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400Y1 -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400Y1
KR200395400Y1 KR20-2005-0006908U KR20050006908U KR200395400Y1 KR 200395400 Y1 KR200395400 Y1 KR 200395400Y1 KR 20050006908 U KR20050006908 U KR 20050006908U KR 200395400 Y1 KR200395400 Y1 KR 200395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arc
box
support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범준
Priority to KR20-2005-0006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을 덮는 덮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되는 링크의 작동에 의하여 손쉽게 펴고 접을 수 있는 화물차 적재함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의 적재함 측벽의 상면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얹혀지며 전후로 이동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로울러를 수납하는 가이드와; 상기 로울러에 축과 연결되며, X자 형태의 링크로 받침대에 연결되는 링크와; 상기 호로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호로받침 높낮이조절수단과, 화물차 적재함을 구성하는 호로를 옆으로 펼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Description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COVER APPARATUS OF CARRIER BOX FOR TRUCK}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을 덮는 덮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되는 링크의 작동에 의하여 손쉽게 펴고 접을 수 있는 화물차 적재함용 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측면에서 적재함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호로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에 편리를 기할 수 있는 화물차 적재함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에 물건을 적재한 상태에서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바를 쒸워야 한다.
이러한 카바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부 화물차는 금속으로된 탑을 적재함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탑차의 경우 설치비가 많이들 뿐 아니라 무거운 화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지게차로 화물을 적재할 경우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을 싣을 경우 상면이 덮여져 있으므로 화물을 싣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종래의 화물차는 적재함에 화물을 싣고 그 위에 호로를 펼친 후 네귀를 결착끈으로 적재함에 묶음으로서 적재함 커버를 대신하였으며 또 다른 트럭의 경우에는 화물적재함에 "┏┓" 형의 호로지지대를 세운후 지지대 상부에 호로를 얹어서 펼친 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결착끈으로 차체에 묶어 호로를 고정시켰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화물적재함에 호로를 치기 위해서는 화물적재함에 직접 올라가서 호로를 펼쳐야 했으며, 또한 호로가 벗겨지지 않도록 일일이 차체에 묶어야 할 뿐 아니라 호로지지대 상부에 펼칠 경우에는 2인 이상의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화물차의 적재함 측벽 상면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얹혀지며 전후로 이동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호로받침대와; 상기 호로받침대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로울러를 수납하는 가이드와; 상기 로울러에 축과 연결되며, X자 형태의 링크로 받침대에 연결되는 링크와; 화물차의 적재함의 기둥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받침대를 기울이기 위한 받침대 회전수단으로 구성된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고안되어 실용신안 등록 제 368352호로 등록되었다.
그러나 위의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는 화물차의 측면에서 화물을 적재하고자 할 때 적재함의 측벽을 개방하기 위하여서는 사용자가 적재함위에 올라가 화물적재함 덮개장치를 전방으로 기울여 하부의 로울러가 레일을 벗어나도록 한 다음 다시 내려와 적재함의 측벽을 내려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물의 양과 상관없이 호로받침대의 높이가 고정되므로 화물차의 짐의 높이가 낮은 상태임에도 높은 호로받침에 따라 호로를 설치하므로 주행중에 저항을 많이 받게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화물의 높이가 호로받침대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에는 화물을 적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적재함의 커버를 손쉽게 덮고, 걷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을 편리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차의 적재함의 호로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도모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차의 적재함 측벽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며, 호로를 측면으로 펼칠 수 있도록하여 사용에 편리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 측벽의 상면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얹혀지며 전후로 이동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호로받침대와; 상기 호로받침대를 X자 형태로 연결하는 링크와; 상기 호로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호로받침 높낮이조절수단과, 화물차 적재함을 구성하는 호로를 옆으로 펼칙 위한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레일의 일부가 절결되어 호로받침대를 젖히지 않고도 적재함의 측벽을 젖힐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물차(10)의 적재함의 측벽에 얹혀져 전후로 슬라이드되는 호로받침대(20)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호로받침대(20)는 X자형 링크(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링크(30)의 단부에 설치되는 로울러(35)는 호로받침대(20)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25)에 삽입된다.
