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911Y1 -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911Y1
KR200482911Y1 KR2020160006264U KR20160006264U KR200482911Y1 KR 200482911 Y1 KR200482911 Y1 KR 200482911Y1 KR 2020160006264 U KR2020160006264 U KR 2020160006264U KR 20160006264 U KR20160006264 U KR 20160006264U KR 200482911 Y1 KR200482911 Y1 KR 200482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ent
fixed
sto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김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수 filed Critical 김일수
Priority to KR2020160006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식으로 구성되되, 특히, 적재함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게이트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어서 화물을 싣고 내리는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고, 분리 및 높이조절도 가능하여 실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적재함의 사이드게이트(220,23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차량의 캐빈(100) 측면에 설치되며, 상향으로 개구되는 레일홈(30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고, 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레일홈(302)이 후방으로 개구된 한 쌍의 고정레일(300); 상기 사이드게이트(220,2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이드게이트(220,230)가 상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레일(300)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개구되는 레일홈(40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고, 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레일홈(402)이 상기 고정레일(300)의 레일홈(302)과 연통되도록 전방으로 개구된 한 쌍의 메인레일(400); 및 상기 고정레일(300) 및 메인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천막프레임(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Cover structure of deck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의 보호는 물론이고, 화물을 편리하게 싣고 내릴 수 있어서 실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의 적재함에는 이동시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천시 화물이 빗물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물에 천막을 씌우는데, 종래에는 화물을 싣고 그 위에 천막을 펼친 후 네 귀퉁이를 끈으로 적재함에 결착시키거나 또는 적재함에 아치형상의 천막지지대를 다수개 직립시킨 후 상기 천막지지대에 천막을 고정시킨다.
그러나, 화물을 싣고 그 위에 천막을 치는 경우에는 사람이 적재함 위로 올라 가서 화물 위로 천막을 펼쳐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적재함에 천막지지대를 직립시킨 경우에는 천막지지대가 적재함에 고정되기 때문에 천막지지대 때문에 적재함에 화물을 싣는 것이 방해되기도 하는데, 특히, 천막지지대가 적재함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게이트에 고정되기 때문에 적재함의 사이드게이트를 펼쳐서 화물을 적재하여야 하는 경우에 사이드게이트를 펼칠 수가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002584호(2000. 02. 07.)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개폐식으로 구성되되, 특히, 적재함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게이트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어서 화물을 싣고 내리는 작업이 상당히 편리하고, 분리 및 높이조절도 가능하여 실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차 실내가 조성되는 캐빈(100)과, 상기 캐빈(100)의 후방에 위치되는 플로어(210)와 상기 플로어(2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게이트(220,230)를 포함하는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을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게이트(220,23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캐빈(10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향으로 개구되는 레일홈(30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고, 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레일홈(302)이 후방으로 개구된 한 쌍의 고정레일(300); 상기 사이드게이트(220,2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이드게이트(220,230)가 상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레일(300)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개구되는 레일홈(40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고, 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레일홈(402)이 상기 고정레일(300)의 레일홈(302)과 연통되도록 전방으로 개구된 한 쌍의 메인레일(400); 및 상기 고정레일(300) 및 메인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천막프레임(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천막프레임(500)은 수평부(512)와 수평부(512)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514)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프레임(510); 상기 지지프레임(510)들 사이가 신축되도록 지지프레임(510)들을 연결시키는 링크부재(520); 및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레일(300) 및 지지레일(400)의 레일홈(302,402)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다수개의 롤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내주면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높이조절공(542)이 형성된 연결관(5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롤러(530)는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540)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수직축(532)과, 상기 수직축(532)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휠(5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 하단부에는 상기 높이조절공(542)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걸림볼(518)이 구비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레일(300)에는 상기 천막프레임(5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310)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310)는 가위 형태로 힌지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걸림부(313,315)가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312,314); 및 상기 고정부재(312,314)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312,314)의 선단부가 벌어지도록 탄지하는 스프링(3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레일(300)은 구획벽(303)에 의해 상기 레일홈(302) 하측에 보조공간(305)이 구획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300)의 저면과 구획벽(303)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1, 2관통공(304,306)이 상호 정렬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310)의 돌출걸림부(313,315)가 상기 제1관통공(304)의 상면 둘레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스토퍼(310)의 선단부가 상기 보조공간(305)에 수납되고, 상기 돌출걸림부(313,315)가 상기 제2관통공(306)의 상면 둘레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스토퍼(310)의 선단부가 상기 레일홈(302)으로 돌출되어 상기 롤러(440)가 고정레일(3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개폐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개폐하여 사용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고정레일(300)이 적재함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게이트(220,230) 전단부에 설치되어, 천막프레임(500)을 접어서 상기 고정레일(30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사이드게이트(220,230)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다. 따라서 화물의 종류에 따라 사이드게이트(220,230)를 열고 화물을 싣고 내리는 것이 편리한 경우에는 사이드게이트(200,230)를 열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천막프레임(500)의 지지프레임(510)과 롤러(530)가 롤러(530)에 나사결합되는 별도의 연결관(540)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에는 롤러(530)가 고정레일(300), 또는, 메인레일(4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510)을 롤러(5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천막프레임(500)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프레임(510)을 롤러(530)에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지지프레임(510) 또는 롤러(530)이 손상된 경우에 손상된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용적이고 경제적이다.
