(17)과, 상기 승강프레임(17)에 그 하단이 핀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고 그 전체면에 차양막(12)이 덮혀 고정되는 회동프레임(19)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프레임(19)은 와이어(35)를 통해 지지롤러(33)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프레임(17)의 승강운동에 따라 승강하며 상하로 회동 운동한다.
상기 고정창(31)의 하부에는 수평의 테이블(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25)은 음식을 올려놓을 수 있는 평평한 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25)의 양측에는 다수의 의자(2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의자(2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내와 실외에 동시에 설치되어 사람이 테이블(25)을 사이에 두고 마주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차양장치의 프레임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11)의 프레임은 승강프레임(17)과 회동프레임(19)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7)은 직사각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상측부 양단에는 와이어(41)가 고정되는 걸고리(17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고리(17a)는 와이어를 걸 수 있는 한 그 형태는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으며 예컨대 공지의 아이볼트를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17)의 하측부 양단에는 고정브라켓(37)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37)은 ㄱ자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절곡된 부재로서 볼트(43a) 및 너트(43b)를 통해 회동프레임(19)의 만곡빔(19a) 하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회동프레임(19)은 그 상면에 차양막(도 1의 12)을 펼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볼트(43a)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다. 상기 회동프레임(19)의 무게중심은 회동축인 볼트(43a) 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회동프레임(19)은 자중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 쏠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회동프레임(19)은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상호 평행한 두 개의 만곡빔(19a)과, 상기 만곡빔(19a)을 연결하며 차양막이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가로대(19b)와, 상기 가로대(19b)와 평행하며 양단이 만곡빔(19a)에 고정되고 승강프레임(17)과 더불어 회동프레임(19)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손잡이 기능을 하는 고정바(19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만곡빔(19a)의 만곡 형상이나 가로대(19b)의 갯수는 실시예에 따라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만곡빔(19a)에는 제 1,2아이볼트(21,23)가 고정된다. 상기 아이볼트(21,23)는 헤드부에 원형 고리를 갖는 공지의 아이볼트이다.
상기 제 1아이볼트(21)는 만곡빔(19a)의 선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제 1아이볼트(21)의 위치는 만곡빔(19a)의 선단부로부터만곡빔(19a) 전체길이에 대해 1/5 지점 내지 1/3의 지점에 위치함이 좋다. 아울러 제 2아이볼트(23)는 만곡빔(19a)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 1,2아이볼트(21,23)는 와이어(35)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35)는 공지의 인장와이어로서 지지롤러(33)에 걸린 상태로 양단부가 제 1,2아이볼트(21,23)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지지롤러(33)는 수평프레임(15)의 양단부 외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롤러이다.
따라서 지지롤러(33)에 대해 승강프레임(17)을 승강시키면 와이어(35)는 지지롤러(33)를 돌아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7)이 상승하면 제 2아이볼트(23)와 지지롤러(33) 사이의 와이어의 길이는 짧아지고 짧아진 길이만큼 제 1아이볼트(21)와 지지롤러(33)의 거리가 멀어져 그에 따라 회동프레임(19)은 하부로 회동한다. 이와 반대로 승강프레임(17)을 하강시키면 지지롤러(33)에 대해 제 2아이볼트(23)의 거리가 멀어지며 그에 따라 지지롤러(33)에 대한 제 1아이볼트(21)의 거리가 가까워져 회동프레임(19)이 상향 회동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차양장치의 뒤쪽에 설치되는 도어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수직프레임(13)은 중앙 평면부(59)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 1,2가이드홈(55,57)과, 상기 제 1가이드홈(55)의 측부에 위치하는 스프링내장부(67)와, 상기 제 2가이드홈(57)의 측부에 나란히 위치하는 스프링내장부(69)로 구성된다.
상기 평면부(59)는 일정폭을 갖는 평평한 부위로서 고정창(31)의 양단부와 결합한다. 또한 양측의 스프링내장부(67,69)는 그 내부에 스프링(51)을 수용하는 부위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의 수용공간을 갖는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도어는 두 개의 창문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어를 창문으로 제작함으로서 실내의 채광을 보다 여유롭게 할 수 있어 답답하지 않고 야간에도 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여하튼 상기 도어는 상기 수직프레임(13)에 고정되는 고정창(31)과, 상기 고정창(31)에 대해 승강운동 하는 승강창(29)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창(29)의 상측 양단부에는 걸고리(29b)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걸고리(29b)에 와이어(47)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47)는 수직프레임(13)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풀리(49)에 걸쳐진 상태로 하부로 연장되어 스프링내장부(67)의 내부에서 스프링(도 4의 51)에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51)은 스프링내장부(67)의 내부에서 스프링고정체(53)에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를 탄성적으로 당긴다.
도면부호 29a는 승강창(29)을 승강시키기 위한 손잡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도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창(29)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풀리(49)에 걸쳐져 있는 와이어(47)가 스프링내장부(67)의 내부에서 스프링(5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51)은 와이어(47)를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당겨 승강창(29)을 보다 적은 힘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에서의 승강프레임의 승강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2가이드홈(57)의 상부에 또 다른 풀리(6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프레임(17)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61)가 상기 풀리(63)에 걸쳐진 상태로 스프링내장부(69)의 내부에서 스프링(51)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스프링내장부(69)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51)은 스프링고정체(53)에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61)를 당겨 승강프레임(17)을 보다 적은 힘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승강창(29)이 최대로 상승하여 개방구(70)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승강창(29)은 영업을 개시하기 위하여 상승시킨 것으로 필요시 하강시켜 개방구(70)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프레임(17)은 최대한 하강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17)이 최대한 하강하였으므로 지지롤러(33)와 제 2아이볼트(23)간의 간격은 최대가 되고 지지롤러(33)와 제 1아이볼트(21)의 간격은 최소가 된다. 이 상태로 상기 와이어(35)는 제 1아이볼트(21)를 화살표 b방향으로 당겨 회동프레임(19)이 최대한 상승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회동프레임(19)의 무게중심은 항상 회동프레임의 회동축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이 상태로 와이어(35)가 절단된다면 회동프레임(19)은 하부로 회동할 것이다.
상기 상태로부터 고정바(19c)를 화살표 f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제 2아이볼트(23)와 지지롤러(33)가 점차 근접하고 제 1아이볼트(21)와 지지롤러(33)의 간격이 멀어짐으로써 회동프레임(19)이 하향 회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회동프레임(19)은 승강프레임(17)이 최대한 상승한 상태에서 정지함은 물론이다.
결국 상기 승강창(29) 및 승강프레임(17)을 상승시킴으로써 개방구(70)가 개방되어 손님이 의자(27)에 앉아 테이블(25)을 사이에 둘 수 있게 된다.
영업이 종료된 후 관리인은 실외로 나와 상기 고정바(19c)를 하부로 내림으로써 회동프레임(19)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고 또한 실내로 들어가 승강창(29)을 하부로 내려 개방구(70)를 완전히 닫는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차양장치는, 차양과 도어를 구분하여 도어는 도어의 기능을 담당하고 차양은 차양의 기능만을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방범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차양의 디자인을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볍고 심플하며 은은한 채광효과와 안정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잔고장이 없으며 도어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설치되어 건물 및 거리의 분위기를 상승시키고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유발할 수 있다.