상기 호로받침대(20)는 상하로 분리되어 상부프레임(20a)이 하부의 파이프(20b)에 삽입되며, 상부 프레임(20a)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22)중 하부의 파이프(20b)에 구멍(24)과 일치되는 구멍에 삽입되는 핀(26)에 의해 상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측면으로는 호로를 펼칠 수 있도록 가로대(29)가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호로받침대(20)중 최선단의 호로받침대(20)는 적재함의 기둥(40)에 지지되며, 다수의 호로받침대(20)의 하단에는 로울러(23)가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는 적재함의 측벽(15) 상면에 설치되는 레일(16)에 삽입되어 호로받침대(20)가 원활히 이동하도록 하였으며, 다수의 호로받침대(20)는 표면에 호로를 설치하여 작동하는 것이지만 설명의 필요상 도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호로받침대를 가이드하는 레일(16)은 C형 잔넬로 구성되며 적재함의 기둥측에는 안쪽과 바닥면이 제거된 상태이다. 이는 후술하는 작동과정에서 설명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우선 화물차에 짐을 적재하기 위하여서는 호로를 벗기운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하여야 하므로 이때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로받침대(20)를 운전석측의 전방으로 밀어 놓은 상태에서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다.
이때에는 적재함의 상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지게차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적재함의 상면으로 화물을 들어오려 적재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지게차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적재함의 측벽 또는 후방을 개방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주행중에는 비나 눈 등을 피하기 위하여 호로를 쒸우게 되는데 이때 화물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로받침대(20)의 상부프레임(20a)을 상측으로 올린 상태에서 핀(26)을 구멍(24)에 맞추어 끼우면 호로 받침대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며, 화물의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로받침대의 상부프레임(20a)을 하측으로 내린 상태에서 핀(26)을 구멍(24)에 맞추어 끼우면 호로 받침대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호로받침대의 높이 조정이 끝나면 다수의 호로받침대(20)중 최후방의 호로받침대(20)를 당기면 다수의 호로받침대(20)들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호로받침대에 설치된 호로가 적재함을 덮어주게 되어 도 6b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최후방의 호로받침대(20)를 뒤로 당기면 호로받침대(20)의 하면에 설치된 로울러(22)가 레일(16)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구르면서 후방의 호로받침대(20)를 원활히 이동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호로받침대(20)가 뒤로 이동하면 호로 받침대(20)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30)에 의해 앞의 호로받침대(20)를 당기게 되므로 같이 이동되는 것이며, 위와 동일한 작동에 의해 다수개의 호로받침대(20)들은 아코디언식으로 펼쳐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으로 이때 최전방의 호로받침대(20)는 적재함의 기둥(4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최전방의 호로받침대(20)는 이동하지 않고 최전방의 호로받침대(20)와 최후방의 호로받침대(20)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호로받침대(20)들이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호로받침대(20)들을 서로 연결하는 링크(30)들에 의해 동시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링크(30)는 중심축(31)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벌어지는 과정에서 링크(30)의 끝단에 설치된 로울러(35)는 호로받침대(20)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이드(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안내되어 이동하므로 보다 링크(30)의 동작을 원할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후방의 호로받침대(20)가 도 6b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울러(22)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적재함의 후방에 위치하면 스토퍼에 의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후방의 호로받침대(20)가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하게 되는데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잠금구(38)를 레일(16)에 잠그면 호로받침대는 잠금구에 걸린 상태이므로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호로를 쒸운 상태에서 이동을 완료하고 화물을 내리고자 할 때에는 호로받침대 잠금장치(38)를 풀고 후방의 호로 받침대(20)를 전방으로 밀어주면 호로받침대(20)들은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밀리게되는 것으로 이때에도 링크(30)가 중심축(31)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오므라들면서 링크(30)의 끝단에 설치된 로울러(35)는 호로받침대(20)에 고정되게 설치된 가이드(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안내되어 이동하므로 보다 링크(30)의 동작을 원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재함의 후방에서 화물을 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필요에 따라 적재함의 측면에서 화물을 내리고자 할 때에는 측벽을 젖혀주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호로받침대(20)를 가이드 하는 레일의 전방이 절결되어 개방된 상태이므로 적재함의 측벽을 옆으로 젖혀주면 자연스럽게 젖힐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적재함의 측면으로 화물을 내릴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에서는 호로받침대의 높낮이 조정과 화물이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화물차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호로의 측벽을 펼쳐 적재함에 적재된 상품을 행인이 볼 수 있도록 하고, 상품에 햇빛이 비치거나 눈이나 비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호로를 측방으로 펼쳐주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로 지지간의 길이를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적재함의 커버를 손쉽게 덮고, 걷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을 편리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화물차의 적재함의 호로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화물차의 적재함 측벽을 손쉽게 개방할 수 있으며, 호로를 측면으로 펼칠 수 있도록하여 사용에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고안 화물차 적재함용 커버가 설치된 화물차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적재함 후방의 스톱퍼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레일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호로받침대를 올린 상태도.