또, 연결관(540)에 높이조절공(542)이 형성되고,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에 탄성걸림볼(518)이 형성되면 적재되는 화물의 양이나 높이에 따라 천막프레임(5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레일(300)에 스토퍼(310)가 구비되면 천막프레임(500)을 접어서 고정레일(300)에 위치된 상태에서 천막프레임(500)이 스토퍼(310)에 걸려서 고정레일(3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천막프레임(500)이 고정레일(30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안전성도 확보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4와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요부확대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할 수 있는 차 실내가 조성되는 캐빈(100)과, 캐빈(100)의 후방에 위치되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적재함을 갖는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캐빈(100)의 측면에서 적재함의 좌우 사이드게이트(220, 230) 전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레일(300)과, 상기 사이드게이트(220.230) 상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메인레일(400)과, 상기 고정레일(300) 및 메인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천막프레임(500)과, 천막프레임(500)에 결합되는 천막시트(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함은 플로어(210)와, 플로어(210)의 양측단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게이트(220,230)와, 플로어(210)의 후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어게이트(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차량의 적재함의 구성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고정레일(30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게이트(220,230)의 전단부에서 사이드게이트(220,23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캐빈(100)의 양측면 후단부에서 용접된다.
이러한 고정레일(3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개구되는 레일홈(30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고정레일(300)의 후단면은 후방으로 개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막프레임(500)의 롤러(530)가 고정레일(300)의 개방된 후단면을 통해 메인레일(4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레일(40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게이트(220,230)의 상면에 용접된다. 메인레일(400)은 고정레일(300)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져서, 상부로 개구되는 레일홈(40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레일(400)은, 상기 사이드게이트(220,230)를 상향으로 접어 올렸을 때 고정레일(300)과 정렬되어 고정레일(300)과 메인레일(400)은 상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메인레일(400)의 상기 고정레일(300)과 인접되는 전단면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고정레일(300)의 레일홈(302)과 메인레일(400)의 레일홈(402)이 연통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막프레임(500)의 롤러(530)가 고정레일(300)과 메인레일(400) 사이를 자유롭게 슬라이드이동된다.
한편, 상기 천막프레임(500)은 수평부(512)와 수평부(512)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514)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프레임(510)이 링크부재(520)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 하단에는 고정레일(300) 및 메인레일(400)의 레일홈(302,402)에 삽입되는 롤러(5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천막프레임(500)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프레임(510)은 수평부(512)와 수평부(512)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514)로 이루어져서 전체적으로 ㄷ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프레임(510)은 원형파이프로 형성되는데, 천막시트(미도시)는 고리나 끈 등에 의해 지지프레임(510)에 연결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천막프레임(500)이 펼쳐지고 접힘에 따라 천막시트(미도시)가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520)은 X형상을 갖는데, 하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수직부(514)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드링(516)에 결합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링(516)이 수직부(514)를 따라 슬라이드됨에 따라 링크부재(520)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고, 지지프레임(510)들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결국 천막프레임(500)이 자바라형태로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한편, 상기 롤러(530)는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 하단에 결합되는데, 도 2,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직축(532)과, 수직축(532)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휠(53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롤러(530)는 별도의 연결관(540)에 의해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관(5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롤러(530)의 수직축(532)에 나사결합되는데, 외주면에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높이조절공(5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에는 상기 높이조절공(542)에 삽입되는 탄성걸림볼(518)이 구비된다. 