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394B1 -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394B1
KR102436394B1 KR1020220049955A KR20220049955A KR102436394B1 KR 102436394 B1 KR102436394 B1 KR 102436394B1 KR 1020220049955 A KR1020220049955 A KR 1020220049955A KR 20220049955 A KR20220049955 A KR 20220049955A KR 102436394 B1 KR102436394 B1 KR 102436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ading box
cylinder
lifting
suppor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20220049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used for more than one height of loading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vehicles with load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loading floor or a part thereof being movable to form the r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0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lifting achieved by pivoting of the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71General 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the loading platform, e.g.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6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truck collisions, e.g. bumpers; Arrangements on high-riding vehicles, e.g. lorries, for preventing vehicles or objects from running thereu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적재함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팅플레이트가 후방 인출 시에 회동지지실린더에 의해 회동지지되는 후방 게이트판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수평으로 들어올려지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중량의 화물이 적재함으로 용이하게 적재되거나 또는 적재함으로부터 용이하게 하역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방 게이트판의 탈거 및 높이 증가없이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설됨에 따라 후방 게이트판의 높이 증대로 인한 제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후방 게이트판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설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팅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게이트판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지지실린더와, 상기 화물차의 후방 단부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지지실린더의 하단이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되는 지지앵글과, 상기 화물차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플레이트의 후방 인출 시에 상기 회동지지실린더를 신축 또는 신장시켜 상기 리프팅플레이트가 상기 후방 게이트판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수평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유체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적재함용 리프팅장치{LIFTING APPARATUS FOR CARGO BOX}
개시된 내용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설되어 예를 들어 오토바이 등과 같은 중량의 화물이 적재함으로 용이하게 적재되거나 또는 적재함으로부터 용이하게 하역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은 지면보다 일정 높이만큼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화물차의 차체 상에 설치되는 관계로, 주류 또는 음료용 박스는 물론 오토바이와 같이 중량의 화물을 적재함으로 싣는 적재작업과, 적재함으로부터 내리는 하역작업이 매우 힘든 실정이다.
특히 오토바이와 같은 중량의 화물을 적재함에 싣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합판과 같은 평평한 플레이트를 적재함과 지면에 경사지게 댄 상태에서 오토바이를 밀어 올려 적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적재작업이 육체적으로 힘들어 작업자에게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화물이 파손되거나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기도 한다.
최근에는 중량의 화물을 적재함에 대해 승강시킴에 따라 적재작업 또는 하역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가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설되고 있다.
이러한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004034호(2021.01.13. 공개)에는 업다운실린더 및 틸팅실린더에 의해서 승하강 또는 임의의 각도로 작동하는 게이트 본체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게이트와, 상기 연장게이트에서 외향으로 절접되도록 연장게이트와 작동게이트가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로 연결된 연장게이트와 작동게이트는 틸팅실린더의 작동으로 상호 펼쳐질 때 도움을 주도록 연장게이트와 작동게이트에 연결된 가스쇼바와, 상기 연장게이트와 작동게이트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의 반대쪽 작동게이트와 연장게이트의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된 빗장고리 및 빗장과, 작동게이트의 끝단 양쪽에는 작동게이트의 끝부분이 지면에 직접닿지않고 이동이 원활하도록 롤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적재함의 리프트 게이트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1145호(2001.07.19. 공고)에는 게이트판과, 차량의 폭방향으로 차체에 일체로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게이트판과 상기 프레임의 양쪽에 각각 제 1 상부힌지와 제 1 하부힌지에 의하여 상호 연결한 한쌍의 아암과, 상단은 상기 아암의 상부에 하단은 상기 프레임에 각각 제 2 상부힌지와 제 2 하부힌지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판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한쌍의 엎다운 실린더와, 상단은 상기 게이트판의 양쪽에 하단은 상기 프레임의 양쪽에 각각 제 3 상부힌지와 제 3 하부힌지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판의 경사도를 조정하기 위한 한쌍의 틸팅 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는 후방 게이트판이 구조적으로 요구되는 관계로, 화물차 본연의 후방 게이트판을 탈거한 후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다른 후방 게이트판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의 경우에는 적재작업 또는 하역작업을 완료 후에 연장게이트 또는 게이트판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화물차를 주행할 경우에는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연장게이트 또는 게이트판으로 인해 주행저항이 많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후방시야를 가려 후방감시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지는 연장게이트 또는 게이트판으로 인해 건물 내 주차장으로 화물차가 진입하는 데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004034호(2021.01.13. 