Claims (3)

  1. 건물의 실내외를 연결하며 도어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사각의 개방구가 마련되어 있는 벽체의 개방구에 도어와 더불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개방구의 내측 수직두께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대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정폭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되 그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승강운동이 가이드되는 승강프레임과;
    차양막을 팽팽하게 지지한 상태로 후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에 핀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하며 승강프레임이 상승할 때 하부로 회동하고 하강할 때 상부로 회동하여 세워지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시 회동프레임을 회동시키며 승강프레임에 대한 회동프레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프레임은;
    후단부가 회동축에 핀 연결되며 회동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되 지면에 대해 상부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상호 평행한 한 쌍의 만곡빔과, 상기 만곡빔을 연결하는 다수의 가로대로 구성되며, 그 무게중심이 회동축 보다 앞쪽에 위치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만곡빔의 양단부에는 와이어를 걸 수 있는 걸이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에 걸쳐진 상태로 양단이 양측 걸이부에 연결되어 회동프레임을 상부로 지지하는 인장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KR20-2003-0017126U 2003-05-31 2003-05-31 차양장치 KR200323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126U KR200323752Y1 (ko) 2003-05-31 2003-05-31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126U KR200323752Y1 (ko) 2003-05-31 2003-05-31 차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752Y1 true KR200323752Y1 (ko) 2003-08-19

Family

ID=4933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126U KR200323752Y1 (ko) 2003-05-31 2003-05-31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7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12B1 (ko) 2007-05-28 2008-12-17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방화 차양장치
KR101514016B1 (ko) * 2014-08-29 2015-04-23 조순자 캐노피형 어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12B1 (ko) 2007-05-28 2008-12-17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방화 차양장치
KR101514016B1 (ko) * 2014-08-29 2015-04-23 조순자 캐노피형 어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856B2 (en) Multi-functional shading device
US6648048B2 (en) Window blinding system with multiple shading effects
US4457106A (en) Shutter system
US5957183A (en) Blackout blind
GR20170100357A (el) Συστημα κατασκευης παραθυρου πολλαπλων λειτουργιων
KR200323752Y1 (ko) 차양장치
US6668899B1 (en) Laterally moving supports for horizontal blinds
CN109113554B (zh) 一种百叶帘翻转装置以及百叶窗
US6988525B2 (en) Light shelf blind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102296902B1 (ko) 전동 롤 블라인드
KR101907394B1 (ko) 암대 기능을 가지는 수직형 접이식 외여닫이 창호
US5927365A (en) Multi-directional window covering apparatus
FR2738870A3 (fr) Ecran pour obscurcir des ouvertures de fenetres
KR20190017308A (ko) 병풍 가구
JP4260614B2 (ja) 昇降式シェード
KR100577616B1 (ko) 셔터조립체
KR200340806Y1 (ko) 셔터조립체
CN217421035U (zh) 幕墙窗隐蔽式隐形纱扇
JP7087668B2 (ja) 遮蔽シート設置構造
KR20170087664A (ko) 미러 블라인드
JPH048229Y2 (ko)
JPH0520873Y2 (ko)
JPH03566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