이 탄성걸림볼(518)은 수직부(514)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외향으로 탄지되는데, 이러한 탄성걸림볼(518)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걸림볼(518)이 연결관(540)의 높이조절공(542)에 삽입됨에 따라 지지프레임(510)이 연결관(540)과 연결되는데, 탄성걸림볼(518)이 삽입되는 높이조절공(542)의 위치에 따라 지지프레임(510), 즉, 천막프레임(50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510)이 연결관(540)에 의해 롤러(530)와 연결됨에 따라 지지프레임(5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 필요에 따라 지지프레임(510)을 롤러(530)와 분리하는 것도 용이하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천막을 칠 필요가 없어서 지지프레임(510)을 제거하고 차량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나, 지지프레임(510) 또는 롤러(530)가 손상된 경우에 지지프레임(510)과 롤러(530)를 분리하여 손상된 부품만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적재함에 짐을 싣거나 적재함에 천막을 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천막프레임(500)을 전방으로 밀어서 접고, 고정레일(300)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천막프레임(500)을 고정레일(300)에 위치시키면, 천막프레임(500)에 방해받지 않고 사이드게이트(220,230)를 열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의 사이드게이트(220,230)와 리어게이트(240)를 열고 적재함에 짐을 싣는다. 그리고 화물을 다 실은 다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막프레임(500)을 펼쳐서 천막시트로 적재함을 덮는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천막이 개폐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천막프레임(500)을 접어서 고정레일(30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적재함의 사이드게이트(220.230)를 펼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천막프레임(500)의 지지프레임(510)을 롤러(530)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지지프레임(510)을 적재함에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지지프레임(510)이나 롤러(530)가 손상된 경우에 손상된 부품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장점도 가진다.
또한, 지지프레임(510)이 연결관(540)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재되는 화물의 양이나 높이에 따라 지지프레임(510), 즉, 천막프레임(5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레일(300)의 후단부에 천막프레임(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310)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310)가 가위형태로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312,314)와, 이들 회동부재(312,314)에 구비되어 회동부재(312,314)의 선단부가 상호 이격되게 벌어지도록 회동부재(312,314)의 기단부를 탄지하는 스프링(318)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회동부재(312,314)의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걸림부(313,31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레일(300)은 천막프레임(500)의 휠(534)이 슬라이드되는 레일홈(302)이 구획벽(303)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상기 레일홈(302)의 하측에는 보조공간(305)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레일(300)의 저면과 상기 구획벽(303)에는 상호 상하로 정렬되도록 제1, 2관통공(304, 30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10)는 고정레일(300)의 저면에 형성된 제1관통공(304)을 통해 고정레일(300)에 끼워지고 돌출걸림부(313,315)가 제1관통공(304)의 둘레부 상면에 걸려서 스토퍼(310)의 끼워진 상태가 고정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회동부재(312,314)의 선단부는 고정레일(300)의 보조공간(305)에 위치되므로 스토퍼(310)에 의해 천막프레임(500)의 슬라이드에 방해되지 않는다.
한편, 천막프레임(500)이 접힌 상태에서 고정레일(3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310)의 기단부를 손으로 잡고 오므리면서 스토퍼(310)를 위로 밀어올린다. 이와 같이 하면 스토퍼(310)의 선단부가 고정레일(300)의 제2관통공(306)을 통해 레일홈(302)으로 삽입되고, 사용자가 스토퍼(310)의 기단부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회동부재(312,314)의 선단부가 벌어져서 상기 돌출걸림부(313,315)가 제2관통공(306)의 둘레부 상면에 걸려서 스토퍼(310)가 끼워진 상태가 고정된다.