공개)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1145호(2001.07.19. 공고)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적재함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팅플레이트가 후방 인출 시에 회동지지실린더에 의해 회동지지되는 후방 게이트판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수평으로 들어올려지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중량의 화물이 적재함으로 용이하게 적재되거나 또는 적재함으로부터 용이하게 하역될 수 있도록 한 적재함용 리프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후방 게이트판의 탈거 및 높이 증대없이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설가능함에 따라 후방 게이트판의 높이 증대로 인한 제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 적재함용 리프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후방 게이트판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설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팅플레이트와, 상기 후방 게이트판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지지실린더와, 상기 화물차의 후방 단부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지지실린더의 하단이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되는 지지앵글과, 상기 화물차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플레이트의 후방 인출 시에 상기 회동지지실린더를 신축 또는 신장시켜 상기 리프팅플레이트가 상기 후방 게이트판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수평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유체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리프팅플레이트는 전방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전방플레이트부재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전방플레이트부재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후방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플레이트부재의 후방단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후방플레이트부재가 상기 전방플레이트부재에 대해 180도를 초과하여 회동될 수 없도록 지지하는 힌지지지판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방플레이트부재의 전방단부 양측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적재함의 후방단부 상에는 상기 리프팅플레이트의 후방 인출시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기회동결합부가 구비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지지실린더는 상기 후방 게이트판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지지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실린더지지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회동지지실린더의 실린더부가 고정결합되는 실린더결합부가 구비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지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실린더지지프레임의 일측을 상기 후방 게이트판의 하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버회동조임식 걸고리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후방 게이트판의 하단측에는 상기 레버회동조임식 걸고리가 걸려지는 걸림후크가 하향절곡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앵글은 교통사고 발생시에 상기 화물차의 적재함 하부로 차량이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물차의 후방 단부 하측에 횡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차량진입방지용 안전바이고, 상기 지지앵글에는 상기 회동지지실린더의 로드부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체공급유닛은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동지지실린더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지지실린더를 신축 또는 신장시킨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에 의하면, 리프팅플레이트가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적재함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리프팅플레이트가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출될 경우에 리프팅플레이트가 회동지지실린더에 의해 회동지지되는 후방 게이트판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적재함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들어올려지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중량의 화물이 적재함으로 용이하게 적재되거나 또는 적재함으로부터 용이하게 하역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에 의하면, 후방 게이트판의 탈거 또는 높이 증대없이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설 가능함에 따라 화물차의 주행 시에 주행저항이 증대되지 않고 후방감시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 내 주차장으로의 진입에 제약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회동지지실린더의 설치상태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의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리프팅장치(1)는 후방 게이트판(4)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화물차(2)의 적재함(3)에 부설되어 예를 들어 오토바이 등과 같은 중량의 화물이 적재함(3)으로 용이하게 적재되도록 하거나 적재함(3)으로부터 용이하게 하역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프팅플레이트(10)와, 회동지지실린더(20)와, 지지앵글(30)과, 유체공급유닛(40)을 포함한다.
여기서, 리프팅플레이트(10)는 중량의 화물이 적재 또는 하역을 위해 안착지지되는 화물적재판에 해당하는 것으로, 적재함(3)의 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적재함(3)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리프팅플레이트(10)는 적재함(3)의 후방으로 인출된 후에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술될 회동지지실린더(20)에 의해 회동지지되는 후방 게이트판(4)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재함(3)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들어올려진다.