도 5는 본 본 고안의 호로받침대를 내린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호로를 펼친 상태도.

Claims (4)

  1. 화물차(10)의 적재함의 측벽에 얹혀져 전후로 슬라이드되는 호로받침대(20)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호로받침대(20)는 X자형 링크(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링크(30)의 단부에 설치되는 로울러(35)는 호로받침대(20)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25)에 삽입되는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로받침대(20)는 상하로 분리되어 상부프레임(20a)이 하부의 파이프(20b)에 삽입되며, 상부 프레임(20a)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22)중 하부의 파이프(20b)에 구멍(24)과 일치되는 구멍에 삽입되는 핀(26)에 의해 상부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측면으로는 호로를 펼칠 수 있도록 호로 지지대대(29)가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로받침대를 가이드하는 레일은 C형 잔넬로 구성되며 적재함의 기둥측에는 안쪽과 바닥면이 제거되어 화물차 적재함의 측벽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호로받침대중 최후방의 호로받침대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잠금쇠를 더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KR20-2005-0006908U 2005-03-15 2005-03-15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KR200395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908U KR200395400Y1 (ko) 2005-03-15 2005-03-15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908U KR200395400Y1 (ko) 2005-03-15 2005-03-15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400Y1 true KR200395400Y1 (ko) 2005-09-13

Family

ID=4369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908U KR200395400Y1 (ko) 2005-03-15 2005-03-15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4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700B1 (ko) * 2013-11-04 2014-07-09 김웅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함 덮개
KR200476699Y1 (ko) * 2014-12-09 2015-03-23 장민서 적재함 가변 덮개
KR101526538B1 (ko) * 2013-09-10 2015-06-09 김명숙 자동 덮개이송장치
KR102182991B1 (ko) 2020-09-28 2020-11-25 남영석 전동 발맛사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38B1 (ko) * 2013-09-10 2015-06-09 김명숙 자동 덮개이송장치
KR101416700B1 (ko) * 2013-11-04 2014-07-09 김웅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적재함 덮개
KR200476699Y1 (ko) * 2014-12-09 2015-03-23 장민서 적재함 가변 덮개
KR102182991B1 (ko) 2020-09-28 2020-11-25 남영석 전동 발맛사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118Y2 (ko)
RU2665985C1 (ru) Поднимаемое несу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006517493A (ja) 可動耐荷プラットフォームを組み込んだ車両及びトレーラ
KR200395400Y1 (ko)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US20060133914A1 (en) Luggage carrier
KR101035476B1 (ko) 적재함 또는 적재면을 구비한 차량
US20030147734A1 (en) Goods handling system
CN217227415U (zh) 一种升降搭载车顶帐篷的车辆后斗装备
JP2008044581A (ja) ルーフキャリア
KR200368352Y1 (ko)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JP4153701B2 (ja) 貨物自動車の荷役装置
KR20130049648A (ko)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KR100350898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높이 증설장치
KR200189794Y1 (ko) 트럭용적재함
CN207000327U (zh) 用于卡车的集成梯架以及皮卡车
JP2001047928A (ja) 貨物自動車用リアゲート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リアゲート
KR19980033048U (ko) 화물자동차 적재함 구조
JPH05155284A (ja) 荷物運搬車両の積卸し装置
JP4185291B2 (ja) 貨物自動車の荷役装置
KR20040035435A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JP2003252107A (ja) 格納式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のスライド同調機構
JP2003095006A (ja) 貨物自動車の荷役装置
JPH0416754Y2 (ko)
JPH0528742U (ja) 積荷の昇降装置
JPH06262976A (ja) 貨物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