그리고, 스토퍼(310)의 선단부가 레일홈(302)으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천막프레임(500)의 롤러(530)가 스토퍼(310)의 선단부에 걸려서 천막프레임(500)이 고정레일(3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천막프레임(500)이 스토퍼(310)에 의해 고정레일(3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천막프레임(500)을 접어서 고정레일(30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천막프레임(500)이 고정레일(30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천막프레임(500)이 고정레일(300)에서 빠져서 작업에 방해되지 않으므로 화물을 싣고 내리는 작업이 편리하며, 안전성도 확보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스토퍼(310)는 사용자가 회동부재(312,314)의 기단부를 손으로 잡고 위로 올리거나 내리기만 하면 되므로 조작이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
100. 캐빈 210. 플로어
220, 230. 사이드게이트 240. 리어게이트
300. 고정레일 302, 402. 레일홈
303. 구획벽 304. 제1관통공
305. 보조공간 306. 제2관통공
310. 스토퍼 312, 314. 회동부재
313, 315. 돌출걸림부 400. 메인레일
500. 천막프레임 510. 지지프레임
512. 수평부 514. 수직부
516. 슬라이드링 520. 링크부재
530. 롤러 532. 수직축
534. 휠 540. 연결관
542. 높이조절공 518. 탄성걸림볼

Claims (4)

  1. 차 실내가 조성되는 캐빈(100)과, 상기 캐빈(100)의 후방에 위치되는 플로어(210)와 상기 플로어(2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게이트(220,230)를 포함하는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을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게이트(220,23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캐빈(10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향으로 개구되는 레일홈(30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고, 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레일홈(302)이 후방으로 개구된 한 쌍의 고정레일(300);
    상기 사이드게이트(220,2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이드게이트(220,230)가 상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레일(300)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개구되는 레일홈(40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고, 전단면이 개방되어 상기 레일홈(402)이 상기 고정레일(300)의 레일홈(302)과 연통되도록 전방으로 개구된 한 쌍의 메인레일(400);
    상기 고정레일(300) 및 메인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천막프레임(500);
    상기 고정레일(300)에는 상기 천막프레임(5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천막프레임(500)은,
    수평부(512)와 수평부(512)의 양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부(514)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프레임(510);
    상기 지지프레임(510)들 사이가 신축되도록 지지프레임(510)들을 연결시키도록 X형상으로 하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수직부(514)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드링(516)에 결합되는 링크부재(520); 및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레일(300) 및 지지레일(400)의 레일홈(302,402)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다수개의 롤러(5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310)는,
    가위 형태로 힌지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걸림부(313,315)가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312,314); 및
    상기 고정부재(312,314)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312,314)의 선단부가 벌어지도록 탄지하는 스프링(3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레일(300)은 구획벽(303)에 의해 상기 레일홈(302) 하측에 보조공간(305)이 구획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300)의 저면과 구획벽(303)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1, 2관통공(304,306)이 상호 정렬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310)의 돌출걸림부(313,315)가 상기 제1관통공(304)의 상면 둘레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스토퍼(310)의 선단부가 상기 보조공간(305)에 수납되고, 상기 돌출걸림부(313,315)가 상기 제2관통공(306)의 상면 둘레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스토퍼(310)의 선단부가 상기 레일홈(302)으로 돌출되어 상기 롤러(530)가 고정레일(3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내주면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높이조절공(542)이 형성된 연결관(5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롤러(530)는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540)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수직축(532)과, 상기 수직축(532)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휠(534)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수직부(514) 하단부에는 수직부(514)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외향으로 탄지되어 상기 높이조절공(542)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걸림볼(51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6264U 2016-10-27 2016-10-27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KR200482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64U KR200482911Y1 (ko) 2016-10-27 2016-10-27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64U KR200482911Y1 (ko) 2016-10-27 2016-10-27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11Y1 true KR200482911Y1 (ko) 2017-03-15

Family

ID=5841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264U KR200482911Y1 (ko) 2016-10-27 2016-10-27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9955A (zh) * 2017-10-31 2018-01-19 零八电子集团四川红轮机械有限公司 一种伸缩车辆篷布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201A (ko) * 2013-08-20 2015-03-02 배병태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201A (ko) * 2013-08-20 2015-03-02 배병태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9955A (zh) * 2017-10-31 2018-01-19 零八电子集团四川红轮机械有限公司 一种伸缩车辆篷布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3595B1 (en) Portable truck step
US3466082A (en) Pickup truck bed mounted camper tent
KR101420589B1 (ko)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KR101367939B1 (ko) 캠핑카의 지붕 덮개 절첩장치
US7147265B1 (en) Collapsible truck bed cover
US2853340A (en) Telescoping roof for trucks and trailers
US6332637B1 (en) Collapsible cargo support system
US3375836A (en) Folding and automobile-transportable camping tent
US7503607B2 (en) Retractable enclosure for small land vehicle
US3460864A (en) Collapsible truck rack
US9156391B2 (en) Collapsible rigid shelter for mounting on a truck bed
KR101376300B1 (ko) 캠핑카의 지붕 천막 절첩 유도장치
CA3058103C (en) Foldable tent comprising two umbrella structures
US11111691B2 (en) Side supporting type vehicle roof tent
US2995398A (en) Expandable trailer
US2057555A (en) Overhead door for closed vehicle bodies
KR101949166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101445314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KR200482911Y1 (ko) 차량적재함의 개폐식 천막구조
US2182967A (en) Collapsible auto trailer
US1595541A (en) Bed attachment for automobiles and trailers
US3743346A (en) Folding camper extension
US2856645A (en) Trailer house
US3845775A (en) Car top tent
CA1099311A (en) Bed extension kit for van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