이러한 리프팅플레이트(10)는 적재함(3)의 바닥면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도 있지만,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적재함(3)의 바닥면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되, 길이방향 정중앙선이 적재함(3)의 바닥면의 정중앙선에 일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프팅플레이트(10)는 후방 게이트판(4)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지지될 경우에 단일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단일의 플레이트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전방측에 비해 후방측의 경사가 더 완만하게 2단의 경사면을 가지도록, 전방플레이트부재(11)와, 전방플레이트부재(11)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전방플레이트부재(11)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후방플레이트부재(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플레이트부재(11)의 후방단부의 하부면에는 후방플레이트부재(13)가 전방플레이트부재(11)에 대해 180도 이상 회동될 수 없도록 지지하는 힌지지지판(11b)이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접합된다.
후자의 경우에 적재함(3)의 바닥면에 대한 리프팅플레이트(10)의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전방플레이트부재(11)의 전방단부 양측에는 가이드돌기(11a)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재함(3)의 바닥면 양측에는 가이드돌기(11a)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프팅플레이트(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완전 인출될 경우에 리프팅플레이트(10)의 전방단부가 적재함(3)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적재함(3)의 후방단부 상에는 리프팅플레이트(10)의 후방 인출시에 가이드돌기(11a)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기회동결합부(3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기회동결합부(3a)는 전방측이 개방되고 후방측이 폐쇄되는 반원형 홈을 포함하는 블럭형태로 형성되어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적재함(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적재함(3)의 바닥면 양측에 가이드레일(5)이 구비될 경우에 돌기회동결합부(3a)는 가이드레일의 후방단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가이드레일의 후방단부에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프팅플레이트(10)는 중량의 화물에 대한 하중 지지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적재함(3)의 바닥면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예를 들어 강철과 같은 금속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적재함(3)의 후방 게이트판(4)에는 회동지지실린더(20)의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지지실린더(20)는 필요시에 후술될 지지앵글(30)에 하단이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된 상태에서 자체 길이가 신축 또는 신장됨에 따라, 리프팅플레이트(10)가 후방 게이트판(4)에 의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또는 적재함(3)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수평상태로 들어올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액추에이터에 해당한다.
이러한 회동지지실린더(20)는 압축공기를 작동매체로 하는 공압실린더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고하중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유압유를 작동매체로 하는 유압실리더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동지지실린더(20)는 후방 게이트판(4)에 상단이 직접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방 게이트판(4)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지지프레임(21)에 탑재됨에 따라 후방 게이트판(4)에 상단이 간접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린더지지프레임(21)의 양측에는 회동지지실린더(20)의 실린더부(20a)가 고정결합되는 실린더결합부(23)가 구비된다.
또한 실린더지지프레임(21)은 화물차(2)의 주행시에 유동되면서 후방 게이트판(4)에 하측이 충돌되지 않도록 후방 게이트판(4)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실린더지지프레임(21)의 일측을 후방 게이트판(4)의 하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버회동조임식 걸고리(25)가 실린더지지프레임(21)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후방 게이트판(4)의 하단측에는 레버회동조임식 걸고리(25)가 걸려지는 걸림후크(4a)가 하향절곡된다.
레버회동조임식 걸고리(25)는 레버의 하향회동 시에는 자체 길이가 길어지면서 걸림후크(4a)에 걸려질 수 있고 레버의 상향회동 시에는 자체 길이가 줄어들면서 걸림후크(4a)에 대한 걸림상태를 유지시키는 공지의 조임레버 일체형 걸고리로 형성 가능하며, 2단의 힌지연결구조를 포함한다.
전술한 화물차(2)의 후방 단부 하측에는 지지앵글(30)이 구비된다. 지지앵글(30)은 회동지지실린더(20)의 하단, 다시 말해서 회동지지실린더(20)의 로드부(20b)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됨에 따라 회동지지실린더(20)에 의해 후방 게이트판(4)과 리프팅플레이트(10)에 지지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지지베이스에 해당한다.
