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648A -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648A
KR20130049648A KR1020110114789A KR20110114789A KR20130049648A KR 20130049648 A KR20130049648 A KR 20130049648A KR 1020110114789 A KR1020110114789 A KR 1020110114789A KR 20110114789 A KR20110114789 A KR 20110114789A KR 20130049648 A KR20130049648 A KR 2013004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ar end
inclined plate
bottom pl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근효
임병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에스티
(주) 티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에스티, (주) 티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에스티
Priority to KR102011011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9648A/ko
Publication of KR2013004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는, 다수의 차량이 승차 적재되는 카 캐리어의 적재함의 바닥판의 후단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의 후단 내부에 다단으로 결합되며, 접철되는 다수의 경사부재; 상기 접철된 다수의 경사부재를 순차적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경사부재가 인출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차량이 적재함으로 승차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의 후단으로부터 다단으로 전개되어 지면에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승차를 안내하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고, 승차가 완료되면 적재함의 바닥 내부로 인입되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승차 충격을 방지하여 차량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CAR CARRIER'S LOAD UP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후단으로부터 다단으로 전개되어 지면에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승차를 안내하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고, 승차가 완료되면 적재함의 바닥 내부로 인입되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자동차공장에서 생산한 후에 소정의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중에 승용차를 탁송하는 사람이 자동차공장으로 이동하여 승용차를 직접 운전하여서 소정의 장소로 탁송시키는 인탁송 방법이 있으며, 두번째는 승용차를 한꺼번에 여러 대씩 대형 카 캐리어 트럭 혹은 기차 등에 적재하여서 이송시킬 수 있는 장비탁송 등이 있다.
카 캐리어에 대한 선행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50659호의 "승용차 운반용 소형 카캐리어"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선행 기술을 살펴보면, 짐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5)을 구비한 소형트럭(1)에서, 상기 적재함(5)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적재된 승용차(6)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판(10)과, 상기 하부지지판(10)의 네 모서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는 슬롯부재(38)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고 상부면에 승용차(7)가 적재되는 상부지지판(30),과 상기 지지판(30)의 저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하부지지판(10)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부지지판(30)을 상,하로 경사지게 승강시키는 경사 및 수직승강실린더(32)(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판(10)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놓여져 승용차(6)(7)의 이동을 지지하는 경사지지판(40)과, 상기 경사지지판(40)의 후단에 힌지에 의해 회동되고 승용차가 적재되거나 내려질 때 바닥면으로 펼쳐지는 적재문(7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적재문(70)은 접이실린더(60)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적재문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주행 중 충격에 의해 적재문이 불시에 전개될 위험이 상존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재함의 후단에 설치되며, 적재함의 후단으로부터 다단으로 전개되어 지면에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승차를 안내하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고, 승차가 완료되면 적재함의 바닥 내부로 인입되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차량이 승차 적재되는 카 캐리어의 적재함의 바닥판의 후단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의 후단 내부에 다단으로 결합되며, 접철되는 다수의 경사부재; 상기 접철된 다수의 경사부재를 순차적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경사부재가 인출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차량이 적재함으로 승차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경사부재는 상기 바닥판의 후단 수납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단이 개구된 제1경사판; 상기 제1경사판의 인입 및 인출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바닥판에 장착된 제1구동부; 상기 제1경사판의 내부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작동되는 제2경사판; 상기 제1경사판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경사판의 인입 및 인출작동을 제어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는 유압이 공급되는 본체와, 본체 내에 내장된 피스톤 및 피스톤에 연결되어 출몰작동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경사판은 후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경사판의 후단에는 지면과 지지되며, 경사각을 갖는 경사지지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의 후단으로부터 다단으로 전개되어 지면에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승차를 안내하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고, 승차가 완료되면 적재함의 바닥 내부로 인입되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승차 충격을 방지하여 차량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상기 도 3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상기 도 3에서 '바닥판'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3에서 '제1경사판'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상기 도 3에서 '제2경사판'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종래 카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를 전개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상기 도 3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상기 도 3에서 '바닥판'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3에서 '제1경사판'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상기 도 3에서 '제2경사판'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 운반용 카 캐리어는, 주행차량과, 주행차량에 연결된 적재함(200) 및 적재함(200)의 후단에 형성되어 적재된 승용차를 지지하는 바닥판(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판(210))의 후단에는 차량이 적재함(200)으로 진입하여 승차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하며, 적재된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적재함의 후방을 폐쇄시키는 승차장치가 형성된다.
승차장치는 다수의 차량이 승차 적재되는 카 캐리어의 적재함(200)의 바닥판(210)의 후단 내부에 장착되어 다단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전개되는 안테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승차장치(A)는, 바닥판(210)의 후단 수납부(219)의 내측에 다단으로 결합되며, 접철되는 경사부재; 접철된 경사부재를 순차적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경사부재가 인출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차량이 바닥판(210)을 통해 적재함(200)으로 승차 및 하차될 수 있다.
경사부재는 안테나 식으로 접철되는 구조를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바닥판(210)의 후단 수납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단이 개구된 제1경사판(1); 제1경사판(1)의 인입 및 인출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바닥판(210)에 장착된 제1구동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판(210)이 승차되는 차량의 양쪽 바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두개의 판재로 분할되어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 각각의 바닥판(210)에 결합되는 제1경사판(1)도 2개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제1경사판(1)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는 제2경사판(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구동부(3)의 작동에 의해 제1경사판(1)이 바닥판(21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또한 제1경사판(1)의 내부에 제2경사판(2)이 삽입되어 제2구동부(4)에 의해 인입 및 인출작동된다.
제2경사판(2)은 차량의 승,하차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5)이 형성된다.
제2구동부(4)는 제1경사판(1)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경사판(2)의 인입 및 인출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제2구동부(4)의 작동에 의해 제2경사판(2)이 제1경사판(1)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제1 및 제2구동부(3,4)는 유압이 공급되는 본체(31,41)와, 본체(31,41) 내에 내장된 피스톤 및 피스톤에 연결되어 출몰작동되는 로드(33,43)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제1구동부(3)의 본체(31)는 일단이 2개의 바닥판(210)의 사이에 형성된 기대에 고정되고, 로드(33)는 2개로 된 제1경사판(1)의 사이에 형성된 횡바(13)에 연결된다.
또한 제2구동부(4)의 본체(41)는 일단이 제1경사판(1)의 내부 일단에 고정되고, 로드(43)는 제1경사판(1)의 전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제1경사판(1)의 후단에는 지면과 지지되며, 경사각을 갖는 경사지지판(8)이 장착된다.
경사지지판(8)은 제2경사판(2)이 전개되었을때 제1 및 제2경사판(1,2)이 연결된 부위가 내구성이 약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제1경사판(1)의 후단을 지면에 지지되도록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2경사판(1,2)이 완전히 전개되었을때 길이가 길어지지만 지면과 이격되어 있어 중간부위가 약하게 되며, 특히 제1 및 제2경사판(1,2)이 각기 분리된 형태이므로 이 부위가 특히 취약해지게 되어 승차 도중 차량의 하중에 의해 절단되거나 휘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경사지지판(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을 승차하기 전에, 제1경사판(1)이 바닥판(2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작동시킨다. 이는 제1구동부(3)의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로드(33)가 인장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제2경사판(2)을 제1경사판(1)으로부터 인출시켜 작동시킨다. 이는 제2구동부(4)의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로드(43)가 인장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제1 및 제2경사판(1,2)이 모두 인출되면 경사지지판(8)이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견고한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고, 승차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차량이 제1 및 제2경사판(1,2)을 타고 이동하여 적재함(200)에 적재된다.
이후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의 역순으로 제2경사판(2)을 제1경사판(1)의 내부로 인입시키고, 이어서 제1경사판(1)을 바닥판(210)으로 인입시켜 승차 작업이 완료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제1경사판 2 : 제2경사판
3 : 제1구동부 4 : 제2구동부
5 : 경사면 6 : 롤링장치
8 : 경사지지판 210 : 바닥판