이러한 지지앵글(30)은 교통사고 발생시에 화물차의 적재함 하부로 차량이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물차의 후방 단부 하측에 횡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차량진입방지용 안전바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해당 화물차에 기 설치된 차량진입방지용 안전바와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해당 화물차에 기 설치된 차량진입방지용 안전바의 양측에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부가적으로 접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화물차(2)의 후방측에는 유체공급유닛(40)이 설치된다. 유체공급유닛(40)은 리프팅플레이트(10)의 후방 인출 시에 회동지지실린더(20)를 신축 또는 신장시킴에 따라 리프팅플레이트(10)가 후방 게이트판(4)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수평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것으로, 유체저장탱크와 유체펌프, 그리고 회동지지실린더(20)로 작동유체를 공급하거나 유체저장탱크로 작동유체를 회수하는 유체공급회수관로(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공급유닛(40)은 화물차(2)의 차량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 작동되되, 리모트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회동지지실린더(20)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제어하여 회동지지실린더(20)를 신축 또는 신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체공급유닛(40) 자체에 작동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의 전체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물차(2)의 적재함(3)에 예를 들어 오토바이와 같은 중량의 화물을 적재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방 게이트판(4)을 하향회동시킨 후 회동지지실린더(20)의 하단을 지지앵글(30)에 안착지지하게 되면 후방 게이트판(4)이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리프팅플레이트(10)를 후방으로 완전히 인출하게 되면 리프팅플레이트(10)가 후방 게이트판(4)에 의해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그 다음에 회동지지실린더(20)의 길이를 신축하게 되면, 후방 게이트판(4)이 하향회동됨과 동시에 리프팅플레이트(10)도 하향회동되면서 후방단부가 지면에 접하게 되고, 회동지지실린더(20)의 길이를 더 신축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전방플레이트부재(11)와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후방플레이트부재(13)가 서로 힌지결합된 리프팅플레이트(10)의 구조로 인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플레이트부재(11)의 경사에 비해 후방플레이트부재(13)의 경사가 더 완만한 형태로 리프팅플레이트(10)에 2단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리프팅플레이트(10) 상으로 오토바이와 같은 중량의 화물을 적재한 후 리프팅플레이트(10) 상에 결속 등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회동지지실린더(20)의 길이를 신장하게 되면 도 5에시되는 바와 같이 후방 게이트판(4)과 리프팅플레이트(10)가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그 다음에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량의 화물이 적재된 리프팅플레이트(1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중량의 화물을 적재된 리프팅플레이트(10)가 적재함(3) 상에 적층되고, 후방 게이트판(4)을 상향회동시킨 후 고정하게 되면 화물의 적재작업이 완료된다.
화물의 하역작업은 리프팅플레이트(10) 상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전술한 작업을 반복하되,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화물을 리프팅플레이트(10)로부터 내리면 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리프팅장치(1)가 화물차(2)의 적재함(3)에 설치될 경우에는, 전방플레이트부재(11)와 후방플레이트부재(13)가 서로 힌지결합된 리프팅플레이트(10)가 적재함(3)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리프팅플레이트(10)가 적재함(3)의 후방으로 인출될 때 리프팅플레이트(10)가 회동지지실린더(20)에 의해 회동지지되는 후방 게이트판(4)에 의해 2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적재함(3)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들어올려져 지지됨에 따라, 리프팅플레이트(10)의 슬라이딩 이동과 리프팅플레이트(10)에 대한 후방 게이트판(4)의 회동지지를 통해 중량의 화물이 적재함으로 용이하게 적재되거나 또는 적재함으로부터 용이하게 하역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용 리프팅장치(1)는 화물차(2)에 기 설치된 후방 게이트판(4)을 탈거한 후 더 높은 수직높이를 가지는 후방 게이트판으로 교체장착할 필요없이 화물차(2)의 적재함(3)에 설치 가능함에 따라, 화물차(2)의 주행 시에 주행저항이 증대되지 않고 후방감시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건물 내 주차장으로의 진입에 제약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2 : 화물차
3 : 적재함
3a : 돌기회동결합부
4 : 후방 게이트판
4a : 걸림후크
5 : 가이드레일
10 : 리프팅플레이트
11 : 전방플레이트부재
11a : 가이드돌기
11b : 힌지지지판
13 : 후방플레이트부재
20 : 회동지지실린더
20a : 실린더부
20b : 로드부
21 : 실린더지지프레임
23 : 실린더결합부
25 : 레버회동조임식 걸고리
30 : 지지앵글
31 : 수직지지대
40 : 유체공급유닛
41 : 유체공급회수관로

Claims (7)

  1. 후방 게이트판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설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후방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리프팅플레이트;
    상기 후방 게이트판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지지실린더;
    상기 화물차의 후방 단부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지지실린더의 하단이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되는 지지앵글; 및
    상기 화물차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플레이트의 후방 인출 시에 상기 회동지지실린더를 신축 또는 신장시켜 상기 리프팅플레이트가 상기 후방 게이트판에 의해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수평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유체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플레이트는 전방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전방플레이트부재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전방플레이트부재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후방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플레이트부재의 후방단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후방플레이트부재가 상기 전방플레이트부재에 대해 180도를 초과하여 회동될 수 없도록 지지하는 힌지지지판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부재의 전방단부 양측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적재함의 후방단부 상에는 상기 리프팅플레이트의 후방 인출시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기회동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실린더는 상기 후방 게이트판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지지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실린더지지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회동지지실린더의 실린더부가 고정결합되는 실린더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지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실린더지지프레임의 일측을 상기 후방 게이트판의 하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버회동조임식 걸고리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후방 게이트판의 하단측에는 상기 레버회동조임식 걸고리가 걸려지는 걸림후크가 하향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앵글은 교통사고 발생시에 상기 화물차의 적재함 하부로 차량이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물차의 후방 단부 하측에 횡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는 차량진입방지용 안전바이고, 상기 지지앵글에는 상기 회동지지실린더의 로드부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안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유닛은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동지지실린더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지지실린더를 신축 또는 신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KR1020220049955A 2022-04-22 2022-04-22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KR102436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955A KR102436394B1 (ko) 2022-04-22 2022-04-22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955A KR102436394B1 (ko) 2022-04-22 2022-04-22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394B1 true KR102436394B1 (ko) 2022-08-24

Family

ID=8311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955A KR102436394B1 (ko) 2022-04-22 2022-04-22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3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145Y1 (ko) 2001-01-17 2001-07-19 정명술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
KR101363053B1 (ko) * 2013-03-21 2014-02-21 김상용 사다리가 구비된 농기계 적재차량
KR20160035251A (ko) * 2014-09-23 2016-03-31 김만식 화물용 자동차
KR20210004034A (ko) 2019-07-03 2021-01-13 주현덕 화물차 적재함의 리프트 게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145Y1 (ko) 2001-01-17 2001-07-19 정명술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
KR101363053B1 (ko) * 2013-03-21 2014-02-21 김상용 사다리가 구비된 농기계 적재차량
KR20160035251A (ko) * 2014-09-23 2016-03-31 김만식 화물용 자동차
KR20210004034A (ko) 2019-07-03 2021-01-13 주현덕 화물차 적재함의 리프트 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8574A (en) Vehicle cargo elevator and storing arrangement therefor
US4579503A (en) Sideloader elevator platform
CA2654173C (en) Container tilting apparatus
CN1044696C (zh) 电池供电车辆用的电池更换系统
US4087007A (en) Cargo platform system
KR101495261B1 (ko)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JP5133674B2 (ja) 転倒防止装置
KR102436394B1 (ko) 적재함용 리프팅장치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JP3688626B2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テールゲートリフト
US6543856B2 (en) Dual acting truck hoist with safety latch
JP5856251B2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CN214141393U (zh) 高空平台车
EP0025322B1 (en) Vehicle for transporting containers
CA1139271A (en) Vehicular lift mechanism for transporting large structural members
JP2003175760A (ja) 床下格納式昇降装置
JP3646008B2 (ja) 荷役車両
JP3058702U (ja) 昇降装置
JP3848075B2 (ja) 荷受台昇降装置を装備した貨物車における荷受台昇降装置の取付構造
CN213733616U (zh) 一种整体移动湿式垃圾压缩机
JP3601433B2 (ja) 車両用リフトテーブル
JP7254219B1 (ja) 荷受台昇降装置
EP2269868B1 (en) Wheel-lift assembly for wreckers
JP3028062B2 (ja) 車両用リフター
JP2951579B2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