Claims (5)

  1. 다수의 차량이 승차 적재되는 카 캐리어의 적재함의 바닥판의 후단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의 후단 내부에 다단으로 결합되며, 접철되는 다수의 경사부재;
    상기 접철된 다수의 경사부재를 순차적으로 인입 및 인출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다수의 경사부재가 인출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차량이 적재함으로 승차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사부재는
    상기 바닥판의 후단 수납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후단이 개구된 제1경사판;
    상기 제1경사판의 인입 및 인출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바닥판에 장착된 제1구동부;
    상기 제1경사판의 내부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작동되는 제2경사판;
    상기 제1경사판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경사판의 인입 및 인출작동을 제어하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는 유압이 공급되는 본체와, 본체 내에 내장된 피스톤 및 피스톤에 연결되어 출몰작동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판은 후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판의 후단에는 지면과 지지되며, 경사각을 갖는 경사지지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KR1020110114789A 2011-11-04 2011-11-04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KR20130049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789A KR20130049648A (ko) 2011-11-04 2011-11-04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789A KR20130049648A (ko) 2011-11-04 2011-11-04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648A true KR20130049648A (ko) 2013-05-14

Family

ID=4866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789A KR20130049648A (ko) 2011-11-04 2011-11-04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96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69A (ko) * 2017-01-12 2018-07-20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
KR20230001395A (ko) * 2021-06-28 2023-01-04 (주)에이엠티코리아 가변형 적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69A (ko) * 2017-01-12 2018-07-20 주식회사 팬스타엔터프라이즈 차량 리프트용 가변 진입 장치
KR20230001395A (ko) * 2021-06-28 2023-01-04 (주)에이엠티코리아 가변형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2579B1 (en) Vehicles and traillers incorporating moveable load carrying platforms
CN103201195B (zh) 用于车辆运输的可移除的框架系统
CN102282042A (zh) 集装箱拖车
KR200409079Y1 (ko) 슬라이딩 컨테이너
CN104442514B (zh) 一种汽车起重尾板结构
EP0278558B1 (en) Road transport vehicle suitable for two separate loads
CN104875660A (zh) 具有快速装载/卸载的货物舱的卡车车体
KR20190021254A (ko) 운송 플랫폼
CN106882107A (zh) 一种货车车厢
KR20130049648A (ko)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KR100725111B1 (ko) 세이프티 로더
US20050105994A1 (en) Inside vehicle lift
CN111959591B (zh) 行走、举升、上平台一体机、控制方法及上平台方法
KR200395400Y1 (ko)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CN217227415U (zh) 一种升降搭载车顶帐篷的车辆后斗装备
CN110293890A (zh) 一种军用卡车便携式提升机及用其装卸物料的方法
CN100506604C (zh) 拖车、车辆及用于装载拖车或车辆的方法
KR101275437B1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CN103097193B (zh) 用于车辆内操作货物的负载操作设备
KR100750268B1 (ko) 윙 바디 트레일러의 이중 가변식 적재함
KR101585173B1 (ko) 특장차용 2단 적재장치
CN116923266A (zh) 一种车顶升降行李架
CN210478493U (zh) 一种军用卡车便携式提升机
CN215285031U (zh) 一种双展翼开关门厢式半挂车
KR100679464B1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